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는 우리 모두 농부가 된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는 시대, 농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많은 분들이 미세먼지, 산성비, 사막화 등과 같은 환경오염, 자연 재해로,
    특히 한국 사회의 급격한 농촌 고령화로 농업의 미래를 어둡게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한 솔루션을 기술과 아이디어로 제안하며
    미래에는 모두가 농부가 되는 세상을 만들겠다는 한 창업자를 만나보았습니다.
    엔씽의 김혜연 대표는
    집에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스마트 화분, 스마트 큐브부터
    컨테이너 안에서 농사 환경을 컨트롤할 수 있는 스마트 스퀘어까지 이르는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
    모두가 맛있고 안전한 먹거리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에서 나아가
    자신에게 맞는 농산물을 재배하고
    화성에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세상까지 상상하며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이 영상은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함께 만들었습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 @eo_korea
    @eo_korea  4 года назад +2

    👇🏻영상의 주인공인 엔씽 김혜연 대표님의 이야기를 아티클로도 만나보세요.
    eoeoeo.net/nthing201901

  • @Communist_Spy
    @Communist_Spy 6 лет назад +40

    사업이나 비즈니스를 넘어 인류를 위한 위대한 연구를하시는 것 같습니다. 존경합니다!

    • @ukfjskfjfrr-jdkkssc3432
      @ukfjskfjfrr-jdkkssc3432 5 лет назад +3

      앞으로 나아갈 정치, 경제 방향이랑 맞물려서 성장하게 될 산업임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 @김기환-x2j
    @김기환-x2j 5 лет назад +15

    스마트팜 기술요소 차별화가 솔직히 별로 없는것 같아요.. 센서에 의해서 물공급해주고 PH관리하고 작물 따라서 성장하는 LED 파장 다르게 해주고.. 이미 기존 업체들도 많이 하고 있어서.. 가정은 대기업이 이미 출시 했고.. 스마트팜 기술에 집중 할것이 아니라 스마트 팜 기술로 생산 가치에 집중 해야 시장이 커질것 같습니다......

  • @dinggu10
    @dinggu10 5 лет назад +6

    요즘 영상들 보면서 규제를 담당 하는 공무원?? 들이 기술의 발전을 못 따라온다고 느껴지는게 많네요

  • @ukfjskfjfrr-jdkkssc3432
    @ukfjskfjfrr-jdkkssc3432 5 лет назад +4

    자본가들의 욕심도 채워줄 수 있고 소비자들의 니즈도 제품에 효율적으로 반영될 것 같습니다. 비지니스를 하는 사람 또한 이 사업으로 인해 많을 수익을 거두어 들일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요.
    그런 이유로 정치, 경제, 법률적인 합의도 매우 완만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다만, 궁금한건 스마트팜에 벌레가 없다는 것이 의아하네요. 미생물은 식물이 자라기 위한 필수 요소일텐데, 미생물이 생겨나면 자연스레 벌레도 생겨나기 마련이죠. 하지만 영상을 너무 깨끗해서 의심쩍은 부분이 있네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 @kwangnam5372
    @kwangnam5372 6 лет назад +17

    화분 1개에 iot 붙혀서 10만원 가까워서 회사가 오래 못 갈줄 알았는데, 투자를 받았나 봐요. 공산품이던, 농산품이던 시장에서 성과로 승부를 봐야하는데, 5년이 넘도록 성공시킨 제품하나 없다면, ceo의 전략적 역량이 많이 아쉽군요. 직접 대규모 농장을 운영해서 생산 유통을 하겠단건지, 아니면 가정에서 직접재배할수 있는 기기 판매하겠다는거 같은데, 그게 쉽지는 않을거 같은데요.

    • @이응석-h3n
      @이응석-h3n 6 лет назад +2

      직접대량생산 스마트공장으로 사업을 진행하며 투자를 받았을것이고, 가정용 재배기기 개발에 착수하여 다음투자를 노리는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지적이 깊이가 있으시네요

  • @senzaw
    @senzaw 6 лет назад +27

    도심에 버려진 창고에서 스마트팜을 생각중입니다. 한번 뵙고 얘기 나누고 싶네요~

    • @kimclara9564
      @kimclara9564 5 лет назад

      저도 식물재배기 관심있는데 견학가능 한지요?
      식물재배기 유통하고 싶습니다

    • @알로엥-k8h
      @알로엥-k8h 3 года назад

      건축비 100평에 4억이라던데 맞나요?

  • @sc0tty319
    @sc0tty319 6 лет назад +3

    꾸밈없고 솔직하셔서 좋습니다 흥하세요

  • @happysaea
    @happysaea 6 лет назад +6

    진짜 멋진 분이다.

