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떠난 청소년’ 열명 중 네 명 “학교 의미없어” / KBS 2022.05.17.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7 тыс.

  • @zerg4me
    @zerg4me 2 года назад +3053

    입시위주의 교육은 실패한 교육이고, 취업을 위한 대학은 대학이 아님. 교육의 본질과 대학의 본래 역할이 회복되어야 함.

    • @nirvana2042
      @nirvana2042 2 года назад +110

      입시위주 교육이 실패가 아님 예전에는 입시 곧 대학이 곧 취업으로 직결되고 돈도 벌었지만 시대가 급변해서 대기업 들어가도 서울에 집 사기 어렵고 전문직도 팍팍하다고 느끼는 사회가 된 것이지 원래 한국은 입시위주 교육이 맞았음 사실 지금도 물려받은 거 없는 서민이 먹고 살려면 입시가 제일 유리한 코스 진입로임

    • @ildangback100
      @ildangback100 2 года назад +103

      그니까 그냥 코스로 전락하기보다 교육에 의미를 두자는게 댓글말이자나..

    • @naeunmarx4509
      @naeunmarx4509 2 года назад +29

      @@ildangback100 진짜 이상적으로 교육에 의미를 둘 수 있으면 너무 좋겠지만 현실은 지금 현재 교육 시스템이 그나나 없는 집에서 태어난 애들이 유일하게 공정한 기준으로 평가 받을 수 있는대 잣대라는 말인것 같아요.

    • @아힣헿
      @아힣헿 2 года назад +14

      @@영끌-b8r 근데 그럼 어떤 주의가 가장 공정한건지 궁금하네요 재능주의? 물질주의?

    • @prac8525
      @prac8525 2 года назад +27

      ​@@nirvana2042 그러니까 원래부터 틀려먹었단 뜻임. 서민이 먹고 살려면 입시가 제일 유리한 코스 진입로가 아님.

  • @irismoon8765
    @irismoon8765 2 года назад +5104

    이제 학교는 교육을 받기 위한 곳이 아닌 평가를 받기 위한 곳이 되어버린지 오래..

  • @이재훈-f9t8c
    @이재훈-f9t8c 2 года назад +3373

    조기교육이라는게 중학생때 미적분을 가르칠게 아니라 학생이 배움의 과정에서 정말 무엇을 하고싶고 더 배우고 싶은지 더 많은 경험과 선택을 할수 있는 교육환경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빨강-w6i
      @빨강-w6i 2 года назад

      맞습니다. 학교에서 인성교육도 못하면서. 미적분 영어 배워야 80% 학생은 사용못함.

    • @무전-m9u
      @무전-m9u 2 года назад +25

      기본은일단배워야죠...

    • @patrick8429
      @patrick8429 2 года назад +450

      @@무전-m9u 한국 수준의 기본은 웰케 높음? ㅋㅋ 솔직히 중학교만 졸업해도 기본상식은 다배움

    • @user-gk6yg4zg7y
      @user-gk6yg4zg7y 2 года назад +160

      미적분이 잘못됐다기 보다는 자기가 배울걸 찾아가는게 맞죠 공부로 해보려면 미적분이든 뭐든 미리미리 배워서 나쁠건 없구요

    • @혼자니-b5y
      @혼자니-b5y 2 года назад +8

      꿈 같은 말

  • @jrkim2706
    @jrkim2706 2 года назад +962

    한편으론 우리나라가 정말 많이 발전했다고 느껴집니다. 아이들이 이런 고민을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고 교육도 시대적 흐름에 따라 발맞춰 가는것도 필요하겠네요.
    수능 위주의 교육은 한계에 도달한거 같습니다.

    • @yrs6194
      @yrs6194 2 года назад +47

      맞아요. 요즘 애들이 유튜브나 블로그로 정보 수집이 빨라지니까 세상을 일찍 깨우치는 듯. 저도 딱 고등학생 때 저런 마음이 들었지만, 그 때는 학교 그만두는 애들은 문제아라는 인식과, 그만두고 나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검정고시라는 제도가 있는지 조차 몰라서 어영부영 시간낭비 했죠. 고등학교 내내 야자까지 하루종일 학교에 갖혀서 배운 지식들 수능 끝나니 싹 사라져 버렸어요. 이런 트렌드에 맞춰서 제도 지원만 잘 되면, 궁극적으로 입시 문제와 지역균형문제도 자연스레 해결될 거에요. 서울에 인구가 몰리는 가장 큰 원인이 저는 인서울 입학 열망 때문이라고 봅니다. 지방에서 서울로 대학가면 일단 졸업 후에도 서울에 자리잡으려 하고 그렇게 인구과밀로 집값이 오르는데, 재택근무와 함께 이런 트렌드가 계속되면 사회가 점점 정상적으로 바뀔 가능성이 보이네요.

