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킬로 상공에서 엔진이 꺼진 피나클 3701편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3 окт 2018
  • 2004년 10월 14일. 31세와 23세의 젊은 두 조종사는 빈 비행기로 페리 비행을 합니다. 마침 승객도 없겠다, #CRJ200 최대 고도로 올라갈 생각을 하게 됩니다.
  • КиноКино

Комментарии • 878

  • @gonnaflynow1767
    @gonnaflynow1767 5 лет назад +961

    제작사에서 규정한 항공기의 퍼포먼스 능력 이상으로 항공기를 몰아 붙힌 조종사들의 최후라고 배웁니다. 3701사고로 비행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POH와 규정된 체크리스트를 조금이라도 무시하지 말라는 경각심을 줍니다...

    • @user-fz6qf6gv7e
      @user-fz6qf6gv7e 5 лет назад +38

      POH가 뭔가요? 공돌이라 그런가 염기농도밖에 생각이 안 나는데...

    • @gonnaflynow1767
      @gonnaflynow1767 5 лет назад +59

      Pilot Operation Handbook
      비행기의 자동차 사용설명서 같은..

    • @brianz9544
      @brianz9544 5 лет назад +31

      Pilot operation handbook 으로써
      항공기에 비치되어야할 비행교범 을 말핮니다

    • @1000_0_joon
      @1000_0_joon 5 лет назад +5

      여기서 날아가유님을 만나네요! 재밌게 봅니다!

    • @user-zu4hb6et5u
      @user-zu4hb6et5u 5 лет назад +1

      감항성이라고 하죠

  • @pianoworship2950
    @pianoworship2950 4 года назад +223

    에고.. 애들이 어려가지고 혼날까봐 그랬는지 지네들끼리 머리만 굴리다 죽네요
    재빨리 이실직고하고 정비팀 어른들한테 물어봤어야지....

  • @user-ok6kr2bf4j
    @user-ok6kr2bf4j 5 лет назад +904

    그래도 제일 마지막에 공항 착륙이 불가능할거란 걸 깨닫고 민가에 부딪칠까봐 랜딩기어부터 올려버리는게 좀 짠하네.

    • @user-pu1iu7sc3y
      @user-pu1iu7sc3y 4 года назад +44

      비행기 전체가 부딛히는데 랜딩기어 올린다고 무슨 소용이 있을까. 자동차로 집에 돌진하는데 사이드미러 접는 격이네.

    • @user-pu1iu7sc3y
      @user-pu1iu7sc3y 4 года назад +10

      머라이어 케이 앞으로 자동차 회사들은 충돌이 예상되면 사이드 미러를 접는 기능을 넣어야 되겠군요

    • @user-pu1iu7sc3y
      @user-pu1iu7sc3y 4 года назад +9

      머라이어 케이 아니 그냥 비꼰건데요. 랜딩기어가 사람을 죽일상황이면 땅에서 몇미터 안떨어진거라는 건데 랜딩기어를 올렸다고 해도 눈깜짝할사이에 동체 바닥에 깔려 죽지 않을까요 추락각도와 속도를 생각해보면? 비행기 크기 모르시죠?

    • @accurateeye3116
      @accurateeye3116 4 года назад +11

      저기 조종사들이 온힘을 다해 제 역할을 한건 맞지만 위에서 아래로 추락하는데 동체 바닥에 있는 랜딩기어를 올린다고 민가에 부딛히는걸 막을 수 있을까요? 랜딩기어가 몇십미터 넘게 긴것도 아니고요...

    • @PowerSubaru
      @PowerSubaru 4 года назад +86

      @@user-pu1iu7sc3y 랜딩기어는 굉장히 무겁습니다 사람한명 죽이기에 충분하죠

  • @starace1213
    @starace1213 5 лет назад +286

    관제사한테 거짓말하고 체크리스트 무시하고 너무 고고도까지 올라가고...

  • @noneedtoknow534
    @noneedtoknow534 4 года назад +59

    승객 있는 상태로 저랬으면 진짜 쓰레기 중에 쓰레기고. 근데 어찌보면 사고난게 다행인게 비행기 데미지 먹었을수도 있는데 저걸로 그냥 계속 운항 했으면 엄한 사람 죽었을지도.

  • @user-fo5he7ot4b
    @user-fo5he7ot4b 5 лет назад +537

    4만 피트라는 고도와 엔진이 멎을만큼의 열을 냈다는것은 실속을 회복하는데에 충분한 속도와 시간이 있었는데 엔진이 꺼지자마자 기수를 올려서 실속을 자행해버렸고 높은 고도와 빠른 속도로 활공할 생각은 하지 않고 도리어 공기저항이 커지게 하는 랜딩기어를 내리는등.. 미안한 말이지만 파일럿으로써 너무나도 안타까운 짓을 하셨습니다..

    • @jumoom3753
      @jumoom3753 5 лет назад +44

      무지한 짓이죠~ 안타까운 짓이 아니고~

    • @CaptainKog
      @CaptainKog 4 года назад +39

      그러게요 랜딩기어를 왜 내렸는지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네요

    • @aMore-wk1ri
      @aMore-wk1ri 4 года назад +46

      그짓거리만 안했어도 적어도 공항까진 갈 속력은 냈을텐데...ㅠㅜ 정말 실속하려고 별 짓을 다했네요

    • @CaptainKog
      @CaptainKog 4 года назад +98

      @@user-we6lm1ke8t 엔진이 꺼지면 속도가 낮아지고, 속도가 점점 낮아지면 양력을 얻을 수 있는 최저 속도 이하로 속도가 떨어져서 실속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그냥 고철덩어리가 하늘에 떠 있는 거죠. 그럼 바로 추락입니다. 실속에 빠지지 않으려면 하강율을 가파르게 올려서 실속을 벗어날 수 있는 속도를 얻으려고 해야 하는데, 기수를 올리고 랜딩기어를 내리면 더 빨리 실속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이죠

    • @user-in3sv6ox5z
      @user-in3sv6ox5z 4 года назад +24

      @@CaptainKog 근데 정말 기초적인 내용 아닌가요? 젊은 초보 조종사라지만 저렇게 한게 이해가 안되네요. 너무 당황을 해서 그런것일까요

  • @taewankim9442
    @taewankim9442 5 лет назад +580

    제일 큰 실수는 관제타워에 사실을 얘기하지 않은거네. 목숨이랑 자존심이랑 바꿨네

    • @user-tp4ld2gl3w
      @user-tp4ld2gl3w 5 лет назад +53

      자존심이 아니고 잘못을 숨기려고 거짓말을 한거지요.

    • @analoguerider20
      @analoguerider20 4 года назад +15

      사실대로 얘기 했냐, 안했냐는 그리 중요치 않아요.
      사실대로 얘기했어도 방법은 없었을듯 합니다.

