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MI 연결없이 무선으로 만들어준다? 게임할 수 있다길래 사봄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9 июн 2024
  • TV나 모니터에 HDMI 케이블을 당연히 유선으로 연결해야했는데, 생각해보면 무선이 대중화된 시대에서 이것을 무선으로 만들어 줄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찾아보니 여러 장비들이 있길래 한번 구입해봤습니다!
    🔋 Specs.
    모델명 : Hagibis 무선 HDMI 송수신기
    커넥터 : HDMI
    최대 해상도 : FHD 60Hz /4K 30Hz
    가격 : 10~15만원
    ⏲️ Timestamps.
    00:00 인트로
    00:15 오프닝
    01:00 아.. 잘못샀나..?
    03:07 언빡싱
    04:41 간단히(?) 체험
    07:03 사용기
    07:16 테스트 #1 - 카메라 모니터링
    07:58 테스트 #2 - 닌텐도 스위치
    09:26 테스트 #3 - 맥 스튜디오
    10:41 테스트 #4 - Macbook Pro
    11:18 오늘의 결론
    🎵 Music.
    ES_red orchard - Justnormal
    ES_Red Pool - Jobii
    👕 Merch.
    지금 입고있는 옷? : abit.ly/blackcowlabs
    📧 Business contacts.
    itsub@itud.io
    #HDMI #무선 #연결장비?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778

  • @joshpark868
    @joshpark86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1

    영상업계에서는 이미 Zero Delay 로 4K영상 송출기를 쓰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10만원~50만원대 제품들은 H.264코덱으로 영상을 압축 - 전송 - 압축풀기 의 형식으로 무선영상을 전송 하기에 딜레이가 많이 생기는데요 딜레이 없이 쓰려면 무압축으로 전송하는 기술이 탑재된 기기를 써야 합니다. Amimon 칩셋이 제일 중요한데요, 제일 보급이 많이 된 제품중 Teradek Bolt 같이 적게는 400만, 많게는 1500만 정도 써야 프로 영상 장비로 쓸 수 있습니다. 잇섭님도 영상 촬영을 하시니 Teradek Bolt 6 LT 750정도 구입 해서 쓰시면 스튜디오에서 요긴하게 사용하실것 같습니다.

  • @sibasankaran
    @sibasankara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1

    벽걸이 TV + 스위치 조합을 위해 고민했고 궁금했던 제품이었는데 대신 리뷰해주셔서 너무 좋군요ㅋㅋㅋ 잘봤습니다😊

    • @snow_-man
      @snow_-ma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4,5년전에 사용했었는데 그때도 4K가 있었는데 게임은 전혀 못하고 영화정도 봐줄만한데
      빠른영상에서는 그닥이였는데 크게 바뀌지 않았네요.

  • @user-zs8tt1dd2l
    @user-zs8tt1dd2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와 이 무슨 갓제품인가 했더니 역시 아직 무리... 덕분에 구매 고민하던게 싹 날라갔어요 감사합니다 ㅎㅎ!

  • @user-rm9rs5yg6t
    @user-rm9rs5yg6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0

    비슷한 제품을 회사에서 사용하는 중인데 가장 큰 장점은 천장에 달린 프로젝터에 연결해서 쓰면 좋다는 점이에요.
    종종 회의 중 화면을 띄워야 하는 사람이 바뀌는데 유선인 경우에는 길이의 문제도 있을 뿐더러 바닥이나 벽면에 설치된 포트를 통해서 프로젝트에 연결하게 되는데 선이 짧기도 하고 지나가다가 걸리기도 하고 정리도 애매하다보니 무선으로 쓰면 참 좋습니다.

    • @ITSUB
      @ITSU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이런 케이스처럼 회의할땐 진짜 좋겟더라구요 ㅎㅎ

    • @user-rm9rs5yg6t
      @user-rm9rs5yg6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ITSUB 생각해보면 메타 퀘스트의 에어링크 기능 등을 생각하면 4k 60은 딜레이도 큰 문제 없이 구현 가능 할 것 같기도 한데.. 여태 제품이 없는 건 수요 문제일까요

    • @user-kc5ws9mi4d
      @user-kc5ws9mi4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user-rm9rs5yg6thdmi 대역폭이 10~18Gbps인데 이정도 속도를 무선으로 쏘기엔 조금.. 기술적 한계가 있을듯 힙니디.

    • @kwonnovation
      @kwonnovati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확실이 게임용으로는 아직이여도 이런 사무용으로는 편의성이 최고겠네요.

