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생활은 무엇인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대학원생활백서 #대학원 #논문
    세 명의 고수가 모여 대학원에 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1. 신영준 : 싱가폴국립대 공학박사 졸업, 전 삼성 디스플레이 Senior Engineer, 현 [체인지그라운드] 의장
    2. 최동원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학부/ 석사 졸업, 싱가폴 국립대학 경영학 박사, 현 서프랑스 네오마 비지니스 스쿨 교수
    3. 최고: 퍼듀대학교 전자공학과 학부/석사/박사 졸업, 하버드 비지니스스쿨 MBS 졸업, 현 [Mark Any] 전략마케팅 팀장

Комментарии • 57

  • @th2soulist
    @th2soulist 6 лет назад +124

    논문 쓰는 법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이 계시다면,
    휴먼사이언스에서 나온 '학술 논문 작성법(웨인 부스, 그레고리 컬럼 등)' 을 읽어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 @TV-qf4mr
    @TV-qf4mr 6 лет назад +46

    대학원 입학을 앞두고
    명절 연휴에 작정하고
    1부.2부 영상을 집중해서
    들었습니다.
    작년에 일차적으로 들을때보다
    더 가슴에 와 닿습니다.
    올해 내나이 57세
    이제 3월 부터 대학원생활이
    시작 되는데
    두근두근 설레입니다.
    방송을 듣고 보니
    약간의 두려움도 생기지만
    제가 좋아서 즐겁게 공부하는
    심리학이기 때문에 잘해낼수
    있을거라 자신감도 있습니다.
    체인지 그라운드,뼈아대와
    함께 한다면 대학원 생활도
    멋지게 잘 해낼수 있겠죠...
    3부 영상은 천천히 듣기로하고 ㅋ
    오늘도 유용한 영상 감사합니다^^♡

  • @jaysung3354
    @jaysung3354 4 года назад +15

    메모:
    교수님은 중소기업 사장이다. 필요한 것은 살가운 인간관계가 아니라 기업에서 실적을 가져와야 하듯 내가 가져다주어야하는 것은 좋은 연구결과이다.

  • @kyuyoungchoi8707
    @kyuyoungchoi8707 6 лет назад +27

    저는 기본적으로 본인이 하고싶어야한다는게 1번입니다. 두번째는 하고싶다고 다 할수있는건 아니니 본인의 역량을 잘 파악해야합니다. 영상에서 말했듯이 많은 수가 끝까지 마치지 못하기도 하죠...그리고 몇가지 더 조언을 드리자면, 남들이 하는거보다는 본인이 할수있는것이나 남들이 안하는게 더 경쟁력있어보입니다. 코스웍 할때는 기본을 배우고, 그 기본을 바탕으로 독특하거나 남들이 못하는것을 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어 남들 다하는 분석법을 이용해서 여러 스터디를 붙여서 논문을 만들어낸다면 정말 특별한 토픽이나 뭔가 한끝 다른걸 만들어내는게 더 어려워보이더라구요. 그래서 아예 방법론적으로 특별하다던가 혹은 데이터가 구하기 어렵다던가 신선하던가 하는것들은 엄청난 메리트로 다가오죠. 그리고 코스웍 따라가기만해도 버거울지도 모르지만, 나중에 졸업 논문을 좀 특이하게 쓰기위한 준비를 코스웍할때 조금씩 해두면 도움 많이 됩니다. 물론 알고도 못하는 부분도 있지만, 특히 interdisciplinary한 느낌의 연구를 하면 전반적으로 academia에서 더 가치를 매겨주는듯합니다. 관심있으신분들은 많이 알아보시고 뛰어드시길 권해드립니다. 그리고 top tier journal 논문들을 잘 찾아보면 반드시 그 저널에 실린 이유가 있습니다. 그것들을 잘 파악하고 어떻게하면 그런걸 만들어낼지 생각해내는 과정이 뼈를깍는 고통이겠지만 그게 상위권 저널에 publication을 갖는 지름길입니다.