    • @yooyoungman1659
      @yooyoungman1659 4 года назад +18

      @@analoguerider20 ///////사실대로 말했으면 가장 가까운 공항으로 갈수있었겠죠

    • @yooyoungman1659
      @yooyoungman1659 4 года назад +3

      @@user-tj5wg2of1x ///////진상조사라고 말씀하셨는데 교육을 제대로 안시킨 항공사도 잘못이 있기때문에 해임됄지는 모릅니다.
      그리고 사고가 안나면 해임은 안됍니다

    • @moneyis-thebest
      @moneyis-thebest 4 года назад +19

      @@rn9076 ??? 뭔소리지...징계받을게 두려워 감춘거지 뭔 그게 자존심???
      "ㅅㅂ 이따위꺼 남들 도움 안받아도 내가 해결할수 있어."
      가 아니라
      "ㅅㅂ ㅈ댔다. 이거 걸리면 징계받을텐데 안걸리게 숨기고 해결해야지."
      이겁니다. 자존심때문에 자신의 잘못을 인정 안하는건 전혀 다른경우고요.

  • @amaing12
    @amaing12 4 года назад +104

    분명 둘다 죽지 않고 살수 있었던 골든타임이 무려 30분이상 있었던거 같은데(애초에 엔진2개가 모두 나가버렸다고 이실직고 했으면 징계는 받더라도 살수는 있엇을듯 싶음) , 애초에 하지말라고 경고하면 꼭 하는 사람들이 문제임....;;

  • @user-uo1xg6iv3d
    @user-uo1xg6iv3d 5 лет назад +178

    너무나 젊은 나이에.. 어리석은 행동을 하긴 했지만 안타깝네요

    • @user-ef2jv1ji4w
      @user-ef2jv1ji4w 5 лет назад +6

      Bach. Chaconne 너무 안타까워요ㅠ

  • @joohyungha
    @joohyungha 5 лет назад +125

    아무리 위기상황이라 하더라도 일반인보다도 못한 판단을 내려버리는게 가슴이 참 아프네요.

  • @futuremax7
    @futuremax7 5 лет назад +68

    재생타임이 길던데 만드는데 좀 힘드셨겠네요. 응원합니다. 세이썸띵 채널과 함께 올려주신거 거의 다 본 것 같네요. 그래서 새로 올라오는게 더 기다려지네요.ㅎㅎ

  • @sanghoonchung7461
    @sanghoonchung7461 4 года назад +82

    이들이 한 실수 중 가장 큰 실수는 비행기 가지고 장난친것
    젊은 친구가 스포츠카 급가속 운전 하다가 사고난것 하고 뭐가 다른가???
    비행기도 젊은 친구가 운전하면 보험금 올려야 됨....

  • @parkcar6864
    @parkcar6864 5 лет назад +76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간간히 항로를 같이 보여주면 더 좋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boomtnt1318
      @boomtnt1318 4 года назад +4

      좋은 피드백이다

  • @soyeong2ee
    @soyeong2ee 5 лет назад +111

    일탈로 아주 잠깐의 행복감을 느끼고
    신나게 웃다가...
    안타깝기도 하네요

  • @mikumiku_0831
    @mikumiku_0831 4 года назад +305

    이들이 한 실수 목록
    *1. 실수를 감추기 위해 관제탑에 사실을 말하지 않음*
    2. 랜딩기어를 빨리 내려 실속을 유발
    3. 기수를 들고 고도 유지 시도
    4. 비행기의 한계치를 넘기는 비행을 함

    • @svythk8477
      @svythk8477 4 года назад +14

      그러게요. 랜딩기어
      공기저항 무지하게
      받을텐데요.

    • @user-be5xi4sn4z
      @user-be5xi4sn4z 4 года назад +46

      다른곳 검색해보니 엔진 재점화를 위해서는 300kt 이상의 속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하네요
      그래서 고도보다는 기수를 낮춰서라도 속도를 높이는게 중요한거구요
      엔진 과열로 꺼진거라 냉각된 이후에는 엔진 재시동이 가능했는데 빠른 재시동 포기도 문제라고 하네요

    • @mikumiku_0831
      @mikumiku_0831 4 года назад +4

      @@user-be5xi4sn4z 그렇군요. 조종사들이 면허를 대리로 땄나 봐요 ㅋㅋ

    • @gogocho
      @gogocho 4 года назад +20

      아마 자기들 잘못이 아니면 메뉴얼 대로 또한번 확인 절차 해쓸거 같은대 자기들이.잘못 한거라 당황해서 계속실수 실수 한거 같음

    • @user-lg5ud8eg4c
      @user-lg5ud8eg4c 4 года назад +4

      참 안타깝네요 ㅠ

  • @user-rg1bt2ir2m
    @user-rg1bt2ir2m 4 года назад +77

    바보같을지는 몰라두 마지막은 짠해요. 민가 피하려고 하는 모습이.. 결말이 안타깝네요ㅠㅠ

  • @wyduehwx
    @wyduehwx 5 лет назад +254

    부기장이 오히려 침착한데...
    기장은 자기가 해결해야 한다는
    부담 때문인지 너무 당황해보이니
    안타까움 ㅠㅠ 그 와중에 집이랑 부딪히면 안된다고 하니 그 마음에 더 안타까움ㅠㅠ 둘다 너무 안됐다 ㅜㅠ

  • @user-kx9yz4dv3m
    @user-kx9yz4dv3m 5 лет назад +17

    업무상 비행기를 자주 이용하고 있는데… 정말 볼 때마다 놀랍네요~

  • @user-hm4zz6ct1k
    @user-hm4zz6ct1k 5 лет назад +128

    마음 아프네 친구야 우리착률못할것같어

  • @bansungil
    @bansungil 5 лет назад

    감사해요 재미있게 보고 있어요

  • @user-dk6sm3eo4i
    @user-dk6sm3eo4i 5 лет назад +35

    참 보면서 고구마 100개는 먹은듯ㅜㅜ 어찌 저리 무모한짓을
    비행기에 ㅂ도 모르지만
    무모해보이기는 하네요ㅜ
    안쓰럽고ㅜ 씁쓸한 일인듯..ㅜ
    영상 진짜 잘만드십니다 9분님^^!짱이예요

  • @richdog863
    @richdog863 5 лет назад +174

    31살이면 애죠.
    그래서 노련한 기장과
    초보가 함께 하는거죠

  • @captkyle-le5ym
    @captkyle-le5ym 3 года назад +87

    1 재시동 절차를 이행할 고도와 시간이 충분했다
    2 비상 선포 후 인근 최단거리 공항에 충분히 착률할수있는 고도와 시간 거리가 확보되 있었다
    3 충분한 고도와 시간이 있음에도 엉뚱한 시도로
    기회를 다 잃어 버렸다..
    시뮬레이터로 비슷한 상황 수 없이 반복해봤을건데..
    마지막 자막 다른 파일럿이 말 한 것 처럼
    아이러니 하게도 역으로 크레쉬 하기 위한 할 수 있는 많은 잘못된 절차를 수행한 경우..
    처음 비상 선포 후 엔진 재시동이 불가능 했다 하더라도 충분히 최단거리 공항에 비상착륙 할 수 있었던 고도와 시간 거리를 갖고 있었다는게 더욱 안타깝게하네요..

