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서연고)도 싫다...대학 자퇴생 급증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1 тыс.

  • @Jtvnews2021
    @Jtvnews2021  2 года назад +18

    댓글 1천개 돌파!!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 세계 3대 평가기관 대학 순위,
    3대 평가기관의 평균 순위? 아래 클릭.
    ruclips.net/video/I0BtAB3vhmE/видео.html

  • @yonytube119
    @yonytube119 2 года назад +451

    대학 다녀보면 세상은 급변하는데 대학커리큘럼은 과거에 머물러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계속 다니는 이유는 그래도 사회적 인식이나 부모님 눈치에 대학은 나와야겠다는 생각이 강하죠.

    • @user-yn6se3mr97
      @user-yn6se3mr97 2 года назад +51

      커리큘럼은 구린데 등록금은 비싸고ㅋㅋ 진짜 이 말이 맞음 세상 돌아가는 속도에 대학 수업이 반의반도 못 따라감 더군다나 사회는 가면 갈수록 실력위주인데

    • @kimk0910
      @kimk0910 2 года назад +9

      지역사회에 맞춰서 대학이 지원해주고 같이 더불어 성장해야하는데 따라가지를 못함 맨날 그자리 그대로 ㅋㅋ

    • @고요한명상
      @고요한명상 2 года назад +12

      나도 나오기 싫었는데 엄마 년이 대학은 졸업해야 한데...말이 안 통함 ㅇㅇ

    • @yonytube119
      @yonytube119 2 года назад +14

      @@고요한명상 어디 모임 가거나 친척들 만났을때 우리애 어디 대학다닌다고 얘기해야 안쪽팔려서 그럼

    • @yama-e7h
      @yama-e7h 2 года назад +6

      솔직히 초중고도 친구들과의 교류? 우정쌓기 이외에 공부를 하기 위해? 다닐 필요가 있을까 싶음. 그래서 홈스쿨링이 늘어나는거고

  • @YBN3927
    @YBN3927 2 года назад +200

    대학도 변해야 한다 쓸데없는걸 너무 많이 가르치고 교수들은 또라이들이 너무 많고 학비는 드럽게 비싸다

    • @데굴데굴-e8t
      @데굴데굴-e8t 2 года назад +2

      학비가 비싸다는건 진짜 개소린데.. 싸기로 유명한 독일 다음으로 싼게 우리나란데 ㅋㅋ.. 미국 가면 좋은 대학은 연 1억 넘음

    • @홍진기-u7n
      @홍진기-u7n 2 года назад +15

      @@데굴데굴-e8t 머라는거야 그기준을 왜보는데요 ㅋㅋㅋ

    • @hundoshi7
      @hundoshi7 2 года назад +1

      변하는게 아니고 출생아가 없어서 사라지는 중
      30년후 국민평균연령 60세. 출생아 7만 예상
      그때쯤이면 대학이 아무 의미 없을듯. 아니 몇개 남지도 않을듯

    • @ryudayil1004
      @ryudayil1004 2 года назад +4

      변하는건 대학이 아니라 4년간 5천만원 이상 들여서 어렵게 졸업해봤자 대기업 취업률 5프로도 안되는 나머지 95프로는 중소기업행인걸 알면서도 그래도 대학은 가야지 타령 하는 사람들이 변해야지.. 굳이 교육청 사학재단들의 언플에 놀아 나고 싶다면 말릴 생각은 없지만 공부도 결국 적성일 뿐이고 공부가 적성인 상위 5프로 안에 사람들의 들러리를 위해 언플선동에 놀아나는것 만큼은 신중하게 한번쯤 생각해 봐라. 공부가 적성이 아니라고 판단이 서면 분위기에 휩쓰려 그래도 대학은 가야지 타령 말고 과감하게 본인에게 맞는 적성을 찾도록 노력이라도 함 해보던가~

    • @신원호-v3k
      @신원호-v3k 2 года назад +3

      @@데굴데굴-e8t 국내기준에서 봐야하는겁니다 그리고 몇천씩 하는게 맞냐
      사회에 나오지도 못한 학생들한태 그렇게 받아 간다는게 시스템이 존나 잘못된거지

  • @wesdfss
    @wesdfss 2 года назад +80

    자퇴도 큰 용기가 필요함. 나도 수없이 자퇴 생각했지만 지금까지 다닌 게 아까워서 계속 다니는 중. 졸업장 따도 뭘 할지는 모르겠음.

    • @촉촉-s3s
      @촉촉-s3s 2 года назад +2

      노답이네 남자면 27살인데 ㅋㅋ

    • @2O20
      @2O20 2 года назад +19

      @@촉촉-s3s 대부분의 사람이 그럼 남보고 노답이라고 하는 니 인생도 그리 좋은건 아닐듯 ㅋㅋ

    • @user-애플마카롱
      @user-애플마카롱 2 года назад +1

      @@손광현-p6u 용기가 대단하시네요 멋져요 👍 저는 그런거 못할거같아요

    • @성이름-w7l
      @성이름-w7l 2 года назад

      @@손광현-p6u 기능배우지 4년제 지잡문과도 힘든데 전문대면...

    • @TAKGUYAKI
      @TAKGUYAKI 2 года назад

      공단기, 에듀윌이 이제 대학교나 똑같음 ㄷㄷㄷ

  • @성찰-o7e
    @성찰-o7e 2 года назад +74

    정확하게 분석했군요.
    지방대는 인서울때문에
    인서울해서는 명문대때문에
    명문대생은 의대때문에...

    • @yaboonge
      @yaboonge 2 года назад +24

      지방의대는 또 인서울의대 가기위해 반수하더라ㅋㅋ 독한놈들

    • @aptory
      @aptory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리고 최정점인 서울대 의대를 가면 모두가 만족하죠. 당장 타 대학은 충원합격이 적지만 무조건 도는데 반해, 서울대는 충원합격이 없고 최초합만 있으니.....

  • @jibang._.2
    @jibang._.2 2 года назад +49

    이중 약대 편입도 상당수라고 생각함. 나도 약대 올려고 자퇴했고 ..전국 약대생만해도 일년에 몇백 또는 몇천명 아닌가...;;내년부터는 피트 없어지니까 좀 덜해지지 않을까

    • @din_ddo
      @din_ddo 2 года назад

      편입도 자퇴로 치나요..? 저희 의대 편입 동기들은 졸업하고 온거 같던데

    • @흐하하후
      @흐하하후 2 года назад +2

      내년부터 피트 없어지면서 약대 편입이 더 많이 늘어나서 심해질 거 같아요

    • @흐하하후
      @흐하하후 2 года назад +2

      @@din_ddo 졸업하고 올 수 도 있습니다 그대신 학사편입, 일반편입 마다 달라요 80학점으로 일반편입이면 자퇴가 맞고 140학점 이수로 졸업 하면서 학사편입 할 수도 있어서 개인차 입니다

    • @user-o8jf68ut6g3g
      @user-o8jf68ut6g3g 2 года назад

      어디약대세요?

    • @린이-n7h
      @린이-n7h 2 года назад +6

      약사도 별로 워라벨 안좋아요..
      원장이 사장이라 원장이 옮겨버리면 밥줄 끊겨버리는거고..
      원장이 요구한대로 약만 순서대로 돌려놓고 밀봉하는 직업입니다..
      전공을 왜 배워야했나 회의감이 들고
      매일 서서 있어야하는데 별로 행복하지 않아요.
      전공을 사용할려면 약사협회나 연구소를 가셔야 합니다.
      그리고 약국 개원할때 건물세 다 자부담이라 부담도 크고..
      원장이 슈퍼갑이라서 병원 옮긴다하면 울며겨자먹기로 같이 옮겨가야하고 개인 약국만 차려서는 안정적인 수입이 안나와요..😥

  • @Lee-hzim
    @Lee-hzim 2 года назад +7

    유튜브 전문 뉴스도 시대의 패러다임에 맞는 프로그램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파이팅입니다!!!

  • @Napoleon-p3l
    @Napoleon-p3l 2 года назад +57

    지거국 문과도 대부분 입학할 때부터 공무원시험 준비하던데..빠르면 3~4학년 때 붙어서 자퇴하거나 졸업유예하고 늦어지면 졸업 후에도 몇 년씩 준비하는 사람들 수두룩하다. 이럴꺼면 굳이 대학을 나올 필요가 있을까싶다.

    • @익명-v7t7i
      @익명-v7t7i 2 года назад +4

      겅무원 안에서도 학력차별있어서 걍 디폴트값임. 공직하면서 대학원 가는사람도 많아요 ㅋ 승진 점수 주거든요. 직렬따라 다르겠지만 법무부 쪽은 대학원 거의감.

    • @ktu1544
      @ktu1544 2 года назад +7

      이른 나이에 공뭔 되는 것도 사실 인생이 아까움....

    • @Napoleon-p3l
      @Napoleon-p3l 2 года назад +3

      @@ktu1544 맞아요. 돈을 빨리버는 대신 그 나이에 경험 해볼 수 있는 것들을 많이 놓치는 경우가 있지요. 조직에 빨리 들어온만큼 스스로 빨리 나갑니다.

