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의 6%랑 6의 50%가 같다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곱셈 교환법칙(n × m = m × n)을 활용하면 퍼센트 계산을 더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즉, a × (b / 100) = b × (a / 100) 이므로, 숫자를 바꿔서 계산하면 더 빠를 수 있죠.
    예를 들어 50의 6% 대신 6의 50%를 구하면, 50 × 0.06 대신 6 × 0.5 = 3이 되어 훨씬 간단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더 어려워질 수도 있으니, 상황에 따라 유리한 방법을 선택면 됩니다. 😊
    (💡 더 많은 수학 꿀팁이 궁금하다면 ‘구독 & 좋아요’ 꼭 눌러주세요!)

Комментарии • 862

  • @SNU
    @SNU  7 дней назад +341

    곱셈 교환법칙(n × m = m × n)을 활용하면 퍼센트 계산을 더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즉, a × (b / 100) = b × (a / 100) 이므로, 숫자를 바꿔서 계산하면 더 빠를 수 있죠.
    예를 들어 50의 6% 대신 6의 50%를 구하면, 50 × 0.06 대신 6 × 0.5 = 3이 되어 훨씬 간단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더 어려워질 수도 있으니, 상황에 따라 유리한 방법을 선택면 됩니다. 😊
    (💡 더 많은 수학 꿀팁이 궁금하다면 '구독 & 좋아요' 꼭 눌러주세요!)

    • @서태웅-t7k
      @서태웅-t7k 4 дня назад +8

      간단하게 바꾸면 a x b x 1/100으로 바꿀수도 있어요

    • @KKKim-ej5rw
      @KKKim-ej5rw 3 дня назад +4

      @@SNU 서울 공대생이였네 ㅋㅋ 너 서민들 한데 약팔지마...임마...
      우리가 언제 이렇게 계산했니?? 그냥 똭 나오는거지... 쉽게 알려줄려고 하지마~ 너 그렇게해서 서울대 간거 아니자나~ 솔직해 지자 우리....."Written by a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raduate"

    • @봉봉-r3l
      @봉봉-r3l 3 дня назад

      @@KKKim-ej5rw잘났다….

    • @HH-bd3jl
      @HH-bd3jl 3 дня назад

      병먹금

    • @이전웅
      @이전웅 3 дня назад

      ​@@KKKim-ej5rw저게 도움이 될 수 있잖아요 ㅎㅎ

  • @구름위를둥둥-g6t
    @구름위를둥둥-g6t 4 дня назад +1666

    24에 5%는 얼마일까요?
    바꿔서 계산해도 어렵습니다.
    왜냐면 나눗셈이기 때문에..
    그냥 곱해서 자릿수 2칸 내리면 됩니다.
    24×5=120 .. 두칸 내리면 1.2
    곱셈이 훨씬 쉽습니다.

    • @yunsungoh9572
      @yunsungoh9572 4 дня назад +77

      천재네

    • @이이이이이-e6x
      @이이이이이-e6x 4 дня назад +49

      모든 경우에 다 적용할 수 있는건가요? 그렇다면 너무 유익한거 같아서요!

    • @이이이이이-e6x
      @이이이이이-e6x 4 дня назад +35

      해보니ㅣ까 다 되는거 같네요 천재이신긋 감사합니당

    • @실베
      @실베 4 дня назад +40

      그냥 %기호는 그 자체로 0.01값임...
      % equals to 0.01 무차원값

    • @MaverickStudium
      @MaverickStudium 4 дня назад +19

      아니 원래 다들 이렇게 하는데 이것도 셈 느린 사람은 저게 신기하고 50이라도 빨리하는거죠 ㅋㅋㅋ 25*0.12 같은때는 12*0.25로 은연중에 하고 계실걸요 ㅋㅋ 은연중에 못하는 분들도 의외로 많으니까 설명해주시는듯

  • @게으른천재-y2q
    @게으른천재-y2q 3 дня назад +103

    이거 퍼센트를 곱하기 1/100으로 이해하고 하면 훨씬 쉬움 7의 3퍼센트 이딴것도 7 x 3 x 1/100하면 21/100 = 0.21 이런식으로 금방나오죠

    • @조흑흑
      @조흑흑 День назад +3

      닉값 ㄷㄷ

    • @커피물조절장인-o6i
      @커피물조절장인-o6i 20 часов назад

      그러니까 결국 두 숫자를 곱하고 소수점 2개만 내리라는거네요.(=자릿수 2번 후퇴)

