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이야기:고래 진화 증거/고래 분수/고래 아가미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육지에서 수억 년을 살다가 5000만 년 전 다시 바다로 돌아간 고래,
왜 육지 시절의 호흡 기관(폐) 대신 아가미가 진화하지 않은 것일까요?
이에 대해 의문을 갖기 이전에, 아가미가 폐보다 수상 생활에 적합하다고
확신하실 수 있으십니까?
설령 그렇다해도, 당장 생존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오랜 기간에 거쳐
새로운 기관이 진화하는 것보다 원래 있던 기관을 최대한 활용하는 게
더 유리하지 않을까요? Наука
고래가 아가미 진화를 하지 않은 또 다른 관점으로는, 용존 산소의 농도가 있습니다.
보통 1리터의 공기에는 200ml정도의 산소가 있지만, 1리터의 해수에 녹아있는 산소는 0.01ml (=10ppm) 미만입니다.
고래는 다른 어류에 비해서 몸집이 매우 큽니다. 그러니 더 많은 산소량을 필요로 하는데, 해수에는 공기에 비해 평균적인 산소량이 매우 적으며, 심지어 해수에는 적조 이후 혹은 산소 최소층과 같은 구역에서는 2ppm 이하의 빈산소 구역도 있습니다.
반면, 공기 중 산소는 거의 항상 풍부합니다. 제가 고래여도 매우 적은 산소로 힘겹게 계속 숨쉬는 것보단, 숨을 오래 참다가 많은양의 상쾌한 산소로 숨쉬며 살아가고 싶습니다.
다람이 집에서 숨못쉬는 스폰지밥 보고있었는데 어쩌다 이걸 보고있지?..
어 저도
야 나두ㅋㅋㅋㅋ
나도 스폰지밥 거품병 걸린거 보고 왔음 ㅋㅋㅋㅋ
그거 영상 끝날때 이영상 뜨던데ㅋㅋㅋ
@@kimgrae 나도 ㅋㅋㅌ
오옷....!! 썸넬 보고 헐 그러네? 하고 들어왔다가 박수치고 구독합니다!
진화가 하나의 기관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적인 시스템의 문제였다 라는 생각을 못했었네요!! 우와!
지금은 운영 안하시는 거 같지만, 구독자가 수백인 고퀄리티 채널을 알게 되다니..
뭔가 같은 채널을 발견한 소수라는 느낌이 들어서 더 기분이 좋군요 ㅋㅋㅋㅋㅋ
물개박수
이렇게 유익한 채널 빨리 떡상하길 기원합니다. 잘보고가요~
감사합니다
고래가 바다로 돌아가는데에 5000만년이 걸렸지만 어류가 포유류가 되는데에 몇억년이 걸렸으니 더 오랜 시간이 지나면 아가미달린 고래가 생길 수 있지 않을까요? 보고싶으니까 멸종되지않게 잘 보호해줘야겠네요 ㅎㅎ
고래의 진화 찾아보다가 여기까지왔네요 와 유튜브 알고리즘
대형동물인 고래의 경우 체내산소 소모량이 많아 아가미 호흡으로는
일부 용존산소량이 떨어지는 구역에서 그걸 감당하기 어려운게 아닐까요
인간의 생각과 다르게 폐호흡이 더 활동반경의 제약을 오히려 덜받을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다에 사는 아가미로 생활하는 어류들은 크기가 작습니다.큰 개체도 있지만....고래만큼 크지 않죠.바닷물에 녹아있는 산소양보다 바로 공기중에 산소를 흡수하기가 더 용이하기때문이죠.그럼 고래는 덩치가 작아지도록 진화해야하고~바다에서 덩치가 커서 천적이 없지만. .천적도 늘어나겠죠..생존에 가장 유리한 방법으로 진화했다고 보여집니다.
(어쩌다 여기까지 왔지)신기하네요
제 생각엔 아가미가 있었다면 고래도 완전 수면을 하게 되고 완전 수면을 하게 되면 외부로 부터 보호를 받지 못하고 생존에 더 큰 위협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상상을 해보게 되네요ㅋㅋ
대단한 영상입니다!!!
고래에 대해 궁금한것이 너무 많았는데 감사합니다.
파키세투스
ruclips.net/video/rbpK_SOu68M/видео.html
암블로투스
ruclips.net/video/dH4ngdu1V08/видео.html
로드호세투스
ruclips.net/video/BgeCpQCG-TY/видео.html
고래흔적기관
ruclips.net/video/p3FIaDfQIZs/видео.html
물속보다 공기중에 산소가 40배 많다는 점을 생각하면 약간 번거로운 폐호흡이라도 아가미호흡에 크게 밀리지 않을거같네요
바다에서 산다는건 어떤 느낌 일까요? 제가 바다에서 빠졌을 땐 한없이 깜깜하고 무서웠는데 제가 바닷속 생물이 된다면 여태 몰랐던 기쁨을 알까요?
