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우 국어] 2-4-1강. 활용론- (1) 어미의 종류와 기능 (+ 파생명사와 용언의 명사형 구분, 전성어미))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9

  • @셀-d5j
    @셀-d5j 4 года назад

    전성어미랑 접미사 너무 헷갈렸는데 좋은 설명 덕에 잘 들었습니다!! 감사해요💕💕

  • @희망지르기
    @희망지르기 3 года назад

    서법 선어말 어미 -느- 예제) 날싸가 좋/느/냐? 이렇게 표현 하셨는데, "느냐?"는 의문형 종결 어미로 사용된다고 하셨잖아요 ㅠㅠ // 먹/느냐? 좋/느냐? // 어떤게 맞나요?? 코에 걸면 코걸이??

    • @희망지르기
      @희망지르기 3 года назад

      "먹/느/니라" 와 같이 옛서체에서 사용된다면 이해가 가는데.....

    • @희망지르기
      @희망지르기 3 года назад

      또하나 서법 선어말 "더" = 먹/더/니? 의문형에서는 서법이고, 먹/더만 처럼 대등적 연결 어미 에서는 "더만" 으로 사용되니, [먹/더만], [먹/더/니] 이렇게 외워야 하는 건가요?

  • @plzonemorewave
    @plzonemorewave 6 лет назад +6

    이거 너무 어려워요 진짜 미칠거같아요 시험 11일전인데 아직도 이거 나가고있는데 뭔 말인지 1도 모르겠어요ㅠ

    • @imbtbt
      @imbtbt  6 лет назад +2

      이 부분은 형태론과 통사론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알고 있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질문하신 분이 몇 학년인지는 모르겠지만 중학교 수준에서는 말도 안 되는 어려운 내용이고, 고1~고2에게도 난해한 부분입니다. 문법 공부를 몇 차례 반복한 고3에게나 들을 만한 내용이예요. 문법 첫 강의에서도 말 했듯이 문법은 첫 공부에서 절대 완전히 이해할 수 없습니다. 최소한 2번, 보통은 3번 이상 반복해야 막힘 없이 이해할 수 있어요. 파이팅!

    • @plzonemorewave
      @plzonemorewave 6 лет назад +3

      전 고2인데도 많이 어려워요ㅠ

    • @imbtbt
      @imbtbt  6 лет назад +2

      한번으로 이해가 어려울 테니 관련된 단원을 같이, 차근차근 공부하면 됩니다. 아직 열흘이나 있어요. 파이팅!

  • @RokaKR
    @RokaKR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 @봉달이-d1h
    @봉달이-d1h 5 лет назад +1

    선생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강의 내용 중에 '선생님이다'에서 왜 어간이 '선생님이-'인가요? 어간은 활용하는 용언에만 해당되지 않나요? 고로 선생님이 체언이 되므로 이를 제외한 어간은 서술격조사의 '이', 어미는 '다'가 맞지요?

    • @imbtbt
      @imbtbt  5 лет назад

      답글이 너무 늦었습니다. 죄송합니다 ㅜ
      어간, 어미는 활용하는 부분에만 적용하는 개념이 맞습니다.따라서 격조사에서는 '-이-'만을 어간으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강의 중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생님이-'까지로 설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 @plzonemorewave
    @plzonemorewave 6 лет назад +22

    쌤 빼꼼 닮으셨어여

    • @imbtbt
      @imbtbt  6 лет назад +3

      알고 있습니다 하하하...

    • @성시연-x1p
      @성시연-x1p 6 лет назад +2

      ㅋㅋㅋㅋㅋㅇㅈ

  • @changwonlee7426
    @changwonlee7426 4 года назад

    선생님. 전성어미와 접미사를 구분할 때 뒤에 조사가 붙을 수 있는지 여부로 판단하면 안되나요?

    • @imbtbt
      @imbtbt  4 года назад +1

      네 안 됩니다. 구분이 안 되어요 ㅠ. 예를 들어 '강아지가 먹이를 먹음을 알았다'에서 '먹이'의 '-이'는 접미사, 먹음'의 '-음'은 전성어미입니다. 그런데 둘 다 뒤에 조사가 붙지요.

  • @본토힙합
    @본토힙합 5 лет назад

    21:40

  • @yoonjunyung
    @yoonjunyung 6 лет назад +2

    선생님 어간에 접미사를 결합하는게 아니고 어근에 결합한다는 표현이 맞지 않나요?

    • @imbtbt
      @imbtbt  6 лет назад +2

      어느 부분에서 그렇게 설명했는지를 모르겠군요 ^^. 용언의 어근과 어간은 다른 개념이긴 하고 어간은 어미와, 어근은 접사와 짝을 이루어 설명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이 강의가 '활용론'이고 '어미의 종류와 기능'을 다루고 있는 것이라 아마도 어간과 어미를 기준으로 하다보니 그렇게 설명하지 않았나 생각이 드네요. 원칙적으로는 질문하신 분의 설명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