    • @못구는짱말려
      @못구는짱말려 18 часов назад

      @@커피물조절장인-o6ix의 y%라고 하면
      계산식은 (x*y)/100 이렇게 나오는거임

    • @민우김-f4n
      @민우김-f4n 12 часов назад

      7*0.03=0.21

    • @user-id7gc5xh7q
      @user-id7gc5xh7q 11 часов назад

      오 개꿀

  • @saebyeoknoeul
    @saebyeoknoeul 7 дней назад +731

    지금까지 백분율 계산하면서 자기만의 방법? 같은 게 하나도 없었으면 저거라도 새겨 듣는 게 맞지…

    • @Geunri
      @Geunri 2 дня назад

      그냥 곱셈인데 못하면 경우의수도 계산 못한다는건데

    • @saebyeoknoeul
      @saebyeoknoeul 2 дня назад +6

      @@Geunri 백분율은 소수점까지 고려해야함ㅋ 그러니까 소수점을 어떻게 다루느냐가 문제지 뭔 경우의수?

    • @이건좀-f1f
      @이건좀-f1f 2 дня назад +11

      둘 곱해서 100 나누는게 젤 활용도 높음.

    • @gchoo4622
      @gchoo4622 День назад

      나도 그냥 곱셈

    • @WhoK-k6z
      @WhoK-k6z День назад

      걍 나누거나 곱하면 그만이지 뭔 백분율에 방법까지 찾냐 ㅋㅋㅋ

  • @katrinad6188
    @katrinad6188 2 дня назад +28

    이걸 설명하고 그 다음 예시로
    53의 24%를 구하라 이런걸 내면서
    좀 복잡하죠?
    그럼 바꿔봅시다
    24의 53%가 되죠? 그럼 이건
    24의 50% + 24의 3% 입니다
    그래서 12 + 0.72
    즉 12.72 가 되는거죠
    이렇게 활용한 문제풀이를 제시해야하는거임..

    • @seyun325
      @seyun325 День назад +2

      올.. 수포자인 난 뒤돌면 까먹을 것 같아.. 개별로 계산해서 합친다 기억해보자..

    • @민식오-i2f
      @민식오-i2f 18 часов назад

      10.72 아닌가여?

    • @민식오-i2f
      @민식오-i2f 18 часов назад

      아 12.72 맞구나

    • @수현-c1c
      @수현-c1c 14 часов назад

      53의 20% + 53의 4%가 더 쉬울꺼같은데?

    • @민우김-f4n
      @민우김-f4n 12 часов назад +1

      53 에 24를 곱해서 나온 수 1272 에 소수점 두자리 위치에 점만 찍으면 12.72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0.01을 곱해서 그대로 대입하면 됩니다..

  • @user-gv9nc4kn7p
    @user-gv9nc4kn7p 3 дня назад +92

    퍼센트는 그자체로 0.01을 지니기 때문에..
    자리를 바꾸는 것도 쉽고
    0.01을 곱하는것도 쉽고
    그냥 곱해버린다음 2자리수를 내리는것도 쉽다

  • @b00LG0M
    @b00LG0M День назад +6

    백분율은 누구나 자기만의 공식이 있는듯
    오늘 영상과 댓글로 내 방법말고 다른 방법들 흡성대법함.
    이제 난 백분율 신이다

  • @docotinemath
    @docotinemath 2 дня назад +2

    옹.. ㅎㅎ 곱셈은 교환이 성립된다는건 알고 있긴 해도 평소에 많이 쓰이는 것에 생각이 고정되다보니 생각을 못해봤네요! ㅎㅎ 재밌게 봤어요😊

  • @카eg디뷔
    @카eg디뷔 3 дня назад +11

    이건 안바꾸는게 더 빠를거 같은데 ㅋㅋ

  • @최영민-g9t
    @최영민-g9t 3 дня назад +49

    걍 5×6=30한 다음에 백분율이니깐 0두개 떼면 되는디 굳이...

  • @user-wz2qx8rj5q
    @user-wz2qx8rj5q 3 дня назад +2

    성대 위치를 보면 돼요 그럼 우린 이 사람의 진짜 목소리를 바로 알 수가 있어요

  • @이건좀-f1f
    @이건좀-f1f 2 дня назад

    뭐랄까 교과서 같은 느낌이라고해야하나?
    선생님 : 50의 6% 구하는건 이렇게하면되는거야~
    시험낼때 : 23의 17%를 구하시오.
    학생 : 23의 17%....17의 23%... ???

  • @JasonDo-ge2gz
    @JasonDo-ge2gz 4 дня назад +8

    나 김보훈 형한테 (잘생기면 무조건 형이라고 부름) 공부 배우고 싶다...

  • @민우김-f4n
    @민우김-f4n 12 часов назад

    %값을 구할땐.. 두 수를 곱해서 소수점 두자리 위치에 점 찍으면 계산이 쉽습니다. 위치를 바꾸고 뭐고 할 필요없이 다 곱해서 나온 값에 0.01 곱하면 그게 %수치가 되지여..