익숙함의 차이 아닐까요
고래는 크기에 비해서 눈이 왜이리 작을까요~?
정말 영상 재밌고 편집도 잘하시고 영상에 빠져듭니다 구독울 하고가는데 구독자가 100명밖에 안되는게 참 아쉽습니다 왠만한 유튜버보다 빠져들게 만듭니다 대단하심니다
인정해주시니 힘이 나네요
고래는 개와 비슷한 특성이 있는데 개 다음 사람, 고래 다음 사람과 같은 시스템이 작동한다고 보면 됨,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근력이 엄청나고 끊임없이 반복 고련을 하거나, 폭식을 할 수 있거나 하는 등의 방법이 가능한 구조의 시스템을 갖고 있는 이들이 만들어 지며 인간과 동물의 분포가 달라지는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다양한 상황과 연결 된다.
사실은 지구는 영화 메트릭스에서 보았던 것과는 다른 형태의 매트릭스 일수도 있다고 생각 하면 됨.
웃기는 심각한 이야기 하나 하면 악착같이 아웅다웅해서 어느 지위를 마련 했는데 알짜백이는 다른 영혼이 몇년동안 챙길수도 있다는 이야기 이고 나는 말년에 와서 기억을 관조 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 라는 것 이며 ......
그럼 아메바가 고래로 변하기 까지는 몇년이 걸렸다는 건가요?
10조년 정도 되나여?
전문가 분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지구의 나이를 검색해보세요. 모르면 검색하세요.
신기하네요 그러면 아가미로 회귀한 동물은 아예 없는 걸까요??
제가 이 세상 모든 동물을 아는 건 아니기에 없다고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뭍에 살던 동물이 물로 돌아가는 과정을 생각해 보면 아가미가 생길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뭍에 살던 동물은 물 주변에서 생활하고, 물속과 뭍을 오가고, 그 후 물속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점차 늘려가는 과정을 거쳐 물로 돌아갑니다. 이때 그 동물은 숨을 오래 참는 방식으로 적응하지, 아가미가 생기는 쪽으로 적응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숨을 오래 참는 방식은 당장 가지고 있던 기관(폐)을 사용하면 되지만, 없던 아가미가 갑자기 생기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진화가 점진적인 과정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아가미를 진화시키는 돌연변이도 분명히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걔네들은 자연선택을 받지 못해 모두 도태됐습니다. 영상에서도 설명했듯 자연선택은 지금 당장 생존에 유리한 개체를 선호합니다. 숨을 1분 더 참는 건 당장 생존에 도움이 되지만, 아가미가 5% 완성된 것은 당장은 별 도움이 안 됩니다. 결국, 숨을 더 오래 참는 개체들이 자연선택 받아 살아 지금에 이르게 되는 것이죠.
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고래 : 인간.피곤.숨
인간 : 멍게 피곤하겠다
멍게 :
아가미 호흡이 더 좋지만
이미 폐호흡쪽으로 잘못 진화해서
이제와서 바꿀수가 없다 이거네요
@@and1807
뭍에 살던 동물은 물 주변에서 생활하고, 물속과 뭍을 오가고, 그 후 물속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점차 늘려가는 과정을 거쳐 물로 돌아갑니다. 이때 그 동물은 숨을 오래 참는 방식으로 적응하지, 아가미가 생기는 쪽으로 적응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숨을 오래 참는 방식은 당장 가지고 있던 기관(폐)을 사용하면 되지만, 없던 아가미가 갑자기 생기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진화가 점진적인 과정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아가미를 진화시키는 돌연변이도 분명히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걔네들은 자연선택을 받지 못해 모두 도태됐습니다. 영상에서도 설명했듯 자연선택은 지금 당장 생존에 유리한 개체를 선호합니다. 숨을 1분 더 참는 건 당장 생존에 도움이 되지만, 아가미가 5% 완성된 것은 당장은 별 도움이 안 됩니다. 결국, 숨을 더 오래 참는 개체들이 자연선택 받아 살아 지금에 이르게 되는 것이죠.
우와!! 진짜 신기방기하네욤😲
잘봤습니다 신기하네영
감사합니다
저도 어쩌다 여기까지 왔어요
재밋다
고래 멀리서 보니 좀 귀엽게 생겼네 ㅋㅋ
근데 조끔 궁금한게있는데 우리사람인 진화를해서 인간이됬는데 그러면 지금 동물들은 진화해서 인간같은 동물은 왜 안나와용?? 궁금해요!!
진화는 랜덤 으로되는것이기때문이죠 생물이 진화하는 방향이 없다는 것입니다.
@@user-holy-udyr 오@!@ 감사합니다 그러면 인간도 램덤?!?? 으로 진화하겠네요~!