    • @user-rm9rs5yg6t
      @user-rm9rs5yg6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kc5ws9mi4d 생각해보니 wifi6정도가 아니면 대역폭에 문제가 있겠네요

  • @ahing
    @ahi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55

    무선이 유선에 비하면 한참을 부족한 게 사실이긴 하지만 무선 제품도 출시를 거듭할 수록 기술이 발전해서 유선과 가까운 성능을 낼 때를 보면 기분이 좋아지더라구요ㅎㅎ

    • @ITSUB
      @ITSU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1

      이쪽 영역은 또 한번 탄력받으면 작게든 크게든 매년 성장하는게 보여서 기대됩니다 ㅎㅎ

    • @준서게임
      @준서게임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kj7ql1km4n알겠으니까 닥치세요

    • @Cinnamon_Cannonn
      @Cinnamon_Cannon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 10년쯤 전에 wifi 기반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달고있는 글카가 있었던게 생각나네요

    • @user-jp5xz8bg1d
      @user-jp5xz8bg1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ITSUB무선+자가발전,무선+자가생성,무선+자가생성이 되려면,원리,이해,이유,일부만 교체,가격?

  • @arkhtyi9456
    @arkhtyi945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리뷰하신 정확한 제품의 스펙은 모르겠지만, 2.4ghz/5ghz를 기반으로 영상 송수신인걸 보니 어느정도 자체적으로 영상을 압축해서 보내는 방식인 것 같네요. 요즘 특히나 영상이 4K에 120hz도 하고 있는 시대에는 확실하게 무선 송수신을 하려면 WiGig 기반으로 하는게 필수 일것 같습니다. 몇년 전 제품이지만, VR 헤드셋인 HTC Vive(아시는 분은 아시지만 VR 헤드셋은 내부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앵간한 모니터 4K급 이상이고, 딜레이가 있으면 바로 플레이어의 멀미랑 직결되기 때문에 레이턴시도 대단히 중요하죠)의 무선 어댑터도 WiGig를 기반으로 해서 압축 손실률 없는 영상을 무선으로 볼 수 있게 했었는데 아마 LG 같은 대기업의 고가 제품은 이런 와이기그로 고해상도를 무선송신하려고 하는게 아닌가 추측해봅니다. 물론 퀘스트2 같은 제품은 Wifi 기반의 무선송신을 사용하고 꽤 준수한 퍼포먼스를 보이지만, 확실한 성능을 추구한다면 WiGig 기반 제품이 하이엔드에서는 더 매력적일 것 같네요.

  • @Maggio0415
    @Maggio041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오 이걸 조사해주다니 감사합니다
    저도 관심이 많아서 몇달전부터 알아봤지만 불안해서 구매를 미뤘는데 감사합니다

    • @ITSUB
      @ITSU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직 발전해야할 부분이 많지만, 잘되면 앞으로 더 좋아질듯해요 ㅎㅎ

  • @Jaeryun
    @Jaeryu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기술이 조금 더 발전되면 조만간 무선 모니터가 유선을 대체할 세상이 올 수도 있겠네요.
    2009년도에 이찬진 대표님에게 무선 영상 모니터 관련해서 제안하기도 했었는데...ㅎ

  • @jusukan271
    @jusukan27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4

    비슷한 제품을 쓰고 있는데, 무선 HDMI는 사실 회의용으로 아주 좋습니다.
    회의실 모니터에 수신기만 부착해놓고, 팀원들이 송신기를 하나씩 가지고 자기 노트북에 연결해놓으면, 필요한 자료를 프리젠테이션 할때, 자리를 옮기거나 선을 옮길필요없이 송신기에 버튼하나만 누르면 그사람 화면으로 전환이 됩니다. 팀회의 등 PPT를 여럿이 해야하는 상황일때 아주 유용합니다.

    • @mk1111
      @mk111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정도용이면 캐스팅이 낫지 않나여

    • @jusukan271
      @jusukan27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캐스팅은 뭔가 설정을 해줘야하는데 반해, 무선hdmi는 꽂고 버튼누르면 땡이라.. 직원들한테 송신기 나눠주고 추가설명을 해줄 필요가 없죠 ㅎ 회사에는 이런저런 사람들이 많아서요..

    • @AcornLuncher
      @AcornLunche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진짜 이전에는 각자 노트북을 연결하는건 너무 번거롭고 오래걸려 회의실컴에 미리 자료를 옮겨놓았는데 이러면 글꼴이나 호환문제로 ppt가 깨지거나 영상이 안나오는 등의 문제가 있었는데 이거 하나면 끝이네요ㅋㅋㅋ

    • @ryeollee913
      @ryeollee91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모델 공유 좀 해주실 수 있나요??
      회의실에 선들이 ㅠㅠ 너무 보기 싫어요

    • @JJ-pf7qo
      @JJ-pf7q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ryeollee913Barco 에서 만든 click share 요 대신 가격 200만원임요. 회사에서 쓰는데 편하긴 해요.

  • @lejoose
    @lejoos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닌텐도테스트에서 끊기는건 무선으로 날릴때 압축해서 전송할테니 화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날 때 프레임 드랍이 일어나는거 아닐까 싶네요.
    화면 변화 심한 영상(예로 걸그룹 공연영상)테스트 해보는거라고 변명할때 좋을것 같네요

  • @999kakaka
    @999kakak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촬영업계에선 쓰인지 좀 된 무선송수신 시스템.. 딜레이는 1-2프레임 내외라 굉장히 좋긴한데 가격이 그만큼 사악해서 개인이 구매할일이 잘 없긴하죠

  • @user-pt6jv2qq9t
    @user-pt6jv2qq9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이지넷유비쿼터스에서 4k60에 출력도 가능하면서 KVM,IR제어까지 있어서 무선으로 cctv nvr제어목적으로 써봤는데 무선에서 오는 자유로움은 참 좋더라구요. IR리모콘사용도 참 편한데... 다만, 가격이 송신 수신기 합쳐서 30만원대이라서 알리발 4k30제품도 좋겠더라구요

    • @ITSUB
      @ITSU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9

      헐 그것꺼지 다 돼요??