  • @BogorSukabumi
    @BogorSukabumi 5 дней назад +103

    위치 바꿔서 50퍼센트가 되니까.. 가능하지.. 37퍼센트 쯤 되면...

    • @Enjoy.Switch
      @Enjoy.Switch 5 дней назад +8

      그걸 쉽게하는 방법을 제시해 보든가.
      대안도 없으며면서 불만만

    • @BogorSukabumi
      @BogorSukabumi 5 дней назад +41

      @Enjoy.Switch 전 대안을 만드는 사람이 아닌데요.. 그냥 사실만 적시 했을 뿐입니다. 50프로 아닌경우에 빨리 구하는 방법을 가지고 영상을 만드는 것이 더 실용성 있지 않겠냐는 의견일 뿐입니다.

    • @입벌려힐들어간다
      @입벌려힐들어간다 5 дней назад +16

      ​@@Enjoy.Switch정석대로 하면 되죠 50×6/100 이건 정석으로 계산해도 쉬운거잖아요..
      37의 6% 일 경우 설명대로 6의 37%가 얼마인지 눈에 들어 옵니까?

    • @Spammaridupbap
      @Spammaridupbap 5 дней назад

      ​@@Enjoy.Switch애미도 없으면서 불만만.

    • @Darkz5w
      @Darkz5w 5 дней назад +2

      6/30 이 눈에 들어오든 말든 두 계산식은 결과는 같습니다 ㅎㅎ 곱하기는 서로 위치를 교환해도 같은 값을 갖게 된다

  • @DoNotDreaming
    @DoNotDreaming 3 дня назад +1

    본인이 알고있는 또는 그렇게 풀어왔던 방식을
    숫자끼리 바꾸면돼 그러면 쉬워가
    왜 그렇게되는지는 풀영상에 있겠죠?
    저희처럼 다큰 성인이야 풀이해본 경험이 있으니 졸업한지 꽤 되었어도 초등수학정도로 느껴져서 바로 암산이됩니다만
    뭐 손흥민선수 나와서 "야 저기 구석골대보고 차면 감아차져" 일반인들 성공률이 얼마나될까요..
    정말 공부하고싶으하는 친구들이 찾아와 유용한 노하우를 얻을수있는 좋은 영상 채널이 되길 바랍니다.

  • @ducksb1010
    @ducksb1010 2 дня назад

    제우스는 맨날 서커스하다 바르거나 터지거나 느낌인데, 임팩트. 마린시절 티원은 질거란 생각자체가 안들던 시절이라 진짜 ㅋㅋㅋㅋ
    리그전체를 압도해버리던 시절이어서

  • @Maniri0o0
    @Maniri0o0 5 дней назад +3

    이런거 특 : 손으로 설명하는 쇼츠에서는 이걸 누가 모름? ㅇㅈㄹ함 ㅋㅋㅋ

  • @개똥아-q1p
    @개똥아-q1p День назад

    좀 안어울릴지 모르지만 나중에 인적성이나 psat하면 분수도 외움
    1/8은 12.5% 1/7은 14.3% 1/6은 16.7%
    1/9는 1-1/10으로 계산하고
    1/5= 20% 1/4=25% 1/3=33.3% 1/2는 절반
    이건 뭐 웬만하면 아는거고
    이런걸 하는 이유는 나눗셈보다 곱셈이 쉽기 때문임
    여튼 간에 나눗셈은 소인수분해가들어가고 다시 그걸 몫과 나머지를 구분하고 빼고 하는 개념이 들어가기 때문에 속셈이 잘 안됨
    21세기 ai의 시대에 셈 빠른게 중요한가 싶겠지만 졸라 중요함. 연산은 두뇌회전의 기초단계임. 본인은 어릴적 구몬수학대신 빨간펜을 하는 바람에 인생을 창의적으로 살아버림ㅜ

  • @mr.k2010
    @mr.k2010 5 дней назад +2

    의 라는 것은 곱하기.
    % 라는 것은 100분의.
    즉, 6 곱하기 50 나누기 100

    • @dreamerer2297
      @dreamerer2297 13 часо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 @민우김-f4n
      @민우김-f4n 12 часов назад

      다 곱해서 나온값에 0.01 곱해주면 끗

  • @boston3560
    @boston3560 4 часа назад

    이런건 암산 1초 뚝딱인데, 신기하게 풀면 신기한 대학 가는거 다들 아시죠?

