【해병대 장군보직의 비밀】해병대 사령관이 '3스타'인 진짜 이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8 дек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 @asd-lh3ev
    @asd-lh3ev 2 года назад +61

    19테크 2사단 복무했는데 막내때 처음으로 그당시 사단장님 백경순 사단장님 뵜는데 엄청 서글서글하시고 병들에게 모두 존댓말 해주시고 독려와 포상휴가증 뿌려주시고 독서를 강조하시는 멋진분이셨는데 월북자때문에 물러나셔서 너무 아쉬웠음ㅜ

    • @Rokmc1219
      @Rokmc1219 2 года назад

      오 백경순 준장님이 사단장까지 다셨었군요 저는 교훈단장이셨습니다. 2사단장이 이승도소장님이셨습니다.

    • @훈센세
      @훈센세 2 года назад

      허허 11테크일땐 연평부대장이었는데 대령이셨는데ㅋㅋㅋㅋㅋㅋㅋ사단장까지 하셨네요

    • @lee-us2tp
      @lee-us2tp 2 года назад +2

      크 백장군님... 당시 월북사건때 옷벗은게 슬프긴 했었음.. 말도에서 근무할때 먹을것도 헬기랑 립으로 많이 가져다주셨는데

    • @캐터피-g5v
      @캐터피-g5v 2 года назад +1

      대대장이셨던분이 사단장까지 올라가셨구나..
      그분 성격 엄청 인자하시고 병들 잘 챙겨주셨는데 실무 전입오고나서 바로 취임하셨고 전역할때 이임하시고 상급부대로 같이 가신분..매 기수 전역할때마다 대대장과 저녁 식사라는 행사까지 하셨는데

    • @캐터피-g5v
      @캐터피-g5v 2 года назад +1

      포상휴가증 뿌리시는건 여전하신가보네요.군 생활하면서 9번 나왔는데 포상휴가 다 못쓰고 나왔는데

  • @김한량-s9r
    @김한량-s9r Год назад +15

    국가전략 기동부대로서 그에 걸맞는 대우를 기원합니다.

  • @한탄오년간
    @한탄오년간 2 года назад +32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 해병대 출신으로써 자랑스럽습니다~

    • @한심성
      @한심성 2 года назад

      저도욤!! 필승~

  • @최성일-t8e
    @최성일-t8e Год назад +15

    해병대 대장출신 제7대 강기천, 8대 정광호, 9대 이병문 사령관이 있었고,
    해병대 사령관 출신인 김성은 국방장관도 역임을 했었습니다.
    이런 역사도 알고 있으면 좋겠네요.

  • @꽁이와예뻐니
    @꽁이와예뻐니 2 года назад +19

    작은할아버지가 월남 출신이고 164기 였습니다 그덕에 해병대 꿈을꾸며 해수색으로 재대하고 나왔습니다 해병대 화이팅입니다

  • @임스튜브
    @임스튜브 2 года назад +16

    해병 출신 군인들 허세 영상만 보다가 이 영상을보니 해병대가 다시금 멋있어 보입니다ㅜ

  • @sky-nx6qj
    @sky-nx6qj 2 года назад +63

    해병대창설이후
    국군의날 해병대가 총사령관이 되어 지휘한 것이
    2021년 10월1일
    처음이었습니다.
    서해 상륙작전을 해병대필두로 하엿습니다
    국군의날 행사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가슴 뜨거워지는 순간들이었습니다.
    해군이 강한 일본에게
    대한민국의 해군이 얼마나 강한지를 보여주는 커다란 밑그림이 있었다고 합니다.
    든든한 대한민국 군대
    감사합니다

    • @bbossiraegi
      @bbossiraegi Год назад

      서해상륙자전인가요?
      국군의날행사 포항해서 했는데

    • @erickyee4198
      @erickyee4198 2 месяца назад

      죄송합니다만 해상자위대 전력이 한국해군의 3배입니다.
      한국 해군은 예산이 없어서 함정을 늘리지도 못합니다.

  • @이형근-y1u
    @이형근-y1u 2 года назад +139

    해군을 전역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해병대를 생각해주시니
    참으로 감사합니다

    • @유승현-r2h
      @유승현-r2h 2 года назад +7

      해군, 해병대 우리는 하나다!

    • @gisado486
      @gisado486 Год назад +5

      @@유승현-r2h 해병대 1기는 원래 해군으로 입대한 수병이고
      장교는 손원일제독에 명령에 따라 일본군 해군출신과 육군출신들을 모조리 해병대로 보내서 만들었죠

    • @mangentle3423
      @mangentle3423 20 дней назад +1

      해군수병13기출신들이
      해병창설 1기었다고합니다

  • @Jo-oh9if
    @Jo-oh9if 2 года назад +10

    각종 군단장 사령관들 많이 봣는데 해병대 사령관은 확실히 포스가 남다르더라

  • @jyzsta1
    @jyzsta1 2 года назад +15

    소개영상 진짜 잘 만드셨어요 👍 👍 👍

  • @yunkihong9959
    @yunkihong9959 2 года назад +241

    이승도 장군이 국정감사에서 북한은 주적 말한 것 때문에 입대 했는데, 사령부 발령 받아서 같이 근무해서 영광 이었음 ㅇㅇ 회의 때도 서북도서에서 고생하는 병들이랑 부사관들 신경쓰고 복지개선 위해 힘 쓰시는거 보고 진짜 참군인이라고 생각 했었는데

    • @조큐리
      @조큐리 2 года назад +4

      ㅋㅋㅋㅋㅋㅋ뭐 사병이셨으면 장성이랑 근무했다고 영광이라는 이건좀 너무 오바아님...?.
      소령까지 인정해야지 같이 정책 계획 작전 참여하는 기준으로 그래야 같이 근무한거지

    • @yunkihong9959
      @yunkihong9959 2 года назад +26

      @@조큐리 ㅋㅋㅋㅋㅋ 오바아님아님 ㅎㅎ 같은 철조망 안에서 복무 했으면 같이 근무 했다고 정도 하는 거지 뭔 소령 어쩌고 지가 정하고 있어 꼰대같아 ㅎ

    • @찬찌루
      @찬찌루 2 года назад +3

      방공상황병?

    • @ij7849
      @ij7849 2 года назад +1

      후배님이시군. 전 2사단에 있을때 2사단장으로 오셨는데 간부들한테서 참군인이란말 많이 들었음. 축구좋아한다고 하시던데 제 기억속엔 축구한다고 하셔서 다른일 다 제쳐두고 축구라인 그렸는데 운동장에 절대 보이지 않으셨던 사단장임ㅋㅋ

    • @altruisticlinguist716
      @altruisticlinguist716 2 года назад +1

      저는 통역자원으로 사령부 파병 갔을 때 멀리서나마 뵀는데 포스가 있으시더라구요

  • @무반동-u3m
    @무반동-u3m 2 года назад +68

    사실상 연합사 부사령관이 지상구성군사령관을 겸임했기에 육군 보직이였지만 지금은 사정이 달라졌습니다.
    지상구성군사령관이 육군 지작사령관에게 넘어가서 사실상 해병대 사령관이 진급해서 1차보직에 연합사 부사령관에 임명되도 이상할게 없다는 뜻이기도 하지요
    강기천, 정광호, 이병문 해병대장 이후에 해병대장이 탄생하기를 바래봅니다.

