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이 이렇게 생겼을거라고 예측만 한거지, 실제로 어떻게 생겼는지는 아예 몰랐음. 인터스텔라에서도 상대성 이론을 보고, 이렇게 생겼을거라며 구현했는데... 그걸 실제로 관측에 성공한거임. 이론만 존재했고 상상만 했던 것을 두 눈으로 볼 수 있다는게 엄청난거지. 아인슈타인이 진짜 대단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었음.
언론이라는게 항상 그렇죠. 언론학적으로도 언론이 취해야할 궁극적인 자세는 객관성에 있다고 하면서도 사회집단적 구조와 주관의 표상인 인간에 의해 작성되고 제작되기 때문에 주관적인 색이 들어갈 수 밖에 없으며 사실의 명명에도 오류가 따른다고 말하니까요. 더군다나 해당 언론기관은 과학지도 아니니 일반인 수준의 지식에 큰 부작용이 따를 것이라 생각되지는 않네요. 물론, 그렇기에 허용되고 묵인되어도 괜찮다는건 아니지만 요즘 같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가 해일처럼 쏟아지는 세대에는 올바른 정보를 바르게 골라 수용하는 안목과 지식과 호기심, 그리고 자해력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블랙홀을 관측하기 까지의 과정도 정말 대단한 것 같네요. 많은 과학자 분들의 노력도 노력이고 저렇게 각국의 협력을 바탕으로 하나의 거대한 망원경을 만들어 블랙홀을 관측한다는 것도 새롭게 느껴지구요. 하나의 블랙홀을 관측하기 까지 들어간 노력, 자원도 클 것 같습니다. 이게 앞으로 우주를 연구하는 데 있어 큰 발판이 됐으면 좋겠네요
보통의 사람은 인류가 발전하면서 우리모두가 발전을 기여하고 이룬듯 착각하지만 0.01%인간들이 세상을 이끌었고 0.99퍼센트 인간이 직관력과 통찰력으로 0.01퍼센트에 인간을 알아보고 서로 이끌어준답니다 나머지 99프로는 그저 먹고 싸고 떡치고 먹고 싸고 떡치고 그저 잉여 인간 이라고 표현하더군요 심하게 표현하면 유기물..
이번에 관측된거랑 인터스텔라에 나온 블랙홀 이미지와는 달라요. 블랙홀은 자전하거든요 ㅎㅎ 자전하면 당연히 '타원' 형태이겠죠 ?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접시를 아주 멀리서 볼때 정면으로 보는 경우와 옆에서 보는 경우는 달라요. 이번 관측이 블랙홀의 뒷모습을 포함한 (시공간이 심하게 왜곡) 모습인데 이 블랙홀을 90도 방향 꺽어서 관측한다면 또 다른 모습으로 보일거에요. 마치 인터스텔라처럼요 ^^ 주변에 물리학과 출신이 있다면 물어보는 것도 좋을듯
그렇게 물리학으로 뛰어들어서 좌절한 학자가 몇인지.... 물리학을 잘하고 좋아하려면 물리학 특정 분야의 물리학을 사랑하면 안된다는 말이있어요... 아마 파인만이 그랬던거같은데 아무튼 전자기학 같은 진짜 ㅈ같은 분야까지도 흥미있고 재능있다고 생각될 때 시도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일본 미국도아니고 자연과학....그것도 지원이 단 1도없는 물리학을 하려면... 너무나 많은 조건이 필요하죠
영상 내용에 추가를 하자면, 블랙홀이 질량 대비 크기가 작은것은 사실이나 이번에 관측한 블랙홀의 크기는 태양계의 크기와 비슷할 정도로 거대한 블랙홀입니다. (이 거대한 크기가 더 가까이 우리은하 중심에 블랙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은하의 블랙홀을 찍은 이유이기도 하죠) 또, 세계 곳곳의 전파망원경들을 연결했다는것이 인터넷으로 연결했다거나 그런게 아니라 원자시계를 이용해서 각 망원경 끼리 시간을 정확히 맞춰서 각 망원경이 따로 관측을 하고 그 관측 데이터를 각각 따로 저장한 다음 (이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인터넷으로 보낸다거나 하기엔 어마무시하게 거대한 용량이었기에) 저장장치들을 비행기, 트럭등을 이용해서 직접 이동시켜서 데이터를 합칠 장소로 전부 모으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래서 블랙홀은 주변의 별이나 어떤 천체들이 아무것도 없는 곳을 공전하는걸 보고 예측하기 시작한거고 사건의 지평선 직전까지 빨려들어가는 빛을 보고 아 검정색의 무언가가 빛까지 빨아들이는 것을 확인하고 블랙홀의 정확한 중력렌즈 효과에 대해 예측하고 수학적으로 계산한뒤 이번에 인류역사상 처음으로 정확하게 블랙홀을 관측한것으로 아는데
제가 지난주에 아인슈타인의 예측에 대한 이야기를 유튜브로 다뤘는데 기가막히게 이번에 블랙홀 관측 성공이 발표됐네요. 아인슈타인은 자신감이 넘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약 100년 전, 에딩턴 경이 자신의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한 뒤 세상에 본인의 이름이 대서특필됩니다. 그리고 한 학생이 그에게 말했죠. "만약 에딩턴경이 교수님 이론을 증명하는 데에 실패했다면 어떻게 하실겁니까?" 아인슈타인은 대답합니다. "그랬다면 나는 에딩턴 경을 위로했겠지. 어쨌거나 내 이론은 맞을 수 밖에 없으니까." 관련 이야기는 ruclips.net/video/N4DBR8fq7_Q/видео.html 쪽에서 한번 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ㅎㅎ;; 홍보 한 번 하고 갑니다.