    • @rycaon
      @rycao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자기 실수나 잘못을 숨길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생각되면 누구든지 오판의 길로

    • @user-xt9yw2ml1c
      @user-xt9yw2ml1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근데 솔직히 생각해보면 그냥 영상으로 보는 사람들이야 이성적인 판단이 가능하다 해도
      저렇게 초고도위에서 말 그대로 엔진이 꺼졌을때의 공포감은 아무리 훈련 받은 조종사들이라도 기본적으로 이성이 마비 될 걸 같긴 함..
      그래서 그냥 엔진이 꺼진거 자체에 엄청난 공포감 때문에 엔진만 제발 살아나라 살아나라 애원하면서 이것저것 한것 같음..

    • @Hell_Josenjin
      @Hell_Josenji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아무리 훈련받은 조종사들이더라도가 아니고 저런 상황에서 현명하고 냉철한 판단 하라고 훈련받는건데 그냥 자가용조종사만도 못한 위기대처능력으로 사고에 이른겁니다. Engine failure시 메모리아이템은 Airspeed(한글로는 잘 모르겠는데 글라이딩시 가장 멀리 갈 수 있는 속도), Best place to land, Checklist 해서 ABC입니다.
      아마 410클럽같은 멍청한걸 하다가 엔진 태워먹었다고 짤릴 걱정때문에 다 때려치고 3만피트 넘게 잃는동안 차트도 안펴고 커뮤니케이션도 안하고 당황해서 내린 랜딩기어도 안올리고 엔진 재점화에만 신경썼을겁니다.

  • @airsupport1196
    @airsupport1196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잘보고있습니다.

  • @ZAPHKIEL2B
    @ZAPHKIEL2B 5 лет назад +231

    JAL 123편은 조종사들이 대응은 잘 했지만
    결국 산에 부딫힌 비극이고
    저건 그냥 조종사들이 뻘짓하다가
    그냥 땅에 박은 비극이고...
    저럴 생각으로 한건 아닌건 알지만...

  • @NewRepublic4137
    @NewRepublic4137 4 года назад +126

    비행 교범이 파일럿의 피를 잉크로 책 위에 써내려간다는 걸 알게 되는 영상이네. 두 파일럿 외에 탑승자 및 민가 내 민간인은 없었으니 다행이라고 할 수 있군.

    • @KaliningradTheBestCity
      @KaliningradTheBestCity 3 года назад

      이분은 동에번쩍 서에번쩍인가 가는채널마다 교묘하게 있으시네

    • @user-uf4fy1qu2e
      @user-uf4fy1qu2e 3 года назад +6

      둘은 그렇게 사랑에 빠지게 되는데

    • @user-hz3kj5gi2u
      @user-hz3kj5gi2u 3 года назад

      있었다면 안그러긴했겠죵...에후..

  • @user-kk3cv5vs7w
    @user-kk3cv5vs7w 4 года назад +26

    나는 더 슬픈게 이 꿈을 이룰려고 많은 고생을 했을텐데 이렇게 허무하게 끝남...

  • @user-hm4zz6ct1k
    @user-hm4zz6ct1k 5 лет назад

    영상 기다렸어요

  • @user-tp4mt6is7d
    @user-tp4mt6is7d 5 лет назад +21

    이분 편집 너무 잘하시는데 ㅋㅋㅋ

  • @gonnaflynow1767
    @gonnaflynow1767 5 лет назад +232

    피나클3701사고는 제가 저저번주 수업시간에 조종사의 에어맨쉽과 고고도에서 항공기 퍼포먼스의 예로 유명한 사고인데 그이야기를 다뤄주셔서 기대됩니다ㅎㅎ

    • @holylee30
      @holylee30 5 лет назад +7

      발표하셨다고요? 수업받으셨다고요?

    • @user-ts4vz2ev5p
      @user-ts4vz2ev5p 2 года назад +8

      한글을 이상하게 쓰네 ..

  • @notfound7364
    @notfound7364 5 лет назад +9

    제안 받아들여 주셨네요ㅠㅠ👍👍

  • @hellohell-o
    @hellohell-o Год назад +6

    최대고도까지 가는건 문제없지만 그거때문에 엔진이 과열되서 꺼졌는데 엔진 재시동도 잘못된 방법으로하고 랜딩기어를 내려서 저항을 크게하고...고도유지한다고 기수를 올려서 속도 줄이고,.저항, 고도유지 없었어도 공항까지 갈수 있을정도의 고도였는데....

  • @hanullee9930
    @hanullee9930 5 лет назад +64

    도대체 어떻게 배웟으면 기수 올리면서 유지하려하지? 기본으로 고도가 허용 한다면 하강하면서 속도 조절이 정상인데.. 면장은 있는사람임?

  • @runteenchannel
    @runteenchannel 3 года назад

    영상 감사합니다

  • @user-vq6yl4wt4t
    @user-vq6yl4wt4t 5 лет назад +53

    브라질 샤페코엔시 축구단 비행기 추락이나 1958년 맨체스터유나이티드 축구단 비행기추락으로 영상 만들어주세요 부탁 드립니다

  • @LionelMessi-ds4tk
    @LionelMessi-ds4tk 2 года назад +17

    사고까지 남은 시간 나올 때마다 너무 안타깝고 마음이 무겁네요.

  • @user-lc9zh4cy4j
    @user-lc9zh4cy4j 5 лет назад +3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 @aiuchiasti6557
    @aiuchiasti6557 5 лет назад +1

    이걸 생방송으로 보게 되는 날이 오네요

  • @user-ro4od7yb6s
    @user-ro4od7yb6s 3 года назад +2

    영상 멋지십니다♡

  • @junieeeeeeeeeeeeeeeeee
    @junieeeeeeeeeeeeeeeeee 5 лет назад +258

    헐.... 실속이라 속도 증가 시켜야 되는데 엔진 멎은 상태로 기수까지 들고 유지를..... 게다가 성층권에서....

    • @lee-ob8gu
      @lee-ob8gu 4 года назад +27

      실속 걸린 상황에서 기수를 들고 랜딩기어까지 내려 공기저항을 더한거면 이건 그냥 자살하겠다는 뜻이죠. 게다가 자존심 때문에 상황을 솔직히 말하지 않은 것까지. 당황해서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저지른 듯 합니다.

    • @junieeeeeeeeeeeeeeeeee
      @junieeeeeeeeeeeeeeeeee 4 года назад +2

      꼬잇또잇 비행기의 앞 부분을 말하는 겁니다.