    • @David-nu8gx
      @David-nu8gx 2 года назад +1

      그러면 연합사사령관도 미 해병대출신 장성이 올수도 있다는 뜻이네요?

    • @무반동-u3m
      @무반동-u3m 2 года назад

      @@David-nu8gx 그건 잘 모르겠습니다ㅠㅠㅠ

    • @David-nu8gx
      @David-nu8gx 2 года назад +1

      @@무반동-u3m 아무튼 한국은 육군도 중요하지만 해병대 처럼 공세적 전력도 중요한것 같습니다. 육해공 모든 작전이 가능한 정규군이 해병대이기도 하고 바로 옆에 중국의 해양력 팽창으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서는 육군보다 해병대 중심으로 재편할 필요가 있습니다.
      솔직히 육군은 북한만 압박할 뿐, 해병대는 중국 북한 모두 압박 할수 있지요.

    • @cmania72
      @cmania72 2 года назад +2

      @@David-nu8gx 그건 안되는게 주한미군을 구성하는 기본이 미육군(8군)이라서 다른 군종의 대장이 부임할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한미연합사 사령관도 자동으로 미육군대장이 됩니다.

    • @David-nu8gx
      @David-nu8gx 2 года назад +1

      @@cmania72 네, 저도 알고 있습니다. 다만, 본 댓글 다신 분이, 한국군 연합사 부사령관이 해병대 출신 얘기가 나와서 여쭤본 것입니다.

  • @재이이-e9b
    @재이이-e9b 2 года назад +97

    해병대훈련은 육.해.공 다 받는 국가전략기동부대이며, 전시에 적지에 투입.산화하여 돌아올수 없는 군대이다.
    따라서 훈련도 군기도 빡세며 어떤조직보다
    응징력이 강할수밖에 없다.

    • @Lynne-x2z
      @Lynne-x2z 2 года назад

      @ㅇㅇ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가라우번쩍쥐
      @가라우번쩍쥐 2 года назад +2

      속옷도망.....ㅠㅠ

    • @스위트홈-e9u
      @스위트홈-e9u 2 года назад

      애초에 상륙작전하는..병과는 사실상 따로있는데
      해병 포병도 k9타고 상륙함?

    • @옷깃-p5e
      @옷깃-p5e 2 года назад +4

      해병내에도 타군 유디티 특전사같은 인원은 소수에 불과함. 나머지는 그냥 해병이름 쓰고있는 보병이나 마찬가지임. 제대로 훈련도 못받고 전역하는게 태반. 해병이 힘들다는건 다 거품임.

    • @jjoo8172
      @jjoo8172 2 года назад +1

      @@옷깃-p5e 거품이라기보다는....1사단 외에는 주로 경계근무 부대라서 그래요. 1사단 훈련량 꽤 됩니다

  • @이정환-x7p
    @이정환-x7p Год назад +6

    오류지적 :합참의장은 반드시 참모총장을 거쳐야하는 보직은 아닙니다. 해군과 공군출신 대장은 참모총장을 역임하고서 합참의장을 맡게 되겠으나 육군출신들은 그간 1,2,3군 야전군사령관이나 연합사 부사령관출신들도 합참의장에 보임되었으니까요. 따라서 해병대사령관이 대장보직이 된다면 합참의장을 맡지 못할건 없지여

  • @hyeonjoonmartinchoi6421
    @hyeonjoonmartinchoi6421 2 года назад +103

    저는 해군 출신입니다.
    해병대는 사실상 독립되어 있다는 말이 인상깊네요. 해병대에 더 많은 예산이 가면 좋겠습니다. "해병대는 가난하다"라는 말이 옛말이 되도록 말이죠.

    • @jadethai
      @jadethai 2 года назад +7

      해군에서 충분히 쓰고 남는거 주니 맨날 가난하잖아요 ㅋㅋ
      아...그래도 쌍용이 건재할때는 쌍용그룹에서 많이 도와줘서 맛난거 많이 먹었었는데...

    • @hyoseopshin7790
      @hyoseopshin7790 2 года назад +8

      @@jadethai 제이드님께서 언제 군 생활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쌍용에서 지원을 해 주었다는 말씀 하시는 것 보면 젊은분 같지는 않구요.
      저는 제대한지 35년이 넘었습니다. 쌍용 김석원회장님이 해병출신이신것은 맞습니다만, 저 군대 있을 때 쌍용에서 해병대에 뭔가를 지원해 주었다는 말씀은 금시초문입니다.
      해병대 부식 정말 형편없습니다. 상륙훈련을 위해 LST에 탔을 때 상륙함에서 나오는 부식, 팀 스피리트 훈련때 강원도 원주의 육군 부식 받아 먹을 때
      우리 것과 비교해 보면 정말 맛있고 잘 나왔습니다.
      지난 일입니다만, 향후 군 비리는 반역죄에 준하는 처벌로 다스려야 합니다.

    • @OoOo0o0O
      @OoOo0o0O 2 года назад +3

      긴빠이

    • @gisado486
      @gisado486 Год назад +6

      세계최강에 해병이라는 미해병도 육군, 해군, 공군에 비해서 가장 작은 예산을 받고 있죠

  • @worldcatlover7059
    @worldcatlover7059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 @pardus-o2v
    @pardus-o2v 2 года назад +12

    저도 군생활하면서 별을 본적이 없음. 사단전투연병장에서 사단장님 연단에 서서 멀리서만 봤지..일단 눈앞에서 본 계급중에 가장 높은 계급은 대령이었음.

    • @곰탕재료푸바오
      @곰탕재료푸바오 2 года назад +1

      상륙지원단파견대., 사령부 옆 야산을 사이에 두고 쭉 이어진 부대인데 사령관님이 최소 서너명의 보좌관만 이끌고 새벽이나 아침에 체육복 입고 갑자기 기습운동 오는날에는 식겁했었던.

  • @T0t282
    @T0t282 Год назад +5

    해병대 사단이 작아도 담당 섹터 임무 강도 삼군에 못지않음… 적은 인원으로 담당 섹터 임무 수행하기에 많은 전투력을 요함…우리 해병 후배들 고생한다..

  • @컨티넨탈
    @컨티넨탈 2 года назад +12

    김태성 중장님..ㅠ 영어에 굉장히 능통하신분인데 연합사부사령관으로 대장진급하시면 좋겠네요

  • @jaeho971
    @jaeho971 2 года назад +11

    병장 중간끗발쯤에 그때당시 이수용 해군참모총장님 4~5미터쯤에서 뵙고 동공이커지면서 천지가 울리도록 "필~승!!"때리니 " 음 그래 수고많다" 군생활중 별4개 총장님은 딱한번 뵜네요. 좋은내용,재밌는동영상입니다. 필승해군,필승해병

  • @포페-d8w
    @포페-d8w 2 года назад +6

    앗싸참수리님 감사합니다. 저도 부사관으로 근무하면서 별을 본 기억이 딱 3번이네요. 준위계급은 딱 한번 봤습니다.

