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잉-s8r 원래 MonoBehaviour script에는 라이프사이클(void start, void Update)을 제공을 해서 추가로 필요할때 넣으면 되는데 empty C# script에서는 제공 하지 않아서 직접 넣어야 합니다. 제 생각에는 empty C# script는 클래스 제작을 할때 많이 쓰이고, 라이프사이클 써야할때는 empty C# script보다는 MonoBehaviour script를 쓰는게 나을거 같습니다.
1:58 여기서 밑에처럼 나옵니다.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NewBehaviourScript : MonoBehaviour { // Start is called before the first frame update void Start() {
} // Update is called once per frame void Update() {
처음에 스크립트 이름 앞글자를 소문자로 줬더니 오류가 떠서 대문자로 고쳤더니 스크립트 추가가 되네용. 근데 콘솔에 헬로 유니티는 출력이 안되네요.. 그래서 다른 글을 참고 해보니까 print("Hello World");는 또 되네요..그리고 print("Hello World"); 출력 하고서 다시 이 영상에서 알려주신 대로 Debug.Log해보니까 또 먹어요 ㅋㅋㅋㅋㅋ 뭐징;;
골드메탈님 궁금증이 생겨서 그런데 에디터 자동완성을 연결시킬 때에 Visual Studio가 아닌 Visual Studio Code가 있길래 Visual Studio Code로 공부해도 되는 것인가요? 개인적으로 두 에디터의 차이점도 궁금합니다...ㅎㅎ 차이만 없다면 Visual Studio Code로 하고 싶어서 그런데 괜찮을까요?
Code는 Studio와 다르게 스스로 설정해야 할 것이 많습니다. 아래 링크를 공유해드릴께요! gongdolhoon.tistory.com/entry/UnityTutorial-1-Unity%EC%99%80-Visual-Studio-Code-%EC%97%B0%EB%8F%99
골드메탈님 비쥬얼 스튜디오를 할때 저가 수정하려고 한 코드에 중간부분을 눌렀는데 자꾸 알파벳 전체가 눌리는데 어떻게 해야 될까요? 한마디루..... else 라는 단어가 있는데 s 자체가 클릭이 된다는 겁니다.... 이렇게 수정하다보니 자꾸 뒤에 글자가 없어지면서 적게 되네요...
현재 잘 챙겨 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는데 맨 오른쪽 위에 Default로 적혀있잖아요. 그걸 선택하면 Console창이 나오는데 2 by 3는 창 추가를 해도 Console창이 보이지가 않네요. 2 by 3 유저라서 2 by 3에서 콘솔창을 열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게임프로그래밍을 배우고있는 학생입니다 아직 이 게시물의 댓글창을 보시는지 모르겠지만 궁금한 점이 있어서 댓글남겨봅니다. 저는 최근에 c언어를 배우고있습니다! 게임프로그램을 하기위해서 c언어를 어느 수준까지 배우는게좋을까요? 혹은 여기까지만 배워도 적당하다, 할 만한 구간이 있을까요?
Assets\NewBehaviourScript.cs(10,9): error CS0104: 'Debug' is an ambiguous reference between 'UnityEngine.Debug' and 'System.Diagnostics.Debug' 이라는 에러가 뜨는데 뭐가 문제인가요? 혹시 비쥬얼 스튜디오를 2017이 아닌 2019로 써서 그런 건가요?
개발환경 설정에 막혀서 질문 남깁니다! 맥북을 쓰고 있고 Unity 2020.3.26f1을 설치하면서 visual studio for mac이 같이 설치되었지만, 스크립트 파일을 열면 Atom으로 계속 열렸습니다. 그래서 visual studio for mac을 연결해야할지 vscode를 연결해야할지 잘 모르겠는데, 둘 중에 어떤 툴을 어떻게 연결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골드메탈님 전 늦게 코딩에 발을 붙힌 중딩입니다 한때 골드메탈님 영상보면서하다가 너무 빨라서 유니티를 때려 치웠거든요 ㅎㅎ(그때가 약 초등학교 3학년 ) 그래서 다시 시작하려고 왔습니다!! 그래서 오늘 가져온 질문!!!! Q++++++++++++++++++++++++++++++ 비주얼 스튜디오가 안 켜져요 정품이고 다 돈내고 가감하게 했는데 ㅎㅎ................................................... 저도 윈도우인데 왜 안될까요??
비주얼 스튜디오를 구매하셨다는 이야기인가요? 커뮤니티 버전으로는 무료로 계속 사용 가능하니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으세요. visualstudio.microsoft.com/ko/vs/older-downloads/ 그리고 유니티와 연결해주어야 하는데 이건 유니티 디버그 D1 영상 참고하시면 됩니다. ruclips.net/video/-j5LKpFj4NQ/видео.html
시작하려고 하면 All compiler errors have to be fixed before you can enter playmode!라고 나오는데 어떡하죠? 코드는 using Systems Collections; using Systems Collections.Generic; uning UnityEngine; Public class NewBehavoiourScript : MonoBehaviour { void Start () { Debug.Log('Hello Unity') } } 입니다.