    • @JJ-jj4ms
      @JJ-jj4ms 4 года назад

      @@blyatguy2441 랜딩기어는 뭐죠??

    • @JJ-jj4ms
      @JJ-jj4ms 4 года назад

      @@blyatguy2441 기수를 올리고 내리는건 바람 저항으로 속도를 유지 감속하는걸로 이해되는데 랜딩기어도 그런 바람 저항정도로 생각하면 될까요? 랜딩기어 내린다고 감속에 영향을 마니 주나요??

    • @moneyis-thebest
      @moneyis-thebest 4 года назад +5

      @@JJ-jj4ms 랜딩기어의 공기저항으로 인한 실속이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했어요. 기수를 안내린것과 함께 실속유발행위를 두가지 동시에 한거죠.

  • @tko2384
    @tko2384 5 лет назад +7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도 줄어서 엔진에 더 많은 연료가 들어가게되고 그럼으로서 엔진과열 그리고 엔진이 꺼진다는걸 조종사들이 몰랏다니 어이가없다
    그리고 재시동하려면 조종간 당길게 아니라 내려서 급속도로 하강해 속력을 얻은뒤 재시동하면 두개중 한개정도는 재시동 걸릴수도 있었을텐데 안타깝네

  • @air5210
    @air5210 5 лет назад +26

    상승에 속도 유지를 위해 엔진을 무리하게 가속해...그 열로 엔진 점화개통이 녹아버렸거나해서 단락이 되고 엔진이 멈춰버린 모양이네요.

  • @TV-zu9fz
    @TV-zu9f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항공사고 수사대에 나왔던 이야기입니다
    더 낮은 고도에서 엔진 재점화 했으면 점화되수 있었다고 나오네요 엔진 재점화 고도가 높았다 나옴!!

  • @schneeig
    @schneeig 5 лет назад +401

    항공사고대화중에서 가장끔찍한 기장과 부기장의 대화같네요 유치원생도아니고;;;

  • @user-wf8ib2gd1f
    @user-wf8ib2gd1f 5 лет назад +7

    해석 힘드셨겠다....감사요ㅎ

  • @user-kp8fz7wk4m
    @user-kp8fz7wk4m 4 года назад +75

    현대판 이카루스..

  • @user-bb7mq4mg6y
    @user-bb7mq4mg6y 5 лет назад +193

    그냥 면허따기전 도로주행 나온애들한테 운전 맡긴거네

  • @ksp9939
    @ksp9939 5 лет назад +22

    너무 미숙한 젊은 조정사들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비행기를 조정하는느낌

  • @MsLucy9660
    @MsLucy9660 5 лет назад +115

    그래도 안타깝다... 조금만 침착하게 대응했으면 41000피트면 착륙하고도 남았을텐데... RIP

    • @whitedog1972
      @whitedog1972 4 года назад +12

      고도 엄청 높아서 속도만 잘 해주면 좋았을텐데 시계가 안좋아서 착륙하긴 힘들었을듯

    • @whitedog1972
      @whitedog1972 3 года назад +11

      @Winner010 그러네요.애초에 한계치를 벗어나 비행하지 말고 문제가 생겼을 때 관제탑에 얘기만 했어도 무사할 수 있는 일을...

    • @AK-ff1zp
      @AK-ff1zp 3 года назад +18

      @@whitedog1972 맞아요... 생명을 담보로 책임회피 하려다 생긴 비극같네요. 그냥 솔직하게 말하고 면허, 자격 박탈당하고 그에 맏는 징계를 받는게 목숨을 잃는것보단 나은데...

  • @MrXkr
    @MrXkr 5 лет назад +64

    기어를 내려서 감속하고 기수를 들어서 감속하고 그러면서 300노트 이상 속도를 내야한다고 말만하고... 얘네들 무슨 생각으로 뱅기를 모는 건지...

  • @user-lp7ld2wu2v
    @user-lp7ld2wu2v 4 года назад +70

    그래도 기장 부기장 안타깝네 ㅠ ㅠ 난 두 사람 왜이리 불쌍치 가만보니 저때도 가즈 아 가 사람잡왔네

    • @user-wb2fl2ch6g
      @user-wb2fl2ch6g 4 года назад +8

      웃으면 안되는데
      가즈아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tv5hx8jm1s
      @user-tv5hx8jm1s 3 года назад +2

      @@user-wb2fl2ch6g 가즈아~ 이게 이렇게 무서운거엿구나.... 감사합니다

  • @_Kane_
    @_Kane_ 5 лет назад +2

    긴장감 은근히 쫄깃쫄깃...

  • @youtubecoms
    @youtubecoms 3 года назад +4

    순항고도에서라면 충분히 공항착륙이 가능했을수도 있는데 기수를 내리고 실속을 벗어나기는 커녕 기수를 들고 기어를 내려서 급하강하다니....

  • @user-bear03
    @user-bear03 3 года назад +3

    무슨 상황인지 이해를 못 하다 댓글보고 이해하고 갑니다

  • @bullgom
    @bullgom 5 лет назад +58

    비행기 추락시키는것도 저렇게 힘드네...참

  • @user-ov4rs9fx8u
    @user-ov4rs9fx8u 5 лет назад +332

    성능상의 한계 고도까지 올라가는 것은 해당 기종 기장 시간 최소한 1만 시간 이상 경력을 구비한 TEST PILOT 나 할 일인데 너무 무모했다. 2 ENG. 모두 Failure 인데 하나만 고장이라고 허위 보고한 점이나, 처음에 Both Engines 이 멈췄다면 ATC 에 비상 사태를 선포하고 명확하게 주지시켜서 가장 근접 공항으로 최대한 단 시간내에 갈 수 있도록 관제 지원과 근처를 비행하는 다른 항공기로 부터 조력을 받을 수 있도록 했어야 하는데 엉뚱하게 조종간을 당기는 조작으로 1차 실속을 자초한 점 안타깝고, 천천히 하강하면서 1만 피트 근접에서 엔진 가동 조작을 했어야 하고 1차 시도에서 실패하면 시간을 허비할 것이 아니라 무동력 활공비행으로 날 수 있는 거리나 시간이 촉박하므로 가장 먼저 할 일은 진작에 가장 가까운 공항을 안내받아서 해당 공항으로 직진하여야 하고, 게다가 체공 시간과 고도 상실을 줄이기 위하여 L/D Gears 는 마지막 순간에 내려야 되는데 너무 일찍 내놔서 불필요한 저항 발생으로 활공 거리 단축과 체공 고도 상실이 없었다면 충분히 활주로에 도착할 수 있었는데 불과 몇 분 부족으로 민가에 추락시킨 것은 조종사의 무모함과 판단 미스, 우왕좌왕, CRM 부족 등 총체적인 난조에 의한 불행한 사고라고 아니할 수 없다

    • @user-hn2fy3uu5r
      @user-hn2fy3uu5r 5 лет назад +9

      고돌리 가장 올바른 방법입니다.