  • @i_love_at_once_attack
    @i_love_at_once_attack 2 года назад +2

    2:45
    직속이지만 독립된 기관이나 다름없다는 부분에서
    중앙행정부의 감사원과 흡사한 부분이 있네요.

  • @최헌영-o7s
    @최헌영-o7s 2 месяца назад +3

    해군중위 전역자인데요,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민태호-w2t
    @민태호-w2t Год назад +4

    대단히 감사합니다.
    해병 129기

  • @어영문-p2g
    @어영문-p2g Месяц назад +1

    진급이 힘든 해병대를 스스로 선택한 장교와 하사관들을 존경합니다

  • @돈좀꿔드릴까요
    @돈좀꿔드릴까요 Год назад +4

    강화도에서 근무했습니다.
    해병대 2사단은 거즘 독립중대로 실무 생활을 하다보니
    별보기가 정말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군생활 하면서 우리 중대 방문했던 사단장(투스타)을 본것이 훈단 수료때 원스타 이후로 처음이자 마지막이었습니다.
    그리고 해병대는 준위도 보기가 힘들죠.
    후반기 해포때 봤던 준위분 말고 실무 중대에 방문했던 준위 본 두번이 다입니다.
    영상을 보다보니 그시절이 그리워져 남겨봅니다.
    필승! -병 1060기-

    • @박지훈-c9g
      @박지훈-c9g Год назад

      해병대에는 준위가 될만한 병과가 수송 아니면 전차대대는 가야 될걸요?

    • @cherke11
      @cherke11 2 месяца назад

      전차1중대?

  • @ow3es7owj8os
    @ow3es7owj8os 2 года назад +12

    행정에 의해 능력있는 장군의 실력을 가로 막는건 이해가 안가며, 해병대 4성 장군은 연합사부사령관이 가장 유력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 @ok12911
      @ok12911 2 года назад +2

      맞습니다. 미국 같은 경우도 중부사령관 자리를 육군대장, 해병대장 번갈아서 하는데 우리나라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육군만 독점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해병대 장군도 할수 있게, 거기서 합참의장까지 갈 수 있게 했으면 싶습니다.

  • @mc.siver.light-
    @mc.siver.light- 2 года назад +6

    총군합쳐서 장성이 400명이면
    진짜 별달기가 하늘의별따기네요
    그만큼 책임감도 막중하겠죠
    장교 부사관 병사든 계급을떠나서
    나라를지켜주셔서감사합니다.
    군인들이있어 저희들은 발뻗고잡니다. 꾸벅

    • @쑤니와또리
      @쑤니와또리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렇죠 전군 대령to가 2300여명 되는데 준장을 다는 요건이 되는 사람은 1600명 정도되고 그 중에 스타다는 사람은 50명정도이죠

  • @Ciamamamaka
    @Ciamamamaka 2 года назад +30

    진짜 해병대 완전한 독립해야 합니다...
    지금이야 많이 개선되고 또 상황에 맞게 해병대에 맞는
    시스템과 예산이 편성되고 긍정쪽으로 흘러가는것으로 아는데 제가 군생활 할때만해도 상륙 작전 훈련 한번 하기 위해서 해군 및 공군에게 보고하고 허락받고 물자 빌려오고..
    그마저도 일부 빌려오거나 정해진 시간에 잠깐 쓰고...
    매우 열악했습니다 예산 관련해서도요
    10년도 더 된 상병때인가
    대규모 상륙작전 훈련 진행하는데
    당시 독도함과 공군의 대형수송기가 주축이 된 병력 + 장갑차 기동 상륙 훈련이였는데 훈련의 축이 되는 독도함과 수송기가 일정상인지 뭔지 계획 된 훈련이 안된다고 하여
    단체로 앉아서 상륙시 우리가 타게 될 상륙함이 앞에 보이는 독도함입니다 한마디와 비행장에서 수송기에 한번씩 탑승만 하고 다시 내려와서 유사시 해병대에 배체 된 수송기가 이 수송기입니다 이런 설명을 끝으로 훈련이 종료됐던...

    • @onae9456
      @onae9456 2 года назад +2

      완전 독립은 할 수는 있는데, 타 군 물자를 긴빠이할수는 없죠.
      상륙임무 하겠다고 해군에서 주력함종 다끌고오고, 공군에서 항공기 다 끌고오면 그 사이에 전력공백을 해병대가 막아주는건 아니니까요.
      결론은 해병대도 타군임무를 이해하면서 적당히 협의해서 협동작전을 해야지 무턱대고 독립해서 상륙만 하자고 하면 안될거 같네요.

    • @Ciamamamaka
      @Ciamamamaka 2 года назад +1

      @@onae9456 ...? 뭔가 착각하시거나 오해 하시는거 같은데
      해병대 독립 = 타 군에 물자를 가져오는 시스템이 아닙니다...
      해병대 독립은 자체적으로 예산을 배정받아 그 예산을 활용해 해병대만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초석입니다
      님이 말하는거처럼 해군 함정+ 공군 항공기 끌어다가 안쓸려고 해병대 독립을 하자는건데 잘못 이해 하신듯 하네요^^;;
      현재 해병대는 해군에 속해있기에 모든 예산과 전략물자들은
      해군에게 귀속 된 후 지원받는 시스템입니다
      그러한 이유로 상륙군의 임무를 가진 해병대지만
      독자적인 항공 전력 구축과 상륙에 필요한 물자를
      해병대가 구상하고 필요로하는만큼의 전력을 갖추치 못한채
      임무를 하는게 현실입니다
      제일 큰 문제는 해군+공군의 도움 없이는
      상륙작전을 꿈도 못꾸는 겉만 상륙군인 상황이 문제죠
      이러한 문제 때문에 많은 군 전문가들과 역대 해병 장성들이
      해병대 독립에 관해 꾸준히 목소리를 내는겁니다
      물론 해군 입장에선 달가워 할 수 없는 소리기도 하지요ㅎㅎ

    • @onae9456
      @onae9456 2 года назад

      @@Ciamamamaka 그러니까, 해병대가 독립하면 신께서 감동하셔서, 상륙주정도 주시고, 독도함같은 지휘모함 주고, 제공기도 주고 그러나요? 결국 타군물자 가져오거나, 국회에서 한정된 국방예산중 타군의 예산을 끌어오는 수 밖에 없어요. 오해하지 마세요.
      그리고 해병대에서 상륙작전 '만'을 목적으로 함정하고 항공기 끌어들이명 유병만 될 가능성이 높고, 통상적인 운용을 주목적으로 하면 기존방침대로 타군의 배속하는게 맞죠.