    • @OP-cl9iq
      @OP-cl9iq 2 года назад +11

      애들이 뭔 생각이 있다고ㅋㅋㅋ
      단편적인 지식으로 대체 뭘 판단하나.ㅋ

    • @eternallove7300
      @eternallove7300 2 года назад +4

      @@lovelygirlme ㄹㅇㅋㅋ

    • @Seoul_KNPA
      @Seoul_KNPA 2 года назад +32

      @@OP-cl9iq 틀

    • @이훈규-l3o
      @이훈규-l3o 2 года назад +8

      저 학생들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어른이 없음

  • @kanomora4950
    @kanomora4950 2 года назад +912

    진로와 미래를위한 배움의 터전이 아닌.대학을가기위한 수단이고 공장같은 느낌. 아이들의 목소리를 듣고 시대의변화에 따라가기라도 해라. 무엇을 배우워야하는지 느껴야하는지. 중요한건 빠져있는 학교라는 곳

    • @해병대1312기
      @해병대1312기 2 года назад +27

      일제교육 청산못한죄 달게 받아야지 ㅋㅋ

    • @ping-fl1gr
      @ping-fl1gr 2 года назад +23

      30년전 교실이데아를 부르며 공교육이 바뀌길 바랬지만 안바뀜 ..세상은 쉽게 안바뀌드라 내가 맞는곳으로 떠나야지...

    • @함주라-p9t
      @함주라-p9t 2 года назад +4

      그럼 사회를 바꿔야 하는데 아직은 힘듬.

    • @nopregnant
      @nopregnant 2 года назад +27

      솔직히 소수 공부벌레들 빼곤 친구 사귀려고 다니는게 대부분인데 영상 사례처럼 대인관계가 안 좋으면 진짜 다닐 이유없지 안좋은,흑역사만 더 늘어나는 거니까..

    • @broken_bottle
      @broken_bottle 2 года назад +4

      불평등은 여전함 절대 바뀔 수 없음

  • @들기름-v2j
    @들기름-v2j 2 года назад +1841

    자신의 진로나 하고싶은 일을 더 배우기 위해서라는 이유가 있겠지만 학교에서 친구들 사귀고 교제하는것도 인생에서 정말 필요한데 우리나라 교육 방침이 대입만을 신경쓰고 있다보니 어쩔수없겠죠 한편으론 씁쓸합니다

    • @이민규-j6f
      @이민규-j6f 2 года назад +131

      국어 듣고 쓰고 말만 할수 있으면 됨
      수학 덧셈 뺏셈 곱셈 나누기 만 할줄 알면 됨 계산기 쓰던가
      외국어 번역기 돌려서 말하셈
      사회 기원전 현재까지 큰 사건만 정리해서 알면 됨
      과학 하고싶은 사람만 제대로 하셈
      컴퓨터 할줄 알아야 됨
      세계경제 배워야 됨
      돈 공부 꼭해야 됨
      인성 공부 예 체육 청소 육아 성교육 해야 됨
      이게 초 중학교 과정이여야 됨

    • @yeowooncenetinusd.8799
      @yeowooncenetinusd.8799 2 года назад +39

      그런게 꼭 학교에서만 일어나진 않아요

    • @1900-y6n
      @1900-y6n 2 года назад +218

      함께 살아가는 것보단 나만 잘살면 된다는 것 가르치는 것 같음

    • @오렌지주스-o7t
      @오렌지주스-o7t 2 года назад +29

      @@1900-y6n 이건 ㅇㅈ...

    • @jaykei9292
      @jaykei9292 2 года назад +107

      힘든 교우관계를 유지하는게 꼭 올바른건 아님... 사회화는 어디서든 이뤄짐... 오히려 학교폭력 & 교권문제 등 필요 없는 위험 요소나 에너지 낭비의 요소에서 벗어 나는 것도 나쁘지 않음. 학교라는 환상에서 빠져나올 시대!!