    • @user-pt6jv2qq9t
      @user-pt6jv2qq9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ITSUB 집이 2층집이라 요비선으로 내부에 선을 따려니 일이 많더라구요. 그래서 알아보니 4105hdw란 제품이 있었고 저도 프로 흑우라 송신기 두개에 수신기 하나 쓰고있습니다. 1층에 송신기 한개는 iptv셋톱에 ir제어, 다른 하나는 nvr에 usb를 연결해서 kvm 제어로 연결해서 수신기는 2층에 4k모니터에 연결해두고 쓰고있습니다 여기엔 마우스랑 키보드연결해두고요. 층수에 의한 벽 간섭때문에 끈킴이 있을때도 있긴한데 그렇게 빈도가 많지않아서 만족하면서 쓰고있습니다.

    • @reallzzin
      @reallzzi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품명이 어떻게되나요?

  • @UCHf-s1GCCkfZj-GwDUwdpcQ
    @UCHf-s1GCCkfZj-GwDUwdpcQ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잇섭님 설계 지렷다 ㅋ 엘지제품 시용을 위한.철저한 설계.무릎탁 치고 갑니당 ㅎㅎ

  • @user-pn4kj8wu9h
    @user-pn4kj8wu9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수고 많으셨습니다. 참으로 감사 드립니다. ^^^

  • @soulrhythm
    @soulrhyth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플스를 빔프로젝터에 연결하려고 눈여겨 보던 제품이였는데.. 역시 게임에서는 아쉽군요ㅠ 비슷한 다른제품도 리뷰 부탁드립니다~!! 플스용으로 쓸 수 있는!

  • @BearGryllsz
    @BearGrylls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크롬캐스트나 TV동글 쓸때도 모니터나 TV 후면부의 USB를 전원으로 쓰면 500mA인 경우가 많은데 이러면 전력이 부족해서 제성능이 안나오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FHD 모니터에 수신기 연결하셨을때는 외부전원으로 연결하시고 테스트 하신건지.. 넉넉하게 핸드폰충전기 같은 2.0A 짜리 전원 따로 꽃아서 쓰는게 끊김없이 좋더라구요

  • @only2sea
    @only2se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이게 아마 변경된 부분만 송신하던지 하는 식의 최적화가 되어 있어서 인터페이스 화면 같은 건 좋은데, 게임에서 이동하거나 카메라를 돌리면서 화면이 크게 변경되는 경우 대역폭이 못 따라가 줘서 많이 느릴 거 같습니다. 송수신기가 나름 스마트한 역할을 해 주나 보네요.

  • @user-ck6cf5nm9v
    @user-ck6cf5nm9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49

    브이젯이라고 fhd 기준 60fps 까지 지원하는 송수신기 모델있는데 최대 직선거리 30m까지 지원하고 레이턴시도 게임하는데도 크게 무리없을만큼 꽤 괜찮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다만 4k지원안되는 아쉬움과 60ghz 주파수를 써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송수신기가 서로를 바라봐야한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 @ITSUB
      @ITSU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3

      오??.. 30m면 엄청나네요

    • @lee_jae_yun
      @lee_jae_yu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ITSUB4초전 ㄷㄷ

    • @GuardianKnightsK
      @GuardianKnights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0.14초전 ㄷㄷㄷ

    • @user-ck6cf5nm9v
      @user-ck6cf5nm9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ITSUB 네 실제 강당에서 설치테스트 해봤을때 직선거리 27m까지는(레이저줄자로 측정했습니다) 나름 잘 송출해줬습니다. 중간에 장애물만 없다면요.

    • @SNIinWL
      @SNIinW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찾아보니 30만원이네....넘 비쌈 ㅠ

  • @jeremykim96
    @jeremykim9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마지막 자녀 관찰용 아이디어 대박이네요 ㅎㅎ 신박하십니다.. 근데 역으로 와이프가 나를 감시할수도 있다는 걸 알려주는 빌미가 될수도.. ㅎㅎ

  • @yskim490
    @yskim49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런 제품은 여러개가 있는데 peakdo 제품이 좋아요
    게임까지 가능한 mm-wave제품을 파는데, 진짜 가격이 문제지 나중에 대중화되면 진짜 좋을거 같아요

  • @user-sj8ho6hy7f
    @user-sj8ho6hy7f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런 제품도 있었네요 몰랐던제품 알수있어서 좋았네요

  • @comas41
    @comas4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요새는 tv를 벽에 다는 경우기 많아 정말 진지하게 무선환경을 구축하고 싶은데 나중에 비싸더라도 좋은 제품 리뷰가 나오면 좋겠다....