    • @omogarikimchi8181
      @omogarikimchi8181 2 года назад +5

      같은 논리로 수능봐서 대학 갈 거면 고1때 고등학교 바로 자퇴해버리고 학교에서 수업듣고 내신 딸 시간에 수능공부하면 되겠죠.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않듯 20살에 공무원 되어서 4년 돈 더 일찍 벌기 시작한다고 그게 딱히 부러울 일은 아닌거 같습니다. 남들은 대학 경험할 나이에 민원대 앉아서 월 170만원 더 받는다고 인생이 뭘 그리 더 풍족해질까요.

    • @kyung9270
      @kyung9270 2 года назад +7

      @@ktu1544 이거지.. 무슨 인생을 돈만 보고 사나.. 남들 다가는 대학 굳이 안 갈 이유는 없음 20대 초반이 얼마나 소중한데

  • @aa-ut8id
    @aa-ut8id 2 года назад +38

    나도 자퇴했는데 편입함. 애초에 저 자퇴생 90%는 재수, 반수, 편입 등으로 다른 대학으로 옮겨서 자퇴하는거임. 자퇴생 막으려면 재수하는 풍조를 막아야 되는데 갈수록 대학 서열 따지려고 생지랄을 하는데 없어지긴 커녕....대학 평준화 하지 않는 이상 자퇴생은 필연임.

    • @AAWW40
      @AAWW40 2 года назад

      남자는 재수박고 군대 다녀오고 졸업하면 벌써 20대 후반임 이나라는 미래가 없다

    • @채플린-c8j
      @채플린-c8j 2 года назад

      대학 평준화? 말이 안되는 .실력안되연 일치감치 기술을 익히는게 나아요 포크레일 월 1000만원. 받아요

    • @TheGgb0511
      @TheGgb0511 2 года назад

      @@tdtdlsqs21대학 좌퇴해도 2학년 이상 수료하고 자퇴하면 편입가능함.
      또는 학점은행제로 전문학사따면 일반편입 지원가능함

    • @aa-ut8id
      @aa-ut8id 2 года назад

      @@tdtdlsqs21 편입 붙고 자퇴요

  • @국악사랑
    @국악사랑 2 года назад +28

    자퇴를 하지만 결국 더 높은 대학이나 의대를 가기 위한 길이네요.. 결국 서울 주요 대학이나 스카이는 갈수록 가기 힘들어지는 현실..

    • @skysky-fy1to
      @skysky-fy1to 2 года назад +1

      빙고

    • @김진근-s4r
      @김진근-s4r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닌데요. 학령인구 감소하고 의대증원되어 더 가기 쉬워지고 있어요

  • @조홍균-r8b
    @조홍균-r8b 2 года назад +19

    정말 그렇습니다. 저의 친척도 다니던 서울공대 자퇴하고 다시 시험봐서 카톨릭의대 가더라고요. 졸업후 전망을 봐서 그런거지요.

    • @sjh6522
      @sjh6522 2 года назад +5

      와 설공 자퇴 후 또 수능 보셔서 카대 의대 들어가신 건가요? 정말ㄷㄷ

  • @임은효-s6x
    @임은효-s6x 2 года назад +53

    지역사회의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에 방황하는 지역 대학생들을 투입 시킬 기회를 열어주면 다시 학교로 돌아가서 뭘 해야할지 알 것 같습니다.

  • @AweSome-qq3tt
    @AweSome-qq3tt 2 года назад +183

    이제 “그래도 대학은 나와야지” 없어젔으면 좋겠다.. 그냥 각자 특기 혹은 이점을 기준으로 특화하는 분위기였으면 좋겠음

    • @brownrabbit99
      @brownrabbit99 2 года назад +13

      @상윤 인서울 가면 뭐하는데? sky애들 들러리 서는 거 밖에 더하나ㅋㅋ 차라리 지거국에서 지역인재 전형으로 공기업이나 공무원 가는게 낫지

    • @brownrabbit99
      @brownrabbit99 2 года назад +2

      @상윤 인서울=스카이 들러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님 너네 다 속고 있는거ㅋㅋ

    • @brownrabbit99
      @brownrabbit99 2 года назад +1

      @상윤 사립이면 등록금만 몇천깨질텐데 들러리 서려고 시간이랑 돈 버린다고? 뭐 지들 인생이니 알아서 하겠지ㅋㅋ

    • @Iaaan674
      @Iaaan674 2 года назад +7

      고졸로도 무시 안받고 살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함

    • @Sneak-er
      @Sneak-er 2 года назад +2

      @상윤 알고가니까 바보인거임. 알고 뽑아주고, 알고 당해주면서 "이게 현실인데 어떡해" 딱 이 마음가짐. 한마디로 지금 뭐하고 있는지 정확히 모르는 거고 받아들이고 처음부터 다시 생각하기 게을러서 미래를 위한 생각을 안하는 거임.

  • @gentlemen4070
    @gentlemen4070 2 года назад +37

    대학졸업만 했네요.
    저에게는 완전히 잃어버린 허송세월의 시간이었습니다. 차라리 안가느니만 못한 것이었습니다.
    돈 많이 벌고 행세하고 끼리끼리 해 먹기 좋은데만 몰리네요. 인구도 줄기 시작했고 솔직히 나라가 걱정됩니다.

  • @younghoonkim9199
    @younghoonkim9199 2 года назад +46

    스카이가 자퇴할 정도니, 지방대 거점대학은 더 힘들수 밖에...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까지는 거점대 학도 인기 많고, 자퇴는 거진 없었는데~

    • @김지훈-p3b3l
      @김지훈-p3b3l 2 года назад +11

      스카이 자퇴는 의치한가려고 반수하고 자퇴하는건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는만큼 보이네요...

    • @Music-u2l
      @Music-u2l 2 года назад

      @@김지훈-p3b3l ㄹㅇㅋㅋ 병신들 결국 저기 나오는 지거국 부산전북 뭐 이런 대학들도 반수해서 서울간거고 스카이 자퇴도 미쳤다고 하겠음 ㅋㅋ 서울대나 메디컬간거지 딱 아는만큼 보임ㅋ

    • @illijllillj4477
      @illijllillj4477 2 года назад +3

      요즘 스카이 들어가기 쉽습니다. 수험생도 적고 해서 90년대 중간정도 능력이라면 요즘 스카이는 거의 자동문 수준이죠. 졸업생들 수준을 봐도 알 수 있죠.

    • @mbvvxt
      @mbvvxt 2 года назад +8

      @@illijllillj4477 이번 수능 보기나 함? 댓글내역보니까 말도 안되는 소리만 하고있네

    • @lIlIlllI00
      @lIlIlllI00 2 года назад

      @@illijllillj4477 현실은 지거국 끝짜락 최하위학과도 못가고 집에서 부랄이나 벅벅 긁고있으면서 말로는 이미 서울대 경영 뺨싸대기 후리고있네 ㅋㅋ 정신차려용

  • @yonytube119
    @yonytube119 2 года назад +171

    중고등학교 때부터 대학교 가기 위한 공부를 시키는게 아니라 먹고살 기술을 가지는게 맞는거 같아요. 어중간하게 실요성 없는 학문 배우는거보다 요리나 유튜브 제작 배우는게 낫겠어요.

    • @kimk0910
      @kimk0910 2 года назад +11

      맞습니다. 기술 또한 나한태 적성이 맞는 위주로 해야 정상인데 사회란게 내 하고싶은거 계속 할 수도 없는 사회이니 결국엔 경험할 수 밖에...

    • @user-mw5un7vdx
      @user-mw5un7vdx 2 года назад +8

      맞는말ㅋ 언제까지 실용성없는 학문만 가르칠건지?? 실재 직업에 도움되는 것들을 배우게하는게 맞고 대학도 꼭 가야만 하는게 아님을 알아야한다

    • @centurionkwk
      @centurionkwk 2 года назад

      그렇죠. 맞아요.

    • @알서퍼
      @알서퍼 2 года назад +12

      실효성도 중요한데 중학교까지는 대학도 가지만 일종의 상식적인 공부죠. 대학입시공부를 위한 상식적인 공부기도 하지만 살아가는데에도 상식적인 공부기도 하다는 말입니다.
      그러고나서 기술쪽으로 생계를 위한 공부를 하고싶으면 실업계 고등학교를 가면 됩니다. 실업계 고등학교 많잖아요. 본인이 필요에 따라서 일찌감치 그런쪽으로 진로를 틀면 되지 왜 학교를 죄다 바꾸려고 하나요? 물론 시대의 흐름에 맞게 학교도 변화가 있어야겠지만 본인 생각에 기술이 중요하다고 다른사람들도 다 그렇게 생각하는건 아니니까요.
      그리고 기술도 여러 종류가 있지요. 쉽게 단기간에 배울수 있는 기술도 있지만 항공기를 만드는, 핵잠수함을 만드는 또는 미사일을 만드는 혹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드는 기술은 반드시 대학을 나와야하죠. 심지어 학부만 졸업해서도 안되고 석,박사까지 해야 가능한데 너무 본인이 생각하는 좁은 의미의 기술만 염두에 두고 교육체계를 단순하게만 바라보는군요.
      요리를 배우고 싶으면 본인이 학교를 그만두고 요리학원을 다니면 됩니다. 아니면 잘은 모르지만 요리를 가르치는 실업계 고등학교를 가거나 전문대 조리학과를 가는 방법도 있고 아예 유학을 가서 해외에 있는 '르 꼬르동 블루'같은데를 가도 되죠. 그러려면 님이 말하는 우선보기에 실효성이 없는 불어부터 배워야겠네요.
      군대조차 고등학교를 졸업한 사람부터 받습니다. 지나치게 상식이 결여된 교육만 받은 사람은 본인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겠지만 살면서 높은 확률로본인을 비롯한 많은사람들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어요.