스크립트 파일을 게임오브젝트에다가 넣고 대소문자 안틀리고 Debug.Log("Hi"); 이라고 입력하고 실행을 했는데 콘솔창에 안뜨네요..; 비주얼 코드에서 입력을 했는데 게임 오브젝트에서는 안써지고...따로 해야할게 있는걸까요 아님 버그인가요? 2020유니티허브랑 비주얼 스튜비오 코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window10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c#스크립트를 열려고 하는데 어떤앱으로 열꺼냐를 선택하라고 해서 다 해보려고 처음에 익스플로러를 선택했는게 실수로 항상 이 앱으로 열기가 눌러져있어서 익스플로러로만 열어집니다 근데 익스플로러는 열려고하면 열리다가 자동으로 닫혀서 사용할수가 없는게 어떻게 해야하나요?ㅠㅠㅠ
저 영상의 시기에 비해서는 늦었지만 질문하나 해도 될까요 골드메탈님? 골드메탈님의 강좌에서는 Debug.Log라는 명령어를 이용해 콘솔창에 메세지를 출력하셨습니다 그런데 다른 분들의 강좌도 찾아보고 여러개를 뒤져보니까 print.라는 명령어를 이용해 메세지를 출력하더군요 이 print와 debug.log의 차이를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정말 궁금합니다.
단순한 문자열만 내보내는 것에 한해서는 Debug.Log와 Print는 동일합니다. 다만 Print는 Monobehaviour 클래스에 상속된 곳에서만 사용 가능하구요. Debug.Log 경우는 제약이 따로 없습니다. 그리고 Debug.Log 는 사실 매개변수를 하나 더 받을 수 있는데, 디버그의 대상 오브젝트를 넣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로그를 클릭하면 연결된 오브젝트를 선으로 표시해준답니다.
아,, 진짜 도무지 모르겠네요 ㅠㅠ 첨부해주신 d1 영상도 다 해보고 파일 위치도 영어로 저장도 했고 유니티랑 VS버전 여러개 설치했는지 파일 위치도 다 확인했어요...심지어 VS 파일도 대소문자 오타도 없이 입력했고 오류없이 파일 저장했는데.. console창에 적은 대사가 안나오네요.. ㅠㅠ
유니티 설치하실 때 비주얼 스튜디오도 같이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B2에서 보여드렸고, 직접 다운받으시려면 여기를 가시면 됩니다. visualstudio.microsoft.com/ko/vs/community/ 설치 후엔 꼭 유니티에서 윗 메뉴 Edit > Preferences > External Tools에서 컷번째 칸에 설치한 에디터를 연결해주셔야 합니다.
설치할 때 기본으로 비주얼 스튜디오가 같이 설치되며, 유니티 에디터 상에서 C# 스크립트 더븤클릭하면 자동으로 열려야 합니다. 이게 안되면 유니티와 비주얼 스튜디오를 연결해주셔야 하는데 이건 유니티디버그 D01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ruclips.net/video/-j5LKpFj4NQ/видео.html
1. Hirarachy 에서 보이는 cube를 선택하고 F키를 누르면 큐브가 확실하게 보입니다. 2. 스크립트를 작성 완료하고 꼭 저장 후에 Hirarachy의 Cube 오브젝트 선택하고 Inspector 창에 스크립트를 드래그드랍하거나 Add Component를 통해 추가해주셔야 플레 모드로 들어갈 때 작동됩니다.
안녕하세요 맥북 사용자인데 파일을 더블 클릭했더니 ' new behavior script ' 문서를 열도록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이 없습니다. 라고 뜨고 앱스토어에서 응용프로그램을 검색하시거나, 사용자의 컴퓨터에 있는 기존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세요 이렇게 뜹니다. 이후에 앱스토어에서 검색을 누르면 귀하의 지역에서 다운받을 수 없는 앱이라고 뜨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ㅜㅜ 그리고 비쥬얼 스튜디오는 2017년 버전으로 다운받아야하나요? 찾아보니까 2019 버전도 있던데 그걸로 받으면 안되는건가요?
설치와 연결은 아래 링크로 공유해드립니다. docs.microsoft.com/ko-kr/visualstudio/mac/setup-vsmac-tools-unity?view=vsmac-2019 가급적이면 2017 버전 추천드립니다. 2019버전은 안열린다는 보고가 조금 있어서요.
Copying assembly from 'Temp/Unity.CollabProxy.Editor.dll' to 'Library/ScriptAssemblies/Unity.CollabProxy.Editor.dll' failed Copying assembly from 'Temp/Unity.PackageManagerUI.Editor.dll' to 'Library/ScriptAssemblies/Unity.PackageManagerUI.Editor.dll' failed 는 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ㅠㅠ
답글 달아주실지 모르겠는데, visual studio를 따로 설치한 상태에서 그대로 코딩을 따라 했을 때 Debug를 명령어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아요 "The Name 'Debug' does not exist in the current context" 에러가 뜨네요! (콘솔창에서) 유니티에서도 "실행 전에 모든 에러 수정해!"라고 나오구요
정말 끝까지 완결될때까지 달리는 강좌라면 수많은 유린이들에게 빛이되는 강좌일것 같네요! 화이팅 하십쇼
36세 어른이에게도 빛이됩니다!!
