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 미팅] Phase-Approaching Stimulation Sequence for SSVEP-Based BCI: A Practical Use in VR/AR HMD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7 окт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26

  • @LEE_Yun_Sung
    @LEE_Yun_Sung 4 дня назад +1

    좋은 발표 감사합니다.
    PAS 자극으로 인해 유도되는 주파수 반응에 대해 질문드릴 사항이 있으나, 관련 질문이 이미 다수 확인되어 해당 답변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LeeSeungWon222
    @LeeSeungWon222 4 дня назад +1

    좋은 발표 감사합니다.
    정확도와 정보 전송률이 좋아 실제로 드론에 활용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저도 07:25의 결과에서 forward와 backward에 대해서만 모든 피험자가 오류없이 수행된 이유가 궁금한데, 다른 분이 질문해주셔서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Hyungtak_Lee
    @Hyungtak_Lee 5 дней назад

    재미 있는 연구 소개 감사합니다. 해당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이 조금 재미있는 것 같은데 05:50에서 PAS를 통해 만들어진 자극을 보면 말씀하신것처럼 wave가 약간 불규칙 한 걸 볼 수 있고 주파수 반응도 13Hz만 있는게 아니라 21Hz도 파워도 살짝 올라오는 것 같은데, 결국엔 SNR이 떨어진다는 의미가 될 것 같습니다. 더해서, 21Hz와 같은 하모닉은 아니지만 간섭 신호도 고려해야할 것 같네요.
    다른 분도 질문을 주셨는데 홀로렌즈의 SSVEP 자극이 어디에 투사되는 건지 정보는 없나요? 일반적인 컴퓨터 모니터에서 처럼 렌즈에서만 깜빡거리는 거라면 AR 글라스를 굳이 쓸 필요없이 그냥 모니터로 제시해줘도 되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AR은 자극의 거리를 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어느정도 거리에서 본 자극일지가 궁금하네요. 드론의 위치가 상당히 떨어져있는데 SSVEP 자극이 드론이 있는 위치정도에서 깜빡거린다면 드론을 주시하면서 자극을 보기에도 편하고 눈의 피로감도 덜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실제 실험 세팅이 어떻게 됐는지 궁금하네요. 저희도 VR로 SSVEP를 구현해보면 생각보다 눈이 부시고 피로한데 어떤 방법을 썻는지 참고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Jun_Seok_Lee
    @Jun_Seok_Lee 6 дней назад

    좋은 발표 감사합니다.
    실험에 사용한 hololense가 매우 작고 간편해보여서 EEG 측정과 동시에 사용하기 좋을 것 같네요.
    한 가지 궁금한 점은, hololense의 경우 AR 환경처럼 외부 환경에서 가상의 화면?처럼 SSVEP를 제시하는걸까요? 아니면 홀로그램처럼 3D 자극을 제시하게 될까요?

  • @Wooseok_Ahn
    @Wooseok_Ahn 5 дней назад

    흥미로운 연구 소개 감사합니다. 정확도를 파악하는 데에 드론을 사용한 점이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8:28의 결과 부분에서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해당 결과를 살펴보면, 다른 방향과는 달리 forward나 backward의 경우 모든 상황에서 드론이 정확하게 움직였는데, 이에 대한 논문 내 언급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Shim_Gyutae
      @Shim_Gyutae 4 дня назад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Forward와 Backward의 주파수는 19 Hz와 23 Hz인데, 6개의 주파수 중 이 둘만 소수이기 때문에 오분류가 적게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Wooseok_Ahn
      @Wooseok_Ahn 4 дня назад

      @@Shim_Gyutae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 @Nari___Kim
    @Nari___Kim 4 дня назад

    흥미로운 연구 소개 감사합니다.
    실험을 보면 눈의 피로도를 적게 유발한 상위 6개의 주파수를 활용했다고 하셨는데, 이 6개가 총 12개의 주파수 중에서도 높은 순서대로 6개인 것 같아서요.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주파수가 높을수록 시각적 피로도가 많이 유발될 것 같은데, 이에 대한 설명은 없을까요?

    • @Shim_Gyutae
      @Shim_Gyutae 4 дня назад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일정 수준까지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시각적 피로가 많이 유발될 수 있지만 이를 넘어가면 뇌파에서는 해당 주파수의 파워가 나타나도 눈으로는 실제 깜빡이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자극이 정지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시각적 피로가 감소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dayoung_yu
    @dayoung_yu 5 дней назад

    좋은 발표 감사합니다. CCA 과정에서 다른 연구들과 달리 타겟 주파수의 두배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와도 상관계수를 구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Shim_Gyutae
      @Shim_Gyutae 4 дня назад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하모닉 성분을 고려하여 두배 주파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 논문에서 사용한 주파수는 하모닉 성분이 겹치지 않아 단순히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Ju-An_Park
    @Ju-An_Park 4 дня назад

    좋은 발표 감사합니다. PAS와의 비교를 위해서는 Ideal Wave의 frame rate를 기기 주사율의 정수배로 설정해야 될 것 같은데, 이에 대해 언급된 내용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Shim_Gyutae
      @Shim_Gyutae 4 дня назад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PAS와의 매칭을 위해 Ideal Wavel의 주사율은 기기의 주사율인 60 Hz의 배수인 2400 Hz로 설정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Ju-An_Park
      @Ju-An_Park 4 дня назад

      @@Shim_Gyutae 답변 감사합니다!