  • @ERROr_0511
    @ERROr_0511 4 дня назад +1

    아니...저기엔 50 이 있으니까 저 방법이 편한거라고..
    상황에 따라 푸는거지 다들 학창시절에 수학이라곤 덧셈뺄셈만 함? 댓글창 왜이러는데

  • @너클조의실전당구
    @너클조의실전당구 21 час назад

    50이 쉬우니까 바꿔도 쉬운거처럼 보이지.... 쉬우면 어짜피 안바꿔도 쉬움... 결국 쓸모없는 계산법... 49가 되는순간 시간 걸려~ 살다보면 5에 6곱해서 3 나오는게 젤 빠름

  • @nany7608
    @nany7608 День назад

    어머나~ 인물밖에 안 보이는데
    똑똑한 수학얘기 까지 하셔요~😅
    댓글에 잘생겼다는 얘기는 왜 없을까 싶네요 ㅎ

  • @tiwanNO1chinaNO2
    @tiwanNO1chinaNO2 День назад +1

    그냥 곱하고 0두개 빼라.. 위치바꾸면 6의 50프로는 어떻게 계산하는데? 50의 6프로로 또 바꿔서 계산하나..

  • @Banbanandmanyradish
    @Banbanandmanyradish День назад

    저건 아주 특별한 경우잖아.
    100의 3% 구하라고 할 때도 저게 쉬움?
    말도 안 되는 소릴 하고 있어

  • @gto1347
    @gto1347 2 часа назад

    제발 대학생들이 이딴것좀 하지말길.. 교육이란건 그렇게 어그로끄는 목적으로 하는게 아냐

  • @박성범-s1y
    @박성범-s1y 2 дня назад +4

    창의적이다 . 감사합니다
    굉장히 신기한 계산이 나오는군요

  • @N1C0B0C0
    @N1C0B0C0 2 дня назад

    이런건 뭔가 공식이란게 있어보이라고 하는거지 실제 '방식'이 있는게 아니라 재빨리 자기가 계산하기 편하게 꼼수를 쓸 수 있으냐가 똑똑하냐 아니냐의 차이임.
    예를 들어 34의 5% 얼마냐? 이러면 바꿔도 의미없음. 5%면 재빨리 34의 10%의 반이겠거니 생각하고 3.4의반 1.7 이렇게 암삼이 되는거지.
    50의 6%도 이럴땐 '앞뒤 바꾸면 된다'가 아니라 100의 6%의 반이면 6의 반 3이겠구나 암산하면 됨. 숫자를 보고 어떻게 처리할지 대응이 되냐 안되냐의 차이임.
    나머지 곧장 대응이 안되는 애매한 숫자들 'A의 B%는 얼마?'
    37의 4%니 68의 7%니 하는 숫자들은 그냥 A X B/100하면 됨

  • @펭귄납치단
    @펭귄납치단 13 часов назад

    문과 - 아.. 분필로 쓸때의 질감과 귀르가즘 좋다.

  • @Kei1007
    @Kei1007 2 дня назад

    백분율이 백으로 나눈 비율, 즉 6%가 ×6/100이란게 초등수학교과서에서 배우는 내용인데 그것만 알아도 그냥 300/100이란 걸 교과서 수준에서 더 쉽게 구할 수 있는데 자리를 바꾸느니 마니 하다니, 수학교육과정보다 못한 풀이를 유튜브로 자랑하다니 충격적이네요

    • @디커
      @디커 2 дня назад

      말씀이 좀 심하다고 생각하지 않으세요..? 그냥 “6*50을 100으로 나누는게 더 쉬운 것 같아요” 라고 하면 될걸 “수학교육과정보다 못한 풀이를 유튜브로 자랑하시다니 충격적이네요“ 라고 하시면 보시는 당사자분께서 얼마나 속상하시겠어요.. 당사자의 기분을 고려하여 댓글 달아주시길 당부드립니다

  • @LofiDreamscape_BIGD
    @LofiDreamscape_BIGD 2 дня назад

    이건 수가 저렇게 계산하기 쉬워서 그런거 아닌가 실제로 6의 50%를
    계산하는 거면 바로 3 나오고 12 의 49퍼 계산은 말한대로 서로 바꿔서 봐도 계산하기
    어려움 저건 그냥 편할때 사용할수 있는거지 숫자가 어려우면 그냥 계산기
    때리셈

  • @우연한사랑
    @우연한사랑 2 дня назад +1

    곱하고 100으로 나누면되는걸 뭘 이렇게까지 생각을 하나 --이런식으로 설명하니 수학이 어렵다고 포기하지

  • @혀기-s6t
    @혀기-s6t 2 дня назад +1

    누가 신기하게 문제풀면 신기한 대학간다던데ㅋㅋ...