    • @skysky-fy1to
      @skysky-fy1to 2 года назад

      서글프지만 맞는 말

  • @user-hx5ie1vd2x
    @user-hx5ie1vd2x 2 года назад +202

    사회 분위기 자체가 공부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대학가고 취업하기 위해서 공부를 한다는게 안타까운 현실이다 수능공부 하고있는애들한테 공부 왜하냐고 물어보면 다 같은 대답일것 같은데 그게 진짜 너희가 하고싶은거냔 거지 공부의 본질을 잊지말고, 진정으로 하고싶은 일에 대해서 생각하고 거기에 대해서 집중했으면 좋겠다

    • @Snowflake_tv
      @Snowflake_tv 2 года назад +2

      학문을 도야하기 위해 교수되려고 입시공부한 나... 도로묵 됐죠 ㅠ. 하고싶어도 점수가 딸리는데 어쩌겠어요.

    • @brownrabbit99
      @brownrabbit99 2 года назад +16

      저도 그거에 대해 생각해봤는데 사실 많은 젊은이들이 공부에 올인한다는게 사회적으로 봤을 때 진짜 생산성 없는 거거든요? 근데 어쩔수없죠 좋은 직업은 한정돼있고 좋은 대학도 한정돼있으니까요 결국 우리가 공부를 하는 이유는 경쟁해야하기 때문인거죠

    • @Snowflake_tv
      @Snowflake_tv 2 года назад +8

      @@brownrabbit99 근데 40대에 희망퇴직 권고하는 회사에 취직하는게 좋은 일자리인건지 잘 모르겠네요..

    • @brownrabbit99
      @brownrabbit99 2 года назад +4

      @@Snowflake_tv 저도 잘 모르겠는데 사람들이 대기업 대기업하는덴 이유가 있지 않을까 싶어요 전 그래서 공기업이나 공무원 쪽 생각중이에요

    • @Snowflake_tv
      @Snowflake_tv 2 года назад +3

      @@brownrabbit99 젤 좋은 건, 아이리버 대표처럼 삼성전자 댕기면서 기술, 영업, 기업운영 돌아가는 거 배워서 자기회사 차리는 게 최고긴 함...
      근데 대다수가 알짜배기는 1도 못배우고 대기업의 노예처럼 부려지다가 희망퇴직 이런 걸 너무 이른 40-50대에 받으니까... 그게 문제 ㅠㅠ

  • @peter12347
    @peter12347 2 года назад +11

    신입생 5명 중 1명이
    1학년 중에 자퇴함...
    학생수 감소...
    수도권 대학들 정원..지금의 반으로 안 줄이면..
    국립대 빼고..
    지방사립대는 결국 소멸......T.T

  • @살별-e6q
    @살별-e6q 2 года назад +94

    요즘 수능판 들어오는 20 30 N수생들 보면.. 대학 가는 이유 대부분이 취업이나 다른 이유보다는 의대..의사 수순 절차 목적으로 바뀐 것 같음..

    • @동동이-x7l
      @동동이-x7l 2 года назад

      +개발자

    • @terrychong
      @terrychong 2 года назад +1

      그래봐야 동네 의원이고 너나할거 없이 병원을 차리는 바람에 문 닫는 병원도 많다죠...

    • @용한돌팔이-g4z
      @용한돌팔이-g4z 2 года назад +1

      솔직히 앞으로 10년이후에는 의료서비스가 상당히 저렴해집니다.
      지금도 의사들 소수 실력있는 의사들 빼고는 전부다 기계빨 장비빨이죠..
      병고치는것도 지금처럼 약물 치료로 하는게 아니게 됩니다.
      지금의 각종 성인병 솔직히 못고치죠.. 그냥 대증요법이라고 대충 증상만 순간적으로 없애는게
      다임..
      2천년초반 즈음 기업들 글로벌 로 나갈때 MBA자격증 한참 구할때 MBA만 따고 오면
      연봉 1억 받는다고 그때 미국 등에 MBA 따러 간 사람들 끝나고 돌아오니 시장 상황이 완전
      바뀌어서 개털되었죠 ㅋㅋ
      의사들도 지금 똑같음... 길어야 10년..

    • @yunalove686
      @yunalove686 2 года назад

      +치대

    • @terrychong
      @terrychong 2 года назад

      @@vs8044 그것도 그렇죠 ㅎㅎ 근데 이제 진짜 다른건 몰라도 의료 역시 기계가 잘 나오기 시작하면 조만간은 그 기계를 다룰줄 아는 직종이 각광받지 않을까 싶어요. 시대에 흐름에 따라서 말이죠 ㅎㅎ 물론 저 할아버지될때까진 의료산업은 망할 일 없을거 같지만요
      (내년 30)

  • @니가사는그집-u5f
    @니가사는그집-u5f 2 года назад +11

    대학을 가는 궁극적인 목적이 배움과 취업인데 몇년째 피부로 와닿는것도 없고 밖에 나가보면 졸업전공과 무관한 일을 하는 사람들이 한 트럭이니까 현타가 올 수 밖에. 존버한 학생들도 이제는 대학을 뭐 배우러 다닌다기보단 자소서에 모대학 졸업 한줄 쓰려고 가는게 현실인듯.

  • @다좋아요
    @다좋아요 2 года назад +157

    좋은 현상임. 대학은 필요에 의해서 가야지 분위기에 의해서 가면 안됨. 지금까지는 너무 분위기에 의해서 가는 상황이었지

    • @yongbin4701
      @yongbin4701 2 года назад +28

      자퇴하는 이유가 대부분은 더 좋은 대학 가려고 재수하는거에요..
      절대 좋은 현상이 아닙니다

    • @hyoung2951
      @hyoung2951 2 года назад

      나도 이번에 편입 붙으면 개같은 지잡대 바로 자퇴 때릴꺼임

    • @yongbin4701
      @yongbin4701 2 года назад +6

      @@user-ew5yt4ed7m 노동인력 손실

    • @skysky-fy1to
      @skysky-fy1to 2 года назад +2

      간판보다는 학과

    • @user-skenruwowkwjwueoek
      @user-skenruwowkwjwueoek 2 года назад +4

      답답해 ㅎㅎㅎ 의치약한수 가려고 재수반수 하는거잖아요!!!

  • @연광희
    @연광희 2 года назад +234

    나이 38살인데 여지것 살면서 느낀건 4년제 대학 나온다고 많은걸 배우지 않는다 인데요. 사회생활을 하면서 느낀건 그래도 4년제 졸업장은 필요하다 입니다. 대부분 회사에서 4년제와 전문대와 고졸과 진급이다르고 연봉이 다릅니다. 대학교 다니는게 필요한게아니라 졸업장은 꼭 필요 합니다.
    실제 실무 4년차 고졸과 1년차 대졸이 있어서 고졸이 일을 훨씬 잘해도 연봉은 대졸이 더 높고 진급도 대졸이 더 빨리하는게 현실이죠..

    • @강화-w1x
      @강화-w1x 2 года назад +13

      업계에따라다른듯 예체능쪽은안그럼 4년제든 고졸이든 밤세면서 일하고 더잘한사람이 더가져감 ..ㅋㅋ 하지만 마감때 야근숨쉬듯이함ㅋㅋ

    • @정승환-r7u
      @정승환-r7u 2 года назад +44

      이분 말이 ㄹㅇ 맞는게 그래도 졸업장은 필요하다라는거임

    • @김지훈-p3b3l
      @김지훈-p3b3l 2 года назад +13

      빨리 졸업해서 졸업장따고 취업하는게 중요하긴하죠. 근데... 전문직 학과는 그딴거 다 알빠노에요 ㅋㅋ
      "의치한수약"

    • @grace-tx6pi
      @grace-tx6pi 2 года назад +33

      나이50입니다.
      사회생활25년차입니다.
      님은 4년제 대학 나온사람이니 많은걸 배웠다생각 않하시는데 배운걸 다 활용하고 살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드실수 있어요.
      대학갈준비 기간인 고등과 대학4년간의 노력. 인내. 선생님들말씀 경청.과제수행 .
      비용. 시간맞춘 통학등등 이 4년제 나온 사람을 만드는겁니다.
      고졸자.전문대졸자. 대졸자. 대학원졸업자.
      사회생활할때 대체적으로 다 다릅니다.
      사회에선 통념적으로 받아들이고 대우합니다. 당연한겁니다.

    • @user-yn6se3mr97
      @user-yn6se3mr97 2 года назад +9

      이 말이 맞긴한데 앞으로의 세상에선 안 맞을 수도 있음.

  • @슈퍼-s5u
    @슈퍼-s5u 2 года назад +431

    전북대 영문과 자퇴생으로서 말해보자면 내가 지금 뭘 배우는 건지 여기서 내가 미래가 있는 건지 바로 생각이 들고 답이 나옵니다.

    • @해성-g3s
      @해성-g3s 2 года назад +9

      답이 뭐였나요?

    • @HH-rh3ov
      @HH-rh3ov 2 года назад +7

      자퇴 후 재수 하셨나요? 어디로 가셨나요?

    • @roses2029
      @roses2029 2 года назад +34

      문과는 당연히 그렇죠

    • @더폴스
      @더폴스 2 года назад +15

      문과는 어디든 그럼ㅋㅋ

    • @더폴스
      @더폴스 2 года назад +4

      @ᄋᄋ ㅋㅋㅋㅋㅋㅋ 님 어디 다니는데요ㅋㅋ?