  • @hyeran_cheon
    @hyeran_cheon 5 дней назад

    흥미로운 연구 소개 감사합니다. 항상 모니터 주사율의 약수가 되는 Hz만 사용했었는데, 해당 알고리즘을 통해 자극 주파수의 범위가 넓어질 것 같네요. 하나 궁금한 점은, 5:45에서 ideal wave와 PAS-sequence의 차이가 좀 있어보이는데, PAS 자극을 인가하더라도 정확하게 13 Hz에서 peak가 나타나는 건가요?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것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Shim_Gyutae
      @Shim_Gyutae 4 дня назад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실제로 구현했을 때 다른 주파수에서도 peak가 나타나기는 하나 13 Hz의 peak가 가장 높았습니다.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점이 다른 주파수의 peak를 발생 시키지만 타겟 주파수의 파워가 가장 높기 때문에 충분히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hyeran_cheon
      @hyeran_cheon 3 дня назад

      @@Shim_Gyutae 답변 감사합니다.

  • @Kim-WooJin
    @Kim-WooJin 4 дня назад

    흥미로운 연구소개 감사합니다. 알고리즘이 자극 주파수를 잘 구현하는것으로 보이는데 6:40초 그림에서 해당 주파수 파워를 잘 보여주는데 보통 낮은 주파수를 자극하면 하모닉 성분으로 2배정도의 주파수가 보통 같이 peak를 보이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해당 결과에서는 이러한 부분이 아예 보이지 않는것 같은데 그렇다면 알고리즘이 잘 자극했기 못 했다고 할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Shim_Gyutae
      @Shim_Gyutae 3 дня назад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논문에서 사용한 자극은 검은색인 상태와 흰색인 상태로만 이루어져 사각파의 성질을 가집니다. 사각파의 경우 2배가 아닌 홀수 배수에서만 하모닉 성분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결과에서 하모닉 성분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Kim_JunYeop
    @Kim_JunYeop 5 дней назад

    좋은 발표 감사합니다.
    application study의 결과에서 원으로 표시한 부분은 원래 순서와는 다르게, 위치를 원래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동작을 진행했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그리고 Acc 계산에 이렇게 잘못 움직인 경우,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과정까지를 Acc에 포함시킨 거 같은데, 원래 설계된 12번의 명령에 대해서만 Acc를 계산하면 될 것 같은데, 추가로 실행된 명령에 대해서도 Acc를 계산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 @Shim_Gyutae
      @Shim_Gyutae 4 дня назад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보정을 위해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했습니다. 12번의 명령에 대해서 Acc를 계산하지 않은 점은 저도 의아했으나 예를 들어 11/12나 13/14를 비교하면 큰 차이는 없어 이와 같이 진행한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Sangho_Lee
    @Sangho_Lee 5 дней назад

    좋은 발표 감사합니다. 8:33 결과에서 두 사람 말고는 모두 오류를 겪고 이를 수정했는데, 피험자가 실수(잘못된 부분을 응시)한 것도 포함된 것인지 아니면 제대로 응시했는데도 잘못 인식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Shim_Gyutae
      @Shim_Gyutae 4 дня назад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아쉽게도 피험자의 실수인지 알고리즘으로 인한 오분류 인지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가 없었으나 충분히 높은 정확도가 나왔기에 별도로 확인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Cho_Eunbi
    @Cho_Eunbi 5 дней назад

    좋은 발표 감사합니다. 5:30의 결과를 보면, 13Hz의 ideal wave와 PAS 둘 다 13Hz의 하모닉 성분인 26Hz에서는 전혀 피크가 나오지 않는데, 이에 대한 이유가 있을까요? SSVEP 자극이라면 하모닉 성분에서도 크진 않더라도 어느정도 피크가 보여야 할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 @Shim_Gyutae
      @Shim_Gyutae 4 дня назад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자극이 사인파의 형식이면 하모닉 성분이 나타나지만 논문에서 사용한 자극의 경우 0(검은색)과 1(흰색)으로만 이루어져 이를 신호로 표현하면 사각파의 형태를 가집니다. 사각파의 경우 홀수 배수에서만 하모닉 성분이 나타나기 때문에 그림에는 나와있지 않으나 3배인 39 Hz에는 피크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Cho_Eunbi
      @Cho_Eunbi 3 дня назад

      @@Shim_Gyutae 사각파의 경우 홀수 배수에서 하모닉 성분이 나타난다는 점은 몰랐는데 새롭네요.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