이런 알기쉬운 강의 하나하나가 미래 게임산업 인재들을 육성하는데 정말 큰 도움이 되는것같아요 앞으로도 기대하겠습니다
유니티 어떻게 시작해야되는지도 몰랐는데 좀 늦은감이 있지만 이런 영상 진짜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쉽고 재미있는 유니티 프로그램 강좌 정말 짱짱 좋아요ㅎ!! 다음편도 완전 기대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코린이는.. 빛을 보고야 말았습니다..! 게임 만들고 싶어서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막막하게 느껴졌는데ㅠㅠㅠㅠ 와 정말 감사합니다
골드메탈님의 튜토리얼이라면 꼭꼭 챙겨봐야죵 ㅎ
이미 개발과정보고 저도 몇가지 프로젝트만들어봐서 눈이높아져서 높은난이도도 좋지만 탄탄하게 금철님 강좌로 베이스 깔고 가는것도 좋을것 같아요 ㅎㅎ 중간중간 효과음도 최고입니당
유니티 강좌 중 가장 재미있어요~~!! 다음 강좌 기대되요~~!ㅠㅠ 빨리와주세요~~!>0
항상 새로운 프로그램을 볼때마다 뭘 어떻게 해야할지 몰랐는데 덕분에 약간은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강의가 무료라는게 진짜 신기방기창
대단하십니다
설명 너무 깔끔하네요 ㅎㅎ
macOS 사용중입니다 이것저것 해보다가 1시간만에 hello world 띄었네요 ㅠㅠㅠㅠㅠㅠㅠ 감사합니다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저는 그냥 윈도우인데 왜 안되요?오류나던데
안녕하세요 골드메탈님. 유니티가 배워보고싶어서 입문강좌 공부 시작하였습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좋아요 백번 누르고 싶습니다.
뭔가 이해하기 쉬워서 보기 좋았어요!
유니티 6에서 project에서 우클릭 하고 create 을 클릭했는데 첫번째 칸에 Folder 다음으로 Material, MonoBehaviour Script 만 나오지 C#은 나오지 않는데 왜 그런건가요?
뭔가 설치할때 빠트린게 있는건가요?
유니티6가 되면서 메뉴가 크게 정리되었어요.
앞으로 C# 스크립트는 MonoBehaviour 메뉴를 통해 만드시면 됩니다!
@goldmetal 아 더 안쪽으로 들어간거군요! 감사합니다!
골드메탈님 강좌영상 감사합니댯!!ㅎㅎ
너무 감사합니다 ㅠㅠ유툽 보다가 골드메탈님 강좌가 제일 이해하기 쉽게 되어 잇네요 많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
Debug 색깔 표시 안될때 edit - preferences - External Tools - External Script Editor을 visual studio로 바꿔주면 되더라고요;
콤보박스 누르셔서 설치된 비주얼 스튜디오를 찾아주면 연결됩니다.
만약 설치되어 잇지 않으면 구글에서 Visual Studio 2017 Community 검색으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goldmetal 콤보박스가 뭔가요?
@@견희-u4j External Editor 옆 길게 생긴 선택UI 입니다.
골드메탈님 덕분에 지금 유니티 첫걸음 떼고 강의 열심히 듣고 있어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진짜 너무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ㅠㅜ!!
너무 쉽고 유익한 강의!ㅎㅎ
언리얼 강좌도 기대해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강의 잘보고있어요~ 비주얼스튜디오는 개별설치해야하죠?
최근 유니티 허브에서는 에디터 설치시 모듈 설치 창에서 자동으로 같이 설치되도록 체크되어 있습니다.
유니티를 항상 play시켜놓고 다시 퍼즈거는 것을 깜빡하는데
play를 계속 켜놔도 상관없나요?
아니면 실행시키고 끄는 습관을 들이는게 낫나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영상대로 잘됐네요!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데본 스크립트를 인스펙터 창에 놓으려고 하는데
Please fix compile errors before creating new script components라고 뜨면서 안됩니다.살려주세요..
이미 작성하신 스크립트 중에서 에러가 있어서 그렇습니다.
일단 콘솔창에서 빨간 에러메세지 확인하시고
더블클릭해서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코드 확인후 수정하셔서 에러 없애시면 다시 가능해집니다.
좋아요 999개 축하헤요!!
저는 비쥬얼 스튜디오가 메모장으로 열리네요!!
유니티 디버그 D01 영상 참고해주세요.
ruclips.net/video/-j5LKpFj4NQ/видео.html
감사합니다~!
유니티6에서
C# script = MonoBehaviour Script
@@RNGL1224 아 그니깐요
@@user-le7rc7qi5b화 내는거임? 아니면 그냥 공감 해주는거임? 헷갈려서 말하는거임
@@RNGL1224 creat 의 empty c# script 는 뭐임
@@잉잉-s8r 원래 MonoBehaviour script에는 라이프사이클(void start, void Update)을 제공을 해서 추가로 필요할때 넣으면 되는데 empty C# script에서는
제공 하지 않아서 직접 넣어야 합니다. 제 생각에는 empty C# script는 클래스 제작을 할때 많이 쓰이고, 라이프사이클 써야할때는 empty C# script보다는 MonoBehaviour script를 쓰는게 나을거 같습니다.