  • @hs-bg7fo
    @hs-bg7fo 2 года назад +1565

    40대지만 변한게 없다
    아이들 마음 충분히 이해한다 ㅜㅜ

    • @ssanghooo
      @ssanghooo 2 года назад +7

      공교육!!!!!!!!!!!!!!!! 이게 출산율을 올리고, 자살율을 내릴 제일 최선의 방법이구만!!!!!!!!

    • @ssanghooo
      @ssanghooo 2 года назад +59

      학교 선생들도.... 진짜 교육에 신념있고 소신이 있는 사람으로 뽑아야지, 안정적인 직장 이딴 거 때문에 선생질 하려고 하는건.... 애들의 가장 중요한 시기를 책임지기엔 맞지 않는거 아니냐? 학교도 선생들 사무적인 일은 시키지말고 애들 교육에 대한 연구에 매진하도록 해야할텐데. 나라는 왜 가장 근본적이고 기본적인 문제인 공교육문제를 왜 무시할까. 학교에서 제발 민주주의 좀 제대로 가르쳐라. 사회 약자 무시하고, 사람들 급 나누고 서열화하는 것부터 고쳐라. 그러려면 선생들 본인들이 학생과 동등한 위치로 내려와야 하거늘. 소신없는 교사들이, 권위란 애써 세워야 생기는거라고 믿는 것들이 뭘하겠냐.......

    • @youngoknoh1592
      @youngoknoh1592 2 года назад +26

      부모는 애들 감당이 안되니 학교에 떠넘기기 식이고 교사들은 애들보다 자기 몸 사리기 바쁘고 애들은 학교라는 공간에서 빈부격차에 이지메에 일진이랑 패거리들 지랄발광 하는 거 그대로 겪는다..이게 학교냐?? 교육 현장에서 애들 가르쳐 본 경험상 문제 많은 교사 졸라 많음..애들에게 진심인 동료 교사에게 해코질 안하면 다행으로 봄..학교도 두 부류로 나눠야 함..진짜 학업을 배우러 가는 곳과 단체 생활이랑 인성 배우는 곳으로…이렇게 나눠서 적절히 교육 시켜야지 걍 한 덩어리로 다 때려 넣고 애들한테 서로 맞춰라는 식으로 하는 교육은 교육이 아니라 시간 낭비다..

    • @박충훈-v2l
      @박충훈-v2l 2 года назад +8

      나도 40댄데 학교는 필요하다..생활을 잘하냐 못하냐에 따라 바꿔는거지 부정적인걸 보니 당신학교 생활이 어땟는지 보인다

    • @illiliillll
      @illiliillll 2 года назад +30

      @@박충훈-v2l 꼰

  • @kangmj0209
    @kangmj0209 2 года назад +308

    오히려 획일화시킨 수업 공부보다 이렇게 스스로 뭘하고싶은지 찾아가는 공부가 더 동기부여되고 집중도 잘될듯. 특히 이 나이대에 친구들이랑 다른 길을 간다는게 쉽지않은 결정일텐데 정말 멋진것같아요 응원합니다!

    • @koreanentertainer3765
      @koreanentertainer3765 2 года назад +4

      초등학교때가 가장 행복했죠.
      중학교, 고등학교 생활은 정말 최악이였구요.
      덩치 큰 학생이 작은 학생들을 괴롭히는 교실 현장은 정말... 아프리카 세렝게티와 다를 것이 없었습니다.
      청소년기는 집에서 홈스쿨링하는 것도 매우 좋다고 봅니다.

  • @J진영
    @J진영 2 года назад +294

    나도 40인데 학창시절 지금 아이들과 똑같이 느꼈었지ᆢ
    학교가 의미없이 느껴지고 앉아있는 자체가 시간낭비, 스트레스였지ᆢ
    뭘 위해서 나가고 뭘 위해서 앉아있는지ᆢ
    진짜 공장, 기계같은 느낌이었음ᆢ
    그나마 졸업장이 있어야 사람취급하니 그거 하나 받으려고 출석했을 뿐ᆢ
    대학도 마찬가지ᆢ

    • @Minerva-x6b
      @Minerva-x6b 2 года назад +56

      저는 30인데 진짜 공감됩니다 ㅋㅋ 정해진 룰에 가두고 바보마냥 순응하지않으면 문제있는 사람으로 취급하는 곳이 학교.