  • @user-gp6vc2ji1n
    @user-gp6vc2ji1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헐 영상보고나서 댓글읽는데 잇섭님 말투로 읽고 있네요 ㅎㅎㅎ 좋은 정보 잘 봤습니다.

  • @ninestories949
    @ninestories94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관심있던 분야인데 리뷰 감사합니다. 예전에는 0.001초도 중요하다면서 게임PC는 유선랜으로 꼽았지만.. 무선공유기도 세대가 넘어가고 수신기쪽도 세대가 넘어가면서.. 어느새 뭔차이냐 하며 무선랜으로 하고 있어요. 기술발전하면서 점점더 많은 영역이 무선으로 넘어가리라 생각합니다.

  • @KJKJ557
    @KJKJ55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뭔가 무선이어폰 초기버전 보는기분이네요 ㅋㅋ 한참 무선이어폰 나오던시절엔 주렁주렁 달려있었는데

  • @toukil
    @touki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mmWave 60Ghz 대역을 사용하는 제품도 나와 있습니다. peakdo라는 회사에서 나온건데 스펙에 따라 120~300달러대 정도. 주파수대역이 높아서 간섭도 딜레이도 거의 없다고 하네요. 대신 초단파라 전파회절이 안되서 중간에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는.. 하기비스 제품은 2.4~5Ghz 대역이라 와이파이, 블루투스 대역과 겹쳐서 간섭이 심한게 아닌가 싶네요. peakdo 에서 나온 무선에 터치까지 되는 휴대용 모니터도 있습니다. DIY Dr. K 닥터케이님 채널에 리뷰 해놓으신게 있음.

  • @tv1394
    @tv139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 @Kay3651
    @Kay365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안그래도 게임용으로 쓸 무선 hdmi 송슈신기를 열심히 찾아봤는데 다 레이턴시때문에 어렵더군요. 나중에 게임용으로도 괜찮은것을 발견하면 꼭 리뷰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 @user-yq3ot7gp6s
      @user-yq3ot7gp6s 3 месяца назад

      게임용은 앞으로 10년 지나도 힘들겁니다.
      아니면 수백만원짜리 무선 송출기 사시면 되는데 배보다 배꼽이 더 큰격이죠

  • @user-tc5he4hp7o
    @user-tc5he4hp7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비교적 벽없는 환경이면 peakDo사의 mmWave 적용된 송수신기도 좋다고 봅니다

  • @껨부자
    @껨부자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 TV 주변 선이 지저분해서 닌텐도라도 깔끔하게 연결할 수 있을까?? 해서 봤는데 게임기에 쓰기에는 무리가 있었군요... 영상 보는 용도로는 정말 좋을 것 같긴합니다ㅎㅎ

  • @KIMDDUSHI
    @KIMDDUSH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딱 회사 회의실에 박아두기 좋더라고요
    저건 아니고 예전에 무선 HDMI를 프로젝터라던가에 연결했더니 매우 편안~ 회의실 책상 위에는 수신기만 뒀네요

  • @andthentherewerenone1916
    @andthentherewerenone191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민하던 제품이었는데 생각보다 더 딜레이가 있군용

  • @richbitman2614
    @richbitman261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요즘 4k tv에 자체적으로 fhd 컨텐츠를 업스케일링 해주는 기능들이 있던데 그것도 지원 되나요?

  • @goodshot720
    @goodshot72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직은 초기 과도기 같고 종착은 개별 제품을 연결해야 하는 것보다는 무선 가능 자체를 탑재해서 나오겠죠.

  • @Good_Silent_Forest
    @Good_Silent_Fores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이런거 찾고있는데 딱좋네요~

  • @ainsten
    @ainste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일본 회사 출장가니 저런 거 써서 화면 출력하더군요
    PPT같은거 띄우는 용도라 약간의 지연은 괜찮은듯

  • @hv_8092
    @hv_809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6

    닌텐도 스위치만 유독 끊기는건 간섭보다는 게임화면이라 변하는 장면이 많아서 그런게 아닐까 싶네요. 다른 장치에서는 비교적 정적인 화면을 테스트해서 딜레이가 적다고 느껴진게 아닌가 싶고요. 그럼 xbox등 타 콘솔에서도 똑같이 끊길것 같네요

  • @bakas._.
    @bakas._.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회사에서 애니싱크 제품 취급 중인데, 편하고 좋긴하지만 역시 최대 단점은 불안함이죠..특히 게임이라면 끊긴이 있는 날에는...

  • @bs7104
    @bs710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노트북과 무선으로 연결해서 사용할만한 휴대용 서브 모니터 추천도 부탁 드려요.
    배터리도 내장, 무선 이 두 특징이 있으면 여러모로 활용도가 좋을 것 같아서요.

  • @user-zi9qv3wx9p
    @user-zi9qv3wx9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선장비들이 많거나 전자장치들이 많은 장소에서는 역시 많은 간섭이 발생할 수 있겠네요. 하다못해 무선마우스도 간섭이 전지용량(전원 껐다켰다, 교체의 귀차니즘) 문제 때문에 유선으로 속편히 쓰는 경우가 있는데 ..