제 생각 이지만 우주도 궁금하지만 제일 궁금한게 심해 인거같아요 지구 바다 심해에 아직 우리가 모르는 물고기도 많고 아직 우리가 아는건 단 몇퍼센트 밖에 안된다고 하니 언젠간 우리 지구 바다 깊숙한 심해에 대해 더 알수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지구밖에 있는 행성들도 궁금하지만 지구안 신기한 동식물들도 궁금하군요!
블랙홀을 처음 발견한건 아인슈타인이 아니라 슈바르츠실트(Schwarzschild) 입니다. 아인슈타인은 블랙홀의 존재를 증명하였습니다.... 이런 부적절한 정보는 수정을.......
응 그래도 아인슈타인이 발견함
@@에에에에에에에-y6p 빡대가린건지 그냥 개돼지라 사고방식이 고정된건지 참;;
KDA 흥 심술 좀 부려봤다🤨
@@에에에에에에에-y6p ㅇㅇ 그래
엠공간흑우 넴...
TMI : 블랙홀을 처음 예견한 사람은 슈바르츠 실트
아인슈타인도 처음엔 블랙홀의 존재를 부정했음
엌ㅋㅋㅋ 나도 이거 ㅋㅋㅋ
전쟁터에서 상대성이론을 계산해 블랙홀의 해를 구해낸 천재죠...
박현호 전쟁터에서 탄도학 안하고 물리학 하신분
누가그럼 확실한 출처좀 카더라말고
@@에에에에에에에-y6p 100퍼 아인슈타인이 부정하고 슈바르츠를 학계에서 배척할려했음 나중에 본인이 틀린걸 알고 슈바르츠 논문 본인걸로 만듬 근데 아인슈가 더 잘 알아내니 아인슈가 첨부터 발견한 걸로 됨
1:55 먼가 발견한걸 발표하는 모습이 정말 행복해보인다 ㅋㅋㅋㅋㅋ드디어ㅜ찾았다라는 모습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
1세기가 더 지나야 가능했을지도 모르는걸 발견했으니...
한국에서 태어났으면
보우먼 지방의대 의사
스티븐 호킹 기초생활수급자
ㅋㅋㅋㅋㅋㅋㅋ 기초생활
아인슈타인은 외국에 돈받고 팔려감ㅋㅋ
웃프다.....
호킹은 세계적인 천제인데 미국으로 이민가거나 미국이 “사갔겠죠”
펙트반박불가 닉값 ㅋㅋ ㅇㅈ
ㅋㅋ인터스텔라가 영화로써도 수준높았지만 과학적으로도 제법 수준이 있었네 블랙홀을 첫 영상화를 하면서 논문도 썼다니까
과학자들로부터 감수도 철저히 받았다고 함 감독 자신도 과학논문 열심히 읽고. 그니까 뭔가 이론적으로는 영화에서 일어난 모든 일들이 다 가능하다는거고 우주 어딘가엔 해당 현상이 일어나고 있을 수 있다는것.. 심지어 그 5차원 격자세계까지
그 영화 보면서 관람객 몇몇 기립박수 ㅋㅋㅋㅋ 진짜 아는척 지능인인척 하는거 한국놈들 참 좋아함 ㅋㅋㅋㅋㅋ
인터스텔라가 현재까지 나온 모든 이론들을 영화한거라고 했음
Jackdaw ㄹㅇ 과학에 미친사람일수도 있음
기립박수칠거면 혼자봐야지 무슨 민폐야 그게..어우 진짜 싫다 아는척 깝치는사람들...친구없을거야 분명
아이슈타인은 얼마나 천재인걸까 1세기전에 저걸 이론으로 만들었다니
이론 물리학자들은 진짜 천재임....머리속으로 저걸 어떻게 생각해내지? 시파...난 야한 생각이나 오늘 뭐먹을까 이딴 생각밖에 안하는데...
국밥부장관 야! 너두?
@@마노-c1g 야 나두!
??1일전이네
님 혹시 부끄러운역사TV에서 닝겐새끼랑 토론한 그 분이신가요?