    • @이름-e8l6i
      @이름-e8l6i 2 года назад +1

      본인이 맞는 분야를 찾아서 떠나셨으면 그럴리가 없을텐데요

    • @Tuss2233
      @Tuss2233 2 года назад +3

      어릴때 목표가 뚜렷하냐안하냐 차이인듯. 목표가없는 학생들은 그저 남들이 하는것처럼 떠밀리듯 대학을가기위한 공부만하고. 나름 주관잇는애들은 자기삶찾아 다른걸하겟지

    • @Sim2227
      @Sim2227 2 года назад +4

      @@Minerva-x6b 정해진 룰에 가두고 바보마냥 순응하지않으면 문제있는 사람으로 취급하는곳 그게 나라아닌가요 거기서 그 룰에 벗어나는사람은 범죄자구요 학교도 또다른 사회이자 사회라는곳을 미리 체험하는 실습현장 그런 실습현장필요없이 사회로 바로나갈 준비가 된사람들이라면 모를까 막연하게 이 룰은 싫어하고 뛰쳐나간다면 그저 범죄자양산하는거겠죠

    • @Susususuperdo
      @Susususuperdo 2 года назад +7

      @@Sim2227 나라가 잘못된 것일수도 있고, 학교 체제에 대한 거부감이 든다고 모든 이가 범죄자가 되는건 아니잖아요? 공부 열심히 하고 잘하는 아이들도 학교가는데 회의감 느끼는 아이들 정말 많아요.
      오히려 학교 간다는걸 당연시 여기는 아이들보다 정말 학교의 의미가 뭔지 생각하고 자신의 뜻에 맞게 큰 결정을 한 아이들을 존중해야하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

  • @남원지-k7p
    @남원지-k7p 2 года назад +252

    현대사회는 점점 발전해가는게 사진으로만 봐도 보이는데, 학교나 군대는 큰 변화가 없어요.
    괜히 어린아이 유학 보내는게 아님.
    알고있다면 실행을 했으면 좋겠다.

    • @The_Junsung
      @The_Junsung 2 года назад +5

      해외에 5년동안살다 한국에검정고시치러 들어왔는데 검정고시학원 학생들이 해외에서온사람보다 한국학교 자퇴하고학원다니는사람이 압도적으로 많더라구요
      4시간동안 수업하는데 해외에서온사람은 저밖에없어요

    • @내추럴햄력
      @내추럴햄력 2 года назад +1

      @@The_Junsung 그게 저도 같은 경험

    • @머머리찰싹때리고싶다
      @머머리찰싹때리고싶다 2 года назад

      제가 5년전 고등학교다닐때 딱 그생각때문에 많이 힘들어했습니다. 세상은 너무나도 빨리변하는게 인터넷 조금만 보면 보이는데 학교생활은 무슨 일제시대 학교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못했다고 느꼈어요(비유가 그렇다는거지 그만큼 바깥세상과 학교는 딴세상이라는겁니다). 변화를 적극적으로 추구해야할 학교가 제자리에 머물러있으려고만 하니

  • @K1997-p2q
    @K1997-p2q 2 года назад +730

    학교가 정말 싫었던 이유는 상대평가 방식이 제일 싫었음 그리고 억지로 학교에 남게끔 하고 방과후에도 수업 시키는것과 야간자율학습이지만 야간강제학습도 짜증났음 그 학교안의 경쟁사회구도가 매우 짜증나는데 또 따돌림이라던지 은근히 따시키는게 너무 스트레스였음

    • @도도-k3g
      @도도-k3g 2 года назад +16

      나는 공부하기싫은데 공부만 가르치니까 학교다니는거 진짜 시간아깝다고 느끼긴했음 고등학교졸업한지 벌써 10년다됬네

    • @빨강-w6i
      @빨강-w6i 2 года назад +30

      학교 다니는거 시간 낭비 맞음.

