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AI가 사람 사이로 훅 들어오면 SNS 이상 큰 비즈니스가 생긴다” (장대익 교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9 июн 2024
  • 생성형AI가 이전의 기술, 이전의 도구와 가장 다른 점을 꼽으라면 사람들 사이의 관계의 문제를 건드릴 수 있다는 점일 것입니다. 사람과 기계의 관계를 바꾸면서 사람과 사람의 관계까지 바꾸게 될 것이란 얘기입니다. 영화 ‘Her’를 떠올려 보면 실감이 날 겁니다. 이 경우 소셜네트워트 이상의 엄청난 비즈니스가 창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과연 사람과 기계, 사람과 사람의 관계는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요?
    영상 편집=황정현 디자이너
    ▶티타임즈 공식 홈페이지
    www.ttimes.co.kr/index.html
    ▶티타임즈 메일
    ttimes6000@gmail.com
    #생성AI #챗GPT #오픈AI
    00:00 하이라이트
    00:44 생성형AI가 제품의 기획과 설계 과정을 어떻게 바꿀까?
    08:41 생성형AI를 제품에 탑재할 때 고려해야 할 사람들의 욕망은?
    15:09 모든 도메인에서 생성형AI 활용이 필요할까?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36

  • @TTimesTV
    @TTimesTV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오늘의 주제 모아보기📌
    00:00 하이라이트
    00:44 생성형AI가 제품의 기획과 설계 과정을 어떻게 바꿀까?
    08:41 생성형AI를 제품에 탑재할 때 고려해야 할 사람들의 욕망은?
    15:09 모든 도메인에서 생성형AI 활용이 필요할까?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와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 @lovingwoods
    @lovingwoods 3 месяца назад +9

    귀한 강의 감사합니다. 인간이 기본적으로 행복하기 위해 있어야만 하는 유능감. 관계성. 자울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통찰 너무 반짝이네요

  • @Oday_tone
    @Oday_tone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정말 흥미롭고 좋은 인사이트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gg3qo4ds6u
    @user-gg3qo4ds6u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기능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시대, 포스트 모더니즘 때의 놀라움과 같 은 혁신의 눈에 있는듯 하다,

  • @Silver_Siren_
    @Silver_Siren_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전반적으로 동의합니다.
    인공지능은 10년 내에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가 될 겁니다.
    세계 최고의 빅 테크를 돌며 세계 최고 수준의 칩을 설계하는 짐 켈러도 같은 맥락의 내용을 말한 바 있죠.

  • @lucyhwang8803
    @lucyhwang8803 3 месяца назад

    IT 전문가들은 조금 더 구체적인 얘길 하지만, 역시나 진화론자시다보니 다소 상위 레벨로 말씀하시네요 (맥락은 같음) 오히려 더 생각을 하게 만들어 좋습니다!

  • @Backpacking_Explorer
    @Backpacking_Explorer 3 месяца назад +4

    AI 에이전트를 말씀하시는거같아요

  • @sjlee14
    @sjlee14 3 месяца назад +1

    6분전 업로드.. 귀하네요

    • @ro_oa
      @ro_oa 3 месяца назад

      올리자마자 댓글..
      귀하네요

    • @user-bj6tk2ri9v
      @user-bj6tk2ri9v 3 месяца назад

      Soun...

  • @user-gs1kw2vh5p
    @user-gs1kw2vh5p 3 месяца назад

    장대익 교수님의 진화론 강연 강추.

  • @leehy4391
    @leehy4391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6:19 통찰

  • @hkj4184
    @hkj4184 3 месяца назад

    똑똑한사람들은 말을 어렵게하는 특징들이 있는거같음

  • @dayoungkim5467
    @dayoungkim5467 3 месяца назад

    16:45 통찰이란

  • @chaelynkim208
    @chaelynkim208 2 месяца назад

    AI를 인간의 관계성을 건드리는 쪽으로 이용하여 이윤을 극대화한다… 인간을 자원을 소비하는 하나의 소비체, 진화하는 오랑우탄의 한 과정으로 생각하는 지극히 편협한 인류학자적 견해. 인간과의 관계를 꿈꾸는 LG전자의 제품 기대가됩니다.

  • @user-zj7yd6xn6x
    @user-zj7yd6xn6x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강력한 의문..문제제기...사람은 생명체..먹어야 생존할 수 있음....해서 인간이 만들어내는 어떤 것도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음....인간이 만들어내는 것들이 인간생명체의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것을 해결하는 데 기여하지않는 것들을 왜 만들어야할까???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곳에서는 오직 자본의 이윤창출을 위해 뭔가를 만들어낼 뿐, 인간생명체의 건강한 생존을 위해 만들어지지않는다..인공지능 등등...과연 무엇을 위해 필요할까? 더하여 과학기술을 무엇을 위해 만들어야하며 발전시켜야하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을 해야할 것임...오직 돈벌이가 목적이라면 언젠가는 돈벌이가 되는 것이면 인간을 죽이는 일조차 일어나지말란 법이 없을 것임..........