.
?갑자기 뜨길래 헐 블랙홀이 발견됬구나 하고 동영상 다 보고 댓글 내리다가 언제 올린거지 싶어서 (2 3일전에 올린줄 앎)봤더니
1년전...
@하2008 1시간전이넴
@@neajonnamotsangkim 11분 전이네
@@oisobak26 31분 전이네
나도
@@착귄 나도
관측장비도 없었던 시절에 이걸 예측한 킹슈타인 당신은 대체...
물리학이란게 원래 그런거지....
그저 빛
아인슈타인은 존재만 입증한거지, 영상서 말한 질량의 소멸봐 방출은 예견하지 못함
@@qwernnnn 과학은 침대가 아닌 과자입니다ㅎ
아이슈타인...당신은 과학책
드디어 why?에 실제블랙홀사진을 넣을수있겠군
@@user-td7qn6yh1x 블랙홀 주변에 휘어진 빛으로 인해 중간이 까맣게 보이는데 그게 블랙홀 그 자체죠? 그럼 사진으로 실을수 있다는 소리가 아닐까요?
@@임세훈-e8x 음 그래도 표면을 봤다거나 한 게 아니니..
@@user-td7qn6yh1x 내가 시공간의미를 잘못알고있나..?
@케모 상쾌
@@user-td7qn6yh1x 그렇다는말은 우리가 4차원에살고있는데 3차원을인식하고 2차원을보는거아님?
하고 싶은걸 하는 분들이라서 그런지 발표하는 모습이 다들 행복해 보인다...
ㅣ미이
??: 이힛 내 발표내용 보고 깜짝 놀라겠찌!!!! 완전 신기하지!!!
와...케이티 보우먼 젊어보이는데 발표도 자신감있고 존멋...
29살임
그럼 젊은거지 ㅇㅇ
문제는 우리나라엔 저런인재가..흠
@@user-jihan175 본인부터 저런 인재가 되는 게 어떨까요?
@@따나-m7c 그럴려고 노력중임 ㅇㅇ
이거 완전 대박인건데..반 애들이
블랙홀 이미 다 알려져서 영화에도 나왔던거 몰랐냐면서 그러는거 보고 놀람..
사진으로 찍은건 최초죠
이전까진 다 그래픽과 상상
ㅋㅋ문과인듯
아인슈타인이 이렇게 생겼을거라고 예측만 한거지, 실제로 어떻게 생겼는지는 아예 몰랐음. 인터스텔라에서도 상대성 이론을 보고, 이렇게 생겼을거라며 구현했는데... 그걸 실제로 관측에 성공한거임. 이론만 존재했고 상상만 했던 것을 두 눈으로 볼 수 있다는게 엄청난거지. 아인슈타인이 진짜 대단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었음.
joseph lee 문과 무시하는 애들 치고 공부 잘하는애 못봄
joseph lee 저 내용은 2017년 6월 모평 과학 지문으로 나온 내용이거든요. 웬만한 과학 상식은 전부 지문으로 나오기에 공부 하는 애들은 다 아는 내용입니다
저분들은 정말 우주에 관심에 많으시고 사랑하시나보다 특히 저여자분 되게 연설하시는모습이 멋지시드아
아인슈타인도 대단하다 어찌된게 시간이 지나도 아직도 과학자들에게 가르침을 줄수 있는건지
아인슈타인과 스티븐 호킹이 이걸 보고 뭐라고 하실까요? 이건 엄연히 역사적이고 대단한 발견이죠. 중력파 이후로 마음이 꿍꽝꿍꽈 뛰는 일이네요. 그리고 정보 전달 또한 중요하지만 정확한 전달도 중요할것 같은데 수정될게 좀 보이네요..
언론이라는게 항상 그렇죠. 언론학적으로도 언론이 취해야할 궁극적인 자세는 객관성에 있다고 하면서도 사회집단적 구조와 주관의 표상인 인간에 의해 작성되고 제작되기 때문에 주관적인 색이 들어갈 수 밖에 없으며 사실의 명명에도 오류가 따른다고 말하니까요. 더군다나 해당 언론기관은 과학지도 아니니 일반인 수준의 지식에 큰 부작용이 따를 것이라 생각되지는 않네요. 물론, 그렇기에 허용되고 묵인되어도 괜찮다는건 아니지만 요즘 같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가 해일처럼 쏟아지는 세대에는 올바른 정보를 바르게 골라 수용하는 안목과 지식과 호기심, 그리고 자해력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꿍꽝꿍꽈 왤케 기엽지
멋져요~~~^~^ 어떤 지식에 대해 그정도의 열정과 호기심을 느낀다는게! 안다는건 언제나 짜릿하고 즐겁죵!!
스브스에서 이런 원초적인 실수를 한다는게 실망스럽네요 언론사에서..