    • @dnrk710
      @dnrk710 2 года назад +2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렇게 상대평가 싫다 어쩐다하는 사람들 학교에서 분명히 공부못했던 놈들임 ㅋ ㅋ ㅋ

    • @umm1530
      @umm1530 2 года назад +5

      억지로 학교 남게 안함 이제

    • @patrick8429
      @patrick8429 2 года назад +46

      @@dnrk710 공부를 못한게 아니라 안한거죠 ㅋㅋ 한국 공부는 자기 의지만 있으면 충분히 상위권 나올수 있음 똑똑하냐 안하냐 문제가아니라 공부를 하냐 안하냐지 ㅋㅋ 한국 교육과정 체제에 잘 따라온다고 공부를 잘하는게 아님 공부를 열심히 한거지 ㅋㅋ

  • @과두드
    @과두드 2 года назад +232

    애들이 똑똑한거지..어차피..학교 나온다고해서 성공하는 사람들은..정해져있지..진짜..원하는거하게 끔 해줘야한다..

    • @skim7923
      @skim7923 2 года назад +17

      저도 어릴 때는 시간도 아깝고 안 맞는 거 같아서 그런 생각했었는데 나중에 나이 먹고 보니 학교는 성공이나 공부만을 위한 건 아니었구나란 생각이 듭니다. 같은 나이 또래 친구들과 어울려서 시간을 보내는게 나중에 알게 모르게 큰 도움이 됨. 사람들과 섞여서 적응하며 사는 사회성이라는 건 어디가서 돈주고 배울 수도 없는 것. 학교가 따돌림의 장이 되어 본인이 학교 가는게 죽기보다 싫다면 당연히 학교를 그만 두는게 맞지만 그게 아니라면 친구들과 어울리는게 나중 인생을 위해서도 엄청 중요하다고 봄.

  • @LAL0824
    @LAL0824 2 года назад +743

    스스로의 공부를 찾아가는 모습이 한편으로는 참 대단하다고 느껴진다.

    • @lenda-3-i2md
      @lenda-3-i2md 2 года назад +31

      그정도로 교육이 개박살났단 확실한 근거고 그이전부터도 문제점이 계속 쌓여왔단거죠

    • @grang6472
      @grang6472 2 года назад +12

      솔직히 쟈네가 세상을 아는 거임. 내가 아는 가정에 어느 따님은 나이 10대 갓20대 초반
      월수입 200~250정도 범..그 나이에 그 정도 돈을 버는 생각을 하는 건 놀라운 거임.

    • @Hiirooshii
      @Hiirooshii 2 года назад +23

      @@lenda-3-i2md 맞아요. 지금 고등학생인데 입시교육 관련한건 말할것도 없고, 해외 유학시험 준비하는 애들이 25명중 3명입니다..(옆반엔 더 많음) 공부해서 대학 들어가도 기업의 노예로 살다가 떠나긴 싫다는 인식이 있는거 같아요. 고2부터 학교 다니는게 시간낭비라고 판단한 친구들은 잦은 조퇴부터 시작해서 자퇴까지 합니다.. 성적 상위권 친구들을 위한 공간이라는걸 아는거죠.

    • @너말이야너-v7u
      @너말이야너-v7u 2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 과학기술 빼곤 다 망했다고 보는게 나음 솔직히 생각해보면 우리 과학기술을 높여주는 사람들 보면 거의 유학파들임

    • @작은부자-e2b
      @작은부자-e2b 2 года назад +2

      요즘 시대 학생들을 생각하는 진정한 교사는 찾기 힘들다 단지 월급쟁이 공무원교사들만 가득함...

  • @yun_c_a_jye
    @yun_c_a_jye 2 года назад +961

    가장 큰 문제는 중고등 교육이 성인이 되고 모두 쓸모가 없다는 것, 아무 의미 없다고 느껴질 때. 성인이된 지금 어떤걸 배웠는지 하나도 기억이 안난다는 점.
    거기에 이 문제는 이미 오래전부터 느끼고 있었으나 전혀 바뀌지 않았다는 것,

    • @로또야-i9j
      @로또야-i9j 2 года назад +44

      ㄹㅇ 누군가는 배달 공돌이 해야 하는데 수학 과학 영어가 뭔 필요 있을지? ㅎㅎ

    • @새피-t9d
      @새피-t9d 2 года назад +5

      @@로또야-i9j 그거 하려고 학교 안나가는거지 ㅋ

    • @구름비-f4w
      @구름비-f4w 2 года назад +7

      ​@Introduce 나중에 나이먹어보면 그래도 학교는 다녔어야지..