  • @caseylee8528
    @caseylee8528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영상 제목이 "생성형AI가 사람 사이로 훅 들어오면 SNS 이상 큰 비즈니스가 생긴다" 인데,
    이 영상을 보는 사람들은, 생성형AI가 큰 비즈니스가 될 것이란 것을 몰라서 들어온 게 아니라, 어떤 구체적인 사례가 있는지 기대를 하고 들어왔을 겁니다.
    그런데 교수님은 누구나 다 아는 뻔한 이야기를 굳이 추상적으로 설명하네요.
    목적이 정보 전달인지 본인의 인사이트 자랑인지 구분을 해주셨으면 합니다.
    굳이 보실 분들은 재생속도 1.5배로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 @atdt01410x
    @atdt01410x 3 месяца назад

    관점 틀 통찰

  • @jonghee5
    @jonghee5 3 месяца назад +2

    냉장고 한테 시키고 세탁기 한테 시키고 가습기한테 시키고 일일히 제품을 다 만들기 그래서 지금 휴먼 로봇 만드는거 아닌가요?
    수만가지 만드는것 보다 로봇 한 대가 다 해줄 수 있으니.

    • @user-filmstar
      @user-filmstar 3 месяца назад

      정확해요

    • @ychoikr
      @ychoikr 3 месяца назад

      로봇과 세탁기가 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겠군요

    • @dismiss83
      @dismiss83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쳇gpt를 안써봤으니 이런 무지한 얘기가 나오는 거죠. 쳇 gtp 음성 버전으로 대화한번 해보세요. 한국말로 웅얼거려도 다 알아듣고 하나의 주제에대해 지속가능한 대화를 하다보면 요즘들어 왠만한 주변인들과의 대화보다 생산성 있게 느껴지고 대화도 잘 통하더라구요. 그냥 세탁기나 냉장고나 와이파이에 생성형 프로그램 하나만 깔면 되는데 이게 더 쉽죠. 휴머노이드는 휴머노이드대로 또 따로 육체적인 노동을 감당할 테구요.

    • @jonghee5
      @jonghee5 3 месяца назад

      ​@@dismiss83
      답답한 인간이네요.
      세탁기에 옷 넣으러 가야지. 다 되면 옷 꺼내야지. 그건 누가 하는데?
      가습기 물 넣는거도 챗gpt 가 할 수 있나?
      생각 좀 깊이 하고 사세요.
      휴먼로봇을 만드는 가장 큰 이유는 인간이 수백년간 만들어 온 문명과 기술도구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때문이야.

    • @dismiss83
      @dismiss83 3 месяца назад

      @@jonghee5 글좀 똑바로 읽어 임마. 육체적인 노동은 휴머노이드대로 또 따로 한다고 써놨잖아. 너 지껄이고 싶은것만 생각하지말고 남의 얘기를 먼저 똑바로 듣는 습관 좀

  • @madream2123
    @madream2123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저도 교수님처럼 하는것이 더 생산적이라고 생각했는데 ai 로봇 하나면 명령만하면 모든걸 다해줄건데 뭐하러 모든 기기들을 온디바이스 기능화 자동화시켜야 하냐고... 그모든 기기들을 다 살거냐고 사람들이 그러더라고요...ㅋㅋ 아 그리고 디지털세상에 대한 확신이 있으신것 같은데 그렇다면 비트코인 투자는 당연히 하시고 있으시겠죠..? 그걸 안한다면 디지털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디지털자산에 대해서는 별 생각이 없는것이나 마찬가지이니까요...ㅋㅋ

    • @user-sh5rg2dr3c
      @user-sh5rg2dr3c 2 месяца назад

      혹시 어느 정도 투자중이신가요?

  • @jpy72
    @jpy72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먼 소린지...

  • @user-vs5zp4jz9l
    @user-vs5zp4jz9l 3 месяца назад +23

    쉬운말을 어렵게 하네요..

    • @user-oq9jn8mm3h
      @user-oq9jn8mm3h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저도 동감.
      완벽한 문과생이신듯하네요

    • @user-ou5ep5jj2b
      @user-ou5ep5jj2b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게 어려우면 본인의 이해력 수준을 돌아봐야함

  • @user-ml6wr4nx4p
    @user-ml6wr4nx4p 3 месяца назад

    냉장고에 말을 안 해도 ai가 카메라를 통해 알아서 사용자에게 냉동고로 가라고 핸드폰으로 전달할 거임.

  • @woong2526
    @woong2526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아 내 시간....썸네일 보고 들어왔는데 짜증나네요

  • @user-sh5rg2dr3c
    @user-sh5rg2dr3c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가설 검증을 생성형 AI로 한다? 지난 날의 데이터로만 개발하면, 혁신이 있을리가 없지. 도대체 실전 경험을 가지고 얘기하는거야? 교수들의 전형적인 오류. 제발 실전 7년을 쌓고 와서 얘기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