@@Job66626 ㅋㅋㅋ꿍꽝꿍꽈 개귀엽ㅋㅋ
일반 상대성 이론이 맞다고 보여주는 최고의 증거가 될 수 있겠네 아이슈타인 진짜 대단하다 1세기를 앞서나가네
김태욱 그니까 당장 내일도 뭔일이 일어날지도 모르는데 100년을 ㄷㄷㄷ
21세기 과학으로도 풀지도못한수수께끼를 20세기에 알아냈다는거에 감탄만나온다
그래도 세기는 세기임
@ᄇᄇᄇ 그냥 21세기에 못알아낸걸 20세기에 알아내서 감탄하는건데 방구석 프로불편러가 왜 난리세요?
@ᄇᄇᄇ 걍 대단하다는걸 지가 흐름깨고 한 사람 초딩 만드네
ᄇᄇᄇ 존나 태클거네 한결같이 그리 살아라
21세기 과학은 20세기 과학을 포함하지 않는답니까?ㅋㅋㅋㅋ 웃기고 앉았네 적당히해야지
블랙홀을 관측하기 까지의 과정도 정말 대단한 것 같네요. 많은 과학자 분들의 노력도 노력이고
저렇게 각국의 협력을 바탕으로 하나의 거대한 망원경을 만들어 블랙홀을 관측한다는 것도 새롭게 느껴지구요.
하나의 블랙홀을 관측하기 까지 들어간 노력, 자원도 클 것 같습니다. 이게 앞으로 우주를 연구하는 데 있어 큰 발판이 됐으면 좋겠네요
아인슈타인 : 말해
외계인 : 네?
아인슈타인 : 말하라고
외계인 :
ㅋㄱㅋㄱㅋㅋ
개웃겨 ㅋㅋㅋㅋㅋ
외계인: 리씨빙!
외계인 : 니조랄
??? : 내 목숨을 아이어에!
하아.....떨린다 설렌다 두근
특히나 구면좌표계에 관한 지식을 몰라서(?) x,y,z축의 절대공간을 수학적으로 우그러트리는 방식으로 일그러진 공간의 근사값을 계산한 아인슈타인....그의 천재성 뿐만 아니라 끈기와 노력도 진짜 대단합니다.
우와 저런방법으로 한거구나ㄷㄷ
이렇게 또 우주과학이 발전하네
발.전.했다.
555번째 좋아요
또 교과서에 내용실리겟네 시발 초딩때:아 이렇게하는거구나
중딩때:?좀 바꼇네
고딩때:ㅅㅂ 이게뭐야
이재민 ㅋㅋㅋㅋㅋㅋㅋ내용 늘어날꺼 생각하면 개빡치네ㅋㅋㅋㅋㅋ
@@썬-i4m ㄹㅇ 국어도 늘면 이번생은 망한거 ㄹㅇ 학교에서 젤 귀찮은게 글쓰기인데
진짜 대단하다... 존경스럽다 어떻게 저걸 발견할 생각을 했을깡 난 정말 미개하다...집에서 유튜브 댓글만 쳐달고있는데 ㅠ 인터스텔라랑 똑같은것듀 신기하다 어케맞췄고 어케 이미지를 예상했을까
어쩌면 우리는 학교에서 블랙홀에 대해서만 공부하고 시험쳐서 블랙홀에 대한 상상이 없어졌을지도
그래도 똥 싸면서 거름이라도 만들고 계시지 않슴까
보통의 사람은 인류가 발전하면서 우리모두가 발전을 기여하고 이룬듯 착각하지만
0.01%인간들이 세상을 이끌었고 0.99퍼센트 인간이 직관력과 통찰력으로 0.01퍼센트에 인간을 알아보고 서로 이끌어준답니다
나머지 99프로는 그저 먹고 싸고 떡치고
먹고 싸고 떡치고 그저 잉여 인간
이라고 표현하더군요 심하게 표현하면
유기물..
우리는 발전을 위해 사는게 아니니깐 그냥 행복하게사세요
그래도 코오크님은 커여우시잖아요
인터스텔라에 나온 블랙홀의 이미지는 진짜였네
이번에 관측된거랑 인터스텔라에 나온 블랙홀 이미지와는 달라요. 블랙홀은 자전하거든요 ㅎㅎ
자전하면 당연히 '타원' 형태이겠죠 ?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접시를 아주 멀리서 볼때 정면으로 보는 경우와 옆에서 보는 경우는 달라요.
이번 관측이 블랙홀의 뒷모습을 포함한 (시공간이 심하게 왜곡) 모습인데 이 블랙홀을 90도 방향 꺽어서 관측한다면 또 다른 모습으로 보일거에요.
마치 인터스텔라처럼요 ^^
주변에 물리학과 출신이 있다면 물어보는 것도 좋을듯
@@미안나 지나가던 공돌이 입니다 쇠나 깍아야 겠네요
자전한다는 정보는 어디에 있죠? 궁금해서요; 블랙홀안은 모든 것이 멈춰있다고 하는데 자전을 어떻게 하나요?