  • @WooseungLee
    @WooseungLe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엇 MS의 미라캐스트라는 제품이 있는데 게임까진 힘들고 화상회의 정도 괜찮게 쓸 수 있는 제품 있습니다! 크기도 훨씬 작고 USB전원만 어디든 있으면 되서, TV의 USB 포트 아무데나 꼽고 HDMI 포트에 넣고 써서 사용 가능합니다!

    • @WooseungLee
      @WooseungLe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 근데 임의의 HDMI를 받아다가 쏴준다는 면에서 ㅜㅜ 차이가 좀 있군요

  • @yuseokcheon1720
    @yuseokcheon172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번 인트로…. 찢었다🥵

  • @LFranchel
    @LFranche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비슷한 제품을 회사에서 회의용으로 쓰는데, 그런용도로는 정말 쓰기 좋습니다. 노트북들고 가서 유선 연결할 필요없이 그냥 앉은 자리에서 노트북에 꼽으면 되거든요.

  • @Coffee_Prince
    @Coffee_Princ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30 저 기술 어디서 많이 봤다 했더니, 미라캐스트랑 같네요. 예전에 아이폰4시절 애플정품은 미러링 무선기술지원을 안해서 한 때 짝퉁미러링기술로 미라캐스트가 유명했죠.

  • @user-oj7gz1xb2i
    @user-oj7gz1xb2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알리는 진짜 잘보고 사야되는걸 잘배우고갑니다

  • @zerodayw0rk964
    @zerodayw0rk96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는 학교에서 IT부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큰 행사가 있을 경우, 강당 맨 앞에 TV를 좌,우 양쪽으로 2개를 놓고 무선 HDMI 로 연결을 하여 사용중입니다. TV가 2개 필요하다보니, 저희는 반드시 HDMI loop out 포트(HDMI 출력 포트)가 포함되어 있는 transmitter 제품을 사용하여야 했습니다. 문제는 HDMI loop out 이 있는 제품들이 의외로 많이 없다는 것입니다. 한쪽에 HDMI loop out 이 있어야 랩탑 + TV (1번째) ---무선--- TV (2번째)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앞으로는 HDMI loop out 포트가 있는 제품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무선 hdmi 어답터의 단점은 HDMI transmitter와 HDMI receiver 사이에 장애물들이 많을 경우, 한쪽이 receiver든 transmitter든 한쪽 HDMI 가 주기적으로 깜빡이는 현상이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제품마다 다를 수는 있습니다만, 제가 사용해본 바로는 그런 현상이 있었고, 다행스럽게도 receiver 쪽이 훨씬 깜빡임 현상이 적다보니, transmitter 쪽에 물리적으로 HDMI 신호를 2개로 분배할 수 있는 HDMI 분배기를 사용하여 해결하였습니다. 즉, 분배기에서 한쪽 output에 HDMI transmitter를 달아놓고, 한쪽에는 TV를 연결해 놓으면 분배기에서 물리적으로 연결한 TV쪽에는 깜빡임 현상이 전혀 없게 됨으로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 @dysania29
    @dysania2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0:36 배경화면 엘리멘탈 ㅋㅋㅋ ❤

  • @pc88mk
    @pc88m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동일제품 4k버전과 FHD버전 둘다 사서 FHD환경에서 써봤습니다. 4k버전이 FHD버전에 비해 딜레이가 조금 덜하더라구요.

    • @Origin_N
      @Origin_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화질은 어떤가요?

  • @keepspeed
    @keepspee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딜레이를 실제로 체감 하는 방법은 옆에 무지 딜레이 적은 게임용 모니터(1ms)를 유선으로 연결하고 무선 모니터를 바짝 옆에 나란히 붙힌후, 두 모니터 경계에 반씩 걸쳐진 윈도우를 위 아래로 이동 해보면 어느 모니터에 윈도우가 늦게 움직이는지 바로 비교가 됩니다. 그냥 느낌으로는 게임 할때 아니면 잘 못 느낌니다. 10ms 정도 넘어야 체감으로 느껴지죠.

  • @1chickengood37
    @1chickengood3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덕분에 선정리 스트레스가 좀 덜겠네요!

  • @julrian0
    @julrian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tv쪽만 수신기 꽂고 노트북은 무선 디스플레이 검색해서 수신기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용중인데요 이게 더 성능면에서는 좋은거 같아요.

  • @user-ts9im6ch1y
    @user-ts9im6ch1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인트로 미쳣네..

  • @user-ci8ct7jn8m
    @user-ci8ct7jn8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알리는 가격보고 들어가고 옵션을 꼭봐야합니다. 저도 몇번 실수 한적있네요 ㅎㅎㅎ

  • @user-in7nt8jc7c
    @user-in7nt8jc7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하이엔드스피커로 음악들을때도 블투랑 유선 차이 나더라고요 기술적으로 유선을 따라갈수가 없긴해요

  • @user-dn9rm9ui7b
    @user-dn9rm9ui7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국산은 아니지만 비슷한것 사용하고있는데 천정에 고정으로 설치해둔 오래된 빔프로젝터와 셋탑박스 연결해서 TV보기에 좋아요~

  • @cleandust530
    @cleandust53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공용공간에서 회의용으로 연결하기엔 딱 좋을듯. 근데.. 요즘 좀 규모있는곳은 airplay 같은거 다 지원해서 음...