  • @항공점펑
    @항공점펑 День назад

    저도 저만의 공식? 같은게 있어요 저는 목표값에 따라서 10% 또는 1%를 구하는건 아주 쉬우니까 그걸 구해서 목표값을 찾아요
    예) 50의 6% : 50의 1%는 0.5니까 *6해서 3 이렇게

  • @하이야이야
    @하이야이야 2 дня назад +1

    수학은 공식이긴 한데 저런건 그냥 계산해라;; 저런 단순한 것도 저런식으로 생각하면 수학은 더 안되는게 팩트임

  • @결제형제
    @결제형제 2 дня назад +2

    위치보단 곱셈이 좀더편하죠..

  • @white-stain
    @white-stain 8 часов назад

    백분율과의 계산은 곱연산이니 교환법칙이 가능하다!군요

  • @호호-k2u
    @호호-k2u День назад

    누적 서연고졸업생만 10만명이 넘을텐데 세상에 얼마나 똑똑한 사람들이 많겠냐 ㅋㅋㅋㅋㅋㅋ

  • @akakjin45
    @akakjin45 12 часов назад

    걍 곱해서 100으로 나누면 되는데 왜 저러는거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박무환-s6j
    @박무환-s6j 4 дня назад +16

    50% 가 반이란것리 직관적으로 보이니 앞뒤를 바꿔 풀면 편하지만 보통은 % 가 이미 1/100이니 양쪽을 곱한후 100을나누는 방식인
    50×6=300
    300÷100=3으로 계산을 합니다
    또는 양쪽을 곱하고 자리수2개이동 (300 ==> 3.00) 해도 풀이는 오래걸리지 않습니다

  • @choinchan
    @choinchan День назад

    50의 1프로는 0.5 거기에 곱하기 6 다들 이렇게 계산하지 않나요 ㅋㅋ? 그러고 보니 어릴때 이걸 누구한테 배우지는 않았을텐데…

  • @쩡봉이-e5t
    @쩡봉이-e5t День назад +1

    그냥 50에 1프로가 0.5니까 곱하기6하면 더 쉬운거아님?

  • @봉봉-r3l
    @봉봉-r3l 3 дня назад +6

    우리나라에 수학 천재들이 많으시네요….
    아니면 훈수쟁이들이 많은건가….?

    • @Delicate_0
      @Delicate_0 3 дня назад +1

      수학 2등급 까지만해도 1년에 5-6만명씩 나올텐데 그거 10년치만해도 50만명 n수생 포함해도 40만명이 넘을테니 퍼센트 계산에 이런저런 댓글 달리는게 이상한 일은 아님

    • @OO-ey8sc
      @OO-ey8sc 3 дня назад +1

      이게 수학 천재면 수학과 가보시면 놀라실듯

  • @ryantvlove
    @ryantvlove 3 дня назад

    아니 말장난 하는 것도 아니고 ,,,,
    그럼 45면 어떻게 되는데? 바로 안 나오잖아

  • @horokro8513
    @horokro8513 4 дня назад +40

    특수한 상황에서만 편할 걸 모든 경우에 다 되는 거처럼 설명하면 그걸 우린 사기라고 부르죠. aka.현혹, 어그로 그리고 특수한 경우가 너무 드물다는 한계 모수가 10 단위로 떨어지지 않는 한 다 복잡함

    • @eisjshaieonw
      @eisjshaieonw 2 дня назад

      심지어 저것도 직관적으로 100의 6% = 6
      6의 반 3
      이게 더 편함
      다른 건 10단위도 아 먹힘
      70의 6%는?

    • @katrinad6188
      @katrinad6188 2 дня назад

      그냥 바꿔보고 큰 차이 없네 하면 그냥 풀면 되는거임ㅇㅇ 혹시 되나 하고 교환해보라는 의미

    • @eisjshaieonw
      @eisjshaieonw 2 дня назад

      @@katrinad6188 혹시 되는 경우가 몇 개 없고 그 혹시 되는 경우도 직관이 더 편함

    • @구공삼오
      @구공삼오 2 дня назад

      ​@@eisjshaieonw70의 1%가 0.7
      고로 0.7x6=4.2
      암산 1초컷

    • @구공삼오
      @구공삼오 2 дня назад

      @@eisjshaieonw 모든경우 다 적용가능하긴함.
      상황에따라 쉬운경우가 있을수있는것이지요

  • @POWER-ADE
    @POWER-ADE 2 дня назад

    이거 어느 연령대가 버는 영상이길래 이렇게 신기하단 사람들이 많은 거야?

  • @jeonggok5232
    @jeonggok5232 2 дня назад

    자연에는 저런 식으로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임을 감안하면, 저런 걸 괜히 알아 두면 헽갈려서 더 복잡하지 않을까요?