  • @공샘사이트
    @공샘사이트 5 лет назад +3

    모두가 농부가 된다
    공감합니다.

  • @worldisnow3236
    @worldisnow3236 5 лет назад +5

    1. LED로 키우는 작물과 태양에너지로 키우는 작물의 발육후 작물의 효능이 동일한지 궁금합니다.
    2. 작물의 발육속도가 사업성이 있는 부분인지 궁금합니다.
    3. LED니까 전기사용량이 어느정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화창한 날이라면 컨테이너 상단을 개폐하는 시스템이 있어서 자연빛으로 키우고 날이 좋지 않는 경우 닫는 시스템은 어떨지
    (중간은 유리막으로 외부 병충해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고요

    • @파프리카-y9l
      @파프리카-y9l 3 года назад +1

      그러면 컨테이너 내부온도가 올라가서 냉방비용이 더 들어갑니다. 그렇다고 환기창을 만들면 기존의 장점이 사라지는것이죠 그래서 현재의 온실형태와 컨테이너의 장점들을모은 반폐쇠 형태의 온실이 현실적으로 상용화가 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컨테이너로는 분명 모든 채소작물을 키우기에는 현재의 과학기술로는 한계점이 분명합니다. 태양이 주는 복사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있습니다. 새로운 형태의 태양광발전이 되면 밀폐형온실도 굉장히 좋게 보고있습니다.

  • @김성훈-w1j8c
    @김성훈-w1j8c 6 лет назад +7

    여름에 외부기온에 의해 컨테이너 관리가 힘들텐데 이 부분도 궁금하군요

    • @이응석-h3n
      @이응석-h3n 6 лет назад

      김성훈 탁월한 질문입니다. 저도 그분분이 궁금하네요

    • @박은성-r9y
      @박은성-r9y 4 года назад

      온도조절장치 을 설치하지않을까요?

  • @이원숭-t3j
    @이원숭-t3j 6 лет назад +4

    영상을 보다가 궁금한게 생겼는데 해외에 가셔서 토마토에 관한 정보를 얻으셔서 문제점을 깨달으셨다고 했는데 키우시는 작물은 상추 같은 채소밖에 없나요??

  • @SK-xf7wg
    @SK-xf7wg 5 лет назад +6

    미국 서부 특히 LA지역쪽에는 보통 가구들이 아파트/빌라보다는 단독주택이 많아서 개인이 스마트파밍하는게 나쁘지 않은 그림이지만, 국내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파트 거주형태이고 1인가구가 늘어나는 트렌드인데 시장적인 측면에서 국내에서는 쉽지않을거라 생각이듭니다. 어떻게 생각하는지 듣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SK-xf7wg
    @SK-xf7wg 5 лет назад +2

    멋지십니다!!

  • @user-hk6hh5ui8t
    @user-hk6hh5ui8t 5 лет назад +1

    작물에서 나는 향이나 그런 것들이 대항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셨는데, 그런것들이 있어야 채소로써 향이나고 몸에 좋고 그런거 아닌가요?? 그 향을 일부러 없애시는 건가요.? ..

  • @linzynsogong
    @linzynsogong 6 лет назад +6

    태용님 유튜브 하시네요..! 저 페북에서 보고 팬이에요🤭🤭🤭 맙소사 실내 재배는 제가 어렸을 때 상상해보던 것 중에 하나인데 이렇게 실현하는 분들이 계시다니 멋지네요.
    1:50 그리구 웃겨여ㅋㅋㅋㅋ

  • @asobbiiandhealth
    @asobbiiandhealth 5 лет назад +9

    생태계 순환이 중요할텐데,,, 뭔가 인공적인 환경에서 조건을 다 갖추어서 식물을 기른다고해서 환경의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sanyoun4328
      @sanyoun4328 4 года назад +1

      근본적인 대책은
      퍼머컬처가 되어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 @helloworldj316
    @helloworldj316 5 лет назад +8

    GMO꺼 쓰는지 궁금하네요
    저렇게 집안에서 키우면 켐트레일 영향 조금만 받아서 좋을듯?