  • @Cinnamon_Cannonn
    @Cinnamon_Cannon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MS에서 파는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쓰는데 소스기기로 노트북의 WIFI모듈만으로 작동하고 공유기 대역폭이 넉넉하면 꽤 좋았습니다.

    • @kdan211
      @kdan21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열 없던가요? MS건 화상입는줄... ㅜㅜ

  • @modernkim
    @modernki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스위치를 연결해 쓰는 화면이 하도 많아서 (TV/캡쳐보드(PC용)/태블릿...) 선정리 이슈 때문에 한번 관심가져본적은 있었는데, 아직 시기상조군요 ㅠㅠ
    플스는 초기 내부망 리모트 때 부터 이미 턴제수준 게임은 할만했고, 근래에는 먼 거리에서 데이터가 오는 엑스박스 리모트에서도 쾌적한 실시간 플레이 환경이 돼서 괜찮을줄 알았는데 아깝네요...

  • @user-wt3iu1ii6g
    @user-wt3iu1ii6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Ava의 wireless HD를 FHD 해상도로 구입 했었는데 제로랙이라 해서 70만원에 구입했었는데 송신기가 고장나서 홍콩까지 국제우편 보내는 걸 경험 했었네요. 거의 100만원 들여서 마련 했을 때 스위치 열심히 해야지 했는데… 수신기가 모니터 뒤쪽에 있어 툭 튀어나와있고 송신기도 스위치 할 때는 닌텐도 정품 아답터를 필요로 하는 등 제약 사항도 많고 선들도 주렁주렁 달려 지금은 먼지만 쌓여가고 있습니다. ㅠ.ㅠ

  • @nansa87
    @nansa8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알리가 장난 제일 많이 치는 부분에 걸리신듯ㅋㅋㅋㅋㅋ색깔 다른줄 알고 고르면 옵션도 같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닼ㅋ

  • @DK.G
    @DK.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회의실에 쓰기에 좋을 것 같네요. 회의실이 은근히 케이블 단선이 많이 나거든요 회의실은 딜레이 있다고 신경쓰이는 환경도 아니고

  • @user-ji2rm1jh3h
    @user-ji2rm1jh3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hdmi 케이블 두껍고 무겁기도 해서 선 정리하기 정말 불편했는데 레이턴시는 조금 아쉽지만 무선으로 선 정리를 안 해도 된다는 점에서 좋은 것 같습니다.

    • @jaylee6506
      @jaylee650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1-yv9hu m

  • @skkwndkfkc
    @skkwndkfk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예전에 무선 HDMI 전송기 있으면 좋겠다 싶어서 검색해 봤다가 비싸서 포기했는데 이걸 리뷰해 주시네

  • @Kwangsoo77
    @Kwangsoo7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이제 무선이 4k까지 지원하는군요. 15년 전에도 HD해상도 지원하는 비슷한 제품 사용해보았지만 동영상도 끊겼습니다.
    특히 양쪽 수신기 사이로 사람이 지나가면 끊김이나 싱크가 안맞고 화질 노이즈도 심했었던걸로 기억이 나는군요

    • @ITSUB
      @ITSU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이젠 Wi-Fi가 어느정도 발전하기도했고, 그에따라 4K도 점점 대중화 되려는듯해요 ㅎㅎ

  • @user-wf1se9qk4i
    @user-wf1se9qk4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아직까진 걍 5천언짜리 케이블 쓰는 걸로 ㅎ

  • @user-cy8sw1ot2j
    @user-cy8sw1ot2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번 인트로 폼 무쳤다 ㄷ

  • @Hello_Dex
    @Hello_Dex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크롬캐스트도 무선미러링있지 않나요? 2번째 영상 가능할까요?
    미러링하는거 비교하면 좋을꺼 같은데요?

  • @Dodantq
    @Dodantq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딜레이 많이 걱정 했는데 생각보다 좋네요 ㅋㅋ

  • @choices9648
    @choices964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잇섭님 대박대박 안녕하세요!
    콘센트에 꼽기만하면 전기세를 무조건 절감한다는
    @@퓨리앤코 전기절감기@@@
    혹시 리뷰생각이 없으신지 궁금합니다!❤🎉🎉😊😊
    요새 장마라 에어컨등 전기사용량이 많은 시기인데, 너무 궁금해서 처음으로 댓글달아봐요! 감사합니다!