  • @JK-zr3ch
    @JK-zr3ch 2 года назад +8

    캐나다 대학다닐때 진짜 대부분 하고 싶은 일이 있어서 다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음. 그만큼 학생들에게도 연구 실험 실습할 수 있는 지원도 많이하고, 대학을 다니지 않는 사람들은 돈을 어떻게 쓰느냐는 각 다르지만 전문자격증따서 일하며 돈많이 범. 제 친구중엔 존나 높은 크레인 아버지랑 같이 하는데 한달에 2천-3천 번다고 했을때 공부도 공부지만 돈과 명예와 주변 시선이 목적이이었던 본인은 씨게 현타옴 아무리 일해도 월2천은 못따라감

  • @The_White_Madrid
    @The_White_Madrid 2 года назад +9

    결국 저들의 대부분은 반수 혹은 재수를 할거고
    경쟁에서 밀리면 또 다시 대학에는 입학하나
    만족하지 못한다면 다시 이런 악순환이 반복될 것인데….

  • @피기통판기특이송현선
    @피기통판기특이송현선 2 года назад +54

    지방사립 4년제 나왔는데 돈이랑 시간이 아깝다... 전역하고 바로 공부했으면 몇년 빨리 취업할수 있었는데...

    • @yaboonge
      @yaboonge 2 года назад +4

      지잡간 본인 잘못이지ㅋㅋ

    • @호두-p6q
      @호두-p6q 2 года назад +1

      @@yaboonge ㄹㅇ ㅋㅋ 지잡 가놓고서 뭔 돈이랑 시간 아깝다 ㅇㅈㄹ ㅋㅋ 인서울 최하위권인 한서삼만 돼도 학비 안 아까운 인프라나 경력 쌓을 수 있는 게 팩트인데 지가 고등학생 때 공부 뒤지게 안 해놓고 지잡가선 이지랄 하는 게 코미디임 ㅋㅋ

  • @익명-v7t7i
    @익명-v7t7i 2 года назад +11

    저거 자퇴하는거 반수때문에 하는거임 오해 하지마세요 ㅋㅋㅋ... 스카이 자퇴도 의대때매 하는겁니다. 취업하려구요

  • @정연웅-y3q
    @정연웅-y3q 2 года назад +76

    대학교너무많다 대학교수줄여야한다
    저출산인데 솔직히 대학교나와서 취업안되면기술배우는게 답이라고생각함
    나오서 빚쟁이되고 취업도안돼고

  • @onde29
    @onde29 2 года назад +6

    사람마다 다르죠 각자 맞는 길이 있습니다
    저는 특성화 다녔구요 내신 열심히 챙기고 고3 때부터 취업 준비 시작해서 제 전공, 꿈 살려서 고3에 대기업 취업했는데 저랑 적성도 맞고 회사 분위기도 저랑 맞아서 아직까지도 잘 다니는 중입니다. 일 다니면서 학교 다닐 때보다 더 사람이 활기차지더라구요 월급도 고등학생 때부터 받았는데 주변 사람들이 고등학생 신입인데도 생각보다 더 많이 받는다고 잘 갔다고 해줬습니다.(또 고등학생 때부터 취업하면 정부에서 지원금도 주니 돈 열심히 모을 수 있었습니다)
    계속해서 열심히 일하다가 재직자전형으로 인서울 대학 졸업장까지 따는 게 목표이구요 ㅎㅎ 회사는 그만두지 않고 야간대로 일주일에 2~3번이나 주말에 등교할 수 있다고 하네요

  • @filgrim79
    @filgrim79 2 года назад +19

    최소 4년의 재학기간 그리고 연평균 5~7백만원의 대학등록금을 내도 그만큼 좋은 직장이나 직업을 구하기 힘든데 굳이 그 대학을 계속 다니거나 입학할 이유가 없죠.

    • @JH-ek5bn
      @JH-ek5bn 2 года назад

      하지만 대학도 안나오면 구하기는 커녕 바라보기조차 힘든거 아닌가요?
      대학으로 인서울로 sky로 의대로 점점 올라가는 이유가 다 있죠

  • @황현석-b4i
    @황현석-b4i 2 года назад +28

    대학 나와도 백수가 되는 현실이 허다한데 뭐하러 그 비싼 등록금을 내고 다닙니까? 그러니 자퇴생이 많죠.

  • @박사-q5y
    @박사-q5y 2 года назад +7

    이건 큰 문제라고 생각이듭니다.
    사실 저 지표는 사실상
    지역 선호도하고 직결된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젊은 인재들이 서울에만 몰리는 현상이 지속되고 심해진다면 서울과 타 지역간의 격차는 계속 커져만갈것입니다.
    학생들한테서 지방의 이미지가 내가 그곳에 가면 도태 되는것으로 인식 된지는 사교육시장에서 "인서울"이라는말이 나올때부터 시작되었다고 봅니다. 우리는 이러한 인식을 벗기는데 노력을 해야하고 그 인식을 벗겨낼만큼 근거를 제시해야합니다.

  • @yama-e7h
    @yama-e7h 2 года назад +14

    대학도 굳이 필요없다 내가 배우고싶고 그런직업을 갖기위한 공부를 꼭 해야만할때 배울수있는 학교로 바뀌어야한다. 미래사회에는 학교의 방향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빨리 캐치하고 발빠르게 변화시켜야 더 발전된 대한민국이 될것이다. 살인적인 사교육비, 쓰잘데기없는 과목들, 미래엔 무쓸모인 지식들 다
    갈아엎어야 한다. 그래야 교육이살고 학생 학부모가 살고 우리나라가 산다. 외국과의 교육교류도 지금보다 훨씬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 @설비기술자
    @설비기술자 2 года назад +9

    취업에 관련된 실무중심 의 과를 만들어서 정예화 하는것도 대학/대학교도 너무많아서~~ 4년제 졸업해도 실업자에 등록금 대출금 갚는다고 허리척추뼈 휘어집니다ㅠㅠㅠ

    • @송명준-i6l
      @송명준-i6l 2 года назад

      그런거 만들면 전문대화된다고 지랄하는게 현실임ㅋㅋㅋ
      명지대가 지금 명전이랑 통합하면서 실무중심의 과 만들려고하니까 재학생들이 전문대화된다 지랄하면서 반대하는게 현실

  • @당백호
    @당백호 2 года назад +27

    대학 돈 아깝지 예전처럼 학벌 하나로 순탄한 인생이 보장되는 시대도 아니고
    그에 비해 너무 양심없이 비싸

    • @후아유-m5b
      @후아유-m5b 2 года назад +4

      한국 대학 엄청 싼편인데;;; 도대체 대학 비싸다고 하는 사람들 이해가 안됨.

    • @jeter293
      @jeter293 2 года назад +3

      대졸 인생 보장 받는 시대는
      지금의 55~60세 연령대

  • @징징이-h7p
    @징징이-h7p 2 года назад +10

    자식들은 공부열심히했는데 부모가 대학 등록금도 못 내주면 진짜 아무의미없음 특히 멀리있는 대학교면 기숙사나 자취해야되는데 거기가서4년동안쓰는돈은 애들이 어디서 구하냐고

  • @SDB-u4j
    @SDB-u4j 2 года назад +28

    좋은현상이다

  • @berrymerry8061
    @berrymerry8061 2 года назад +82

    유튜브가 대학이라 대학보다 더 잘 가르친다는게 함정

    • @Lilycole.Supermodel
      @Lilycole.Supermodel 2 года назад +14

      저하고 같은생각을 코로나 원격수업보니 유튜브 보다 못하더군요

    • @호잇-w7p
      @호잇-w7p 2 года назад +12

      ㅇㅈ ㅋㅋㅋ 나도 공업수학 유튜브로 공부함
      솔루션 하고

    • @송명준-i6l
      @송명준-i6l 2 года назад +5

      유튜브에서 전공과목을 어케 가르침 ㅋㅋㅋㅋㅋ 개웃기네 ㅋㅋ

    • @omogarikimchi8181
      @omogarikimchi8181 2 года назад +1

      아 ㅋㅋ 쓸모 없는 과가 전공이니까 유튜브가 대학보다 잘 가르친다고 느끼나보지 ㅋㅋ

    • @leehan5398
      @leehan5398 2 года назад +7

      위에 두명 계약직 강사인가? 밥벌이 위기의식 느꼈나보네

  • @user-pf5nr1os2b
    @user-pf5nr1os2b 2 года назад +28

    아니 ㅋㅋ 수시 늘리면 애들 수시반수삼반수 안할거같아요?? 아니면 상위대학 갈 능력안되는 애들 뽑아서 등록금만 홀랑 받아먹고 아웃풋 박살내서 인풋 더 박살내게요? 일자리를 쳐늘리든가 해서 경쟁력 높일 생각을 해야지 무슨 수시를 늘려 ㅋㅋ

    • @who6845
      @who6845 2 года назад

      ㅈ문가라서 그럼...