    • @Ciamamamaka
      @Ciamamamaka 2 года назад

      @@onae9456 신께서 감동을 하든 안하든
      독립을 하든 안하든 상관없이
      목적성에 맞게 허용되는 선에서 운용하면 되는데
      갑자기 왠 신 타령을 하시나요..?ㅋㅋㅋ
      타군에겐 불필요하고 해병대에게는 필수적인 물자라면 해병대로 물자를 가져오는건 당연한거죠
      서로 필요한 상황이라면 동등한 위치에서 유사시 어느쪽이 효율적이고 필요로 한지 기본적인 시스템을 갖추는게
      맞는건데 그게 안되는 상황에서 타군에서
      뭘 뺏고 말고 식의 말을 하시는지...
      예산 또한 지금도 국방부 예산에
      해병대의 예산이 포함돼서 운영이 되는데
      무슨 타군 예산을 끌어간다 하는지 모르겠네요
      물론 어느정도 손해보는 군도 있을거고
      국방부 전체 예산이 증액되는 부분도 있을겁니다
      하지만 군 마다 예산의 변동성은 항상 있었습니다
      나라에서 생각하는 군 계획에 따라
      조금 더 중요하고 필요로 생각하는 군이나
      사업일수록 예산 변동성은 있었던 일이구요
      끝에 적으신 말이 해병대 독립에 관한
      의견으로는 맞는 의견 같습니다
      실상 우리나라의 국방 규모로 해병대를
      완전 독립 시키기엔 부담이 큰게 사실입니다
      그러한 부담을 덜기 위해서는 유기적인 협조와
      독립을 필요로 하지 않을 상식적인 선에서의
      운영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게 문제죠
      지금처럼 해군에 속한 채로 해병대의 부대 목적성을
      살릴려면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목소리를 내고 정당한 요구가 가능한데
      상명하복의 군 특성상 애초에 그럴 수 없는 구조라
      매번 해병대 독립 얘기가 수면 위로 올라오는거 같네요
      이번 대선 후보들 또한 독립으로 인한
      4군 체재를 공약 했죠
      해군+공군이 없으면 어떤 훈련도 독자적으로 못할 정도로
      굉장히 열악합니다
      해군의 상식적인 예산 운영과 해병대만의 인사권을
      보장만 해줘도 명예 문제 아니면 굳이 독립을
      필요로 하지 않다고 보긴 합니다
      해병대가 최대규모로 운용되는 미국도
      해군에 해병대가 속해 있지만
      실상은 독립과 다름없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산, 인사권, 사업추진, 물자 선정 등등
      별도 의회를 거치지 않고서도 부대 운용이 가능할만큼
      자유롭죠
      유사시 단독으로도 상륙+항공 작전이 가능하면서도
      해군+공군과 함께 할때는 가장 우선적으로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기도 했구요
      물론 돈과 물자가 넘쳐나는 미국이기에 가능한 수준이긴한데
      최소한 훈련은 보장되는 지원은 받아야죠..
      그게 안되면 독립이 아니라 부대 해체를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해군이 국가전략기동부대로써 임무를 가진
      해병대를 그 역활에 맞게 기반을 만들고
      운영을 할 거 아니면 차라리 독립이 낫다고 봅니다

    • @onae9456
      @onae9456 2 года назад +3

      @@Ciamamamaka 해병대의 성격상 공격군의 역할이 강하고, 현재 한국의 종심이 극히 짧습니다. 또한 상륙은 성공할지 몰라도, 해상보급을 허용할정도로 약한 해군력을 가진 주변국은 드물다는 슬픈사실이 있죠. 마지막으로, 국방부와 대한민국 예산은 한정되어있습니가.
      12시간 동안 화려한 불꽃쇼를 개장할게 아니라면, 현행처럼 유사시 비수로만 놔두고, 다른전력부터 강화하거나 차라리 경제로 돌리는게 나이보이네요.

  • @삭제-f1m
    @삭제-f1m 2 года назад +2

    7분이 순식간에 사라지는 마술을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 @남홍종훈
    @남홍종훈 2 года назад +6

    별4개가생기는 그날까지
    해병대 해체는 군개편이 아닌
    정치적 문제였고 해병간부 부활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박지웅-t2j
    @박지웅-t2j 2 года назад +10

    항상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폴라리스-s5s
    @폴라리스-s5s 2 года назад +230

    저는 육군 예비역이지만 해병대 사령관을 끝으로 전역하시는 해병대장군님들 보면 이해가 안되었습니다 능력있으면 대장으로 진급시키고 참모총장 합참의장 국방장관까지 임명해야 정상적인 나라가 되는겁니다 우리나라 전투부대의 핵심해병대분들에게 제발 장비좀 최고의 장비로 무장시켰으면 좋겠습니다

    • @gugeol
      @gugeol 2 года назад +17

      해병출신은 아니지만 동감합니다 다만 친중친북파 매국노 정권이있는이상 불확실하네요

    • @Wstrader_
      @Wstrader_ 2 года назад +8

      @@gugeol 친일파 매국노 정권 시절에도 똑같았어요

    • @강승우-i1y
      @강승우-i1y 2 года назад +7

      안되면 될때까지!가장질긴해병!

    • @지성티비
      @지성티비 2 года назад +7

      차라리 4스타 만들어서 해병 참모총장 만들고 3스타 보직 갈아엎지 그리고 법을 다시 만들면 돼잖아

    • @bonzhang
      @bonzhang 2 года назад +16

      장비 문제 심각할 뿐 아니라 부식도 심각합니다. 타군 가 보면 확실히 비교됩니다. 특히 지난 국군의 날 행사에서 해병 수색대 초라하기 그지 없더군요.

  • @San-gr3vl
    @San-gr3vl 2 года назад +3

    6:00
    해병대 장성 자리를 줄일 필요가 있겠네요.

  • @jihea87
    @jihea87 2 года назад +4

    군대 교육영상으로 쓰여도 좋을 영상이네요ㅋㅋㅋㅋ

  • @1203taehyun
    @1203taehyun Год назад +2

    해병대 병 출신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해-n6r
    @해-n6r Месяц назад +1

    해병대에 관한 좋은 말씀 듣고
    구독... 누르고 갑니다. 필...씅!

  • @smiss-oe6de
    @smiss-oe6de 2 года назад +5

    앗싸참수리님께서 복무하실때동안 1,2,3함대,진해 포함해서 힘들다고 이야기 듣거나 빡세다했던 가면 안된다고 들었던 함정들 탑텐!! 궁금해요

  • @aviatormr-o5t
    @aviatormr-o5t Год назад +3

    댓글중에 4스타, 독립 얘기들 많은데 현실적으로 어려워요.. 대부분 육군 해군에 의존하고 있는 교육시스템, 그리고 해군본부 예하로 해군에게 도움받는게 실무적으로 정말 많음. 해병대사는 군령 군정 통합이므로 분리하려면 각군 본부처럼 참모부도 두고 별도 군령권을 행사해야하는 작전사도 만들어야하는데 총 병력 3만도 안되는데 이 모든게 과연? 불가능함.. 지휘부만 거대해지고...오히려 포기할건 포기하고 정말 소수정예 국가전략기동부대로서 육군과 특전사가 하기 제한되는 임무에 투입할 수 있도록 과감한 혁신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 @각자도생-v3s
    @각자도생-v3s 2 года назад +3

    제발 해병대 만큼은 병도 직업군으로 뽑아 36개월 복무로 바꿨음 좋겠다!! 24개월 영내병사 그 이상 영외병사로 구분해 미군처럼 과업이후 자유롭게 외출이 가능하게만 해도 좋을듯.. 물론 급여도 타군 부사관과 같은 대우로.. 18개월은 진짜 너무하잖아!!