    • @elvenisar
      @elvenisar 5 лет назад +53

      그런 판단할 수 있는 사람이었으면 에초에 한계고도 이상으로 올라가질 않았겠죠.

    • @user-lc8cf4hy3j
      @user-lc8cf4hy3j 5 лет назад +4

      제트 비행기가 동력을 다 잃고 활강비행이 가능한가요? 프펠도 아니고 더구나 보잉 747...가능히다면 혹 가능 거리나 조건, 제한등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ov4rs9fx8u
      @user-ov4rs9fx8u 5 лет назад +48

      우선 프로펠러 추진 항공기보다는 제트기가 활공에 더 유리하다는 점을 이해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프로펠러는 활공 비행에 방해가 되는 큰 저항 요인인 반면에 제트기는 프로펠러와 같은 돌출 부분이 없으니 활공에 유리하고 더우기 제트 엔진은 연료가 고갈되어도 앞으로 나가던 관성에 의하여 엔진에 장착된 팬 블레이드가 약간씩 돌아가기 때문 효과가 더 큽니다. 이는 우리가 선풍기를 꺼도 한 동안 팬이 돌아가며 미세한 바람을 일으킬 수 있음에서 알 수 있습니다. 제트 여객기가 활공으로 얼마나 체공이 가능한지 그 시간에 대해서는 나와 있는 것이 없지만 연료가 고갈되거나 모든 엔진이 정지되는 경우 활공비행을 시도하도록 교범에 나와있는 것만 보더라도 상당 시간(많게는 30~40분, 적게는 10여분 정도)는 가능하다고 할 것입니다. 활공시간이 얼마까지 늘릴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항공기 무게(승객 및 화물의 무게), 연료가 떨어질 당시 속도(굉장히 빨랐다면 관성의 법칙에 의해 더 멀리 가능), 연료가 떨어진 시점의 항공기 고도(높이), 풍향 및 풍속(정풍인지 배풍인지와 바람의 속도에 따라서 가속되거나 더 감속이 빨리되어 실속에 도달하는 시간이 늦춰지거나 더 빨라질 수 있고, 게다가 항공기 각도, 항공기의 돌출물 여부(플랩이나 슬랫), 랜딩기어(바퀴)의 돌출 여부 등 여러 복합적인 요소에 따라 체공시간은 많이 달라질 것 같습니다.

    • @user-lc8cf4hy3j
      @user-lc8cf4hy3j 5 лет назад +6

      @@user-ov4rs9fx8u 아..그렇군요. 제가 반대로 알고 있었네요. 명쾌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user-tx1gu4wf4j
    @user-tx1gu4wf4j 2 года назад +4

    결국 두분은 ㅜㅜ
    아 안따까워 민가의 희생을 줄이려는 그 노력에 감사해요 덕분에 민간인 희생은 없었네요 어린 나이인데 에허

  • @zenio7199
    @zenio7199 5 лет назад +572

    31살 기장에 23살 부기장 ㅋㅋㅋㅋ 애들한테 뱅기를 맡겼네 ㅋㅋㅋ

    • @user-si9et6ve7y
      @user-si9et6ve7y 4 года назад +68

      저런거 몰다가 경력쌓이면 더 큰 항공사로 들어가니까요

    • @user-sl8nc8xk3o
      @user-sl8nc8xk3o 4 года назад +1

      ㅇㅈ

    • @user-gu6jl1fn7w
      @user-gu6jl1fn7w 4 года назад +13

      23살 부기장이면.. 남자면 대학도 안나올 나이 아닌가요?? 어떻게 부기장이 된건지 궁금합니다!

    • @rkdgustkd
      @rkdgustkd 4 года назад +109

      @@user-gu6jl1fn7w 일단 한국이 아니라서 한국나이 25일 가능성이 크고요 군대를 안가요

    • @changmo8800
      @changmo8800 4 года назад +14

      23살이면 진짜 막 비행기 조종시작할 나이네

  • @falltime78
    @falltime78 5 лет назад +62

    고열로 인해 엔진이 쩔어붙어서 재시동이 안된 거네요 ㅠㅠ

    • @Aorora
      @Aorora 4 года назад +2

      아!산소 부족이 아니고 젯엔진이 고열에 터빈축이 녹아 붙어 버렸나?

    • @big_2440
      @big_2440 2 года назад +1

      그게 아니라 너무 느려서 재시동이 안됨

    • @Nicknqme
      @Nicknqme Год назад

      기수를 내려서 속도를 높이고 엔진 리스타트 했으면 성공할수도 있을걸요

    • @Drunk_drip_light
      @Drunk_drip_ligh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big_2440둘다 임

    • @Drunk_drip_light
      @Drunk_drip_ligh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big_2440고열로인해 엔진이 꺼지고 엔진 재시동은 300 kt(노트)이상 에서 재시동이 가닝 입니다

  • @user-io7sy6sg8o
    @user-io7sy6sg8o 5 лет назад +14

    아 ... 웬지 모르게 눈물이 계속나고 슬프네요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user-rk9ob8po9g
    @user-rk9ob8po9g 4 года назад +1

    영상속 콕핏에 여기 댓글다신분 아무나 2명이 앉았어도 저런 저런사고는 없었을텐데.. 그래도 승객이 없었다니 천만다행이네요. 어떻게 보면 여럿 살리고가네요 훈장이라도 줘야할지ㅋㅋ

    • @Teocis
      @Teoci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친구야 웃을일이 아니야 마지막 죽기 직전에 기장이 남긴 말이 민가에 집에 부딪히면 어쩌지...라잖아

  • @user-xi2ox9vp6g
    @user-xi2ox9vp6g 5 лет назад +18

    다큐9분 황팅 진짜 재미있어요

  • @jennylovemexico
    @jennylovemexico 4 года назад +38

    어째 기장이 부기장보다도 더 모르는 느낌.. 뭔가 물어보고 해야하는건 다 부기장 시키고, 부기장이 말하면 알고있었어 이런식이고 자기 잘못은 숨기기 급급하고. 항알못이지만 대화만 봤을땐 부기장이 불쌍하네요

  • @lilpa700...
    @lilpa700... 5 лет назад +16

    이 영상 BGM이 뭔가요?? 궁금합니다!