  • @utopia0509
    @utopia050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예전에 중계때문에 홀리랜드나 vaxis꺼 몇번써보긴했는데, 저가형도 많이 따라잡은거 같긴하네요. 그래도 무선채널 설정이 가능한건 돈을 써야하나싶은건있네요

  • @rebliwa
    @rebliw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앜ㅋ 학원에서 물마시면서 인트로보다가 마스크에다 뿜었어요 ;; 책임해주세요(?)ㅋㅎㅋㅎ

  • @user-eg9no6vu3p
    @user-eg9no6vu3p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비슷한 제품으로 HDMI 분배기랑 조합해서 IPTV 셋톱 하나로 집에서 두대의 TV(거실+안방)에서 보는데 쓰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셋톱박스도 리모컨이 블루투스로 어느정도 거리가 있어도 작동이 되어서 IPTV 회선 추가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다만 액션영화같은 움직임이 많은 화면에서는 어느정도 렉이 있긴 합니다)

    • @hoontang1
      @hoontang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가 궁금해했던 부분인데 해보신분이 계시네요! iptv해상도는 4k로 맞추고 거실티비는 4k이지만 주방티비는 fhd인데 문제없이 수신 될까요~?

  • @ITLOVE0203
    @ITLOVE020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인트로 진짜😂😂😂😂

  • @ssamzi_cat
    @ssamzi_ca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간만에 볼만한거 올라왔당

  • @dobbypd
    @dobbyp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레이븐 아이보다는 홀리랜드가 가성비 괜찮지 않나요? 홀리랜드도 써보셨을까요? 아이패드랑 다수연결도 좋답니당

  • @tincbell
    @tincbel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IPTV 거실거 당겨 오는 용도로 구입해서 사용중입니다. 이 제품은 아니고 딴 제품이긴한대 잘 사용중이에요… 무선hdmi는 설정 안하고 쓰면 딜레이 심하고 동영상을 못볼 정도로 프레임 튑니다. 필히 패치하셔서 사용하시고 따로 hdmi분배기와 물려 쓰면 삶의 만족도 높아요.. hdmi무선송수신기 + hdmi분배기 조합 추천합니다.

  • @ihyunryu757
    @ihyunryu75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hagibis에서 나온 제품중에 하키퍽처럼 생긴 hdmi 수신기 제품 있습니다 hdmi 선 없이 둥근 형태 제품인데 4k지원하면서 가격도 5만원 밑이에요
    일반적인 hdmi 송수신은 아니고, airplay같은 스마트 기기들 연결 가능한 제품이라 아이폰/아이패드 연결할 때 쓰고 있습니다
    학회가서 숙소에서 발표 준비할 때 되게 유용해요

    • @reallzzin
      @reallzzi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딜레이는 없나요?

  • @Park_jh0201
    @Park_jh020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형 이제 시험 끝나서 형 영상 정주행 할게ㅋㅋㅋㅋ

  • @TheBackHug
    @TheBackHu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끊기는건 수직동기 때문일 수 있지 않을까용?
    일방적으로 신호를 보내는게 아니라 동기 신호를 받아야해서 딜레이가 따블로 들어가는거죠

  • @user-nq6mv1hn6c
    @user-nq6mv1hn6c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봤습니다. 궁극적으로는 무선으로 가야 하는 것이 맞긴 하죠. ㅎㅎ

  • @user-hk3kz4lq3p
    @user-hk3kz4lq3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잇섭이형 이거 제품마다 리뷰해 주시면 안될까요? 저는 삼텐바이미에 지니티비 셋탑을 무선으로 연결해서 쓰는데 움직임이 있을 때 노이즈라고 해야 되나? 좀 짜글짜글 되는 부분이 있던데, 어떤걸 사야될지....내가 구매한 제품만 그러는지...좀 사양 좋은거면 괜찮을지 알아보고 있네....기회되시면 한번 심층 리뷰 한번 부탁 합니다~

  • @minyoungjeon7427
    @minyoungjeon742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전 인트로(?) 음악이 더좋은것같아요 ㅠㅠ 시그니처느낌,,

  • @MrKimty74
    @MrKimty7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Widi 와는 다른건 가요? 10년전 미국에서 공부하면서 사용할때 굉장히 편했는데...^^

  • @heliboy8401
    @heliboy840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무실에서 프로젝터 사용하기 딱 좋을것 같네요...동영상보다는 프리젠테이션이고, 무선이라 이 사람 저사람 연결하기 편하고

  • @user-uo1rg5lw2d
    @user-uo1rg5lw2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50 TV뒤에 빨간거랑 후레쉬 보여여 ㅋㅋ어떤걸 즐겨드시나요??

  • @chemistry2023
    @chemistry202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도 저거 사용하는데 송신기 전원 공급은 닌텐도 스위치 독을 이용하고, wifi 대역은 2.4ghz 대역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이용하는데 사용할때 나쁘지 않습니다!
    닌턴도 스위치는 바로 제 옆자리인 쇼파 (TV와 거리는 약 5m)에 독모드로 끼워서 사용합니다

  • @freetotalktruth3508
    @freetotalktruth350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이드카는 HEVC 코덱을 이용해서 송수신을 하기 때문에 끊김이 덜하죠

  • @chsnooopy
    @chsnooop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최근에 컴퓨터 세팅면서 왜 모니터 연결은 무선이 없지 생각했었는데 마침 같은 생각을 하셨네요 😅

  • @csjgowar
    @csjgowa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규모 회의실이나 강당 같은데 프로젝터 유선 선끌어서 설치하는거보다 저거 하나 박아놓는게 편하긴 할 듯

  • @Daengsama
    @Daengsam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airparrot 같은 프로그램 쓰시면 송신기 없어도 됩니다. 수신기 성능이 기존 크롬캐스트 계열보단 좋아서 그런지 딜레이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더라구요.

