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학점제 1세대 현 중2 자녀 고교 선택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1. 초등 수학 심화의 엑기스만 모아 놓은 문제집
    중등 연계성 측면에서 초등시기 꼭 알아야할 심화 유형들만 모아 놓은
    심화 에센스 " 열려라 심화 초등 수학"
    (1) 초3-1
    www.yes24.com/P...
    (2) 초3-2
    www.yes24.com/P...
    (3) 초4-1
    www.yes24.com/P...
    (4) 초4-2
    www.yes24.com/P...
    (5) 초5-1
    www.yes24.com/P...
    (6) 초5-2
    www.yes24.com/P...
    (7) 초6-1
    www.yes24.com/P...
    (8) 초6-2
    www.yes24.com/P...
    2. 초등학생들이 읽는 수학 사고력 동화
    동화를 읽으며 자연스럽게 수학을 접하고 좋아하게 만들어주는 책
    "수상한 수학 감옥 아이들
    www.yes24.com/P...
    3. 청소년이 직접 읽고 실천하는 수학 공부의 바이블
    "진짜 수학 공부법"
    www.yes24.com/P...
    4. "수학 잘하는 아이는 이렇게 공부합니다"의 실전편
    구체적인 수학 공부법과 엄마표 심화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제시
    "초등수학 심화 공부법"
    www.yes24.com/P...
    5. 수학 공부의 전반적인 로드맵을 다룬 책
    2022 예스24 '올해의 책' 선정
    "수학 잘하는 아이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www.yes24.com/P...

Комментарии • 41

  • @bklee6304
    @bklee6304 Год назад +12

    결국은 고1 성적이 전체 대입을 결정 짓는 가장 중요한 것이 되었고 그에 따라 고등학교 입학할 때까지 수학 상하 까지는 심화까지는 끝내야 될 것 같네요 ~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교 고1까지 가장 많은 사교육비를 쓰는 기간이 되고 오히려 고2부터는 생기부나 진로등 하면서 수능준비하게 될 것 같습니다.
    현재도 특목자사고 가는 애들은 미적까지 다 끝내고 가는 애들이 많아서 더 특별히 달라질 것은 없을 것 같은데 일반 고등학교에서 생기부 채우기 쉽지
    않을 것 같고 이번 수능대란으로 수능변별이 더더욱 상실돼 특목자사고 입시경쟁이 치열해 질 것도 같습니다.

  • @러블리-k6s
    @러블리-k6s Год назад +5

    초2 엄마 입니다. 엑기스만 쏙쏙 빼서 정리를 해주셔서 진심 감사합니다.
    '수학 잘하는 아이는 이렇게 공부 합니다.' 책도 너무너무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항상 응원하고 감사합니다.

  • @onetime_go
    @onetime_go Год назад +39

    대치동 설명회에서는 학점제는 기본적으로 학종전형이고 수능의 변별력이 크게 내려갈것이라고 합니다. 정시가 메디컬이나 스카이같은 명문대에서는 수능이 난이도가 내려가서 백점에 가까운점수가 나오니 ( 이번 6모정도 난이도만해도 재종에서 전과목 100점이 150명이었다함) 실제적으로는 변별요소로 작동하지않고 자격시험처럼 무의미해진다는 것이지요. 따라서 실제적인 변별력은 고1내신과 2,3학년에 만드는 생기부 비교과의 질에 있을거라구요. 생기부 안좋은 재수생은 논술전형정도가 있을것 같습니다.
    학점제 하에서 상위권 입시는
    1. 수능이 쉬워지니 정도레벨선행은 입학시 끝낸다.
    2. 1학년내신 올인하고 비교과/동아리 활동 충실히 한다. 수과학에서 고1+고2과정 선행을 마친다.
    3. 2,3학년에 수업들으면서 비교과 충실하게 활동하고 심화수과학 또는 대학레벨의 외부과목을 들어 전공분야에서 우월성을 보여준다(과학 심화과정을 들을려면 2를 들었어야 하므로 고1에 과학1+2와 함께 선행이 이뤄질 것임. 선행하면서 심화나 대학과목을 듣거나 질좋은 비교과를 하기는 매우 어려움) 즉, 학점제는 기본적으로 점수가 포커스가 아닌 과목에 포커스가 있는것이므로 고2,3학년에 듣는 이수과목의 종류와 갯수가 매우 중요함.
    4. 의대나 스카이들은 생기부판별을 위해 "면접"이 매우 강화될것임. MMI또는 제시문기반. 뭘하든 고액 사교육비가 추가로 들것임. 지금은 매우 소수 의대만 보지만 종합전형으로 다 바뀌면 앞으로는 전방위로 늘어날것임.
    고등학교가 좋을수록 심화과목이 많이 개설되어 좋은대학에 가기가 기본적으로 유리해짐. 점수로 줄을 못세우니 학교 줄세우기가 일어날수밖에없고, 따라서특목과 자사고가 게임이 안되게 유리함.
    미국식 입사정이 모델인데 이미 미국이 AP과목을 능력이 되서 들을수있는만큼 6개까지도 개인이 추가로 선택할수있게 되있음.