  • @jaeholee8304
    @jaeholee8304 5 лет назад +102

    질문에, 재시동이 왜 안걸리나 라는 질문이 있는데.. 미국 교통안전 협회 NTSB 에서는 Pinnacle 3701 이 고도 41,000 피트를 비행하고 있을때 엔진은 제한 온도보다 훨신 높았다고 하내요. 높은 고도와 고 출력으로 인해서 엔진이 플레임 아웃 Flame Out, 엔진이 추력을 만들지 못하고 꺼져버리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하내요. 사고 항공기 Bombardier CRJ-200 조종 매뉴얼을 보면 엔진이 꺼졌을때 속도는 240 노트를 유지해야합니다. 엔진 중앙부 Core 가 손상이 안되게 하는 이유라고 합니다. 엔진이 꺼지고 속도가 240노트 이하로 비행하고 있었을때, 엔진은 이미 높은 온도로 엔진 중앙부에 있는 블레이드가 늘어남으로서 블레이드가 돌아가지고 않고 멈춰버린 상태로 있었다고 합니다. NTSB에서는 이 현상을 Core Lock 이라고 말하고 있는데요, 엔진 중앙부도 고장나고, 잘못된 공중 엔진 재시동 절차가 원인이었다고 합니다. 이 사고로 항공기 재시동 절차 체크리스트가 바뀌었다고 합니다. 엔진 재시동 전에 항공기 속도는 최소한 240 노트, 공중 엔진 재시동은 300 노트 이상이여야 함, 라는 문구가 들어가게 되었다고 합니다. ~NTSB Pinnacle 3701 사고결과 발표문 중에서

    • @elvenisar
      @elvenisar 5 лет назад +12

      소잃고 외양간 고치기... 그래도 소잃고라도 고치면 다행인거죠, 쉬쉬하다가 같은 사고가 반복되는거보단...

    • @nano9185
      @nano9185 5 лет назад +9

      @@elvenisar 원래 항공사고가 다 그런 식이죠

    • @hanullee9930
      @hanullee9930 5 лет назад +15

      쉽게정리하면 엔진이 고온고압을 버티지 못하고 손상+ 속도가 너무 느림

    • @user-qb2mb9dh3o
      @user-qb2mb9dh3o 5 лет назад +7

      돌아다니는 자료보니 1번비행사가말한 연료문제나 오일펌프문제 이야기도 있습니다 조종사가 잘했다는말 아닙니다

    • @duck6613
      @duck6613 5 лет назад +7

      @@elvenisar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는 모든 곳에 있습니다. 사고의 정도 차이일 뿐..

  • @user-yn9xy4se2o
    @user-yn9xy4se2o 5 лет назад +14

    집에 부딫히면 어쩌지라는 말이 좀 찡하다...

  • @jwk1525
    @jwk1525 5 лет назад +94

    아니 어차피 내려가면 다 들통나는데 거짓말을 왜하는거지

  • @GON-lu4me
    @GON-lu4me 4 года назад +37

    글라이딩 해야 하는 상황에서 랜딩기어를 내리는 바보짓은 대체....

  • @user-pi4bv9sq9r
    @user-pi4bv9sq9r 4 года назад +8

    아니...그거 비행기야 우주왕복선도 아니라 비행기라고. 차라리 체험을 할 거면 무중력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가던가 아니 뭔.....어떻게 저 자리에 앉았지..?

  • @KMONQ
    @KMONQ 3 года назад +2

    에어버스는 RAT이라도 있어서 적어도 동력은 만들 수 있는데 플래시 찾는다고 대응이 조금 늦었네요.

  • @monellycoco8675
    @monellycoco8675 4 года назад +59

    기장 부기장 외 희생이 없었다는게 기적이네요.

    • @user-hz1xk1gx7i
      @user-hz1xk1gx7i 3 года назад +11

      @Mind Pasta 비행기고 뭐고 떠나서 어디서든 장난치다가 사고 일어나더라구요 원리원칙 지키라는게 괜히 있는말이 아님

    • @user-yn8dw3or4d
      @user-yn8dw3or4d 2 года назад +8

      제가 지금 생각하고있는것이 이것입니다.
      승객들이 있어도 이런 장난을 칠수있을까하는...
      참으로 답답한 항공사고입니다.
      어떻게 하면 중대형 여객기보다 더 높은 고도로 올라갈 생각을 할수가 있지?

  • @ap888869
    @ap888869 5 лет назад +25

    안타까우면서도..뭔가슬프다...객기넘치지만 착한 조종사 2명이 불쌍해서 눈물이 날뻔한...

  • @nano9185
    @nano9185 5 лет назад +17

    보면서 암에 걸렸습니다

  • @juke8ox
    @juke8ox 2 года назад +8

    아빠 차 끌고나왔다가 사고낸 중학생들 같네요.

  • @yooyoungman1659
    @yooyoungman1659 4 года назад +11

    진짜로 암걸리네요.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도 잘 모르면서 최대 순항고도로 올라갈 생각을 하다니.....
    (마치 의사자격증없이 의사행세하고있는 사람모습을 보는것같네요)

  • @user-cb3om7lm5d
    @user-cb3om7lm5d Год назад +3

    시간 나올때 음악 때문에 갑자기 가슴이 떨린다..

  • @user-jm9gw9gl4l
    @user-jm9gw9gl4l 5 лет назад +7

    항공공학은 잘 모르지만 내가 아는 역학내에서 분석해보면 고도가 높아지면 산소농도가 희박해지니 엔진이 멎을 확률이 높아질거고.. 엔진과 산소흡입기(?) 정확한 표현은 모르겠지만... 성능에 따라 한계 고도가 설정될것 같음. 이사람은 그 고도를 넘었던게 1차적 문제
    둘째는 센터에 사실대로 엔진먹통을 말하지 않은것.
    셋째. 실속 상태에서 대처가 잘못됨. 물리적으로 실속상태라면 속도를 이전보다 훨씬 올리는게 맞을것 같은데... 오히려 고도를 낮추려고 속도를 늦추는 느낌.....
    항공은 전혀 모르는 의학만 공부한 의사의 생각..

    • @Googleaccount31452
      @Googleaccount31452 5 лет назад +1

      고도를 낮추려고 속력을 낮춘다는게 무슨말씀이신가요??

    • @jumoom3753
      @jumoom3753 5 лет назад +1

      속도를 줄이면 고도가 빨리 낮아집니다. 재점화 속도를 설정하기 위해서 고도와 속도를 낮춘 것입니다. 고도가 높으면 산소부족으로 점화가 잘 안 됩니다.
      최대한 활공을 하고 속도와 고도가 떨어지면 재점화 해야 하는데 다급한 마음에 재점화에 집중했나 봅니다.

