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 필요한 난임부부 7만 쌍에 기증은 6명…해법은? [9시 뉴스] / KBS 2024.10.16.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난임 문제 해결도 저출생 극복에 매우 중요한데, 관련 제도는 아직 미비합니다.특히 남성 난임 환자도 늘고 있는 추세인데, 우리나라 정자은행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문제가 뭔지, 이도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대학교 병원이 28년째 운영하고 있는 정자은행입니다.
정자를 기증받아야 아이를 가질 수 있는 남성 난임 환자들을 위해 정자를 냉동 보관하고 있습니다.
기증하려면 까다로운 검진을 통과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다양한 정자가 보관되어야 하는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난임부부 중 남편과 가장 유사한 형질의 정자를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박현준/부산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 "예금을 많이 받아놔야 은행 자산이 크고 대출을 많이 해줄 수 있는 것처럼 정자은행에서도 다양한, 예를 들면 키가 180cm인 사람, 170cm인 사람, 160cm인 사람…."]
하지만, 이 병원의 올해 기증자 수는 단 6명.
보관되어 있는 정자도 106개에 불과합니다.
[2016년 기증자/음성변조 : "어쨌든 사회의 한 부분에서 고통받고 힘들어하는 그런 사람들에게(난임부부에게) 도움을 줬다. 거기서 보람을 느끼는 거고. 앞으로도 그런 기회가 있으면 많은 사람들이 했으면…."]
2022년 기준 국내 남성 난임환자는 11만여 명, 이중 정자를 기증받아야 아이를 가질 수 있는 환자가 80%에 가깝지만, 실제 기증받은 정자를 통한 시술은 한해 660여 건에 불과합니다.
더 큰 문제는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 정자를 기증하더라도 통합해 관리하는 체계가 없다는 겁니다.
생명윤리법에는 정자 기증 규정이 아예 없고, 복지부와 의사협회나 산부인과협회는 지침과 조건을 각기 다르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박민정/한국공공정자은행연구원 연구교수 : "누가 어떤 정자를 기증했는지, 그 정자로 어떤 아이가 태어났는지를 추적하기 어렵습니다. 근친혼이나 유전적인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제대로 된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게 급선무입니다."]
OECD 회원국 가운데 공공정자은행 시스템이 없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합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영상편집:김철/그래픽:여현수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난임부부 #정자은행 #저출생
저기요? 홈피봐도 모집한다는 공문도 없는데 말해야 알지 않을까요?
난 난임으로 고생했었는데, 아이가 없던 긴 시절에도 굳이 남의 정자 공여받아서 출산하고 싶은 생각은 없었음. 근데, 그때, 난임부부들 모임에서도 다들 비슷한 의견이었음.. 한국은 아직 혈연주의가 강해서 사회적 요구나 필요성 인색 자체가 별로 없을 듯.
정자기증이 수요가 생각보다 많나보네
앵커분 남편이 정자 기증하면 찬성하시겠어요
그놈의 감성 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고싶다.근데다 도시에있어
누가 할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