  • @starji1589
    @starji1589 6 лет назад +56

    개인적으로 대학원을 준비하는 사람은 최소 2번, 대학원을 다니고 있다면 최소 1번, 만약 대학원을 다니고 있지만 아직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다면 이 영상을 최소 3번이상 보길 추천합니다.

  • @ahrom0418
    @ahrom0418 6 лет назад +10

    참고로 바이오는 어느 학교를 가던 박사 퀄은 3가지를 시험 봅니다. 쓰는 프로포절, 프레젠 발표 그리고 3-4시간 정도 지속되는 Q&A 가 있는데 아시아인던 영어를 잘 못하건 봐주는거 없습니다 ㅋㅋㅋㅋㅋㅋ 영어 잘 못하니 글로 쓰게 해줄게 이런거 없어요 ㅋㅋㅋㅋㅋ 이 3가지 중 하나라도 못하면 땡입니다. 바이오 대학원 가실분들 알아두시라고 댓글 달아요 :)

  • @건강나라-f3v
    @건강나라-f3v 6 лет назад +15

    대학원가기전엔 꼭 봐야할 영상. 진짜 고영성작가와 신영준 박사, 자기계발이 무엇인지 알게 해준 훌륭한 영상

  • @youngjoo_koreanlee1222
    @youngjoo_koreanlee1222 6 лет назад +27

    지금 박사논문 쓰고 있는데 들으면서 너무 웃었어요 후회도 되고 참 유익했어요!!

    • @잘태어나고싶었어
      @잘태어나고싶었어 6 лет назад +1

      후회.. 뭐 전공 하셧나요

    • @youngjoo_koreanlee1222
      @youngjoo_koreanlee1222 6 лет назад +1

      @@잘태어나고싶었어 ㅎㅎ 저는 법 분야입니당 :) 올 겨울 끝납니다 아자아자 ㅠ

    • @SuperAraKo
      @SuperAraKo 6 лет назад +3

      저도 박사 디펜스 준비중인데 반갑습니다! 마지막까지 같이 힘내요! 화이팅!

  • @sjhan2948
    @sjhan2948 6 лет назад +21

    대학원생으로서 공감이 가네요
    고찰을 많이 하신듯...

  • @김현진-h5n8r
    @김현진-h5n8r 6 лет назад +22

    내년에 박사과정으로 진학하는 사람으로서 많은 도움이 되는 컨텐츠인거같습니다.

    • @laurakim2494
      @laurakim2494 6 лет назад +2

      대학원 생활에 도움이 크게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neuromedicc
    @neuromedicc 6 лет назад +6

    정말 좋은 코멘트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ahrom0418
    @ahrom0418 6 лет назад +25

    현재 미국 대학원 박사 6년차 곧 졸업을 앞둔 학생입니다. 연구에 있어서 솔직히 내가 아무리 하고 싶은게 있고 그걸 하고 하더라도 결국은 교수님의 펀딩이기 때문에 그걸 못하게 되는 경우가 훨씬 많아요. 교수님의 연구를 잘 알고 들어가야하는거에도 어느정도는 동의를 하지만, 막상 들어가보면 원래 하던 연구가 아니라 완전 새로운걸 할려고 하는 경우도 있고 진짜 케바케 입니다. 결국은 어떤 연구던 본인이 그 전반적 과목에 대한 열정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이상적인걸 말씀 하신듯 하여 댓글 달고 갑니다

    • @geemin214
      @geemin214 5 лет назад +5

      가장 중요한건 호기심이고 그걸 끈기가 뒷받침 해줘야 하는것 같아요. 호기심이 여러요인에 의해 없어지는 순간 대학원생은 바로 우울증옴..

  • @youjustdo
    @youjustdo 6 лет назад +9

    대학원 다니다 회사 가고 나서 가장 놀란게 야근 해봐야 7시에 끝나던거. 대학원때는 3시에 퇴근했는데 새벽

  • @수원면장
    @수원면장 5 лет назад +1

    영상 잘 봤습니다. 일취월장 발전하시기를 기원합니다.