    • @Poiuhbgffhhjkyfdf
      @Poiuhbgffhhjkyfdf Год назад +2

      꿀정보 감사합니다 근데 너무 무섭네요 ㅜ

  • @joohaoh759
    @joohaoh759 Год назад +6

    선생님 정리 넘 감사합니다
    막연한것들 답답한것들 정리가되는거같아요❤

  • @미래탐구K
    @미래탐구K Год назад +4

    지금까지 본 분석 영상 중에
    가장 탁월하네요!!!

  • @책과노니는집글방
    @책과노니는집글방 Год назад

    너무 감사하게 잘 듣고
    정말 머리에 쏙쏙 들어오
    게 잘 정리해주시고 설명
    잘해주셔서 도움이 정말
    많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jshwang1000
    @jshwang1000 Год назад +1

    따님이 작가가 꿈이라니 멋지네요!
    이미 아시겠지만 김초엽 작가(포항공대 생화학 석사)도 있고, 이미예 작가(부산대 재료공학, 반도체 엔지니어 출신) 등이 이과출신으로 독특한 감성을 작품에 담았고. 최근에 초등생에 대유행인 ‘어느날 노비가 되었다‘ 작가들도 이과^^(연대 신소재공학, 이대 지구과학교육)

  • @루시퍼-y2b
    @루시퍼-y2b Год назад +1

    정책 바껴서 계획 수정해야겠네요 2.3학년도 상대평가

  • @angel-lh5fj
    @angel-lh5fj Год назад +3

    깔끔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성미-x4d
    @성미-x4d Год назад +2

    영수만 선행하던거 다른 과목도 해야하고 고등때 열심히 해서 내신 올릴 수 있던 기회들이 사라지니 1학년때내신 잘 받아둔아이들의 그들만의 리그가 되겠네요.

  • @applesummer7053
    @applesummer7053 Год назад +2

    막막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눈-d7q
    @눈-d7q Год назад +1

    와 아직 아이가 어린데도 도움이 되요 선이 그려지는 느낌이네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 @TV-sx7mi
    @TV-sx7mi Год назад +2

    저희 아이도 중2라 고등학교 선택에 고민이 많습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purple_patch
    @purple_patch Год назад +17

    중1 남학생은 아무생각이 없습니다 천지개벽 하는데ㅜㅜ

  • @jhchoi7405
    @jhchoi7405 Год назад +4

    오히려 선행이 더 중요해지는거 같네요

  • @jinny566
    @jinny566 Год назад +3

    아이가 중1인데 선생님 영상 보고 나니 어느 정도 가이드라인이 잡히는 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mikyungpark202
    @mikyungpark202 Год назад +1

    현 중2 과학선행은 어느과정까지 해놓아야할까요? 고1까지만 하면될까요? 아님 화1 이나 물1 까지 한번 듣는게좋을까요

  • @너는할수있어
    @너는할수있어 Год назад +1

    고1상대와 고2.3의 절대를 무슨준비를 고민해야 했었는데.. 감사합니다.

  • @cmy07_a
    @cmy07_a Год назад

    근데요 절대 a비율 넘 많으면 대학에서 그걸 수치화해서 걸르는 대학별입시전형이 분명히 생기거나 수능 더 강화되거나 논술도 같이 병행하는 등 별 가지가지 방법이 다 생길겁니다 그러니 90점a랑 99점 a랑은 다른다는 사실도 명심하고 어쩔수없이 일반고가는 아이들은 학교프로그램 없다고 손놓지말고 온라인대체로라도 절대평가챙기면서 생기부 완성해야할것이고 수능논술등 다 잡고가야겠네요
    딱하나장점은..수시에 재수반수줄어서 경쟁률은 좀 줄겠지만 수시 확줄수도 ㅎㅎ
    암튼 어렵네요 우리 중2딸 홧팅하자

  • @쩡마미jjj
    @쩡마미jjj Год назад +5

    아직 초등학생이지만 선생님 말씀 듣고 정리 잘하고 갑니다.
    현 초등인데 아이가 외고나 국제고 진학을 꿈꾸고 있어요. 대학 졸업 후 로스쿨을 가고 싶대요. 일단 국영수 열심히 하고 있어요. 입시가 어떻게 변하든 국영수는 가장 중요하니까요.