@ᄋᄋᄋ 그래서 중력이 생기죠.
@ᄋᄋᄋ 하하하 나중에 중력의 비밀이 풀릴겁니다.
아인슈타인 그는 진짜 세계최강에 천재.. ㄷㄷㄷ
박구 의
난 컴퓨터를 만든 사람이 더 천재같은데
@@강현준-f7z 컴퓨터를 만든 사람도 미치게 대단하지만 그걸 발전시켜 만든사람들이 더 대단한거라 볼수있음
@@이만복-m4g 하긴 컴퓨터는 발전 역사 다 포함해서 수천만명의 연구진들의 어시가 있었지만 아인슈타인은 어시스트 거의 없이 혼자서 했으니 대단
@ᄋᄋ 저는 어떤 천재 수학자가 상대성이론 인가? 방정식 만들어준 거랑 아내가 이론 검증을 도와주던걸 어떤 다큐영화에서 본거 같네요.
이야 내가 죽기전에 블랙홀을 보게 됐다니
@@올빼미가한마리부엉이 그건 언제나 어디서든 볼 수 있잖
어디서든은 뺄까
@@올빼미가한마리부엉이 이분은 과학시간에도 주무시고 국어시간에도 주무셨나 논리는 어디갔고 비유는 왜저따구실까
@@올빼미가한마리부엉이 그럼 그럼 점수에 쳐 맞게 행동해주세요ㅎㅎ
C K 비유를 왜 그따구로 밖에 못드는지ㅋㅋㅋ 생각하는 수준하고는
@@올빼미가한마리부엉이 오 아갈창 터는거 전문적으로 배우셨나 시비 드럽게 잘터시네 역시 공부잘하는분은 말도 잘하는군아ㅎ조때게 멋있음니다
대단하네요....이번 발견을 계기로 블랙홀에 관심이 커지는 것 같은데 언젠가 인류가 블랙홀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겠죠??
우리 세대에선 이해못하고 죽지 않을까요
티끌정도 끄나풀 얻을 수 있겠지만 생명체라면 절대 이해는 할 수 없을듯요
스티븐 호킹님 손자들께서 이 사진을 보고 많이 울었을거같아요ㅠㅠ
와 근데 진짜 아이슈타인도 그렇고 완전 천재다 진짜로 과거에는 뭐 발달된 것도 없었을 텐데 와
다른 이론들도 대박이지만 상대성 이론이 이렇게 증명되었다는게 다시 한 반 위대한 업적이 되었죠
ㄹㅇ 이론물리학자들은 뇌구조가 궁금할 정도임 머릿속에서 저런 것들을 생각해내는게 너무 존경스러움
아인슈타인 아님
@@lopez1322 아인슈타인 아님
@@kwj2734 아인슈타인 아님
얼마전인줄 알앗더니 1년전..;;
알고리즘 무엇
저도
저도
저도
100년전 사람이 예견한 내용을 100년뒤 밝혀낸다라.. 아인슈타인은 정말 위대하네요
진짜 과학자들 수학자들 정말 멋있고 존경스럽습니다. 앞으로도 인류를 위해 힘써주세요.
0:29 브금 너무 좋다 ㄹㅇ SF느낌
BGM 정보 아시는 분~
멋진 영상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2:24 보우먼 플로우 ㅆㅅㅌㅊ
2:40 국뽕 펄~럭
ㅆㅅㅌㅊ
오른쪽엔 일장기♡
@@rlatnals9191 어디?
안녕하세요 맨 오른쪽에서 네 번째
구지 이런거로 국뽕 거려야해..?
100년 전 그는. 100년 후를 보았다.
상대성 이론이 입증되었다고??? 엄청나네!!!!
블랙홀을 실제로 관측됐다고 뉴스에 떴을 때 느낌은 진짜 그냥 신기하고 멋졌음
1:46 박사님 신나신 것 같다 행복해보임 ㅋㅋ
이게 벌써 1년이구나...진짜 한 7달 된거같은데.....
흠흠1일전
@@임기응빈 흠흠 19분 전
@@독고다이-h4u 3분전
@@sum-041116초전..
@@성이름-y4p8z 2분전
진짜 아인슈타인은 무서울정도로 똑똑하다 애초에 당시에 이미 아니 지금도 그래 증명된 사실을 부정하고 새로운 이론을 제시한다는것 자체가 대단한건데 그게 또 맞으니
편집 잘했다.. ㄷㄷ
신기하고 재밌어요🙂🙃
심장이 뛰어요 몸에 소름같은게일어나고..... 정말 저도 과학자가될래요....... 우주 너무 흥미롭다 가슴이뛴다 너무너무너무 좋다.........