  • @mingtube5349
    @mingtube534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사건을 보고 굉장히 뇌리에 남아서 관련내용 찾아보는 중인데 부기장은 여자였고 여기에는 나와있지않지만 운항도중 2번이상 서로 좌석을 바꾼것도 있네요. 늙은 조종사도 있고 대담한 조종사도 있지만 늙고 대담한 조종사는 없다는 말이 생각나네요. 여러모로 패기에 무지까지 더해진 일이라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 @slowkim2548
    @slowkim2548 5 лет назад +92

    밤에 전기가 나갔으니 더 안좋았다. 랜턴 찾아서 잘 비추면서 운행했을까? 기장은 비행기 활공시키는데 집중하고 부기장은 교신하면서 체크리스트 수행했어야 하나? 저런 기장이 어떻게 면허를 땄는지 궁금하네. 고고도 실속 속도 가까운 상태에서 엔진이 멎었는데 기수를 들고 바퀴를 내리고 수평비행을 시도하다니;; 내가 조종간 잡아도 그런 짓은 안하겠다. 하긴 대형 민항기는 주기적으로 사고대응하는 강도높은 훈련 받지만 리어젯 같은거 모는 파일럿들은 그런것도 없겠지.

  • @user-ot5wk8kp6l
    @user-ot5wk8kp6l 4 года назад +3

    2004년엔 파일럿 훈련 시뮬레이터가 보급이 안됐었나요.... 왜 저런....

  • @srquqt3sur
    @srquqt3su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10club을 위해 최대고도를 올라간 것도 문제지만 그 과정에서 무리한 상승각과 상승속도를 올라갔고 고도 410에서 너무 느리게 크루징(시속280km)해서 엔진에 무리가 갔음. 또 비행기의 저속시 자동스톨방지기능을 네번이나 무시하다가 결국 엔진이 멈춰 버린 케이스. 저 사고후 항공사는 저기종의 최대고도를 370으로 낮췄음.

  • @HoyaS2
    @HoyaS2 3 года назад +20

    잘 몰라서 그러는데, 엔진이 꺼진 비행기가 4만피트에서 지상까지 어떻게 저렇게 오래버틸수있나요?

    • @user-ql6ic1pz7p
      @user-ql6ic1pz7p 2 года назад +21

      충분한 속도와 고도가 확보되면 글라이더도 아무런 동력없이 천천히 활공하면서 내려오죠 비행기도 똑같아요.
      기수를 들어올리고 랜딩기어 내리고 하는 행동만 안했어도 더 오래 버텼을거에요.
      공항까지 가기 충분할 정도로요

    • @mingtube5349
      @mingtube534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관성의법칙이져

  • @elloise2698
    @elloise2698 3 года назад +3

    실속일때 기수를 내려 하강률을 높여 실속을 회복해야한다는 댓글이 있던데 그럼 어느정도 하강해서 그 속에 맞는 고도에 오면 다시 엔진이 점화되기때문인가요??

    • @blindside.
      @blindside. 2 года назад +2

      비행할수 있는 추력이 실속과 반대되는 말입니다 금속 덩어리가 날아갈려면 어느정도 속도는 있어야 합니다 아니면 추락으로 이어지니까요 시동 걸고 안걸고를 떠나 비행기는 실속 하는순간 추락합니다

  • @hss4699
    @hss4699 3 года назад +2

    표지등 보였을 정도면 atc에 미리 사실 고백하고 기어 안 내리고 고도 천천히 내렸으면 착륙 가능했겠는데

  • @SW-eg2ui
    @SW-eg2ui 3 года назад

    마지막브금이 너무슬퍼요

  • @user-kb9ke4if5u
    @user-kb9ke4if5u 5 лет назад +86

    이제 고쳤는데 걍 다 부셔 버리네

  • @letih2338
    @letih2338 3 года назад +1

    더 높이갔네..천국으로;;정말 무모..

  • @Slava_Ukraini_791
    @Slava_Ukraini_791 4 года назад +4

    엔진이 다 꺼져버렸는데.. 왜 기수를 올리고, 랜딩 기어를 내리는거야?
    실속을 원하나? 어떻게 이런 판단을 하지;;;

  • @avdabc2057
    @avdabc2057 4 года назад +5

    오히려 이런사건이있었기에 다시는 멍청한사고가 안나오는거라고생각한다

  • @Hakarang0303
    @Hakarang0303 5 лет назад +1

    최근에 관련영상보다가 이 체널을 알게되어서 몇개 본 항알못입니다. 엔진꺼진거 외에 뭐가 잘못된 인재인가요? 엔진 두개 꺼진건 기계결함이고, 내용상 관제사에게 기장과 부기장이 엔진 한 개 꺼졌다고 알린 것 외엔 어떤부분이 잘 못 된 것인지 모르겠어요.

    • @user-zw1ze5vj2q
      @user-zw1ze5vj2q 4 года назад +3

      저도 항알못이지만 기계결함은아니고
      그 비행기 기종마다 고도한계가 있대요 저 비행기 기종은 3만7천피트까지 올라가도록 되어있는데 저 기장이랑 부기장은 그 한계 깨보려고 4만1000피트?를 무리하게 더 올라가서 뭐 어디에 산소공급인지 아무튼 기체에 무리가 생겨서 엔진이 다 꺼진거래요 그런데 저 상황에서 고도만 더 내려왔어도 무사히 착륙은 할 수 있었는데 기장 과 부기장이 초짜들이라...ㅋㅋ (저도 자세히는 모릅니당)

    • @Drunk_drip_light
      @Drunk_drip_ligh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zw1ze5vj2q과열로 꺼짐

  • @user-fl5mc1kc5v
    @user-fl5mc1kc5v 3 года назад +1

    비알못이라 질문 드립니다 혹시나 공항에 착륙하기 전 상황까지 잘 갔다면, 양쪽 엔진이 꺼진 상황이므로 착륙기회도 1트밖에 없던거죠??

    • @Starry_Eyes_Pilot
      @Starry_Eyes_Pilot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보통 양쪽 엔진이 fail 된 경우, 비상착륙을 할 때에는 단 한 번의 착륙 기회 밖에 없습니다. 동력이 없으니깐요

  • @adlibbox
    @adlibbox 5 лет назад +34

    마지막 멘트
    “이 사건은 조종사가 비행기를 추락시키기 위해 얼마나 많은 것을 잘못해야 하는가 교훈을 남겼습니다”

  • @user-xr3gg9qy8q
    @user-xr3gg9qy8q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잘봤어요. 혹시 기수를 올리는 파일럿의 심리가 뭔지 짐작 가시는 분 있나요? 충돌하면 위험하다는 생각에 본능적으로 든 걸까요?
    아니면 빠르게 하강하면서 속도를 올리려면 관제탑에 상황을 다 얘기해야하니… 최대한 고도 유지하고싶었던걸까요? 왜 그랬을까요

  • @user-dc9kz9do7q
    @user-dc9kz9do7q 5 лет назад +33

    제가 완전 알못이어서 그런데 욕하지말고 아시는분 답글 부탁드려요! 엔진이 꺼졌다고 다이빙하듯 바로 밑으로 푹 꺼지는게 아닌거죠? 왜인가요 유선형이라 높은곳에서부터 기류를 타고 서서히 내려오게되는건가요...?신기하네요...