@@고양이-e6r 그렇죠
다른 동물들은 아무리 진화해도 절대 인간이 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들과 인간은 이미 다른 길을 걷고 있기 때문입니다. 진화의 길은 여러 갈래이고 하나의 종은 오직 자신의 길만을 걷습니다. 원래 가던 길을 되돌아와 다른 종이 가던 길을 걷지 않는다는 것이죠. 따라서 다른 동물이 어떻게 진화를 하더라도 절대 인간이 될 수는 없습니다.
진화론에 대해 가장 많이 오해하는 부분 중 하나가 원숭이가 인간보다 진화가 덜 됐다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지금 현 시대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들은 모두 진화의 길 최전선에 있습니다. 다만 서로 다른 길에 서있을 뿐이죠. 100m 달리기를 예로 들면, 인간은 1번 레인에 서서 달리고 있고, 다른 종들은 2번, 3번... n번 레인에 서서 달리고 있는 것입니다. 단세포 생물인 아메바나 털이 수북한 원숭이나 지능이 높은 인간이나 지금까지 살아남았다는 점에서 우리는 모두 동일 선상에서 누가 앞서지도 뒷서지도 않게 100m 달리기를 하고 있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적절한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교양있게 인간과 다른동물이 동일선상에 있다고 생각하다니 …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같지 않습니다 인간은 모든 생명체중에 최종 진화형입니다 그리고 다른 모든 생명체들은 절대 인간이 될 수 없죠 근본이 다르기 때문이죠
우영우가 나를 고래 모든 영상을 다 보게 만듦
뭐야 왜 징징이 춤추는 영상에 연관영상으로...
마침 고래를 좋아해서 보러오긴 했는데
지금 보니 고래는 말이 변해서 된 포유류 임. 고래는 개체 수가 많으면 나중에 일정한 수를 죽으러 보내거나 살육을 함.
바다 거북,어룡,장경룡,모사사우루스도 같은 이유로 아가미가 생기지 않은건가...
고래는 잠을 자지 않는 동물인가요?
당연히 잠을 잡니다. 그런데 고래는 양쪽 뇌가 동시에 잠을 자는 건 아닙니다. 그리고 좌뇌와 우뇌가 번갈아 자면서 자기 때문에 자다가 익사하지 않습니다.(자면서도 움직이니까)
우와 신기하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덕분에 알ㅇ아가요^^
@@우유-t5f 통나무같이 떠다니며 다니는 경우도있어요
영상들이 진짜 유익하네요
재밌게 봤습니다 구독하고갑니다
감사합니다
아름다워
전달력이 아주 좋네요
감사합니다.
정말 유익한 영상입니다. 좋아요
나는,, 멍게였구나,,
파키세투스
ruclips.net/video/rbpK_SOu68M/видео.html
암블로투스
ruclips.net/video/dH4ngdu1V08/видео.html
로드호세투스
ruclips.net/video/BgeCpQCG-TY/видео.html
조심해요 창조설자들이 몰려온다구요!!
기다리고 있습니다
인간이랑 비슷한 지능의 생물이 있었다면... 맨인블랙 처럼 됐겠지 궁금하다
목소리가 나긋나긋 한게 졸립..
호흡 마려웡ㅋㅋ
증명된거에요?
정확히 어떤 부분을 말씀하시는지...
고래의 진화는 영상에서 한 설명+화석으로 증명됐고요,
호흡의 개념이 우리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은 여과 섭식 동물의 사례로 충분히 설명했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에 언급한 자연선택은 증명된 사례가 차고 넘치고요.
오 신기하다
(형독보고 있었는데 어쩌다 여기까지 왔지??)
영상 좋당
감사합니다
성지순례!
와 머기업 생각했는데 80명???? 무조건뜬다 제어와드박는다
자막을 넣어주시면 더 좋을것 같습니다 재밌네요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부터는 다시 자막 달아야겠네요ㅎ;
와 이 채널 왜 안뜨지 충분히 뜰만한데
Gill
말도 안되는게 개는 왜 진화가 하나도 되지 않았냐 ㅋㅋ 개의 역사도 엄청 긴데 개 화석 보니까
개 화석이 길어봐야 3만년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게 1만 5천년 전으로 봄.
3만년은 진화에 있어서 아무것도 아니지.
스폰지밥 하고 고래하고 무슨연관이지...
고래흔적기관
ruclips.net/video/p3FIaDfQIZs/видео.html
미리 와드 박고 갑니다.
교양있게 쳤는데 맨위에 안뜨네
징징이쇼 보다가 왔습니다
환영합니다
고래는 포유류라니까요!
나나 이런영상 좋아
스폰지밥 다음영상이네
깅그리치 박사 인터뷰 보면...로드 호세투스 꼬리화석이 없지만 그럴것이라고 생각했다..ㅋㅋ
물 갈퀴도 없지만..ㅋㅋ
윗턱 화석이 없어 분수공도 없지만 아래턱 화석에 맞춰 만들었다~ㅋㅋㅋ
이게 진화의 민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