  • @방구석심리학자-k8v
    @방구석심리학자-k8v 2 дня назад +1

    50에 대한 퍼센트를 구할 때 좋은방법이네요~^^

  • @지오_yu_lag_ji_o
    @지오_yu_lag_ji_o 6 дней назад +17

    오 이건 인정

  • @007cube2
    @007cube2 День назад +1

    신기하게 문제풀면 신기한 대학간다던데...

  • @디오르d
    @디오르d День назад

    서울대 출신 선생님 서울대생들 선택적 분노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히나리-m7v
    @히나리-m7v День назад

    우린 50의 1퍼센트가 0.5인걸 알고 6배를 하면 6퍼센트가 3인걸 구할수있어요 😂

  • @coty3489
    @coty3489 День назад

    10%, 1%단위로 계산 하는게 훨 빠름
    50의 10% = 5, 5의 10%=0.5
    6%는 1%의 6배니까 0.5×6= 3%
    항상 10%, 1%를 계산하면 나머진 쉬움

  • @너클조의실전당구
    @너클조의실전당구 21 час назад

    산수좀 한다는 사람 99퍼 다 이분 방식이니 영상속 셈법은 내다 버리세요

  • @이상민-h9k
    @이상민-h9k День назад

    50을 10이 5개다 라고 생각하고(80이면 10이 8개라 생각하면됌) 10의6%는 6이니까 6×5=30 괄호안껄로 계산해보면
    6×8=48

  • @TV-ci7rb
    @TV-ci7rb День назад

    제일 쉬운 방법 알려줌. 5x6 을 한다. 그럼 30 그럼 여기서 생각을 해보자. 50의 6%면 되게 낮은 숫자일거 같은데 어 30은 너무 크지 않나? 그래서 정답은 3 이렇게 하면 굿?

  • @얍깽깽
    @얍깽깽 2 дня назад

    그냥 0때고 5곱하기 6 한다음 다시 0하나 붙이면됨.....
    76의 8프로도 그냥 곱하믄댐 더쉽게하려믄
    70의 8프로 = 5.6
    6의 8프로 = 0.48
    두개더하믄 6.08
    10단위나 100단위로 먼저 퍼센테이지구하믄 쉬움

  • @hd-gh1dd
    @hd-gh1dd День назад

    저게 50%일때만 적용되는건가여
    모든 상황에 적용 가능한가요

  • @고음불가음치노래1절
    @고음불가음치노래1절 6 часов назад

    살면서 이게 빠르니 저게 빠르니 할만큼 바쁠일이 없다는거..스타일 대로 하셈ㅋㅋ

  • @Kirin_MoM
    @Kirin_MoM 2 дня назад

    정상적인 사람이면 계산하기 어려운게 나오면 계산기를 켭니다.
    시험이면 뭐 알아서 잘 하셈

  • @coppy1225
    @coppy1225 День назад

    난 이걸 설명해줘야 안다는 게 존나 신기함 그냥. 의무교육 12년을 받으면 뭐함? 대가리에 남는 게 없는데? 학창시절에 도대체 무슨 짓을 하고 다닌 거지. 저걸 뭐하러 바꿔. 그냥 50의 6%라 하면 3이라는 답이 1초만에 튀어 나와야지. 5*6만 할 줄 알아도 그냥 ㅅㅂ 답이 나와야지. 저렇게 바꿔서 계산할 거면 적어도 49의 86% 이런 정도는 나와야 ‘아 그냥 구하기는 숫자가 마음에 안드니까 숫자 위치를 바꿔서 86의 49퍼를 구하면 되겠구나, 86의 50퍼가 43이니까 49퍼는 거기서 1퍼 뺀 42.14이겠구나, 그럼 49의 86퍼가 42.14이구나.‘ 하는 거지, 50의 6%를….ㅋㅋㅋ

  • @ashmings
    @ashmings 2 дня назад

    아이디어 좋네요 25의 4%를 계산한다고 하면 4의 25%인 1로 보면 되겟네요

  • @쿵쿵따-t8z
    @쿵쿵따-t8z 2 дня назад

    중딩때 훈남옵이 수학쌤이였다면 서울대갔다 진심 임용도 이제 외모보고 뽑아야된다 진심.

    • @Ho_2t-aaa
      @Ho_2t-aaa День назад

      개조끄튼 소리를하네ㅋㅋㅋㅋㅋㅋ

  • @물-v8n
    @물-v8n День назад +3

    계속해서 알려주면 나이든 사람들에게 계산하기 쉽도록 할 수가 있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suking404
    @suking404 3 дня назад +1

    그냥 곱해. 그리고 나누기 100
    동그라미 2개 빼면 똑같음.