    • @yisangbo
      @yisangb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모니터에 프로그램을 어케 설치함 ?

    • @Daengsama
      @Daengsam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yisangbo '송신기' 대신에 PC에다 설치합니다. 모니터엔 당연히 '수신기'를 설치하시면 되구요. 저도 저 회사 제품 쓰는데 송신기 발열이 너무 심해 airparrot 프로그램으로 영상 송신하니까 송신기 없이도 딜레이 없이 되더라구요. 다만 airparrot 프로그램 자체가 성능 이슈가 있어서 색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합니다. 그에 준하는 미러링 프로그램 쓰시면 될 겁니다.

  • @HJ-hj8fx
    @HJ-hj8fx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선 없는 사람의 무선 리뷰 잘 봤습니다!

  • @jeongjezzang
    @jeongjezza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아 빨리 딜레이 없는 송수신기가 나왔으면 좋겠네요 너무 알고 싶은 정보 였습니다.
    저는 마소의 UTH-00033 라는 비슷한 제품을 쓰고 있는데;
    이 제품도 화면이 딜레이 되는게 문제네요....

  • @bibe453
    @bibe45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Peakdo mmwave 기기 비싸게 사서 쓰는데 이것보다는 정상적으로 씀. 레이싱 게임 스트리밍용인데, 딜레이도 완전 없다고 느껴지고. 대신 안테나 빗나가면 버벅거리는게 생김. 레이저로 조준하고 써야함.

  • @hyo9323
    @hyo932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4/5GHz 듀얼 밴드기능을 사용한다고 적혀있습니다 공유기 또한 2.4/5GHz를 사용하나 특히 2.4GHz는 와이파이 공유기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대역과 블루투스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대역이 겹쳐서 혼선이 심하기도 하는데
    닌텐도 스위치 같은 경우 조이콘이 블루투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때문에 간섭이 심해 딜레이가 심한걸로 의심되네요 또한 다른 무선 헤드셋,마우스도 주변에 와이파이 기기가 있으면 간섭이 심할 수 있으므로 주변에 공유기가 있다면 오작동을 경험해볼 수 있습니다 그에 대해 공유기 설정을 통해 블루투스 간섭을 완화하는 기능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른 무선 대역을 이용해서 서로 겹치지 않게 된다면 그나마 쾌적한 환경이 되지 않을까 하네요

  • @falsebird
    @falsebir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몇년전에 다른제품 10중반으로 구입해서 사용해봤는데 반응속도 때문에 중고나라로 보낸 기억이 있네여

  • @windyfafy
    @windyfaf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k 30hz 출력에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은 6.2gbps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중국산 제품은 usb3.0 규격이라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무려 유선도 말이죠.]
    최소한 usb3.1 gen2 규격(10gbps)를 확보할 수 있어야 그나마 게임하는게 수월한데요,
    수월하게 쓰려면 1920x1080 60hz 해상도에 10gbps전송량 정도가 딱 맞물려서 작동합니다.
    알리에서 이조건 충족하는 유선허브조차 베이수스 브랜드 정도 뿐이라 아직 갈길이 멉니다.

  • @gomuhamji1
    @gomuhamji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영상전송시 아마 이전 프레임과 다른 영상을 보내는 양이 많은 게임은 딜레이가 심할겁니다. 아마도 영상 압축해서 전송하는 기술 같습니다.
    그래서 게임 영상에서 칼만 휘두르면 딜레이 적으나 영상을 페닝 하거나 전진해서 전체 영상이 갱신되여야 한다면 영상의 압축비가 낮아져서 bandwidth가 부족해서 프레임 드랍이 생길 것 같습니다.

  • @user-px9kq8vb8f
    @user-px9kq8vb8f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이게 있다면 컴퓨터 본체에서 빔프까지 줄을 끌 필요가 없는 걸까요? 끌리네요

  • @lightchang244
    @lightchang24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음향으로 따지면 코드리스 이어폰 대중화가 되고 많이 쓰지만 찐 음질을 중요시하는 환자들은 유선을 쓰는 것처럼
    영상쪽도 일반적인 용도로는 대중화 되겠지만 전문적으로 영상 작업하시는분들 혹은 색감에 매우 민감하거나 프로게이머 같은 사람들은 계속 유선을 사용하게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user-mw3jj6pn6i
    @user-mw3jj6pn6i Месяц назад

    Wifi 기반으로 더욱 빠른 처리와 더 먼 거리에서 처리가 가능하면 이제는 포터블 모니터만 들고 카페가서 맥 스튜디오로 작업할 수도 있겠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