그렇게 물리학으로 뛰어들어서 좌절한 학자가 몇인지.... 물리학을 잘하고 좋아하려면 물리학 특정 분야의 물리학을 사랑하면 안된다는 말이있어요... 아마 파인만이 그랬던거같은데 아무튼 전자기학 같은 진짜 ㅈ같은 분야까지도 흥미있고 재능있다고 생각될 때 시도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일본 미국도아니고 자연과학....그것도 지원이 단 1도없는 물리학을 하려면... 너무나 많은 조건이 필요하죠
@@가나다-r2e 그래서 의대지망하고있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에서 제가 좋아하는 것 깊게 파려는건 힘든거같아서요. 말씀은 감사합니다..ㅎ...
와 아인슈타인 진짜 미래에서 왔나 이걸 예측하네
ㄹㅇ 진짜 미래에서 왔나?
저런걸 어떻해 계산을 하냐..
@@look625 100년전이요;
패드립하면패드림 수정했잖아;
@@look625 사랑합니다
@@패드립하면패드림 엌ㅋㅋㅋ 훈훈
오늘의 교훈은
여러분 상상력이 이렇게 중요한겁니다
스티븐 호킹 박사님이 살아계셧다면 얼마나 기뻐하셧을까..
물리학 1, 2 배우면 정말 아인슈타인이 왜 세기의 천재라고 하는지 알겠더라고요 일반상대성이론이랑 상대성이론 조금만 공부해도 진짜 너무 신기하고 이런거 어떻게 구상했을지 ㄷ ㄷ ㄷ
진짜 경이롭다 저걸 어떻게 머릿속 상상과 계산만으로 존재여부를 판단할수 있는거지ㄷㄷ
나침반을 시작으로 호기심의 나비효과 덕분이죠.
1세기전부터 깨달은 슈타인형 당신은 신
블랙홀 사진한장 용량이 5000TB(테라바이트)GB로 나타네면 5000000GB 입니다
팩트가 아닐지도 모르겠는데 검색으론 5000PB(페타바이트)라네요.
5,120,000TB에 달하는 용량이고
기가바이트로 따지면 5,242,880,000GB입니다.
(1TB=1024GB)
사진한장 용량이 아니라 블랙홀에 대한 정보가 저정도라고 하는 겁니다;
@@코끼리끼리-c5x 5000PB ≒ 5EB 라는군요. 상상도 안되는 데이터의 크기네요. 평생 볼까 말까하는 용량.. ㄷㄷ
정말 위대하십니다 선생!!
배경음악 뭔지 알 수 있을까요 톡톡 튀기면서 신나네요
아니 이게 왜 2년 전임 뭐야 내 2년 돌려줘요... 진짜 시바...ㅜㅜㅜㅜㅜㅜ
이거 처음듣고 쌉충격 먹은게 엊그제 같음
힛 나두
아인슈타인 또 의문의 1승
(요즘 중력파부터 승률 좋음)
죽어서도 이기는남자ㄷㄷ
양자역학에선 지겠죠..?
@@이민준-k9v 아인슈타인이 워낙 여러가지 하다보니 양자역학도 조금 발 거쳐서 결국 이기게됨
@@이민준-k9v 하지만 애초에 양자 개념을 구체화 시킨 것 도 아인슈타인 본인이라는게 함정이죠.
숨은 변수 이론에 대한 부분을 제외하자면 이것도 아인슈타인의 1승입니다 ㅋㅋ...
아인슈타인은 블랙홀 부정했을텐데
이것을 계기로 우리나라도 천문학 관련 예산안을 올려주면 좋겠다...
김민규 경제부터 살리고 하자 응?
김태성 여성부폐지하면 일단 2조는 더 투자할수있음
대책없이 시행한 개똥같은 탈원전으로 곧 전기도 수입해야할 판에 인터넷 검열로 유튜브계열 일자리 없앨려하고 너무 이른 화폐개혁 추진할려고 하는데 돈이 남을리가 하
절대 안됨..전그래서 탈조선할거에여 ㅜㅜ 한국에선 저런연구를 할수있을거라는 희망도 없어
잘 봤습니다
1:50 와우 라임보소 우주를 뒤집어놓으셨다
1:22 블랙홀이 가장 작은 천체라면서 이 그림은 뭐지
지구질량의 블랙홀의 크기는 탁구공 만하다는 것 처럼 질량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다는 말인거같네요.
?? 단위는 km인데
질량은 태양의 65억배 라고 알고있음
@@losnah9099 아 질량의 크기를 구의 크기로 나타낸 거군요
사건의 지평선 영역일뿐 실체 천체 크기는 훨씬 작을겁니다.