    • @Son_99
      @Son_99 5 лет назад +8

      엔진이 꺼졌다고 바로 속도가 0이 되는건 아니니까요ㅎ

    • @warmwinter1
      @warmwinter1 5 лет назад +3

      자전거에서 페달을 밟다가 멈추면 계속 가는거 (관성이었나?)같은거일걸요 아님 ㅈㅅ

    • @Kiu_Studio
      @Kiu_Studio 4 года назад +61

      높은곳에서 종이비행기 던지면 엔진이 없어도 비행기 날개의 양력때문에 바람을 타고 서서히 내려오는데 항공기 날개가 양력이 좋기때문에 보잉777같은경우에는 42000피트정도면 김포에서 김해정도는 엔진없이 양력타고 갈수있을정도입니다.

    • @iudlwlrma32
      @iudlwlrma32 4 года назад +3

      날지못하는 치킨이 날개피고 옥상에서 활강하는거랑 같습니다

    • @Reveryzhere
      @Reveryzhere 4 года назад +2

      @@Kiu_Studio 대박신기

  • @CaptainKog
    @CaptainKog 4 года назад +9

    에어프랑스 447편 사고에서도 부기장이 계속 기수를 들어 올려서 실속을 유발했다고 했었는데..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자신도 모르게 기수를 올리게 되는 것일까요? 안타깝네요

    • @mingtube5349
      @mingtube534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러게요 저희같은 일반인들이야 이런걸로 보고듣고하니까 실속상태에서는 기수당기는게 더위험하다고 대충 알고나있는거지.. 저분들은 교육도 더 전문적으로 배웠을텐데 왜 저런 선택을 할까요.. 자기스스로 꼬라박는 형태같아서 기수를 드는건지..저도 궁금..

  • @Her-mes
    @Her-mes 5 лет назад +4

    이해가 안가는것중하나가 기체 제원에 나와있는 최고고도에서 잠깐 머물렀다고 엔진이 나갔는데, 정상적인 공학도라면 여유제원을 남기고 설정했을텐데 항공쪽은 아닌가보네요 안전에 직결되는 제원인데...다른분야에서 바라보니 부실하기 그지없네요...

    • @docu9min
      @docu9min  5 лет назад +9

      오해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410고도로 가기 위해, 극단적으로 기체를 몰아 붙였습니다. 엔진내 온도가 600도 까지 올라갔죠. 급격히 냉각되면서 상황이 나빠집니다. 그 다음 과정에서 현명하지 않은 방법을 택했습니다. 충분한 속도를 얻어 엔진을 재가동하거나, 고도를 확보하여 공항까지 이동하는 방법이 있었겠지요. 어지간한 공항까지 갈 수 있었을 겁니다. 기어를 내려 저항을 얻어 속도도 못내고, 공항으로 이동할 생각은 하지 않았던 겁니다. 이중 삼중으로 된 안전장치는 있었습니다. 비상전원이나 APU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작동시키지 못했죠.

    • @Her-mes
      @Her-mes 5 лет назад +1

      내용보면 고고도인 2만피트정도에서 300마일 500km가 넘는속도에서 재시도하고, 13000~11000에서 170노트에서 다시한번 재시도한걸로 나오는데 제가알고있는 제트엔진지식으론 속도는 충분한걸로 보여서요...고고도에서 산소부족으로 재점화시스템이 어떤식으로 만들어졌는지는 모르겠지만...속도 문제라면 좀 이해가 가지않네요

    • @Her-mes
      @Her-mes 5 лет назад +1

      @@docu9min 사실상 저 기종의 엔진의 한계선을 초과한걸로인한 문제가 더 커보여요. 실제론(제원상) 초과하지않았다는게 제 눈에는 더 큰 문제로 보이네요... 고도고에서 그 제트엔진이 가진 피로한계점을 넘었다면 물리학적으로 화염폭발만 안일어났다뿐이지 엔진은 폭발한것과 다름없거든요. 만약 그런상태라면 엔진은 무슨수를써도 복구불가하고, 해당영상은 그런 사례같아서요...아마도 고고도에서 무동력상태에서 파일럿이 메뉴얼을 잘못한거죠?
      보조동력장치로 관제랑 통신도하고 하던데 어이없게 불시착하는게 안탑깝기도하고 이상하기도 하네요.
      야간에 무동력착륙이 어느정도 난이도인지 전혀 감이 안잡히네요.

    • @bf-1109
      @bf-1109 5 лет назад +4

      @@Her-mes 야간에 무동력착륙이 얼마나 어려운지 비유해드리자면 님이 안대를쓰고 자동차로 시속 300km 폭주하면서 드리프트 하는거 생각하시면 됨.
      그리고 엔진의 한계제원을 넘지 않더라도 공기 희박한 고고도에서 믹스쳐 변환으로 인한 연료혼합비도 한계치까지 밀어붙이고 고출력을 유지하면 어느나라 며느리가 와도 엔진작살남.

    • @user-hs9ie2sy6b
      @user-hs9ie2sy6b 5 лет назад +1

      @@Her-mes 저 조종사도 말했자나요ㅡㅡ 어디까지나 최고고도고 도달할순있어도 머물순 없다고

  • @ozphantom5981
    @ozphantom5981 5 лет назад +15

    랜딩기어는 왜 고고도에서 내린거죠???both ENG fail이면 HYD도 제한 많이 받았을텐데...
    APU 온시키는것도 좀 늦은것같고..
    통상 엔진 재시동이 개런티되는 고도가 30000ft이나
    이는 말 그대로 개런티이고, 그 이상의 고도에서 꺼졌을때 시도는 하는게 맞는데..왜 재시동을 한번만해보는지도 좀 이해가 안되네요. 하긴 이해되면 사고가 안날테니...
    RIP...

    • @user-em6wd2zm7s
      @user-em6wd2zm7s 5 лет назад +5

      하강 속도 조절을 위한거 같은데.. 스포일러를 쓰지도 않은갑네요.. 결국엔 재시동 한다고 서둘러 내려오다가 고도도 부족하고..

    • @user-qb2mb9dh3o
      @user-qb2mb9dh3o 5 лет назад +1

      다른 자료 에서 보니 저 apu는 30000ft이하에서 시동작한다네요(지상부터 계속 켜고 올라간다면 37000ft까지는 작동한다고합니다) . 엔진점화시도도 계속하고 있었다고 하네요. apu 이용한 시동도 총4회 했다는 기록이 있다네요

  • @febesty
    @febesty 2 месяца назад

    여기서 이유는 안알려주는데 엔진 블레이드가 한계치 이상으로 사용하여 녹아내려서 붙어버렸다고 들은듯하네요

  • @owalldal
    @owalldal 2 года назад +2

    그래도 결국 사망자는 없던건가요?? 어찌보면 이것도 천운이네요..

  • @user-vq6fv6pv9x
    @user-vq6fv6pv9x 3 года назад +7

    비행기를 추락시킬수있는 모든방법을 동원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