@ 외계어네여..
따봉 달고 계속 달립니다
감사합니다.
구독했습니다~! 콜드메탈님~!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0
완료!
제일쉽게설명하눈것같아용!
잘되내요
1:58 여기서 밑에처럼 나옵니다.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NewBehaviourScript : MonoBehaviour
{
// Start is called before the first frame update
void Start()
{
}
// Update is called once per frame
void Update()
{
}
}
네, 원래 처음 스크립트를 생성하면 이렇게 기본형으로 나옵니다.
강좌 영상은 여기서 필요없는 부분은 뺀 모습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goldmetal 그럼 저 문자들을 강의에 나온대로 수정후 진행해도 되는건가요
@@Hirowoon 네 그렇습니다.
구독박고 가요
7:20 부분에 오류가 나면서 debug는 unityengine 및 system.diagnostics.debug사이에 모호한 참조입니다 하면서 실행이 안됩니다. 혹시 알려주실수 있나요?
맨 위쪽에 있는 using System.diagnostics.debug; 을 삭제하시면 됩니다.
@@goldmetal 감사합니다!
프로그래밍 중 파이썬의 마침표는 ''입니다 공백이란 뜻이죠 없습니다 ㅋㅋㅋ
처음에 스크립트 이름 앞글자를 소문자로 줬더니 오류가 떠서 대문자로 고쳤더니 스크립트 추가가 되네용. 근데 콘솔에 헬로 유니티는 출력이 안되네요.. 그래서 다른 글을 참고 해보니까 print("Hello World");는 또 되네요..그리고 print("Hello World"); 출력 하고서 다시 이 영상에서 알려주신 대로 Debug.Log해보니까 또 먹어요 ㅋㅋㅋㅋㅋ 뭐징;;
정 말 너어어ㅓㅓ무 유익한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투도 매력있어요 ㅋㅋㅋ
지금 버전은 그냥 아래 플러스 버튼 누르고 보면 있네요 더 간편해졌군,,....ㅎㅎ
골드메탈님 궁금증이 생겨서 그런데
에디터 자동완성을 연결시킬 때에 Visual Studio가 아닌 Visual Studio Code가 있길래 Visual Studio Code로 공부해도 되는 것인가요?
개인적으로 두 에디터의 차이점도 궁금합니다...ㅎㅎ 차이만 없다면 Visual Studio Code로 하고 싶어서 그런데 괜찮을까요?
Code는 Studio와 다르게 스스로 설정해야 할 것이 많습니다.
아래 링크를 공유해드릴께요!
gongdolhoon.tistory.com/entry/UnityTutorial-1-Unity%EC%99%80-Visual-Studio-Code-%EC%97%B0%EB%8F%99
비쥬얼 스튜디오도 설치해야 하나욤?? 무료에요?? 아 콘솔창도 설치해야하나요?
유니티 에디터 설치할 때 기본적으로 함께 설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만약에 스크립트 더블클릭으로 열리지 않는다면 제 채널의 유닡 디버그 D01영상을 참고해주세요.
골드메탈님 비쥬얼 스튜디오를 할때 저가 수정하려고 한 코드에 중간부분을 눌렀는데 자꾸 알파벳 전체가 눌리는데 어떻게 해야 될까요?
한마디루..... else 라는 단어가 있는데 s 자체가 클릭이 된다는 겁니다....
이렇게 수정하다보니 자꾸 뒤에 글자가 없어지면서 적게 되네요...
키보드에 Insert 키 눌려진게 아닐까요?
이거 재밌당 ㅎㅎ
현재 잘 챙겨 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는데
맨 오른쪽 위에 Default로 적혀있잖아요. 그걸 선택하면 Console창이 나오는데
2 by 3는 창 추가를 해도 Console창이 보이지가 않네요. 2 by 3 유저라서 2 by 3에서 콘솔창을 열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기본 레이아웃에는 Console 창이 없을 수 있습니다. Window > Generals > Console 로
여실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골드메탈님 잘보고있습니다.
유니티 활용하려면 c#만 알면 되나요??
c,c++을 배워야한다고도 하는데 굳이 안배워도 되는걸까요?
네, C# 바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goldmetal 감사합니다!
마치
c에선 printf("Hello world!");
python에선 print('Hello world')
java에선 System.out.println("Hello world!");
js에선 console.log("Hello world");
찍어보는 이느낌!
자바 ㅁ니ㅋㅋㅋㅋㅋㅋㅋ
구독 했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질문 드리겠습니다! 대본스크립트를 게임오브젝트에 넣었는데 대본 실행이 안되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스크립트 저장을 안했었네요 해결 됬습니다 고퀄영상 감사합니다!!
영상 잘 보고있어요.
근데 따라하다가 프로젝트랑 콘솔창있는곳에서 콘솔창을 x눌러 없앴는데
다시 생기게 하는 방법을 좀 알수있을가요?