  • @일단하자사용x
    @일단하자사용x 6 лет назад +3

    오오 진짜 신기하네요ㅋㅋㅋ

  • @sanmaro91
    @sanmaro91 5 лет назад +2

    집에서 콩나물키우는걸 다품종화 한면될듯 복잡하게 생각 안하고

  • @ritz1416
    @ritz1416 4 года назад

    농업에 대한 깊은 고민이 보이는 영상이네요

  • @user-jt7xs4de7o
    @user-jt7xs4de7o 2 года назад

    전기는 싼가유

  • @DavidKim-9
    @DavidKim-9 3 года назад

    농산물 소비자 입장에서 한마디 한다면 전량 국산에서 생산되지 않아야 가격이 싸짐.
    우리나라에서 나는 것 치고 비싸지 않은 것이 없음.
    삼성전자 제품을 구매할 때 한국산이라 상대적으로 싸게 사는 측면이 있는데 농업인들의 마인드를 살펴보면 무조건 우리가 만든 것은 비싸게 소비자가 구매해야 한다는 어거지 논리를 펴는 경우가 많음.
    생산성을 어떻게 늘릴까를 고민하지 않고 어떻게 나랏돈 빼먹을까만 고민하는 농업인들이 즐비함.
    또한 이 분이 주장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공장에서 외국에선 재배되고 있음.
    (몇가지 취미 생활로 농작물 자가 농업을 할 수는 있겠지만 하나의 산업으로 먹거리를 확보하는 차원의 주장은 아닌 것으로 보임)

    • @Djc-d8s
      @Djc-d8s 2 года назад

      물론 일부는 지적하신대로 프리미엄을 붙여 가격을 올리는 경우도 있지만.. 농업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서의 소신으로는 식량안보를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가까운 예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오일가격 상승이 일어났는데 이 같은 전쟁, 기후재해, 정치적 보복 등으로 식량수급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DavidKim-9
      @DavidKim-9 2 года назад

      @@Djc-d8s 방울 토마토 한 알(?)을 키울 때 원유 100ml 가 필요하다고 하던데(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요) 비료 생산, 포장 및 운반 등... 석유자원은 어떻게 자급자족하죠?
      농산물 자체의 수확량 증가도 중요하지만 농산물을 키울 수 있는 에너지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자급자족보다 비축의 문제 아닐까요? 식량무기화를 막겠다면 몇개월간 버틸 식량의 저장 등?

    • @DavidKim-9
      @DavidKim-9 2 года назад

      @@Djc-d8s 학생 맞으신 거 같네요. 하지만 자기 돈을 투자해서 최소 손익분기점을 맞추어야 하는 농업인이나 농업경영인의 입장에서는 당장의 자신의 사업부터 돌보게 되죠. 저 동영상을 비판한 이유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이윤을 추구하고 노력하는 것이 나쁘다는 것이 아닙니다. 그냥 상식적인 직업윤리를 거대하게 포장해서 자신의 분야의 직업이 뭔가 특별한 가치가 있으니 다 나를 따라와라라는 식의 허풍이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식량 먹거리 해결은 전체국민의 2%가 책임지면 됩니다. 식량 자원을 충분히 확보하는 나라치고 농업생산성이 떨어지는 나라가 없습니다. 모든 국민이 농업을 해야한다? 글쎄요. 그럴수록 식량자급율은 떨어질겁니다.

    • @DavidKim-9
      @DavidKim-9 2 года назад

      @@Djc-d8s "이병태의 바보경제 식량안보론"과
      "이병태의 바보경제 농수산물 유통, 한국정부는 늘 무능한가?"를 검색해서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링크를 걸면 삭제되기에.
      불행하게도 1달러의 소비를 하면 농산물 재배 농가에게 돌아가는 몫이 10.5 센트, 약 10%에 불과하다. 즉 90%는 유통과정에서 흡수되는 것이다. 이 농민의 몫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2008년의 통계에는 농민의 몫이 15.8%이었다.
      그 이유는 농수산물의 유통의 특징과 관련이 깊다. 우선 대부분의 농수산물은 가격에 비해 물류비용이 매우 높은 편이다. 특히 채소류 등은 부피와 신선도로 인해 높은 물류비용의 특성을 띄고 있다. 생산과 가격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큰 위험 사업이기도 하다.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계약재배라도 했다가 풍작으로 가격이라도 폭락하면 중간업자는 큰 손실을 얻게 된다.
      식품의 선투자는 생산자의 미래 생산 물량과 가격을 모두 예측하고 또 정부의 수입정책의 불확실성까지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주식이나 외환투자보다도 훨씬 위험한 투자일 가능성이 크다.

  • @triple-shine
    @triple-shine 4 года назад

    일본에 필요하겠네요

  • @seunghwanjeong5348
    @seunghwanjeong5348 6 лет назад +5

    양질의 먹거리 중에서 스마트팜으로 '질'은 굉장히 좋은 것 같은데 '양' 부분은 어떻게 해결 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josdriftinginboston8939
      @josdriftinginboston8939 3 года назад +1

      기존의 농지는 단층으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스마트팜은 건물 개념으로 들어가게 되면 층수에 비례하여 생산량이 증가합니다. 또한 계절 때문에 1년에 한번 짓던 농사를 스마트팜에서는 계절과 상관없이 연속적으로 지을 수 있으니 생산량이 몇배로 증가하게 됩니다!