  • @hansbastv3873
    @hansbastv3873 6 лет назад +7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제가 대학원 가기 전에 엄청 고민했던 질문들이 이 짧은 영상(상대적으로..)에 많은 부분 담겨져 있네요.

  • @Eric-io7qs
    @Eric-io7qs 6 лет назад +10

    너무 잘 들었습니다. 저는 20대 경영학도로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세분과 짧게나마 이야기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상관은 없지만 영상 52:50초에 자기훈육 self-discipline을 self-displine으로 혹시 잘못 편집 되지 않았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항상 좋은 양질의 컨텐츠 감사합니다.

  • @LYE898989
    @LYE898989 4 года назад +2

    유용한 현실 이야기네요

  • @healingfittv
    @healingfittv 3 месяца назад

    궁금한게 있어요. 박사 학교 고를 때, 네임벨류를 보고 가야하는지 교수를 보고 가야하는지요? 교수를 보고 갈 때 온라인 박사 인데 이학박사가 나온다고 해요 괜찮을까요?

  • @1023
    @1023 6 лет назад +2

    잘듣고 가요

  • @onesecondcoffee
    @onesecondcoffee 6 лет назад +1

    좋은정보 많네요!!^^ 잘보고갑니다 구독 좋아요!!

  • @jaysung3354
    @jaysung3354 4 года назад +1

    메모:
    외국회사도 어느정도의 정치적라인이란게 존재한다.
    석박사하려면 재정적 지원을 자립적으로 얻어낼 방법을 찾아서 그런 곳을 찾아가야한다.

  • @june9927
    @june9927 6 лет назад +19

    논문 쓰는법 ㅠ.ㅠ ....
    석사까지만 마쳐서 다른 부분은 그렇구나.. 교수님의 마음이 이러하셨겠구나 내가 진짜 부족한 사람이였구나 라고 만 느낍니다.
    저희 교수님께서도 신박사님이 말씀하신 문헌조사 부분을 저에게 일러주셨으면
    조금 더 좋았을지 않을까 싶습니다.
    ㅠ.ㅠ

    • @june9927
      @june9927 6 лет назад +4

      스스로 답을 찾는데 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고, 무엇을 참고해서 답을 찾아가야 하는지 방향자체를 몰랐거든요.
      석사과정이 꼭 길잃은 어린아이 같았습니다.
      제 논문이 ... 일명 참조논문.. 100개가 안되는.. 그런 논문이였거든요.
      물론 완전 날림 근거 없이 쓴것은 아니지만, 근거(레퍼런스)가 부족했다는 점은 매번 가슴속에 남아 저를 괴롭히고 있었습니다.
      옆에 저랑 같이 했던 동기가 한 말이... 괜찮다 너 생각보다 잘하고 있다 라는 격려에도
      다른사람을 속일 수는 있어도 자기자신은 못속인다.라는 마음이 있지 않습니까.
      그게 매번 마음에 걸렸습니다.
      기본일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는데 스스로 알아야 더 큰사람이 된다는 점은 100% 동감합니다.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 @yusinpak8900
    @yusinpak8900 6 лет назад +1

    아주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 @jaysung3354
    @jaysung3354 4 года назад +2

    메모:
    테크트리 플랜을 A부터 D plan까지, 탈출플랜까지 생각해놔야된다.

  • @cychoi3363
    @cychoi3363 4 года назад +1

    한국 사람들 특징, 리뷰 페이퍼를 무시한다. 흠.. 사실 리뷰 페이퍼 작성은 상당히 고난이도입니다. 리뷰 논문이야 말고 진정한 식자의 재능 기부아닌가. 제안서나 공부를 시작할 때 참 좋은 페이퍼들이었는데 아쉽.