Window > General > Console 하시면 다시 나타납니다.
Assets\NewBehaviourScript.cs(15,1): error CS1022: Type or namespace definition, or end-of-file expected
이렇게오류가뜨는데 어카죠?ㅠㅠ
중괄호 { } 짝이 맞는지 확인해보세요.
@@goldmetal 진짜 감사합니다고쳤어요 영상잘보고있습니다 ㅎㅇㅌ!!
와 2년이 다 돼가는 영상에 질문해도 대답해주시는구나 ㄷㄷ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화이팅!
저도 비쥬얼로 하고싶어요.. 메모장은 너무불편하네요
골드메탈님 골드메탈님처럼 멋있게 비주얼스튜디오에서 쾅 쾅 하면서 가루 날리는 효과 어떻게 넣나요....? 나도 하고싶엉요..
비주얼 스튜디오 메뉴의 도구 > 확장 프로그램 > 온라인 > PowerMode 검색 > 설치 하시면 됩니다.
@@goldmetal 감사합니다!! 골드메탈님 진짜 목소리도 좋고 코딩도 잘하고 너무 멋지십니다 bb
안녕하세요! 게임프로그래밍을 배우고있는 학생입니다
아직 이 게시물의 댓글창을 보시는지 모르겠지만 궁금한 점이 있어서 댓글남겨봅니다.
저는 최근에 c언어를 배우고있습니다! 게임프로그램을 하기위해서 c언어를 어느 수준까지 배우는게좋을까요? 혹은 여기까지만 배워도 적당하다, 할 만한 구간이 있을까요?
유니티 다루시기 위함이라면 C#을 바로 배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골드메탈님 이렇게 늦게질문해서 죄송한데 c# 스크립트를 누르면 내컴퓨터에서 앱찾기가 나오는데 비쥬얼 스튜디오는 어떻게열어야 하나요 ㅠㅠ
그리고 강의 너무 유익해요!
유니티 디버그 D1 영상 참고해보세요
ruclips.net/video/-j5LKpFj4NQ/видео.html
스트립트를 만들어서 더블클릭을 하니깐 비주얼스크립트 프로그램이 없는 것 같은데 별도로 다운 받아야 하는 건가요? 유료이던데...
아뇨 Community 무료 버전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설치가 안되어있다면 유니티 허브에서 설치 > 버전 > 톱니바퀴 버튼 > 모듈 추가 > visual Studio community 체크하셔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0:44안열리면서 콘솔창엔 에러가 나네요
(이렇게 Unable to open Assets/NewBehaviourScript.cs: Check external application preferences.)
Edit > Preferences > External Tools 메뉴 가셔서 비주얼 스튜디오와 연결해주세요.
@@goldmetal 일단 해볼게요 감사합니다!
@@goldmetal 하는법 조금 찾아서 해봤는데 비주얼 스튜디오는 설치해야 되나요?
@@정효찬-j2q 네 visual studio 2017 community 설치하시면 됩니다.
선생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혹시 키보드로 타이핑 하실 때 톡톡 튀는 이펙트 뭔지 알 수 있을까요?
비주얼 스튜디오의 윗 메뉴 도구 > 확장 > 온라인 > PowerMode 검색 > 설치 하시면 도비니다.
@@goldmetal 바쁘신 와중에 답글 정말 감사합니다 !!\
정말 잘보고 있습니다 막 시작한 중학생인데 너무 도움이 되네염 혹시 비쥬얼 스크랩트 저렇게 톡톡 튀는 효과 어덯게 넣나염
비주얼 스튜디오 윗 메뉴 도구 > 확장 프로그램 > 온라인 > PowerMode 검색 후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goldmetal 감사합니당
Assets\NewBehaviourScript.cs(10,9): error CS0104: 'Debug' is an ambiguous reference between 'UnityEngine.Debug' and 'System.Diagnostics.Debug' 이라는 에러가 뜨는데 뭐가 문제인가요?
혹시 비쥬얼 스튜디오를 2017이 아닌 2019로 써서 그런 건가요?
개발환경 설정에 막혀서 질문 남깁니다! 맥북을 쓰고 있고 Unity 2020.3.26f1을 설치하면서 visual studio for mac이 같이 설치되었지만, 스크립트 파일을 열면 Atom으로 계속 열렸습니다. 그래서 visual studio for mac을 연결해야할지 vscode를 연결해야할지 잘 모르겠는데, 둘 중에 어떤 툴을 어떻게 연결해야하나요?
맥에서 C#스크립트 기본 프로그램을 변경해보는게 좋겠습니다.
m.blog.naver.com/1004dkny/221063046778
유니티에서 Visual Studio로 되어있으므로 맥에서도 한번 동일하게 설정하고
유니티 재시작한 후 더블클릭으로 스크립트 열어봐주세요.
안녕하세요 골드메탈님
전 늦게 코딩에 발을 붙힌 중딩입니다
한때 골드메탈님 영상보면서하다가 너무 빨라서 유니티를 때려 치웠거든요 ㅎㅎ(그때가 약 초등학교 3학년 )
그래서 다시 시작하려고 왔습니다!!