    • @brownrabbit99
      @brownrabbit99 2 года назад

      "등록금만 홀랑 받아먹으려구요?" 네ㅎ 등록금 달달하다ㅋㅋㅋ

  • @22ssddd
    @22ssddd 2 года назад +9

    대학교를 줄이기 보다는 학과를 줄여야 된다고 본다 솔직히 취업하려고 대학가는건데 취업 보장되는 학과는 공과계열 상경계열 몇몇 교원대 의대 말고는 없음 나머지는 들어가도 회사내에서 크게 치지도 않고 블라인드 면접을 하다보니 대학 간판을 볼수 있는 방법도 없는데 아무래도 인기학과는 스펙이나 자격증 같은거나 특수 전공분야 경력을 인정해 주는데 다른곳은 걍 막혀있다 봐야됨 스스로 취업문 뜷어서 들어갈거면 차라리 대학교 수준이 낮더라도 취업에 유리한 전공으로 옮기는게 나음

  • @rxkim3910
    @rxkim3910 2 года назад +12

    그나미 공대, 간호대처럼 뭔가 면허나 자격증을 딸 자격이 생기고 취업이 잘되는 학과는 상관없지.
    취업 잘되고, 배운거 중에서 20%프로는 실전에 써먹으니까.
    나머지가 문제야. 인문대 상경대 예대 사과대....
    진짜 노답이지.

    • @beyondis27
      @beyondis27 2 года назад

      문제는 전국의 모든 공대가 공기업 입사를 목표로 달린다는거죠. 하청관리가 모든 엔지니어의 현실이 아닌데 하청이 99%인데 1%에 준하는 내용만 가르칩니다

  • @kstenv
    @kstenv 2 года назад +224

    대학때 배운걸로 집도사고 결혼도 했는데.. 당시 한 교수님이 주말까지 수업하고, 현장 실습도 꼼꼼히 시켜주셨는데... 몇년후 그분수업 깐깐하고 시키는게 많다고 수강하는 학생이 없어서 일반교수님들 처럼 수업이 바꿔었네요. 대학에서 배울게 없는게 아니고 열정적으로 교육하는 교수님들 인기가 없으세요.

    • @centurionkwk
      @centurionkwk 2 года назад +26

      그런 학생들까지 대학에 갈 수 있었다는 세 문제지요. 대학에 가면 안될 사람들이 대학에 간 거자나요. 대학이 너무 많아서 그래요.

    • @전민주-x3e
      @전민주-x3e 2 года назад +37

      @@centurionkwk SKY도 비슷합니다.. 일명 꿀강.. 꿀학점 찾는 꿀벌들 ... 예전에는 수업만 들으면 그만이었는데 지금은 공모전, 대와활동, 언어, 동아리 등등 공부 외에도 시간을 많이 써야 취직 합격권이니.. 일명 꿀강 찾는 학생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 @aa-ut8id
      @aa-ut8id 2 года назад +7

      아니 학생들도 사생활이 있는데 주말까지 수업이면 그냥 주말에 출근하라는 미친 상사잖아 이게 뭐가 좋아 ;; 팀장님 주말에 팀원 끌고 다니심?

    • @kstenv
      @kstenv 2 года назад +25

      @@aa-ut8id 체육대회 등으로 수업 빠진거 보강해준거고 시험에 안나오니 실무내용 강의한거라 주말에 짜장면얻어 먹어가면서 수업들었습니다. 대학 졸업후 실무에 도움되는 내용... 교수님이 열정있었다는 이야기 인데 다르게 해석되신거 같네요.

    • @aa-ut8id
      @aa-ut8id 2 года назад +3

      @@kstenv 주말에 회사 나오라는 상사도 열정 있는 상사 아님?? 근데 당하는 입장에서는 개극혐인데

  • @김레알-l7l
    @김레알-l7l 2 года назад +4

    자퇴하는 이유야 엄청많겠지만 세상이 너무 급변함 대학나와도 자기 전공살려서 취업하는애들 거의 본적이없음 내 주변만봐도 그냥 안정적인 직장을 원하더라 공무원이나메디컬가려고 수능준비하는애들도있꼬, 매년 사회는 혼란스러워지고있으니 결국 안정적인거 찾는거임. 입시판만 봐도 예전에는 서울대 공대계열이 지방대의대보다 높았지만, 요즘에는 비빌수도없게끔 지방대의대가 압도적임

  • @jsk5235
    @jsk5235 2 года назад +22

    졸업해봐야 백수거나 공시생 되는게 뻔하잖아요

  • @park2340
    @park2340 2 года назад +5

    세계 최고의 대학 하버드 대학생의 최고의 꿈이 바로 자퇴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마크 주커버그, 빌 게이츠... 를 가장 존경하는 이유는 하버드대학교를 자퇴했기 때문이라죠... ㅎㅎㅎ

  • @5percent-investor
    @5percent-investor 2 года назад +5

    부산대 경영 출신인데 한마디 올리자면,
    학교 자체 경쟁 의식이 부족합니다.
    대학을 와서 노력을 하면 나보다 상위권 대학보다 높은 곳을 갈수 있단걸 보여줘야 하는데 그런 동기부여나 시스템이 적음.
    그럼 누가 질문하겠죠. 더 높은곳 가는게 불가능한거 아님? 이렇게요
    상경계열 기준으로 아닙니다!
    명문대생들도 회계사,세무사 등 전문직 시험 떨어지는거 부지기 수입니다
    부산대에서도 자체적으로 커리큘럼과 시스템으로 그리고 높은 동기부여와 가치관 심기 작업으로 회계사,세무사 등 전문직이나 5급,7급 공무원 등 관리직 공무원을 많이 배출하면 자연스레 입결이나 생존이 좋아질겁니다. 문제는 그런 시스템이 없고 그런 위험적인 발언과 리스크를 감수할 교수진이나 지원이 없는 듯 합니다.
    개인적으론 서울의 숭실대가 이런 걸 잘하는것 같습니다

    • @beyondis27
      @beyondis27 2 года назад +1

      대학이 취업학원이 되어버렸는데요
      취업전문학원이 등록금대비 갓성비 입니다
      회계사 준비 인강듣지 누가 대학수업들어요

  • @user-qk8cm8pl2p
    @user-qk8cm8pl2p 2 года назад +64

    지거국은 중상위권 학생들이 걸어만두고 인서울대학 갈려고 자퇴율이 높은거..... 멀리 갈 필요없이 인프라부터 다름. 한양대만 해도 캠퍼스 바로안에 지하철역이 있고 연세대 앞에는 문화생활 누릴수있는 신촌거리가 있는 반면 지방대에서 그나마 높은 지거국마저도 그런 인프라가 모자람. 그런점에서 지거국이 아무리 아웃풋이 좋다해도 서울에 있는 대학갈려고하는 이유임

    • @epororo3681
      @epororo3681 2 года назад +12

      인프라문제가 직접적 원인은 아니지

    • @미림주
      @미림주 2 года назад +3

      그놈의 서울인프라는 뭐임? 서울사람아니라 진짜몰라서그럼

    • @황동먹태
      @황동먹태 2 года назад +28

      @@미림주 그냥 깡촌 가기싫단소리임

    • @미림주
      @미림주 2 года назад +7

      @@황동먹태 부산 울산 광주 이런데가 광역시인데 깡촌임? 뭔놈의 서울인프라가 뭔데

    • @황동먹태
      @황동먹태 2 года назад +7

      @@미림주 서울애들은 광역시고 나발이고 그냥 인식이 그럼

  • @lIlIlllI00
    @lIlIlllI00 2 года назад +125

    5년간 부산대 자퇴생 3200명-연간600명
    3년간 연대자퇴생 1350명-연간 450명
    동기간 고대 자퇴생 1800명- 연간 600명
    3개 대학 비교시 자퇴 학생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나 싶은데 말이죠..

    • @berrymerry8061
      @berrymerry8061 2 года назад +5

      부산대 경영학 자퇴한다고 했을 때 부모님한테 빰맞고 고막이 터졌습니다. 제가 옳았음에 댓글보며 희열을 느끼네요. 일찍 자퇴 안 한거에 후회가 막심합니다.

    • @lIlIlllI00
      @lIlIlllI00 2 года назад

      @@berrymerry8061 실례지만 학번이 어떻게 되시나요?

    • @재근이-p7u
      @재근이-p7u 2 года назад +22

      @@lIlIlllI00 저거 구라같아요

    • @illijllillj4477
      @illijllillj4477 2 года назад +3

      부산대 경영학이라면 다닐 이유가 없죠. 한 달 공부하고 시험쳐도 합격하는데

    • @재근이-p7u
      @재근이-p7u 2 года назад +34

      @@illijllillj4477 초졸이세요? 수능을 본다는게 이미 12년간 학생이었다는건데 무슨 1개월 공부

  • @하잡-i2b
    @하잡-i2b 2 года назад +5

    부모님 세대는 우리나라를 잘살게 만든 세대는 맞지만 우리는 만들어온 과정을 전부 배워야 하는세대라는게 참 안타깝다…
    역사를 알아야 미래를 안다고
    살아있는 역사가 버젓이 자리차지하고 있는데
    어떻게 발전을 하냐…

  • @황동먹태
    @황동먹태 2 года назад +38

    대학교수 입에서 지역인재전형 늘리고 수시 늘린다는 소리가 나오는 것부터가 그런 애들이 그냥 멍청하게 말잘듣고 등록금 갖다바친다는 소리임

  • @ssg50889
    @ssg50889 2 года назад +7

    전북대자퇴생으로서 한마디하자면 대학다니는자체가 의미ㅈ도없다 형편이 좋으면 상관없는데 형편도안좋은데 빚내고 대학다닐바에 그냥 바로 공무원준비해라 졸업해도백수인데 등록금ㅈㄴ아깝다

  • @박상언-m6u
    @박상언-m6u 2 года назад +8

    이유 말해 줄까요??? 1) 교수들이 연구를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2) 이미 연구들 많이 하셨서... 연구자료들 많이서 논문 작성 하면 논문 표절이니 뭐니 하는데...
    3) 대학 안가도 전문 학원이나 있고, 그 분야의 사람 아니어도 성공한 사람들이 있으니... 특히 예체능쪽은...