3:15 `This is just the beginning` ㄹㅇ 개간지... 영화인줄
영상 내용에 추가를 하자면,
블랙홀이 질량 대비 크기가 작은것은 사실이나 이번에 관측한 블랙홀의 크기는 태양계의 크기와 비슷할 정도로 거대한 블랙홀입니다. (이 거대한 크기가 더 가까이 우리은하 중심에 블랙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은하의 블랙홀을 찍은 이유이기도 하죠)
또, 세계 곳곳의 전파망원경들을 연결했다는것이 인터넷으로 연결했다거나 그런게 아니라 원자시계를 이용해서 각 망원경 끼리 시간을 정확히 맞춰서 각 망원경이 따로 관측을 하고 그 관측 데이터를 각각 따로 저장한 다음 (이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인터넷으로 보낸다거나 하기엔 어마무시하게 거대한 용량이었기에) 저장장치들을 비행기, 트럭등을 이용해서 직접 이동시켜서 데이터를 합칠 장소로 전부 모으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정태현님 말씀하실때 정말 신나 보여요...ㅎㅎㅎ
그래서 엠빅 언니 영상에 사용된 비트 어디서 듣죠?ㅠ
슈바르츠 실트가 먼저 생각했다는데 진짜 이분이나 아인슈타인이나 대단하다 난 항상 이런거보면 흥미롭고 좋은데 이런 지구과학이랑 우주도 재미는 있지만 공부하기는 너무...ㅠㅠ역시 너무 깊게는...문과는 웁니디ㅜㅜ
츄츄촵촵 예체능이요ㅜㅜ미대입시해요
이론 하나를 증명하는데만 100년이 걸렸다
그 이론을 완전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년이 더 걸릴까?
500년 이상 걸려겠죠..
호킹복사이론은 맞을 것 같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빅뱅이전을 허수와 실수로 본게 가장 혁명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무경계 우주론…
근데 허수 시간이 존재해 있다고 증명되지는 않아서 아직은 모르겠네요
망원경을 합쳐서 하나의 큰 망원경으로 만든다... 정말 멋있는 것 같아요 보우먼 박사님 존경합니다 ㅎㅎ
블랙홀이 어떻게 생겨먹었는지는 이제 알았으니 앞으로 블랙홀의 존재방식을 규명할 수있다면 중력, 핵력, 전자기력 등 우주의 근본을 이루는 힘의법칙 또한 설명이 가능할테고 나아가서 초끈이론의 완성에 더 가까이 갈수도 있을 듯
브금 제목이 먼가요..
ㅇㄷ
Nightfall - Bryan West x R.O
ruclips.net/video/70r2ZG2BX_o/видео.html
이번 수능 국어 비문학은 일반 상대성인가
팡일이 덕에 법지문 나올 듯
@@chanulpark 일반상대성이론 안빠졌습니다
물리학2 과정으로 올라갔습니다
아주 늦은 댓글이지만 올해 수능(2009 교육과정)까지는 물1에 일반상대성 이론 들어가있고 내년 수능(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물2로 올라갔어요!
닥쳐 애들아 모의고사에 나왔어
@ᄋᄋᄋ 일반상대론 안 배우는 걸로 물리스럽지 않다고 하시는 거면 이해가 안 되네요.. 그거 물리학과 3~4학년이 배우는 걸로 알고있는데 그걸 고등학교 과정에서 소개하는 거 자체가 뭔가 잘못된 게 아닌가 싶은데요..
100년 먼저 앞을 내다본 그는 대체...
그얘기가 그얘기일수도있으나 블랙홀은 빨아들이는 것에 포커스를 맞춰야하는게 아니라 에너지 배출에 포커스를 맞춰야함 그 엄청난 에너지를 빨아들여서 과연 어디로 배출하는지 들어가는 곳이 있으면 반드시 나가는곳이 있음 엄청난 에너지를 쌓아둘수 없기 때문에.
이런거 좋아여ㅠㅠㅠ 이런 컨텐츠도 많이 만들어주세요!!❤❤
케이티 바우먼 저분 너무 멋지다 스피치도 전달력있게 잘하넹
수재: 교과서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공부를 잘함.
영재: 이에 더해 창의적으로 응용함.
천재: 교과서의 내용을 만듦.
내가 보기엔 아인슈타인 머리에는 최소 우주 하나는 있다
그건좀
@@잠좀푹자고싶다 그만큼 대단하다는거지;
속뜻을 모르노
@@김예찬-v2z ഓഅംഏകഗദബഹ ഥണരണരണണ ഒജകകഗദങബഷ ദഭരണണഞവഹ ദഡഥഢൊഝ😅😅 ഓഭോബദഢഭ XD ദജജഞ
@@잠좀푹자고싶다 boi get outta here 🐍 u goofy ass boi
@@잠좀푹자고싶다 어느나라 언어야
박사님... 박사님의 말이 맞았어요.
블랙홀 관련 외국영상보니까 인터스텔라하고 똑같더라구여.
다만 한쪽이 더 밝은건 표현되지 않았는데 이사진은 그것까지도 정확하게 나왔네요.