그래서 오늘 가져온 질문!!!!
Q++++++++++++++++++++++++++++++
비주얼 스튜디오가 안 켜져요
정품이고 다 돈내고 가감하게 했는데
ㅎㅎ...................................................
저도 윈도우인데 왜 안될까요??
비주얼 스튜디오를 구매하셨다는 이야기인가요?
커뮤니티 버전으로는 무료로 계속 사용 가능하니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으세요.
visualstudio.microsoft.com/ko/vs/older-downloads/
그리고 유니티와 연결해주어야 하는데 이건 유니티 디버그 D1 영상 참고하시면 됩니다.
ruclips.net/video/-j5LKpFj4NQ/видео.html
처음 배우는 프로그래밍인데, 영상 덕분에 잘 배우는 중입니다. 생각보다는 좀 어렵네요.ㅎ
처음이야 누구든 어려워한답니다.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알아가보아요
@@류종빈-o4y 대체 어쩌란거지..ㅋㅋ
@@류종빈-o4y ㅇㅉ
최고의 선생님! *_*)b
시작하려고 하면 All compiler errors have to be fixed before you can enter playmode!라고 나오는데 어떡하죠? 코드는 using Systems Collections;
using Systems Collections.Generic;
uning UnityEngine;
Public class NewBehavoiourScript :
MonoBehaviour
{ void Start ()
{
Debug.Log('Hello Unity')
}
}
입니다.
Debug.Log("Hello Unity");
이렇게 적어주셔야 합니다.
1. 문자열은 큰 따옴표로 감싸기
2. 문장을 마칠 땐 세미콜론; 을 넣기
스크립트 파일을 게임오브젝트에다가 넣고 대소문자 안틀리고 Debug.Log("Hi"); 이라고 입력하고 실행을 했는데 콘솔창에 안뜨네요..; 비주얼 코드에서 입력을 했는데 게임 오브젝트에서는 안써지고...따로 해야할게 있는걸까요 아님 버그인가요? 2020유니티허브랑 비주얼 스튜비오 코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파일을 저장하셨나요? 스크립트 수정을 하면 꼭 저장 하셔야 합니다.
그럼 인스펙터 창에서도 변경된 스크립트 내용이 나올거에요.
제가 window10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c#스크립트를 열려고 하는데 어떤앱으로 열꺼냐를 선택하라고 해서 다 해보려고 처음에 익스플로러를 선택했는게 실수로 항상 이 앱으로 열기가 눌러져있어서 익스플로러로만 열어집니다 근데 익스플로러는 열려고하면 열리다가 자동으로 닫혀서 사용할수가 없는게 어떻게 해야하나요?ㅠㅠㅠ
윈도우에서 다시 C#스크립트 우클릭 후 연결 프로그램 > 다른 앱 찾기 로
비주얼 스튜디오 찾아서 연결해주세요.
엇 근데 맥북으로 하니까 0:57 부분 더블클릭하니까 실행할 앱이 없다고 뜨는데 뭘 깔아야될까요?
유니티 디버그 D1 영상 참고해주세요.
ruclips.net/video/-j5LKpFj4NQ/видео.html
메탈님 죄송하지만 빌드세팅에서 제가 2D 우니티와 3D 유니티를 연결시킬려고하는데 빌드셋팅은 되었지만 이동시키는 C#스크립트 찾지를 못하겠습니다; 나머진 다했지만 PLAT 버튼을 눌러서 3D유니티가 실행되는 작업이여야하는데 3D 유니티와 연결이 안되는 어려움때문에 날마다 애먹는데 혹시 알려줄수 있습니까?
무슨 말씀인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
유니티는 2D와 3D가 따로 나눠진게 아닙니다.
혹시 Scene을 말씀하시는거면 3D로 만드신 Scene을 더블클릭해서
불러오신 후, Play 눌러보세요
Asset에서 Scenes를 클릭해 C## 스크립트를 만들었는데 Scenes 옆에 스크립트가 안 뜨고
유니티 로고 모양의 SmapleScript 옆에 스크립트가 뜨고, 더블 클릭을 해봐도 비주얼 스튜디오가 안 떠요 ㅠㅠ
어떻게 된거죠?
Edit > Preference > External Editor 로 가셔서 비주얼 스튜디오를 연결해주세요.
만약 컴퓨터에 설치가 되어있지 않다면 직접 Visual Studio 2017 Community 설치하셔서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goldmetal 비주얼 스튜디오 2019 버전을 사용해도 되나요?
@@Neep 네 가능합니다.
저 영상의 시기에 비해서는 늦었지만 질문하나 해도 될까요 골드메탈님? 골드메탈님의 강좌에서는 Debug.Log라는 명령어를 이용해 콘솔창에 메세지를 출력하셨습니다 그런데 다른 분들의 강좌도 찾아보고 여러개를 뒤져보니까 print.라는 명령어를 이용해 메세지를 출력하더군요 이 print와 debug.log의 차이를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정말 궁금합니다.
단순한 문자열만 내보내는 것에 한해서는 Debug.Log와 Print는 동일합니다.