  • @rykdb3640
    @rykdb3640 2 года назад +2

    해병장군 편제가 안맞는게 많네요
    작전참모처장,각 부사단장들은 대령이고, 해병보좌관은 준장입니다

  • @waterhyun
    @waterhyun 2 года назад +2

    6여단은 백령도뿐만 아니라 대청도 소청도까지 지키고 있습니다. 요약 짧게 하느라 누락된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ㅎㅎ

  • @ma_atdagu_yo9233
    @ma_atdagu_yo9233 2 года назад +4

    장교수대비 장군 비율이 높은 이유는 아마 장교 기본 보직율이 현저히 낮아서 그럴수 있습니다. 육해공군의 상황을 정확히 모르니 비교하는것은 아니고...제가 근무하던 2십몇년전(지금도 다를바는 없을듯) 당시 포병대대급 장교의 자리는 36명정도였으나 실제 보직장교는 15~6명에 불과하고 참모역활에 상사,원사분들이 대리보직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전방이라 휴가나 지원나가면 작전장교와 인사장교가 맞당직....에휴.

    • @웅씨-g6l
      @웅씨-g6l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6여단 소초생활했는데 소초장이 중사였네요

  • @marlne273
    @marlne273 2 года назад +2

    말씀 잘 들었습니다 다시 해병대 가고 싶어요 우리 중대장님 보러 가고 싶어요 특수 수색대 신원 배 대위

  • @인생관리관
    @인생관리관 2 года назад +2

    공군도 궁금한데, 공군은 참수리님처럼 해주시는 유튜버가 없네요.
    공군도 해주시면 안될까요?

  • @포페-d8w
    @포페-d8w 2 года назад +13

    합참의장 자리는 해병대 사령관을 포함한 경쟁직위로 만들어야 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육, 해, 공 그리고 해병대까지 포함하여 전시에 하나의 원팀으로 움직일수 있도록 작전을 구상하고 대응하는데 미해병대 같은경우 육, 해, 공을 아우르는 연합작전에 최고로 평가받습니다. 미해병대 사령관은 보병도 지휘하고 강습상륙함을 이용한 해군의 지원과 협조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하고 미해병대의 공중자산이 해병대 소속으로 되어있기 때문데 작전에 대해 육, 해, 공을 아루는 원팀으로 움직이며 이런 능력은 합참의장이 가져야 하는 능력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우리나라 장성분들도 훌륭하셔서 육균이라 하지만 해군자산에 대한 이해, 공중작전과 자산에대한 이해, 해군함정이 가질수 있는 능력등 두루 공부하고 능력이 인정받아 합참의장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공군 출신의 장성도 이런 능렴을 겸비하여 합찹의장이 될 수 있지요. 비록 해병대 사령관이 중장까지밖에 진급을 못하지만 군 복무기록도 4성장군과 동일하고 전투기는 없지만 해병대 항공대도 창설이 되어서 우리나라 해병대 사령관도 육해공을 아우르는 지휘경험을 앞으로 쌓아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 합참의장이라는 보직을 함에 전혀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 @쑤니와또리
      @쑤니와또리 2 года назад

      그쵸 해군이 해병대한테도 보직을 개방했음 좋겠네요ㅠㅠ 유럽국가들은 보통 해병대장군이 해군내 모든 조직에 부임할 수 있고 대만도 몇 년전에 해병대사령관이 해군참모총장이 됐다고 하더군요
      또한 해병대 역시 님말대로 합참의장 될 자격이 있다고 봅니다~!

    • @Wstrader_
      @Wstrader_ 2 года назад +2

      @@쑤니와또리 미해병하고 비교하지는 말자,, 차이가 너무 많이 난다

    • @박지훈-c9g
      @박지훈-c9g Год назад +2

      미해병대는 타군의 지원 없이 단독 작전이 가능한 규모와 화력이 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단독 작전도 못하며 애초에 해군 예하 부대인데.... ㅋㅋㅋ

  • @gkgkgk7954
    @gkgkgk7954 Год назад +2

    해병대원들 해군용사들 친구처럼 잘 대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해군은 해병대의 모태 군대라 생각합니다 타군이 아니라 서로 사랑하는 군대입니다 해군, 해병대, 화이팅!

  • @9전10승-m6p
    @9전10승-m6p Год назад +29

    해병대 7대 사령관 강기천. 8대 사령관 정광호. 9대 사령관 이병문. 이 세분들은 모두 4성장군 대장들이었습니다.

  • @이상훈-u1x
    @이상훈-u1x 2 года назад +2

    집안에 유낙준 사령관이 계셔서 연평도때 이야기 많이 들었는데 알고있던것 보다 더 대단한 분이셨네요

  • @트럴링
    @트럴링 2 года назад +7

    사령부 근무 하면서 느꼈는데 이승도 사령관은 참 군인이더라 ㅋㅋㅋ 회의하면서 각 사단장들한테 호통치는거 보고 놀랐음..

  • @치현정-y1l
    @치현정-y1l 2 года назад +22

    삼부자가 해군,해병대였네요..(사진은 해군 제 2함대 사령관 시절 집무실에서)
    저희 부친은 해군 제독이셨지만, 해병대 장군분들과 유난히 친하고 저에게 적극 추천하여, 포항 해병으로 IBS대대에서 00년에 전역하였네요.(해병대 순검이 없어졌다는 소리에 깜놀함)
    해군,해병대 화이팅~!

    • @김재박-l7o
      @김재박-l7o 2 года назад +1

      순검이 없어졌으면 군생활 무서움의 반이 사라졌구만요.
      훈련보다 싫은 순검 ㅠ

    • @jaeho971
      @jaeho971 2 года назад +1

      필승! 부하를 사랑으로 자식같이생각하며 필승함대를 지휘하신 정병칠 2함대사령관님 존경합니다.

    • @Wstrader_
      @Wstrader_ 2 года назад

      @@김재박-l7o 쓸데없는거는 많이 없애고 있겠죠

    • @비트마스터-b4r
      @비트마스터-b4r Год назад

      정병칠 제독님은 해군에서
      존경받는 참 군인이셨습니다.
      자랑스러운 아버님이십니다.

  • @FF-er2wc
    @FF-er2wc 2 года назад +5

    해군본부에 해병보좌관은 원스타이고 전비태세검열단장이 2스타입니다.

  • @winnerLEE-s8s
    @winnerLEE-s8s 2 года назад +2

    우리도 미국처럼 특수전사령부를 만들어 해병대와 특전사 udt 등 존재하는 모든 특수전 부태를 총괄하는 체계로 가면 어떨까 생각한다.
    물론 사령관은 4스타로

    • @LA산다
      @LA산다 Месяц назад

      707이 하고 있잖아요...

  • @rokmc8104
    @rokmc8104 2 года назад +26

    73년이전 해병학교도 있었고 4성장군도 있었고 김성은 국방부장관도 계셨습니다.