1:42 다같이 춤춰 쉐킷쉐킷~
중학생때 수학쌤이 1차원부터 4차원까지 나오는 만화영화를 보여줬었는데 그때 1차원은 2차원을 2차원은 3차원을 3차원은 4차원을 못보던데 블랙홀도 4차원의 무언가여서 우리가 못보는 거일수도있지않을까? 궁금하네 4차원이 진짜 있을까라는게
홍석빈 블랙홀을 못보는건 빛이 눈에 관측되어야하는데 블랙홀의 중력으로 인해 빛까지도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가 도달할 빛이 없기 때문 아닌가...?
블랙홀과는 별개로 4차원은 수학적으로는 존재하고 테서랙트가 4차원을 표현하죠...
그래서 블랙홀은 주변의 별이나 어떤 천체들이 아무것도 없는 곳을 공전하는걸 보고 예측하기 시작한거고
사건의 지평선 직전까지 빨려들어가는 빛을 보고 아 검정색의 무언가가 빛까지 빨아들이는 것을 확인하고
블랙홀의 정확한 중력렌즈 효과에 대해 예측하고 수학적으로 계산한뒤 이번에 인류역사상 처음으로 정확하게 블랙홀을 관측한것으로 아는데
@@둠칫쿵짝-g1j 잘 몰라서 그런데 저희가 살고있는 세계가 4차원 아닌가요? 점 선 면 +시간이 더해져서 시간은 차원으로 안치나요?
@@wngud3901 아녜요 3차원이에요!ㅎㅎ
아그 세모네모 영화 그거 추억인데
배경음 출저가 어디인가요
한국아님?
저 사진 하나의 용량이 5페타바이트라네요.. 15테라바이트 342개 분량. 읽고쓰기 속도가 느려서 네트워크 주고받기 말고 하드디스크들을 항공운송 했다고 함
양자컴퓨터가 개발되면 순식간에 처리가능
그래서 다음편은 언제 나오죠?
케이티 보우먼 알고리즘 발견 진짜 대단하다
아이고.. 우주를 다 알기도 전에 죽겄네.. 아쉽...
아직까지 우리들이 모르는게 엄청엄청많을것같은데.. 궁금하다
걱정마요 백만년 지나도 모를테니
우리 손자의 손자의 손자의 손자도 거의 일부밖에 모를겁니다
아직 지구도 다 모르는데 뭘 ㅋㅋㅋ
@@WillbegoodWill 46초전ㄷㄷ
제가 지난주에 아인슈타인의 예측에 대한 이야기를 유튜브로 다뤘는데 기가막히게 이번에 블랙홀 관측 성공이 발표됐네요. 아인슈타인은 자신감이 넘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약 100년 전, 에딩턴 경이 자신의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한 뒤 세상에 본인의 이름이 대서특필됩니다. 그리고 한 학생이 그에게 말했죠. "만약 에딩턴경이 교수님 이론을 증명하는 데에 실패했다면 어떻게 하실겁니까?" 아인슈타인은 대답합니다. "그랬다면 나는 에딩턴 경을 위로했겠지. 어쨌거나 내 이론은 맞을 수 밖에 없으니까."
관련 이야기는 ruclips.net/video/N4DBR8fq7_Q/видео.html 쪽에서 한번 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ㅎㅎ;; 홍보 한 번 하고 갑니다.
이것도 2030년도에 보면추억이겠지
보게 올려좀주세요...
영화 인터스텔라의 예제를 잘 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이영상을 아인슈타인 님이 좋아합니다
M87? 무슨 총이름같네
실제로도 저격소총중에 m87이 존재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실제로 존재함 ㅅㅍ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호킹박사가 살아계시다면 좋았을텐데...
@@Haesung2rangHagosipda 왜 지옥이야 천국이겠지
저런걸 생각하시다니 정말 멋지신분이다... 존경스럽당^^
화이팅입니다
저 블랙홀 사진하나에 5페타바이트의 용량과 90만줄 이상의 프로그래밍코드가 ,,,
마샬 D 티치 : 오늘은 이거다
블랙홀딸 ㄷㄷ
무한의계단 1000 넘을때 저거였구나
ㅋㅋㅋㄱㅋㅋㅋㅋㄱㅋㅋㄱ 개웃기네 진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ㅁㅊㅋㅋㅋㅋㅋㅋ
저거 바운스볼에도 있지않나요?? 아닌가
궁금한게 눈앞 컵에 김빠진 콜라하고 간장 두개 놓고 눈으로 보기만해서 맞출수 있나요?
제 생각 이지만 우주도 궁금하지만 제일 궁금한게 심해 인거같아요 지구 바다 심해에 아직 우리가 모르는 물고기도 많고 아직 우리가 아는건 단 몇퍼센트 밖에 안된다고 하니 언젠간 우리 지구 바다 깊숙한 심해에 대해 더 알수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지구밖에 있는 행성들도 궁금하지만
지구안 신기한 동식물들도 궁금하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