다만 Print는 Monobehaviour 클래스에 상속된 곳에서만 사용 가능하구요.
Debug.Log 경우는 제약이 따로 없습니다.
그리고 Debug.Log 는 사실 매개변수를 하나 더 받을 수 있는데,
디버그의 대상 오브젝트를 넣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로그를 클릭하면 연결된 오브젝트를 선으로 표시해준답니다.
@@goldmetal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용어 땜시 이해가 어렵지만 열심히 공부해보겠습니다
코드 바꿀때 마다 나오는 효과는 어떻게 한건가요? 그냥 화면 편집인가요 아니면 다른걸 쓰는게 있나요?
비주얼 스튜디오의 powerMode 입니다.
도구 > 확장프로그램 > 온라인 > PowerMode 검색 > 설치 하면
타이핑할 때마다 저런 효과가 나옵니다
아,, 진짜 도무지 모르겠네요 ㅠㅠ 첨부해주신 d1 영상도 다 해보고 파일 위치도 영어로 저장도 했고 유니티랑 VS버전 여러개 설치했는지 파일 위치도 다 확인했어요...심지어 VS 파일도 대소문자 오타도 없이 입력했고 오류없이 파일 저장했는데.. console창에 적은 대사가 안나오네요.. ㅠㅠ
만드신 C# 파일은 Scene에 올라온 오브젝트가 컴포넌트로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한번 Scene 쪽 오브젝트 확인해보세요
저기 골드메탈 님이 명령어 입력하신것 아래에 괄호를 남겨두는 이유가 뭔가요? 저것도 다 지우고 해도 되나요?
중괄호 { } 소괄호 ( )는 열고닫고 한쌍이 꼭 이루어져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문법에러가 발생하니 참고해주세요
넵 갑사합니다!
타이핑 할때 나는 효과는 뭔가요? 엏떠게 하나요?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도구 > 확장 프로그램 > 온라인 > PowerMode 검색해서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오랜만에 비쥬얼 스튜지오 켜보네요
비주얼 스튜디오는 따로 다운로드 해야 하는것인가요?
그냥 더블클릭하니까 이상한 것만 뜨던대요
보통 유니티 에디터 설치할 때 같이 설치됩니다.
유니티와 비주얼 스튜디오 연결하는 방법은 디버그 D01 영상에서 다루었습니다.
ruclips.net/video/-j5LKpFj4NQ/видео.html
Debug라 쳤을때 골드메탈님처럼 글자가 녹색이 안되는데 상관없는건가요 2019버전이라 다른건가요 ㅠ
creat->c# stript를 눌렀는데 c#파일이 아니라 #파일이 나옵니다 이런 경우엔 뭔가 해야 하나요?
#아이콘은 모양만 그렇고 C#스크립트가 맞습니다.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늦었지만 질문드려도 될까요ㅠㅠ?? Assembly-CSsharp라고 스크립트 창 위에 New어쩌구 프로젝트 창쪽에 안뜹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계속 기타파일이라고만 뜨네요ㅠㅠ
스크립트 파일 생성은 유니티에서 해주세요.
유니티 에디터의 Assets창에서 마우스 우클릭으로 C#스크립트 파일 생성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ㅠ 초반에 Cylinder랑 Plane가 안뜨고 카메라랑 해만 있는데 따로 추가하신건가요? 아니면 제가 뭘 잘못 만진건지 ㅜㅜ
실린더, 플레인은 따로 추가해주는 것이 맞습니다.
하이어라키 창 빈 공간에서 우클릭하시면 추가할 수 있는 오브젝트 목록이 나오는데
거기서 3D Object 메뉴를 클릭하시면 다양한 도형들이 나와요.
2:16 Hello Unity? 이거 코딩에서 엄청 많이 쓰이던데 기출변형인가....
Hello World 생각이...
생각하신 그것이 맞습니다. 프로그래밍 국룰이죠
0:45초에서 더블클릭해서 창 한개 띄우는데 저는 연결프로그램이 없어서 못여는데 어떤걸 다운받아야하는건가요?
유니티 설치하실 때 비주얼 스튜디오도 같이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B2에서 보여드렸고, 직접 다운받으시려면 여기를 가시면 됩니다. visualstudio.microsoft.com/ko/vs/community/
설치 후엔 꼭 유니티에서 윗 메뉴 Edit > Preferences > External Tools에서 컷번째 칸에
설치한 에디터를 연결해주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C#스크립트를 열때 어떤앱을 사용하서 열어야하나요??
설치할 때 기본으로 비주얼 스튜디오가 같이 설치되며, 유니티 에디터 상에서 C# 스크립트 더븤클릭하면 자동으로 열려야 합니다. 이게 안되면 유니티와 비주얼 스튜디오를 연결해주셔야 하는데 이건 유니티디버그 D01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ruclips.net/video/-j5LKpFj4NQ/видео.html
감사합니다
옛날 영상이라 봐주실진 모르겠지만.. 프로그래밍 언어 지우실때랑 작성할때 나오는 타격감있는거 무엇인지 여쭤보고싶습니다!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위쪽 메뉴
도구 > 확장 프로그램 > 온라인 > PowerMode 검색하시고 다운로드 설치하시면 됩니다.