  • @생활형영재
    @생활형영재 Год назад +3

    저의 아이도 중2라 걱정이 많습니다. 고1 내신 선행공부방법과 어떤 교재로 하실건지....
    추천교재 부탁드려요~~

  • @daviahong7633
    @daviahong7633 Год назад

    정리 감사합니다^^

  • @홍린-d9t
    @홍린-d9t Год назад

    아 불리한것만은 아니네요 감사합니다

  • @바둑-n8j
    @바둑-n8j Год назад +16

    3특하려는 사람이 좀 늘지 않을까요,고2에 돌아오는... 어짜피 절대평가라 학업에 큰 무리가 없을 것 같고... 수능이 꼭 sat같이 변할 것 같아요... 학종이 더 무서울 것 같은데... 미국처럼 변하면 학업 외 갖추어야할 것이 더 많아져서... 공부말고 써야 할 돈이 더 생길 것 같고... 그나마 공부는 자기주도학습이라도 있지... 다른 비교과는 정말 돈을 써야하는게 아닌가... 아직 초등부모라... 들어도 잘 모르겠어요..

    • @onetime_go
      @onetime_go Год назад +6

      맞는 판단입니다. 고2부터 사교육은 매우 전문화 소수정예화 될수밖에 없어 사교육비가 천문학적으로 늘어날겁니다. 미국식 입사정을 한다생각하면되요. 아니 중1부터 지금도 그런식 사교육이 늘어나고있어요. 대치동에선 국영수과 선행에 각종 비교과 수행법에 대한 고액 소수정예 수업이 더 붙고 있습니다 ㅠㅠ 사교육 축소가 아니라 아예 일반인은 스카이 메디컬은 할수가 없는 접근 자체를 막는 제도가 될겁니다.

    • @바둑-n8j
      @바둑-n8j Год назад +3

      @@onetime_go 저는 이거 들으면서,, 미국이 공부만 보는게 아니잖아요,,, 저는 그 입시 제도가 꼭... 공부말고 다양하게 보겠다고 공부로 승부보는 동양인들 막고 백인입지 만드는 뭐,,, 그런거?? 말이 인종별로 다양하게 뽑는다는거지 공부로만 뽑으면 동양애들 뽑혀버리니... 그렇게 변하려고하나...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조민이 에이를 받아서 만약 아빠 직장에서 뭔가 일해봐서 법대가려했다하면 성적이 에이니 누가 뭐라할 수 있겠어요,, 누군가 승마하면서도 에이받아서 입시했다하면 또 뭐라하겠어요... 철옹성 만들려고하나...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들어도 그래서 어떻게 하려는건가...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jessica-dk7bo
    @jessica-dk7bo Год назад +1

    고교학점제가 되면 고2,고3은 절대평가로 바뀌는건가요? 고1은 상대평가이고요?

  • @얼토당토-i9b
    @얼토당토-i9b Год назад +17

    에그 결국 사교육을 국어 사회 과학까지 다 하란 이야기네..

  • @justinjeong813
    @justinjeong813 Год назад +2

    입시계는 빨리 떠나는자가 승자 ㅎ

  • @kyylovekjd
    @kyylovekjd Год назад

    현중2가 고등 올라갈때 22개정교육과정으로, 내용이 일부 변경되는데, 변경사항 다 찾아서 공부해야할까요?

  • @김나영-b5d
    @김나영-b5d Год назад

    카페 어디서 이 글을 볼 수 있을까요? (카테고리)

  • @maya-es9ge
    @maya-es9ge Год назад

    그래도 학생부 교과가 폐지 되지는 않을것 같은데...

  • @도안-n6p
    @도안-n6p Год назад +2

    과고나 영재고 인기가 올라갈까요??

  • @studying1201
    @studying1201 Год назад +7

    고2 국영수는 상대평가라던데 맞나요?

    • @sjwoo9240
      @sjwoo9240 Год назад +4

      아닙니다.그건 장관이 잘못인터뷰한거에요
      고2부터는 전부 절대평가

  • @DAVID-et2zl
    @DAVID-et2zl Год назад +4

    교과 폐지할꺼면 고1 내신 상대평가를 할 이유가 없는거 아닌가요?

    • @symphssymphs1286
      @symphssymphs1286 Год назад +1

      모든 대학이 학종으로 뽑을 역량이 안되니 교과 폐지하기 현실적으로 힘들어요
      그리고 사실 지금도 상위권 주요대학은 대부분 학종으로 뽑고 있어요
      교과는 지방대학들이 주로 운영하는데 지방대학들의 반대가 심해서 절대평가를 도입 못한거죠
      이미 처음 문이과 통합 수능 도입때부터 절대평가하려다 보류된 상태였구요

  • @myong7835
    @myong7835 Год назад +1

    그럼 현 중1인데 선행을 수1로 넘어가지말고 수상수하를 더 심도있게 반복하는게 나을까요?

  • @22년-g3g
    @22년-g3g Год назад +16

    나라가 망할때가 되었구나

  • @happysallylim
    @happysallylim Год назад +2

    역시 도움되는 정보와 말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