  • @hyonkwanyun8432
    @hyonkwanyun8432 2 года назад +3

    솔직히 자기가 배운거 써먹어 가면서 사회 생활 하는게 진짜 힘듬 대부분 자기가 배운거 보다는 새로운거 배우고 써먹어 가면서 살아감 거기다 자기가 배운 쪽으로 직업을 얻어도 대학에서 배운건 보통 낡아빠진 것들이 대부분 이라서 새로 배워야함

  • @ytw2495
    @ytw2495 2 года назад +4

    학벌이 의미가 없어졌다 x
    메디컬학과, 인서울로의 인재유출이 매우 심각하다 o
    본질을 못 보는 댓글들이 너무 많네

  • @영진김-l4w
    @영진김-l4w 2 года назад +64

    대학수를 대폭 줄이는것이
    유일한 방법이고 대세인데
    학교들은 지들 밥그릇 지키는것에만
    혈안들이 되있는게 문제

  • @jcmeat
    @jcmeat 2 года назад +19

    전문대가 쪽팔린다고 이름 바꾸고 그랬는데 현실은 현재 모든 대학교가 직업전문 학교 이상도 이하도 아님. 그저 스팩용에 전공 살려 일하는 사람 얼마나 되며
    얼마나 양질의 교육을 받는지도 의문 일찍 자퇴하고 기술 배우는 젊은 사람들이 더욱 현명한듯

  • @김승태-r1g
    @김승태-r1g 2 года назад +30

    스카이를 자퇴하다니 내가 가고 싶다

    • @김지훈-p3b3l
      @김지훈-p3b3l 2 года назад +36

      걔넨 수능에서 몇문제 더맞추면 메디컬되는애들이라 아쉬움남아서 반수, 재수로 떠나는거고 ㅋㅋ 스카이는 취업안된다 이딴 말 다 개소리임

    • @Moon-xg3qb
      @Moon-xg3qb 2 года назад +11

      @@김지훈-p3b3l 스카이도 취업힘들다가 어느정도 팩트인게 결국 서연고카포학생들이 원하는기업 원하는 직종이 다 거기서거기여서 연고대학생들은 눈을 낮추지않으면 취업하기 힘들기는함

    • @열심히그냥
      @열심히그냥 2 года назад +5

      @@김지훈-p3b3l 스카이애들이 눈이 높아서 중견도 안 쳐다보고 대기업 쳐다보니 취업이 안되지롱...

    • @mischhhhh
      @mischhhhh 2 года назад +3

      @@Moon-xg3qb 열심히하면 대기업취업 무난히 하긴함 물론 이공계 기준

    • @봉화대-t5p
      @봉화대-t5p 2 года назад +1

      지방 거점대 갈 머리면 조금만 더하면 건동홍까지 갈수 있으니 자퇴하는거고 연고대는 서울대 가려고 서울대는 의대가려고 자퇴하는거임.지방사립대생들은 꿈도 못꿈...

  • @hyoungjukim5455
    @hyoungjukim5455 2 года назад +7

    이제는 대학을 나와봤자 취업하는 세상이 아니다. 대학들은 졸업장 장사를 하는
    교육사업을 하고 지식이 유튜브에 넘쳐나는데
    뭘~필요한가

  • @섬나들이-h1z
    @섬나들이-h1z 2 года назад +4

    출산율 걱정도 좋지만 대학 졸업생 일자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합니다. 청년 일자리도 없는데 출생율 걱정은 모순 아닌가요?
    국가와 대기업들은 나라 미래를 위해 젊은이들을 채용해서 인재로 키워야 합니다...

    • @신현주-n3q
      @신현주-n3q 2 года назад

      그자들은 머리수 생각밖에 없어요 그자들이 원하는건 노예와 총알받이 아직도 모르시나요 지방대들 유학생 장사 노무현 대통령 임기 다 끝나고 부터입니다 전 저 지방대들 이공계열로 국비장학생들인데 방글라데시 유학생들 무슬림들이죠 제가 작년에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 그거 올렸는데 다른 피해자들글에 자기들은 이공계열로 재학중인 대학생 대학원생들이라고 자신들이 상황을 말하더군요

  • @톰과란제리-s1h
    @톰과란제리-s1h 2 года назад +136

    솔직히 일류대에서 공부를 많이 잘 하지 않는이상 나머지 대학 특히 지방대를 나와봐야 4년간의 비싼 등록금을 내고 다녀봐야 졸업해도 괜찮은 직장에 취업을 하기 상당히 어렵다 특히 코로나 장기화로 인하여 더욱 심해졌다 문과는 오래전부터 대학에서 배운 예를들어 경영학 경제학을 직장생활에서 사용할 일은 없다 대학은 간판일 뿐이다 우스갯소리로 취업준비생이 일류대출신으로 우수한 대학 성적과 토익을 900점대 이상을 받고 대기업에 취업을 했을때 영어권의 해외지사에서 근무를 하지 않는 이상 제일 많이 사용하는 영어가 A4라는 말이 나올까 ㅋ 아무튼 비싼 대학 등록금을 내고 졸업해봐야 간판일 뿐 큰 의미가 없어진지 오래다 언제부턴가 사회초년생 나이때를 처음 만났을때 20여년전만 해도 어느 대학 나왔나고 물어보았는데 언제부턴가 대학이 아니라 무슨일 하냐고 물어본다 고졸이라도 무슨 일을 해서 얼마나 돈을 버느냐가 중요한 세상이 된지 오래되었다

    • @7tv276
      @7tv276 2 года назад +1

      맞어ㅋ

    • @왕수박문재앙과윤서결
      @왕수박문재앙과윤서결 2 года назад +1

      떡열이 제일 간악한 모지리 설대법대 나왔다는 넘이 법을 제일모르고 천공의 지시만 따르잖아

    • @왕수박문재앙과윤서결
      @왕수박문재앙과윤서결 2 года назад +6

      @@kdicnei지잡대 싸다고 다니면 그시간은 공짜냐

    • @7tv276
      @7tv276 2 года назад +1

      @@kdicnei 지방대출신이라ㅋㅋ확실히잘아는구만

    • @yummy77777
      @yummy77777 2 года назад +5

      이건 걍 열등감같은데...

  • @김정훈-z9d3e
    @김정훈-z9d3e 2 года назад +19

    학벌이 시대가 간듯 실지적인 현실적으로 교육 전환이 필요할듯 학교로 돈장사 하던 시대는 갔다 90년대초반만 해도 4년대만 나와도 어깨 봉들어간 사람들 많았는데.... 대규모 구조조정이 필요합니다.

  • @Crico-Van
    @Crico-Van 2 года назад +31

    뉴스 안보고 댓글 다는건데...
    스카이 자퇴생이야 뭐 전부 의치한약수 갔을꺼고... 지거국은 인서울 하는거고.. 뭐 그내용 아님?

  • @unknown_k0
    @unknown_k0 2 года назад +22

    애초에 대학도 고등학교마냥 뺑뺑이돌리는거 아닌이상 더 심해질듯

  • @nsemw11
    @nsemw11 2 года назад +2

    본인들 인생 알아서 살겠다는데 왜그럼. 예전에 대학다닐때 들었던 얘기가 교수님들 수업 너무 못한다고 했더니 교수의 본업은 가르침보단 학술연구라는 얘기듣고 좀 어이없엇는디ㅎㅎ

  • @민콩-w6f
    @민콩-w6f 2 года назад +26

    저도 대학 안 가려고 했는데, 갔습니다.
    어느덧 살다보니 졸업예정자가 되었답니다.
    고졸이면 자격지심 솔직히 말해서
    생깁니다. 사회가 아직 대학나온 사람을 더 높이 쳐주는 인식들이 있기에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대학가면 확실히 생각이 성숙해진다고
    개인적으로 느꼈습니다.
    과제에 치이는 삶과 매일매일 일찍 일어나서 등교하는 삶이 주도적이고 부지런하며 성실한 사람으로 만들어주더라구요.
    본능적으로 인생을 살기보다
    하기 싫은 일도 해내면서
    좀 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준다랄까요? 자신감도 생기고, 도전욕구도 생깁니다.
    여러모로 대학 가는 게 플러스가 되는 건 맞는 기정사실인 것 같아요ㅎㅎ

    • @jungminkwon4717
      @jungminkwon4717 2 года назад +2

      네 ~
      아는 만큼 보입니다

    • @curspear
      @curspear 2 года назад +1

      꼭 그렇지만은 아닌게, 저는 자퇴 했기에 더 의미 있었습니다.
      저는 생각하는 속도가 느려서 이해하는 속도, 듣는속도 등 뭐든 생각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지연됩니다.
      대학을 다니기에는 너무 뒤쳐저서 3학년 수료마치고 자퇴했습니다. 당시 2학기 성적이 나빠서 장학금으로 등록금을 낼 수도 없기도 해서 말이죠.
      자퇴하고 나니 자유롭게 느껴질 뿐더러 여유를 가질 시간이 생겼습니다. 그러다가 남들보다 느린 방식이 저에게 알맞다는 걸 깨달았고 지금은 카페에서 느긋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느긋함에 대해 진지하게 보고 있고, 이성과 감정을 동등하게 보며, 부족한 걸 계속 채워나가는 것에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고등, 대학은 공학계지만 지금은 수학을 독학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대학을 다녀봐야 느끼는 거지만, 저는 자퇴한 것을 좋은선택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 @코코-k7o5e
      @코코-k7o5e 2 года назад +2

      케바케죠 대학이 오히려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작성자님께서는 대학이 잘 맞았다니 다행이네요

    • @unheee
      @unheee 2 года назад +1

      대다수는 학교를 다니는게 나음
      자퇴생은 그 중에 일부만 성공하는거니 언론에서도 크게 쳐주는거고 ㅋㅋㅋㅋㅋ

  • @홍닥터-q9r
    @홍닥터-q9r 2 года назад +5

    전공도 중요한데.. 졸업해서
    취업하려고 하면 내 전공은 무쓸모이고 학비만 빚으로 생기고 차라리
    경력이라도 쌓으면서 돈 버는게 좋다고 판단하는 학생들이 많죠

  • @김성균-x5t
    @김성균-x5t 2 года назад +11

    9급 공무원 할거면 고등학교 졸업하고 바로 준비해라. 뭐하러 대학가냐?