@@goldmetal 오래된 영상이라 안봐주시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이렇게 바로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ㅜ
여기서 막힐줄은 몰랐는데... 왜 콘솔창에 아무것도 안뜰까요...? 그리고 큐브도 하나 만들어놨는데 보이지가 않고 초기화면만 보여요 ㅠㅠ
1. Hirarachy 에서 보이는 cube를 선택하고 F키를 누르면 큐브가 확실하게 보입니다.
2. 스크립트를 작성 완료하고 꼭 저장 후에 Hirarachy의 Cube 오브젝트 선택하고 Inspector 창에 스크립트를 드래그드랍하거나 Add Component를 통해 추가해주셔야 플레 모드로 들어갈 때 작동됩니다.
골드메탈님! 스크립트를 오브젝트에 넣을려고 드래그 드랍할려고 했는데 들어가지지 않는다고 떠요 어떻게 해야하죠?
콘솔창에 에러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안녕하세요 맥북 사용자인데 파일을 더블 클릭했더니 ' new behavior script ' 문서를 열도록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이 없습니다. 라고 뜨고 앱스토어에서 응용프로그램을 검색하시거나, 사용자의 컴퓨터에 있는 기존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세요 이렇게 뜹니다. 이후에 앱스토어에서 검색을 누르면 귀하의 지역에서 다운받을 수 없는 앱이라고 뜨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ㅜㅜ
그리고 비쥬얼 스튜디오는 2017년 버전으로 다운받아야하나요? 찾아보니까 2019 버전도 있던데 그걸로 받으면 안되는건가요?
설치와 연결은 아래 링크로 공유해드립니다.
docs.microsoft.com/ko-kr/visualstudio/mac/setup-vsmac-tools-unity?view=vsmac-2019
가급적이면 2017 버전 추천드립니다. 2019버전은 안열린다는 보고가 조금 있어서요.
늦게 질문해서 답해주실지는 모르겠는데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에서 유니티 라이브러리는 설치해야 코드를 쓸 수 있나요?
코드에서는 Extension 탭으로 들어가셔서 Unity 관련 탑 다운로드 항목을 선택하고 설치하시면 됩니다. 이후에 D01 영상과 같이 유니티 에디터 내에서 연결도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goldmetal님 질문 하나 더 하겠습니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에 들어가면 NET가 없다거나 패키지가 오래되었다고 합니다 또 콘솔창에 메세지가 뜨지 않는데 이럴 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미진김-m8x 그 해결방법까진 모르겠지만 Extension에서 설치한게 오래된거라면 최근 것으로 교체해서 설치해보시는 것이 어떨까합니다.
골드메탈님 유니티를 하려는데 라이센스를 하라고 떠서 들어가봤는데 여러개의 라이센스가 떠요
아무거나 눌러도 되는 건가요?
Personal 선택하시면 됩니다.
Copying assembly from 'Temp/Unity.CollabProxy.Editor.dll' to 'Library/ScriptAssemblies/Unity.CollabProxy.Editor.dll' failed
Copying assembly from 'Temp/Unity.PackageManagerUI.Editor.dll' to 'Library/ScriptAssemblies/Unity.PackageManagerUI.Editor.dll' failed
는 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ㅠㅠ
유니티 자체 버그인데 아직도 문제가 남아있는 모양입니다.
처음 시작하시는거라면 2019.2f 버전으로 설치해보시겠어요?
저... 콘솔 부분에 Unable to open Assets/start.cs: Check external application preferences 이런식으로 뜨는거 이건 어케하죠? 떠블클릭해도 안열리는게 이거 때문인거같은데...
비주얼 스튜디오와 연결해주셔야 합니다.
이 내용은 디버그 채널 D1을 참고해주세요.
ruclips.net/video/-j5LKpFj4NQ/видео.html
@@goldmetal 헉 1년 지난영상인데 하나하나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골드메탈님 진짜진짜 죄송한데 External Tools 에서
비주얼 스튜디오로 연결하려면 뭘 눌러야 하나요? 진짜 너무 죄송합니다 ㅠ
위쪽 옆으로 긴 네모칸을 누르시고 browse... 누르셔서 비주얼 스튜디오르 찾으시면 됩니다.
2:48 스크립트를 인스펙터 창에 옮기려고할 때 마우스 커서가 🚫표시가 떠서 옮기기가 안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그 인스펙터의 오브젝트가 Scene에 올라와있는 오브젝트인지 확인해보세요.
아니라면 Add Component 버튼 눌러서 한번 스크립트를 추가해보세요.
답글 달아주실지 모르겠는데,
visual studio를 따로 설치한 상태에서
그대로 코딩을 따라 했을 때
Debug를 명령어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아요
"The Name 'Debug' does not exist in the current context" 에러가 뜨네요! (콘솔창에서)
유니티에서도 "실행 전에 모든 에러 수정해!"라고 나오구요
유니티와 비주얼 스튜디오를 연결해주셔야합니다.
유니티 디버그 D01 영상 참고해주세요.
ruclips.net/video/-j5LKpFj4NQ/видео.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