    • @김용선-g4g
      @김용선-g4g 2 года назад +1

      해병대 사령관 해병대장 이병문님 사단장 해병 소장 김연상님 김포해병5여단장해병준장 정태석님

  • @청연-k8e
    @청연-k8e Месяц назад

    그래서 비리가 많은 이유.
    최상병의 명복을 기원합니다.
    가족분들 힘내세요

  • @San-gr3vl
    @San-gr3vl 2 года назад +4

    앞으로 징집장병 수가 빠르게 줄테니
    해병대는 가뜩이나 소수인데 더 소수가 되겠군요

    • @jadethai
      @jadethai 2 года назад

      해병대는 애초에 징집병이 아닌 지원병입니다

    • @San-gr3vl
      @San-gr3vl 2 года назад

      @@jadethai 어떤 말씀인지는 알겠는데 제가 말한 개념은 지원 비지원이 아니라 모병제와 징병제의 차원에서의 징집병을 말한 것 입니다.

    • @LA산다
      @LA산다 Месяц назад

      ​@@jadethaiㅋㅋ 지금 그걸 말하는게 아니고 군대 가는 인원이 계속 줄어들잖아요.

  • @전병화-p1e
    @전병화-p1e Год назад +1

    방송 잘 들었습니다.

  • @piepie9489
    @piepie9489 2 года назад

    07:02 “ 주변국들과 해상 영토분쟁을 겪고 있는 나라기에” 서해5도는 물론 독도는 대한민국 영토로써 영토분쟁은 있을수도 없기에 “영토분쟁을 겪고 있는 나라기에”란 설명은 북한과 일본의 의도인 영토 분쟁 지역, 나라 라는 “영토 분쟁화”의 아주 잘못된 인식이 되기에 정정을 바랍니다

  • @홍길동-u8s8d
    @홍길동-u8s8d 2 месяца назад

    해병대를 4군으로 독립시키지 않고 해군에 두려면 해군총장을 시켜도 될것같아요 육군 특전사 정도의 대우 같음 그것도 방법이겠죠

  • @진후로링
    @진후로링 2 года назад +2

    대한민국 국군화이팅 해병 947

  • @다섯바퀴-h5l
    @다섯바퀴-h5l 2 года назад +1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30여년전엔 각 부대 전역자들은 전역3일전 사단에 집결해서 마지막으로 교육받고
    사단 군악대의 군악도열속에 사단장이 반드시 참석하여 한명한명 악수와 포옹, 경례를 했었다.
    해병대로서 끈끈함이 없을래야 없을 수 없도록 마지막까지 대우해준다.
    사령관이 벌떡 일어서서 경례하고 사단장이 위병소 앞까지 나와서 도열하는 경우도 있는데
    해병전우회장과 호부기수(1~9기) 선임들이 부대방문 할때였다.

  • @inflameskim
    @inflameskim 2 года назад +40

    부마항쟁때 특전공수는 시위대 때려패기 바빴는데 박구일 대령이 지휘하는 해병대는 "국민이 돌을 던지면 맞아라"는 비폭력진압에 시위대가 포기했다는 일화가 생각납니다. 그 정신 이어받아 국민에 충성하는 멋진 군대가 되길.

  • @주호회
    @주호회 2 года назад +4

    이승도장군
    해병대의정신을국민들에게확실하게나타냈음

  • @Captain_kim
    @Captain_kim 2 года назад +3

    혹시 내 댓글에 그 표식이 있니?

    • @지성티비
      @지성티비 2 года назад +1

      와우 귀하신 곳에 귀하신 분이…

  • @도리도리-f4w
    @도리도리-f4w Месяц назад

    훈단시절 교훈단장이 준장(진)이라 대령으로 몇번 봤었고, IBS하면서 사단장 한번봄. 사실상 그날 투스타 한번 본거 말곤 스타 본적 없음. 제일 높은분이 해봤자 대령인 연대장 정도?

  • @chu1160
    @chu1160 2 года назад +2

    해병대가 해군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해서는 해병대가 군함을 독자적으로 운용 가능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현상태로는 불가능하죠.

    • @straightflusher
      @straightflusher 2 года назад +2

      미해병대도 군함은 독자적으로 운용 안합니다.

    • @chu1160
      @chu1160 2 года назад +2

      @@straightflusher 미해병도 마찬가지 입니다. 의전서열에서도 미해병 사령관은 4성이지만 의전서열에서도 밀리고 유사시 육해공 참모총장은 원수로 진급 가능하지만 사령관은 4성 장군에 머뭅니다. 해군부 소속으로 미합중국 해군과 독자적인 군대이긴하지만 독자적인 사관학교가 없고 해군사관학교에서 해병이 배출되고 있죠.
      해병대의 완전한 독립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임무특성을 반영한 군함을 별도로 해병대가 운용해야 해군으로부터의 종속군대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습니다. 사실상 해병대가 군함없이 상륙작전 할 수 있나요? 불가능 합니다. 대한민국 해병 사령관은 3성 장군에서 최고의 자리지만 4성장군 자리로는 갈 자리가 없습니다. 진급의 길을 열어뒀다는건 좋지만 사실상 갈 자리가 없습니다. 3성 해병사령관이 참모총장아니면 어디로 가야하나요? 4성으로 가려면 해병대 자체를 온전히 독립해야 합니다.

    • @chu1160
      @chu1160 2 года назад

      @@frisebichon1519 특수임무에 한정해서 할수도있다고 생각합니다. 육군은 그럼 어떻게 헬기를 운용하겠습니까. 모든것은 생각의 차이입니다.
      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은 현재 해병대의 사령관이 3성인 이유쯤은 될 수 있겠네요. 제 본문 댓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래서 현재 상태에서는 어렵다는 걸 말씀드린겁니다. 저도 입니다. 이러한 내용이 현실화 되기가 어렵단걸요. 사실상 안된다고해도 무방하죠. 하지만 그 어려운걸 해냈을때, 해군의 지배력에서 벗어나고 속하지 않는 온전한 독립이 가능하다는걸 말씀드린거고요.

    • @chu1160
      @chu1160 2 года назад

      @@frisebichon1519 아니..제가 말씀드리는건..그걸 몰라서 말씀드립니까? 육군도 헬기를 운용하는판에 해병대라고 배운전 못합니까? 항공전대도 특수임무에 한정해서 헬기를 운용하듯이 해병대도 그렇게 하면 된다는게 제 개인적인 생각임을 말씀드린겁니다..해병대도 해병상륙함대를 창설하면 되겠네요.

    • @chu1160
      @chu1160 2 года назад

      @@frisebichon1519 이거 웃기는분이네 ㅋㅋ 해병대가 독립하기 위해서는 특수 임무에 맞는 독자적인 군함을 운용해야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렵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본문 댓글만 봐도 아실텐데요. 저도 제 생각을 말했고 제 생각이 비현실적임을 인지합니다. 그런데도 제가 뭘 우겼다는거죠? 그냥 생각이
      다를뿐입니다.

  • @TV-st7yq
    @TV-st7yq 2 года назад

    잘봤습니다.$21년전 입대가 엊그제같네요. 시간참빠릅니다.