  • @1910-e2g
    @1910-e2g 6 лет назад +15

    대학교 까지는 인류가 지금까지 답을 알고 있는거를 배우고 대학원은 인류의 지식의 끝을 배운다

  • @heee2332
    @heee2332 6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 @9월이오면
    @9월이오면 6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 @alfredmashall8026
    @alfredmashall8026 6 лет назад

    이 이야기 들어보니까 선행학습이 정말 중요한거같네요!

  • @jooji8265
    @jooji8265 2 года назад

    200아니 300% 공감가는 대학원 생활입니다. 예비 대학원생분들 참고하세요!!

  • @wonsukcho4320
    @wonsukcho4320 6 лет назад +5

    22:20 내가 봐야할곳 ㅋㅋ

  • @네임닉-i9u
    @네임닉-i9u 3 года назад

    KMOOC 어떤 강좌를 말씀하시는 건지 모르겠어요 ㅜㅜ 논문 관련 강좌는 없던데,, 보고싶은데 알 수 있을까요?

  • @HJ-ux6ug
    @HJ-ux6ug 6 лет назад +1

    연구? 교수 책써봐야 이름 한줄 못올리고 그냥 노예가 되는 건 먼가요? 너무 화나는 상황이 있네요...ㅇ

  • @TV-yx4ly
    @TV-yx4ly 6 лет назад +5

    고맙습니다

  • @midaslee7035
    @midaslee7035 3 года назад

    학문을 사랑해야된다고 하시더라구요~~그냥 좀 더 배우고 싶었을뿐인데ㅠㅠ

  • @jackkk7183
    @jackkk7183 Месяц назад

    여기 보물이 있네요

  • @seungseoyang4724
    @seungseoyang4724 6 лет назад +9

    학부는 무조건 순위(?) 높은 곳으로 가야하나요? 3년 or 4년 장학금 준다고 하는 곳이 있어도?
    (둘 다 중상위~중위권일 경우에)

    • @yhhong4986
      @yhhong4986 6 лет назад +8

      학부는 무조건 좋은 곳으로. 전공깊이가 낮아서 열심히 석사처럼 팔것이 아니면 무의미.

    • @최지훈-z5i
      @최지훈-z5i 5 лет назад

      장학금은 어떻게든 만들면 되요 일단 좋은곳으로 가요

  • @Joecho7777
    @Joecho7777 4 года назад

    👍

  • @김하늘-u7z
    @김하늘-u7z 6 лет назад +3

    논문 많이 읽기

  • @심우성-h5g
    @심우성-h5g 5 лет назад +1

    24:00

  • @pencilsim
    @pencilsim 5 лет назад

    25:58

  • @taeim9197
    @taeim9197 6 лет назад +4

    포닥 인식도 요즘은 옛날같지 않던데요.

  • @ddd4986
    @ddd4986 6 лет назад +4

    패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꾸러기-q6b
    @꾸러기-q6b 4 года назад

    연구

  • @나에버그린-f4o
    @나에버그린-f4o 5 лет назад +3

    대학원 지도교수? ㅎ 연구에 열의를 가진분들도 간혹 있게지만~
    나는 전ㅇㅇ대학원에 다녔는데 지도교수라는 놈 똥이더라 일년 내내 술만 먹었고 연구 한번 안하고 교수가 사적으로 요구하는거 넘 많더라~ 두 학기에 학비 제외 1000만원 들어가고 학교 때리치웠네~~~ 문제많다~ 교수도 선진국에서 학위를 어렵게 받고 선진문화를 배운 교수가 중요한거 같더라~ 쭝ㅇ에서 돈주고 따왔나벼 넘 형편 없어~~~~~
    그 밑에서 무었을 배워 나갈까 ????

    • @최지훈-z5i
      @최지훈-z5i 5 лет назад

      돈내고 가는 대학원은 실패합니다

  • @Dream-md4wi
    @Dream-md4wi 2 года назад

    사회자가 패널들 갈치려는 아가리파이터인게 안습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