  • @jaehunlee7102
    @jaehunlee7102 3 дня назад +1

    곱이 더쉬움. 쉬운숫자로 예를들으니 쉬워보이지

  • @nyeong-
    @nyeong- 2 дня назад

    몇가지 숫자만 편하게 보이고 오 하겠지만 숫자 지저분 해지면 그냥 정석적으로 곱하고 100나누는게 제일 쉽다 저것도 두개 바꿔서 6의 50퍼 바꿀생각말고 두개 곱해서 300, 100 나누면 3 나오는 거를 무슨 ㅋㅋㅋㅋ

  • @쿠크다스존맛탱
    @쿠크다스존맛탱 4 дня назад +2

    이게어찌보면 간단한거지만.. 이게 인지 못하고 있으면 이런생각 못함
    49×6 구할때도 50×6-6으로 계산하는거 인지하고 있으니 의외로 쓸만함 ㅋㅋ

    • @아라리-n4o
      @아라리-n4o 3 дня назад

      뭔 헛소리야 존만아

    • @쿠크다스존맛탱
      @쿠크다스존맛탱 3 дня назад +1

      @아라리-n4o 댓글 단 수준을 보니 가정교육을 못 받은듯 하군요

    • @아라리-n4o
      @아라리-n4o 3 дня назад

      @@쿠크다스존맛탱 37에 7%논리대로 구해주세요

    • @쿠크다스존맛탱
      @쿠크다스존맛탱 3 дня назад

      @아라리-n4o 국어시간에 졸았음?? ~~할때도 라는 단어 안 보임?

    • @아라리-n4o
      @아라리-n4o 2 дня назад

      ㅋㅋㅋㅋ쿠크다스 마이 무라

  • @비니이니-x2z
    @비니이니-x2z 4 дня назад +1

    근데 저는 비율 할 때 그냥 앞수÷100×퍼센트 그냥 바로 나오는데😅
    하지만 그 방법 도 좋네요

  • @박쭈난
    @박쭈난 2 дня назад +2

    선생님 잘생겼는데 공부까지 잘하시면 반칙이죠..

  • @머가리-i5i
    @머가리-i5i 16 часов назад

    목소리 얼굴 지능 완벽 👍

  • @zyx098
    @zyx098 7 дней назад +30

    여기 댓글 왜이럼
    당연히 모든 상황에서 다 좋은 방법은 아니지만
    저렇게 특수한 상황에서는 저것보다편한게없는데

    • @rlaxogus
      @rlaxogus 7 дней назад +2

      다른 영상에서 비호감 좀 쌓여서 그런듯

    • @서현-l5d9m
      @서현-l5d9m 6 дней назад

      ​@@rlaxogus 도대체 뭐가 비호감인건데 그냥 니들이 입으로 똥싸는 거잖아

    • @김민호-i8n
      @김민호-i8n 6 дней назад +3

      저게 특수하나?ㅋㅋ 바보가 6x5 30 3프로 이리계산하면 끝인데 바보등시세요?

    • @김민호-i8n
      @김민호-i8n 6 дней назад

      @zyx098 니는 그냥 1더하기1도 계산기들고 다니라

    • @abcdef-i9z8v
      @abcdef-i9z8v 6 дней назад +2

      ​@@김민호-i8n 50의 1.6%계산할 때 어떻게 계산하기 편하겠니?

  • @곽동인-g1e
    @곽동인-g1e 3 часа назад

    70의 8% 는 ? 바꿔도 힘들다. 이것은 10의 8%는 8 , 7개는 56.

  • @정정-k2m
    @정정-k2m 5 дней назад +14

    밥을 먹고 자면 아침에 똥나온다는것과 같은 꿀팁이군요 ㅋㅋㅋ

    • @user-kh6jc9nj8d
      @user-kh6jc9nj8d 4 дня назад

      소화잘하고 건강하니 좋네 ㅋㅌ

  • @재믹스-t2x
    @재믹스-t2x 2 дня назад

    잘못된 정보에 싫어요 와 관심없음, 채널 추천 안함 이 답이다

    • @디커
      @디커 2 дня назад

      잘못된 정보는 아니지..