  • @정재성-c1l
    @정재성-c1l 2 года назад

    다만 해병대사령관도 어디까지나 지휘관으로써 특정군소속보직으로써의 범위이니 만큼 그런 범위에서 최고대우는 그렇다 치더라도 그범위가 아닌 각군소속범위를 벋어나고 일선지휘관역할이 아닌 합참의 중장보직들보다 높아야 한다고 생각치는 않습니다. 일단 각군소속을 벋어난 합참소속의 중앙들은 각군소속중장들보다는 경륜이 높은 2차보직이상의 업무들인데다가 해병대사령관은 3성장군중 제일서열자로 하다보니 사령관직을 마치고는 중장상태에서 계속 복무하려고 해도 맡을 자리가 없게 됩니다. 만일 합참의 전략기획본부장등의 중장보직을 중장들중에서 가장 높은 급으로 정한다면 해병대사령관직을 마치고 중장상태에서 그런 자리로 갈수가 있기에 그런자리로 간후 대장진급을 준비할 시간을 마련할수 있습니다.
    그다음에 대장진급을 시키려고 해도 해병대사령관을 마친장성이 해군참모총장이 될수도 없는 노릇이죠. 함참의장은 분명 각군참모총장을 거치고 올라가야 할 자리이기에 해병대에서 대장이 나온다고 해도 합참의장이 될수가 없습니다. 한미연합사령관역시도 만만치 않고요.
    방법을 찾고 보직체제개편을 한다면 딱 한가지 방법이 있는데 과거 육군의 3개야전군을 육해공통틀어서 크게 광역적으로 통합해서 3개군구로 하여 야전군을 광역군구의 통합군지휘체제로 개편하여 야전군사령관 대장을 육해공어느장성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있습니다. 지금 3개야전군을 두개로 통폐합했지만 다시 3개로 하되 육해공을 총 망라한 개념으로 하여 그 보직 역시 각군소속차원을 넘어선 개념으로 한다면 해병대사령관의 대장진급후 보직기회가 생길수 있습니다.
    3개야전군사령관 3자리와 부사령관 중장3자리 그리고 합참의 중장보직등 각군소속을 떠난 형태의 중장보직과 대장3자리가 생기면 해병대사령관 퇴임후 자리기회가 충분해지죠.
    결론적으로 해결방안은 각군소속차원을 떠난 중장급이상 보직이 늘어나야 기회가 존재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user-ir8vm1bc4r
    @user-ir8vm1bc4r 2 года назад +1

    5:05 부사단장은 대령으로 알고있는데… 1사단 복무할때, 행정부사단장, 작전부사단장 2명 대령이였습니다!

  • @딜라이트-m1r
    @딜라이트-m1r 2 года назад +38

    해병대 나온게 오랜만에 자랑스럽네요
    전역후 소식이 들릴때면 사건사고가 많이 씁쓸했는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사실 현역으로 근무하던시절 각종 악폐습과 부조리등으로 안좋안던점들이 분명있었지만
    확실히 훈련강도와 훈련시 집중력 성취력등을 봤을때(타군과 연합 작전 및 훈련등등) 전쟁이 난다면 해병대는 1인분할수있을것같다는 믿음은 있었습니다.
    해병대 파이팅입니다!ㅎ

    • @Snbddbs
      @Snbddbs Год назад

      ​@@春畑道哉-v2u지금도 해군예하임요

    • @Snbddbs
      @Snbddbs Год назад

      @@春畑道哉-v2u 뭔 헛소리임 해군예하 해병대라는건데 부들부들대나

  • @마루치-o3l
    @마루치-o3l 2 года назад

    잘 들었습니다~^^ 👍👍👍👍

  • @김태경-x4c
    @김태경-x4c 2 года назад

    작은아버지가 육군 3스타인대 사령부 작전 머리고 하셔는대 거긴 1스타는 소위 취급이라고 하더라고요 대령 중령 소령은 일반 병사 취급이고요

  • @엑스칼리스마
    @엑스칼리스마 2 месяца назад

    해병대 끝이 중장 3스타라해도
    해군 대장보다 해병대 중장 다는게 더힘듬..
    해군 to 다주고 남는 진급 해병 주는거라

  • @jkyunhee6196
    @jkyunhee6196 2 года назад +1

    해병대가 독립되야 한다는거 자체가 굉장히 감성적이고 뭘모르는 소리입니다 이유야 너무 많지만 해병대에 예산은 좀 더 갔음 좋겠네요

  • @XX-rn8uc
    @XX-rn8uc 2 года назад +3

    따흐흑...!

  • @simonjeyou
    @simonjeyou 2 года назад +17

    해병대는 해군 예하 상륙부대이기때문에 해군 산하이기때문에 해군참모총장인 4성 대장과 동격이 아닌 3성중장인겁니다. 특수전사령관이 3성 중장인것도 마찬가지입니다. 해병대를 해군산하부대가 아닌 사실상 독립군종이라 말씀하시지만 대한민국 해병대는 미해병대와 달리 독립 작전이 불가능합니다. 해군의 작전계획을 따라 해군 상륙함정을타고 상륙작전을하는게 해병대입니다

    • @아미타이거-l8e
      @아미타이거-l8e 2 года назад

      상륙함 없이 공정대대나 ibs로 기습상륙은 해군없이 쌉가능

    • @JeongDoJeon1392
      @JeongDoJeon1392 2 года назад

      미 해병대는 독립군이긴 하지만 배를 빌리긴 하죠 상륙작전때는

    • @rokmc8104
      @rokmc8104 2 года назад

      국방부가 **같은것

    • @포페-d8w
      @포페-d8w 2 года назад +3

      미해병대의 인원과 장비는 넘사벽 수준이라 4성장군이 사령관을 한다는것이 당연하겠지만 미해병대 사령관이 대장이라해서 역시 대장이 지휘하는 미해군에서 자유롭지 못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미 해병대도 미 해군의 협조가 있어야 작전이 원활히 돌아가고 미국은 해군장관이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워낙 사이즈가 큰 미군이다보니 육군 장관도 있다고 하더라고요. 이 해군장관이 미해군과 미해병대를 관장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미해병대 장관이 없는이상 미해병대도 미해군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 @포페-d8w
      @포페-d8w 2 года назад

      @@frisebichon1519 역시 지구방위대네요. ^ ^

  • @최재혁-e2w
    @최재혁-e2w 2 года назад +2

    정말 궁금한게있는데요 제가 3월28일 해군 이발병으로 지원을합니다 평소에 헬스를 좋아하는데 군대에가서도 할수있을까 걱정입니다 육지와 배에 헬스장이 있는지 궁금하고 배는 어느정도 타게 될까요

  • @johnpark2142
    @johnpark2142 Год назад +2

    해병대장성은 학사출신인가요?
    사관학교가 없는데 어느출신이 장성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학사출신은 어디까지 진급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yuullee4540
      @yuullee4540 Год назад

      해사에서 졸업할때 해군 해병대로 갑니다. 정확히 소속은 해군안에 있어요

    • @simonjeyou
      @simonjeyou Месяц назад

      현재는 해사에서 상륙 병과로 졸업하면 해병대를 가고 예전에는 해사에서 성적이 가장 안좋은 생도들이 가는데가 해병대라고 합니다

  • @c1soju78
    @c1soju78 2 года назад +1

    육군 전역했는데 스타 얘기를 보며 회상하는게..
    간부 포함 총원 35명을 넘지 않았던 레이다기지 복무했을 때 봤던 별의 개수가 30개 정도 되었는데 남들도 다 그런줄 알고 전역했더니 말을 해도 뻥인줄 알 정도더군요 ㅎㅎㅎ
    (육군참모총장(★★★★) 김동신님 방문, 2군사령관(★★★★)님 방문, 시범식때는 헬기가 2대, 번호판에 별 붙은 고급 세단이 여러대 등.
    꼴랑 별2개(?) 사단장님은 예고 없이 내무반에 불쑥 들어오셔서 "얘들아 나 화장실좀 쓸게." 하셨을 정도였죠 ㅎㅎ 이건 너무 충격적이라 아직까지 생생하네요.