  • @이거보면행운대박
    @이거보면행운대박 2 года назад +2

    뭔가 우리나라 교육시스템이 잘못되어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나?
    저건 꿈없이 그냥 남들 하니까 내인생 남들이랑 똑같이 가겠다 이거자나
    의사가 꿈이엇으면 몰라도
    그냥 남들이 좋다고 하니까 하는거자나
    그럼 그런 사람이 의사되면 제대로된 의사가 될까? 돈만 밝히는 의사가 될까?
    과잉진료와 대리수술, cctv설치반대 등 이런것들이 돈만 밝혀서 생긴 부작용들 아님?
    왜 안고치고 점점 곪아 썩어가냐..
    어린 학생들부터 저러고 잇으니
    의료계는 답이 없네

  • @설비기술자
    @설비기술자 2 года назад +10

    4년동안 대학교 다닐돈으로 묵혀놓고 취업해서 돈버는게 더 좋다고 봅니다. 대학교 다닌 친구들은 4년동안 돈 쓰지만~~비록 대학교 졸업장은 없지만~~4년동안 취업해서 돈 모으면~~친구들하고 천지 차이 날것 같습니다.

    • @JH-ek5bn
      @JH-ek5bn 2 года назад

      누적해봤진 적어도 30대부턴 친구들이 압살해갈껄? 4년 쌓아봤자 평균적으로 대졸애들 5년정도면 누적액 따라잡고 차이는 가면 갈수록 벌어짐

  • @허허거참-p3y
    @허허거참-p3y 2 года назад +2

    아직까지 대학이 중요한건 사실이지만
    본인이 학업 혹은 전공이 아닌 다른일에 뜻이 있다면
    휴학 혹은 자퇴하고 도전 해보는것도 좋죠
    우리나라는 초중고내내 국영수만 하다가
    갑자기 대학들어갈때 돼서 전공을 고르라니
    웃기는거죠

  • @user-ww6nl1xf9u
    @user-ww6nl1xf9u 2 года назад +20

    댓글들 개웃기네 ㅋㅋ
    Sky가 자퇴하는 이유는 대학에서 배우는게 없어서가 아니고 메디컬갈려고
    Or 문과에서 이과갈아타려고 이다.
    무슨 우리나라 대학 문제를 얘기하냐

    • @맛있는쫀드기
      @맛있는쫀드기 2 года назад +2

      ㄹㅇㅋㅋ 개웃김

    • @taesv2268
      @taesv2268 2 года назад +7

      이게 맞지 ㅋㅋㅋㅋㅋ사실 스카이는 더 욕심 내려고 자퇴하는건데 뭔 대학이 다가 아니네 마네를 가져다 붙임ㅋㅋㅋㅋㅋㅋㅋ

    • @craneeee33123
      @craneeee33123 2 года назад +6

      여기 사람들 그냥 그런 댓글 달면서 자기위로 하는거임ㅋㅋㅋ마치 대학이 별거아닌마냥ㅋㅋ

  • @maxholloway1155
    @maxholloway1155 2 года назад +2

    수험생들은 필히 읽기를 바람.
    1970년대 때 부산대 하면 그래도 알아줬는데 지금은 별로 유명하지 않듯이 나중에 sky 나와도 주변 사람들 반응이 걸쩍지근하게 나오는 날이 분명 올거다. 그 때가 되면 이미 이 나라는 위기가 닥쳐온 것임.
    서초나 강남에 사는 돈 많은 사람들은 서울대나 sky를 목표로 두고 자식들 공부시키는 부모 없음. 다 아이비리그 보내려고 하지. 이런 게 어느 정도 공론화 돼버리면 어떠한 답도 없어짐. 그렇다고 ebs가 sat강의 같은 걸 할까? 절대 불가능.
    이는 저출산, 기형적 역피라미드 구조로 노동력 감소로 인해 sky와 일반대 사이의 벽이 어느정도 해소됐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어차피 돈이 최고인 시대에서 학력 고하를 논하기엔 어리석은 짓이라는 공감대가 어느정도 형성되고 있다는거다. 지금 인서울 나와서 9급 되려고 준비하는 사람들 널렸다. 그리고 앞서 말했듯이 sky의 위상이 서서히 지기 시작할거고 밑에 있는 대학은 앞으로 하나 둘씩 문 닫을 거다. 안 그럴 것 같지?
    이 글을 보고 있는 수험생이나 고등학생들은 일관성있게 강조하는건데, 나중에 제발 본인이 관심가는 분야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하자. 이제는 대학이나 학벌이 좌지우지하는 그런 시대는 지났다

  • @ryudayil1004
    @ryudayil1004 2 года назад +3

    변하는건 대학이 아니라 4년간 5천만원 이상 들여서 어렵게 졸업해봤자 대기업 취업률 5프로도 안되는 나머지 95프로는 중소기업행인걸 알면서도 그래도 대학은 가야지 타령 하는 사람들이 변해야지.. 굳이 교육청 사학재단들의 언플에 놀아 나고 싶다면 말릴 생각은 없지만 공부도 결국 적성일 뿐이고 공부가 적성인 상위 5프로 안에 사람들의 들러리를 위해 언플선동에 놀아나는것 만큼은 신중하게 한번쯤 생각해 봐라. 공부가 적성이 아니라고 판단이 서면 분위기에 휩쓰려 그래도 대학은 가야지 타령 말고 과감하게 본인에게 맞는 적성을 찾도록 노력이라도 함 해보던가~

  • @블루밍-b7x
    @블루밍-b7x 2 года назад +1

    30대초중반까지는 그래도 좀 필요할수도 있겠지만 40부터는 좀 얘기가 달라지는듯..40대이신분들은 20대에 밀려서 퇴직하게될 걱정에 사업해야되나 그런생각많이함..50대 끝자락에는 나를 써줄곳이 잇을까 싶고..어른들 보면 답나와요. 어중간하게 학력좋으신분들도 퇴직하고나면 전문직종 아닌이상 할것도 본인 써줄곳도 마땅치 않아서 다시 다른걸 시작하시더라구요. 진짜 배우고싶어서 가는게 대학이여야 한다생각함.
    대학졸업장이 더이상 미래를 보장해주는 역할을 하지 못하는듯..그냥 하고싶은거 하고 살면됨. 하고싶은거에 대학이 필요한거면 가는거고.

  • @manhigh4916
    @manhigh4916 2 года назад +5

    그동안 대학이 잘못한거임.
    코로나로 수업을 제대로 못했으면 그만큼 수업료를 환불해야지 불쌍한 학생들 등에 빨대나 꽂아 쪽쪽 빨아댔으니 자퇴가 현명하지..

  • @가재가집에가재
    @가재가집에가재 2 года назад +52

    이젠 대학의 중요도는 가면갈수록 낮아진다 시대가 점점 바뀌고있다

    • @user-애플마카롱
      @user-애플마카롱 2 года назад +3

      내가아는 언니도 대학 굳이안가고 열심히 회사다녀서 2억정도 모아 결혼했는데 대학교 저도다녔지만 솔직히 중요성 잘모르겠음

    • @가재가집에가재
      @가재가집에가재 2 года назад +2

      @@teoyoie 그런 엘리트들은
      당연히 대학이 중요하지만
      옛날마냥 학벌이 무적이아니고
      이젠 뭐 명문대나온다고 다뽑아주고
      그런것도 점점 사라진다
      우리회사만 봐도 지방대생들 가면갈수록 많아져

    • @가재가집에가재
      @가재가집에가재 2 года назад +1

      @@teoyoie 그리고 꼭 지방자퇴생들이
      서울로 오는것도아냐
      이젠 의치한약수나 공학계열쪽 아니면 진짜
      대학졸업장이 쓸모가 없어지고있다

    • @c.s.m9289
      @c.s.m9289 2 года назад

      @@user-애플마카롱 여자니까 ㅇㅇ

    • @JH-ek5bn
      @JH-ek5bn 2 года назад

      @@가재가집에가재 대학의 중요성보단 문과대의 몰락에 가깝지

  • @ekgns019
    @ekgns019 2 года назад +5

    대학교육시스템이 얼마나 쓰레기인지 보여줌.. 그나마 네임벨류 강한 대학들은 졸업장파워라도 있지만 그렇지도 않은대학은 답도없지..
    대학교 교육이 사회에 나가서도 쓸모가있어야하는데 아무짝에도 쓸모없으니

  • @yellowcloud50
    @yellowcloud50 2 года назад +2

    학력이 이력에 도움되는 학교로 가는거지
    배움을 포기하고 사회로 간다는 얘기가 아님.
    서울대 자퇴는 의대뿐이지 않을까.

