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권조정, 아직도 할증금+대가로 알고 계세요? [김수석의 재무회계] 4.3 전환권조정 회계처리 l cpa 김수석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안녕하세요 CPA김수석 구독자 여러분~
구독+댓글+좋아요 미리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면 주위 분들께도 추천해주시면 정말 고맙겠습니다!
CPA김수석 영상에서 푼 문제, 강의노트를 보고싶다면?
drive.google.c...
CPA김수석의 더 많은 영상이 궁금하다면?
/ @-cpacta3710
현식쌤도 본인은 대학생때 할증금+대가라고 배웠는데 알고보니 본질이 사채와 할증금의 할인발행차금 합이었다고 가르치셔요ㅎㅎ
군대에서 경영학과로 편입해서 전공 공부하고 있는데 어려운 회계 이해 잘되게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앞으로도 좋은 설명 많이 업로드 부탁드리겠습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강의 잘 봤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x1년말 회계처리를 하고나서
전환사채, 상환할증금, 전환권대가, 전환권조정에 대한 T계정을 그려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전환사채 잔액 100,000원, 상환할증금 12,000원, 전환권대가 1,84원, 전환권조정 9,350원
이자지급 회계처리를 하면서 상환할증금, 전환권대가는 그대로인채, 전환권조정만 상각되니까요.
"전환권조정은 상환할증금과 전환권대가의 합계라는 말은 잘못되었다." 가 오류인 것을 더 쉽게 증명할 수 있지요.
송인만 교수님의 책에 전환권조정 신주인수권조정 회계처리는 할인발행차금의 본질을 모르는 사람들(?)이 엉터리로 가르치는거라고 적혀있죠.. ㅎㅎ
되게하라
전환권조정을 사용하지 않고 하는 것이 확실히 계정과목이 하나 줄어서 계산하기는 더 빠르네요.
2차에서 회계처리하라고 할 때는 전환권조정 사용하고 그 외에는 순액으로 풀어도 되겠죠 ?
회계처리하라고 할 때도 순액으로 하셔도 상관없습니다~~ ifrs에서 회계처리를 명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에요. 감가상각누계액 없이 순액 회계처리를 해도 상관 없는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영상 1분부터 너무 깜빡거려요 ㅠㅠ
오 저도 지금 처음알았네요;; 유튜브에 업로드하면서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