  • @빨간명찰-n6z
    @빨간명찰-n6z 23 дня назад

    썸네일에 신원배장군이시네요 제가 군생활할때 사단장이셨는죠 짜빈동전투의 살아있는 신화였는데 지금도 살아계신지 궁금하네요

  • @김덕필-k4h
    @김덕필-k4h Год назад +2

    해병사령관 임기 6개월 남겨두고 , 느닷없이 새로운 사령관으로 교체된거아님 ?????

  • @박상현-d2s
    @박상현-d2s 2 года назад +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breaktime4501
    @breaktime4501 2 года назад

    염색하셨네요 ㅎㅎ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2 месяца назад

    내가아는거랑 반대네요. 2000년 전후 기억안나는데
    이때 해군이랑 합쳐져서 해병대 사령관이 해군밑이라 사령관이 3스타까지만되고 인사권이든 뭐든
    해군의 사령관에게 있다는거로 들었는데 아닌가보군요 아니면 다시바뀐거든가

  • @yunsangjo704
    @yunsangjo704 2 года назад

    좋은 내용 유익하게 잘 보고갑니다. 해군과 함께, 나가자 해병대! 필승! 병917기

  • @wlcjfgh121
    @wlcjfgh121 2 года назад +1

    풍수지리 변경 쌉가능!!

  • @gisado486
    @gisado486 Год назад +1

    솔찍히 해병대에서 4스타가 나올 수 있는 경우는 전쟁발발시 특진이나 순국시 뿐이라고 봄

  • @국가유공자-z9i
    @국가유공자-z9i 2 года назад +55

    나는 해병대 나오지는 않았지만 해병대 인정한다. 군대 안갈려고 별 쇼를 다 하는데 지원을 해서 가는 사람들이다. 물론 오도해병인가 해서 해병대 나온 사람들도 싫어 하지만 그래도 고생하는 사람들이다. 인정해주자

    • @onae9456
      @onae9456 2 года назад +1

      해병대도 징병기수 존재함....;;

    • @onae9456
      @onae9456 2 года назад

      지금은 폐지됫나 부활햇나 모르겠는데, 모든 해병대 인원들이 자원은 아님.

    • @jety-rl6hl
      @jety-rl6hl Год назад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이종호-x5u1y
      @이종호-x5u1y Месяц назад

      해군 공군도 지원이다
      설치지 않을뿐이다

  • @백반한끼해라
    @백반한끼해라 2 года назад

    필승 이승도 사령관님 저는 아직도 그말을 잊지못합니다 주적을 왜 주적이라 못부르는가.

  • @계정-g6n
    @계정-g6n 2 года назад +2

    해병대 높게 평가하나 다만
    군 관사 배정에 있어서는
    영관장교, 위관장교, 부사관
    동을 구분짓는게 아니라
    복무년수, 자녀수 등 가점으로 동이나 평형을 배정했으면 좋겠습니다.
    남편 계급따라 배우자들끼리도 나뉘는거보고 아직 멀었구나 생각했어요.
    혹시라도 관계자분께서 보신다면 적어도 군 가족만큼은 그런 눈치보지 않는 환경을 만들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김길성-k1o
    @김길성-k1o Месяц назад

    내가 해병대 군시절은 사령관 모두 대장이였네요ㆍ68년부터 ᆢ71년 제대까지 강기천 이병문

  • @bs7236
    @bs7236 2 года назад +3

    실질적 섬나라인 우리나라는 해병대 전력 더 키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seungwoonchoi7373
    @seungwoonchoi7373 2 года назад

    각 사단 부사단장이 1스타 맞나요? 09-10년 때 대령이었던걸로 기억하는데 ... 해군본부 해병보좌관, 계룡대 근무지원단장이 1스타로 알고있는데

  • @marine4272
    @marine4272 2 года назад +29

    2000년도 초중반에 비해 장군숫자가 많이 늘어났네요. 당시에는 10명내외였는데.
    통상 9명 전후였던걸로 기억합니다.
    특히 준장자리가 많이 늘어났군요.
    당시 해병대 부사령관, 해병보좌관, 훈련단장, 6여단, 제방사(9여단), 계룡대 근지단장이 준장이었고,
    작전참모처장, 전략기획실장, 각 사단 부사단장은 대령이었는데 한계급씩 올라갔네요.
    서방사 참모장은 새로 생겼고

  • @차좀빼주시죠
    @차좀빼주시죠 2 года назад

    재밌게 잘봤어용^^

  • @jejumikkang
    @jejumikkang 2 года назад +1

    2사단 김포에서 군생활했는데
    사령관님은 커녕 별을 본적이 없어요ㅋㅋ
    연대장님(대령) 끝!
    입대할땐
    필~~승!근무중 이상없음.
    (사령관님 존함이 이상무)
    중간에 바껴서
    필~~승!근무중 이상무.
    (사령관님 전도봉)

  • @박사-c7u
    @박사-c7u 2 года назад +2

    계룡대근무지원단장 보직은 없어졌나요 거기도 해병대 준장이었는데

    • @dspp1165
      @dspp1165 2 года назад

      군무원으로 바뀌었습니다

    • @DK-gg8wx
      @DK-gg8wx 2 года назад

      @@frisebichon1519 9여단장은 원래도 제주방어사령관 시절도 해병준장 자리였으니 제방사령관 자리가 계승된거로 봐야 될 것 같습니다~

    • @배원호-q5g
      @배원호-q5g 2 года назад

      근무지원단장은 군무원으로 바꼈습니다 2급 군무원이요!

  • @이정근-v6k
    @이정근-v6k 3 месяца назад

    Good !😊

  • @Kdy304_young
    @Kdy304_young Год назад

    해병대도 따로 독립된 부대로 인정해야되야한다
    해병대 진급이나 지휘 계통을 왜 해군에서 관리해야하나

  • @김정은-x9p5i
    @김정은-x9p5i 2 года назад +2

    육군 특전여단 마냥 간부로만 구성된 해병여단 창설도 해야 좋다 지금은 병위주 부대라서 전문성이 떨어진다 하는데 간부화 사단하나 만들면 진짜 정예부대된다 레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