  • @MKMMI
    @MKMMI День назад

    50×6=300, 300÷100=3
    50이라 계산이 쉬운거지 37같은거 걸리면
    6의 37%임. ㅋㅋ 이게 무슨

  • @Yimdb0228
    @Yimdb0228 2 дня назад

    사람들 진짜 맥을 못잡네 숫자가 쉬워보이니깐 쓸모없어보이는거지 이런방법도 있다라는 정보일뿐인데

  • @roma-yo9zx
    @roma-yo9zx 2 дня назад

    53의 15% 같은건 어떻게 해야 쉬울까요? 😅

  • @치고이-u9w
    @치고이-u9w День назад

    괜히 서울대가 아니다...
    하아... 문제도 이해 못하는데ㅜㅜ

  • @이준수-e7b
    @이준수-e7b 4 дня назад +2

    50 × 6/100 = 6 × 50/100 이거구나

  • @Jh-g5q
    @Jh-g5q 2 дня назад

    무슨 의도인지 알겠으나 예시가 이상한거지
    23804*5보다는 238040/2가 더 쉬울수도 있다고 해야지 저렇게 직관적인 숫자는 너무 안와닿지

  • @ychgo
    @ychgo 4 дня назад +1

    나는 그냥 곱해 그리고 00두자릿수만 빼줘 이게 쉽지않나? 50×6 =300 자릿수 하나빼면 30 2개빼면 3 고로 3

  • @davidna7093
    @davidna7093 3 дня назад

    여러분!!! 왜 어렵게 살아요?? 50×6/100하면 되는데!!! 예로 5000의 6%는 300이잖아!! 바보들의 행진!!

  • @뀨뀨꺄꺄-k7y
    @뀨뀨꺄꺄-k7y 2 дня назад

    애초에 50에 1퍼를 구해놓고 x6하면 되는거 아닌가

  • @snmsuz
    @snmsuz 3 дня назад

    전 1%를 계산하고 구하려는 퍼센트만큼 곱하기하면 쉽던데...
    예) 50의 6%를 계산하라.
    50의 1% = 0.5 x 6 = 3

  • @woongjaedbs9576
    @woongjaedbs9576 2 дня назад +1

    그냥 곱하고 갈겻는데
    되게 쉬운 상식인데 새로운 관점으로 보게 되네요

  • @user-td2ps5be4c
    @user-td2ps5be4c 17 часов назад

    여러분은 계산기의 시대에 살고있습니다 머리굴리지말고 계산기를 사용합시디ㅠ😅

  • @시빵죽빵
    @시빵죽빵 2 дня назад

    근데 이런 1초짜라 암산도 안되는사람들은 자리 바꾸는거에서부터 혼란스러워할듯 ㅋㅋ

  • @faint0121
    @faint0121 День назад

    걍 1퍼가 몇인지 구하고 곱해버리는게 제일쉽잖음ㅋㅋㅋ

  • @youtubejeongnoon
    @youtubejeongnoon 2 дня назад

    퍼센트는 원래 곱셈인데 이걸 모르면 ,,, 중학교 과정인디

  • @lakeinside
    @lakeinside 3 дня назад

    수포자인 나조차도 보자마자 좀 억지다 싶었는데 역시 억지잖아 ㅋㅋㅋ

  • @먹방먹방-f2c
    @먹방먹방-f2c 2 дня назад +1

    이걸 모를수가있나요?...

  • @ddkim6790
    @ddkim6790 5 дней назад

    단순히 50*6/100 이 아니라 곱셈법칙을 활용해서 더 쉽게 가지고 놀수 있음을 혼자서 깨우치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한거 같은데 아이들 가르쳐본적이 많이 없으면 왜 굳이 저렇게 할까 싶긴 하지 .

  • @Blackmango_23
    @Blackmango_23 День назад

    내가 이걸 초6때 방법알아서 선생님한테 자랑했더니 나대지 말라던 기억이 있다.

  • @deseoso123
    @deseoso123 4 дня назад

    위치를 바꾸어도 답은 같으니 좀 더 직관적인 쪽으로 풀라는 의미지, 무조건 바꾸라는 의미가 아닌데 댓글들 왜 이러냐

    • @MaverickStudium
      @MaverickStudium 4 дня назад

      ㄹㅇ ㅋㅋㅋ 초등학교 수준 수학인데 다들 아는거 하나 나왔다고 설명하느라 난리났네여 ㅋㅋㅋㅋㅋ

  • @jjr2573
    @jjr2573 22 часа назад

    서울대 ㅋㅋ
    우낀다 그 쟈~~
    소크라테스가 뭐라 했게~
    니 자신을 알아라 했다

  • @우리집코기는미친놈
    @우리집코기는미친놈 День назад

    서울대 선생님이라 제가 뭐라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아니지만 이게 더 어려운거 같습니다..

  • @killerwhale3331
    @killerwhale3331 4 дня назад

    그냥 머릿속에서 50을 100개의 눈금으로 나누고 6개만큼 세면 됩니다

  • @letterT0
    @letterT0 3 дня назад

    0이면 0이지 제곱은 뭐야 0이 어떻게 제곱이되... 암거도 없는데 곱절로 없다는거야 뭐야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