  • @나만또못먹었지
    @나만또못먹었지 2 года назад +3

    와 SKY 자퇴하고 재수하는건 진짜 감이 안온다ㄷㄷ..도대체 약대엔 어떤 사람들이 가는걸까

    • @ehdnjss
      @ehdnjss 2 года назад +2

      최상위권엔 메디컬가려고 이공계 자퇴생 ㅈㄴ많음 ㅋㅋ

  • @코어테시
    @코어테시 2 года назад +2

    대학가서 배우는거 그냥 인간관계 배우는거에요 ㅋㅋㅋ 코로나 시기에 그거까지 못하니 다닐 이유가....

  • @랄라-o4s
    @랄라-o4s 2 года назад +6

    아직은 고졸로 중견기업도 들어가기가 힘들더라 그래서 난 방송대라도 들어가려고 한다 앞으론 서연고대 빼고 다 없애라

    • @신현주-n3q
      @신현주-n3q 2 года назад

      준비 완벽히 하고 계세요 제가 해봤는데 정말 제대로 하는곳은 맞아요 그만큼 또 쉽지도 않고요 전 직장에 해고된후 그만둬야 했어요 다시 돌아가고 싶지만 6개월 후 해고만 세번째네요 실업자교육은 이번에 2번째

  • @WatsonWatson0
    @WatsonWatson0 2 года назад +1

    교수님들아 나중에 님들 자리도 없어질 지 몰라요 괜히 하는 소리가 아니라 진짜 심각해서 얘기하는건데 경제가 흔들리면 대학교도 필요가 없죠

  • @centurionkwk
    @centurionkwk 2 года назад +5

    이제 대학들도 더 강하게 정리해야한다고 본다. 사회 전체적으로도 더 많은 사람들이 대졸 헛바람 환상을 버리고 있다. 좋은 현상이다. 그러면 수요가 줄어든 대학들은 정리해야지. 나라 세금으로 유지시킬 수는 없자너.

    • @신현주-n3q
      @신현주-n3q 2 года назад +1

      저도 바라는 바입니다 유학생 장사도 안되니 이슬람 유학생들 받고 국비장학생으로 제가 쓴글을 보고 학생들이 찾아온줄은 몰랐습니다 그들이 말한 내용 티스토리에서 본거랑 다른분과 대화한거랑 정확히 일치합니다 그 대학이 경북대비리 검색해보세요 경북대 대현동 이슬람사원 때문에 한달에 한번 뉴스로 나오다가 요샌 자주 나오네요 유학생들 편드는 교수 학생들 보면 같은과 학생과 교수는 단 한명도 없다는겁니다 전부 이공계열로 국비장학생들인데 왜 인문학과 쪽 교수랑 학생들밖에 없는거죠 경북대 그 많은 교수랑 학생들은요 경북대 졸업생들 글 올라온거 보면 학교안에 부지도 많은데 왜 기도실을 주택에다 만들었냐 저거 완공되면 모교도 방문 못하겠다는 글이 있어서 그분께 절 찾아온 학생들 사연을 적어 보냈습니다 혹시 아시는게 없을까 해서 아무 답변이 없습니다

  • @권모양-i9l
    @권모양-i9l 2 года назад +2

    청년 일자리 만들면 된다면서 반도체 공장과 그외 연구시설의 각종 인가가 3년이 지나도록 오리무중 상태. 그 잘사는 미국도 1년이면 인가나고 공사하는데...

  • @곰스크-c2c
    @곰스크-c2c 2 года назад +15

    흔히들 말하는 성공에 있어서 어느 대학인지가 이전에 비해 그 중요성이 최근에 조금은 낮아지긴 했지만, 아직도 대학이나 학과는 무시 못하는 거 같더군요.

  • @신성우-s2d
    @신성우-s2d 2 года назад +6

    수시를 왜 늘려? 전북대 교수 저 양반 ㅉㅉㅉ

  • @이얌-k4y
    @이얌-k4y 2 года назад +50

    Sky 는 의대갈려고
    지방은 인서울 할려고

  • @권태태-s1q
    @권태태-s1q 2 года назад +12

    학교 좀 줄이자 제발, 순탄한 과정이 아니라는 건 알겠는데, 장기적인 미래를 보자.. 좀 줄이자

  • @tpdlfdlrhk
    @tpdlfdlrhk 2 года назад +6

    인구수 감소도 그렇고 여러모로 복합적이니 아무래도 합치는게 맞지않나 싶은데

  • @user-zh8vs7pc9v
    @user-zh8vs7pc9v 2 года назад +71

    대학은 이젠 자기만족의 영역이라고 봄

    • @하하히히-e1f
      @하하히히-e1f 2 года назад +16

      그렇게 믿고싶은거 아님??

    • @민태-s9j
      @민태-s9j 2 года назад +5

      자기 만족이면 자퇴를 안하지:. 쟤들이 집에서 쉬거나 창업할라고 했을까? 서울갈려고 한거지

    • @mit3da9yo
      @mit3da9yo 2 года назад

      공대같이 전문성이 없는 학과는 이제는 취미가 되어버림...

    • @user-oi5lh2py9b
      @user-oi5lh2py9b 2 года назад +4

      @@민태-s9j요즘은 의치한 아니면 대학 의미도없는데 그냥 본인이 아쉬우니까 자기간판 더업그레이드 시킬라고 반수하는거지.. 요즘은 블라인드 채용도 확대되고 대학으로 서열 나누는 시대도 지났는데 지거국4년제 졸업장 정도면 충분하다고 봄.

    • @유튜바하고싶네
      @유튜바하고싶네 2 года назад +4

      @@user-oi5lh2py9b 음.. 좋은대학 못간애들이 이런소리 하더라

  • @sarah-sz1vl
    @sarah-sz1vl 2 года назад +6

    직업기술교육으로 돌아서야 할때인데 공교육이 형편없이 뒤쳐져 있음

  • @구사일생-o2f
    @구사일생-o2f 2 года назад +3

    제목에 구독^^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ㅌㅌㅋㅌㅌ

  • @무명-p6e
    @무명-p6e 2 года назад +13

    그래도 특정직종은 취업하려면 대학 나와야합니다

  • @Chamchikim
    @Chamchikim 2 года назад +3

    좋은 대학 졸업해서 대기업 다니는게 정답은 아님. 자기의 인생목표가 뭔지 알고 나아가는게 좋지만 그걸 알기는 어렵디

  • @davidkim2709
    @davidkim2709 2 года назад +1

    대학 등록금 모아서 사업 시작하는것이 훨씬 빠르다....수업은 구글링해서 배우면 더~양질의 수업, 필요한 수업 받을 수 있어서 좋다....

  • @무명씨-t2c
    @무명씨-t2c 2 года назад +3

    미래를 보장해주는 학교는 없자나...살아보니까 인생이 학교로만 결정되는것도 아니고..
    다 자기 살기 나름임..운도 있어야되고ㅋㅋ

  • @somanyVideo
    @somanyVideo 2 года назад +2

    대학가는것보다 빨리 사회에 투입해서 일을 배우는게 났다. 학교가봤자 쓸데없는것만 배우고 대학교 졸업장도 아무짝에 쓸모없고 시간과 돈 수천만원을 버리는 행위. 사회초년생이라도 4년이면 2천만원만 받아도 8천만원 번다.

  • @데이터위버-c1c
    @데이터위버-c1c 2 года назад +4

    수도권에 대학 10개 정도 뺴고 지방대 나와봐야 해당 적성 살려서 가기 힘듬
    지방대 신입 연봉 3천이상 줄 정도도 원청에서 넉넉하게 사업비를 책정하지 않음

  • @swheaven96
    @swheaven96 2 года назад +2

    스카이는 의치한 갈라고 자퇴하는거지
    그리고 혹시나 자퇴한다고 지방대 억지로 살리는 우매한 정책을 펼치는 일은 없기를

  • @user-leeoh
    @user-leeoh 2 года назад +7

    저도 예전 어릴때 대학 필요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장남인 형은 같은 지방 중학교에서 전교 1등이었고
    저는 전교 이십등정도 했죠. 집안 형편이 풍족하지 못해서
    저는 그냥 하고싶은거 배우고 제가 돈벌어서 살겠다고 생각해서 마이스터고가서 그 기술로 산업체 병역 대체복무 및 공기업 입사까지 했습니다.
    하지만 어디가서 학력 물어보면 이런 스토리를 쭉 애기하는게 힘들더군요 애기안하고 고졸입니다 애기하면 색안경을 쓰곤 합니다.
    이게 아직 대한민국 현실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야간 이지만 국립대 직장 다니면서 졸업했습니다.
    결론은 아직까진 대한민국은 대학교를 하나의 노력의 결과물로 바라보는것이 현실입니다.
    여러가지로 좋은 대학교에 갈려고하는 이유가 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