  • @오승태-v2l
    @오승태-v2l 6 лет назад +4

    영상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영상 카테고리가 자동차인데...
    스마트팜 하시는 다른 스타트업 대표님을 알아요! Mars planet 전창호 대표님이고, 팜테이너라는 아이템으로 singularity U Korea 글로벌임팩트챌린지 우승하신 분이에요!! 태용 채널에서도 나와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DavidKim-9
    @DavidKim-9 3 года назад

    300만이면 너무 많은 인구고 100만이면 적당하죠. 선진국들은 대부분 그정도 비율일 겁니다. 2% 정도...
    후진국은 (농업이건 공업이건) 종사하는 인구는 많고 (농업이건 공업이건) 생산성은 엄청 떨어집니다.
    농업생산증가율이 인구증가율을 갈아엎을 정도로 농업혁명이 성공했기에 산업혁명도 가능했다고 배웠습니다.
    농업생산성 향상에 따른 농업생산물 증가율을 인구증가율이 도저히 못 따라올 걸요.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느는데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는다는 맬더스의 논리는 사실무근으로 판명났고
    현실은 식량은 상당히 많이 늘려놓았지만 인구는 더 이상 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죠.
    중국은 이미 오래전이고...아프리카도 출산율 낮아지고 있음)
    종사하는 인구가 줄어서 문제다? 그런 식으로 따지면 전기자동차로 실업을 겪을 사람들이 훨 많죠.
    이것이 더 큰 문제이지 농업인구 주는 것은 사실 별 문제도 아님.

  • @무표정-z3g
    @무표정-z3g 6 лет назад +3

    내가 중3때 생각 했던 아이디어네 이래서 생각만 하면 안되고 행동으로 옮겨야 하는 거구나

    • @user-hh9ld4zh6o
      @user-hh9ld4zh6o 6 лет назад +4

      주황 주황 창모 중3때 라는게 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국가단위로 이미 7년~10년 전부터 개발하던 분야에요
      지금은 저 부분에 국가지원이 많은걸로 알아요

  • @오직맨몸운동
    @오직맨몸운동 2 года назад

    저 거기서 일하고 싶어요

  • @auainno
    @auainno 6 лет назад +7

    결국 인건비.대량생산.전기료. 국내서 경쟁력 있을까요?

    • @알로엥-k8h
      @알로엥-k8h 3 года назад

      스마트팜으로 100평에 건축비 4억, 이익은 한달에 300밖에 안되더라구요 ㅠ
      땅값에 건축비에 전기료까지 하면 ㅠㅠ

    • @auainno
      @auainno 3 года назад

      @@알로엥-k8h 귀농도 힘들겠네요.

    • @알로엥-k8h
      @알로엥-k8h 3 года назад +1

      @@auainno 아뇨 귀농 자체가 힘든게 아니라 스마트팜이 생각보다 힘든거죠,,,
      저희 부모님도 나중에 은퇴후에 스마트팜 운영하시려고 알아봤는데 어우,,, 생각보다 뭐가 너무 많아요 ㅠ
      뭐 돈만 한 8-9억 이상 있다면 스마트팜이 유리하구요,,,,
      그게 아니라면 귀농이 생각보다 괜찮더라구요,,,
      아는 변호사분 부인분이 몸이 안좋아지셔서 그냥 서울 버리고 지방 내려와서 농사지으시는데 병원비 걱정없이 잘먹고 잘삽니다,,, (변호사라고 돈이 다 많은게 아닙니다,,,, 정직하고 순하고 착한 변호사는 돈 못벌어요,,,,)

  • @ForEntertainer
    @ForEntertainer 5 лет назад

    대단하다진짜...

  • @shin8872
    @shin8872 5 лет назад

    나도 참여 하고 싶읍니다

  • @thydream74
    @thydream74 4 года назад

    정말 멋진 일을 하시네요.

  • @플라토닉코플레이스
    @플라토닉코플레이스 4 года назад +1

    미국 농사보고오니까 이런게 얼마나비호율적인가에 깨달음

  • @dinden7
    @dinden7 4 года назад

    잘부탁드려요 구독 부탁드려요

  • @알로엥-k8h
    @알로엥-k8h 3 года назад +2

    에휴,,,,
    회사 짤리면 시골 내려가서 농사 지어 먹고 살 수 있는 시대도 끝났네요,,,,
    어차피 스마트팜도 100평 기준 건축비가 4억이던데,,,,
    돈이 있어야 스마트팜을 짓고 살죠,,,,

  • @mihrae7020
    @mihrae7020 3 года назад

    쌀도 만들게 해주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