    • @butand9421
      @butand9421 2 года назад +3

      그럼 한국이 이렇게 성장한 배경이 머라고 생각하니??
      학교에서 필요 없는 것만 가르 쳤는데 ᆢ

    • @바미-b8w
      @바미-b8w 2 года назад +38

      @@butand9421 사람을 갈아 넣어서 성장했지요. 그게 이젠 안 통하는 시대가 되었으니 못 하는 거구요. 사회적인 면에서나 경제적인 면도 마찬가지고요.

  • @추억은힐링
    @추억은힐링 2 года назад +462

    똑똑한 아이들이네 부모님들도 깨었고 우리 부모 같았으면 학교 안다니면 난리 나고 때리고 학교가서 빌고 했을건데

    • @ta2oos
      @ta2oos 2 года назад +7

      @참티즈는말지않긔 굿 참지않는 멋진모습

    • @PoDo_Developer
      @PoDo_Developer 2 года назад +7

      @참티즈는말지않긔 마침 좋은 예시가 튀어나와주네요 ㅋㅋㅋ

    • @뒷자리
      @뒷자리 2 года назад +1

      @참티즈는말지않긔 예시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 @t_r_kj
      @t_r_kj 2 года назад +1

      @참티즈는말지않긔 예시활용 미쳤나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Bob-xc6nk
      @Bob-xc6nk 2 года назад +1

      @참티즈는말지않긔 예시 레전드

  • @chihoonbong
    @chihoonbong 2 года назад +344

    "학생이면 학생답게 공부를 해야지''의 시대는 끝났네요 학생분들 꿈을 포기하지마십시오 응원합니다

    • @user-tv7uk9ou1d
      @user-tv7uk9ou1d 2 года назад

      끝나긴 개뿔 ㅋㅋㅋㅋㅋㅋ

    • @_a_b_c
      @_a_b_c 2 года назад

      @@user-tv7uk9ou1d 끝나가는중이지

    • @user-tv7uk9ou1d
      @user-tv7uk9ou1d 2 года назад

      @@_a_b_c ㄴㄴ 학생의 본분은 공부임

    • @reinhard290
      @reinhard290 2 года назад +1

      옛날처럼 대학간다고 다 되는 시대는 아니니, 뭔가 열심히 한다면 그게 맞는 방향이겠죠.

    • @user-tv7uk9ou1d
      @user-tv7uk9ou1d 2 года назад

      @@reinhard290 재능은 필수임 열심히만으로는 안됌

  • @Dikan-47
    @Dikan-47 2 года назад +236

    돈 누가 더 써서 좋은 선생 만나고 더 빨리 사교육 시스템에 뛰어드는지에 싸움이고 학교 선생 눈치보면서 기다가 결국은 사교육 때문에 극한까지 어려운 문제를 풀 정도로 재능있는 사람이 성공하고 나머지는 죽도 밥도 안되는 상황나오는게 매년 있는 일임

    • @김재현-m7r7u
      @김재현-m7r7u 2 года назад

      진짜 ㅋㅋㅋ카더라충들 문제임 지가 공부해보지도않았으면서 그저 좋은선생있더라하면서 발상의 근거가 드라마인 놈들 ㅋㅋㅋ 사교육하면 누구나 어려운문제 풀고 누구나 잘한다? 애초에 학교에있는 선생님들도 사법대나온 엘리트들인데
      그들은 좋은선생님이 아니란거네여?ㅋㅋ 사교육 시스템이 누가 먼저 들어가는지 싸움은 또 무슨소리임 그냥 지가 부족한거같은면 더배우러가는건데 요즘 독학재수가 유행인건 또모름? 이상한거 주워들어서 아는척 ㄴㄴ니네같은 족속때문에 국가의 정책에 지향점에 혼란이 생기는거임 교육에 관여하거나 관여받고있지도않은 것들이 왜 나불댐?
      중국인이 한국 정치에 나불대는 꼬라지네

    • @imhuman04
      @imhuman04 2 года назад

      @ᄎᄀᄀᄂᄂ 고3 되서 느낀건데 어중간한 비율은 어느정도를 뜻하는건지?
      3등급? 4등급? ㅋㅋㅋ 서울권 아니고서야 3,4등급이면 지방대 좀 좋은곳도 힘듬 지금 상황을 보고 그 얘기 하셈
      예전에 교육과 지금의 교육과 많이 다름

    • @김성태-j5h
      @김성태-j5h 2 года назад +1

      요즘 누가 학교선생 눈치보면서 다님?

    • @김재현-m7r7u
      @김재현-m7r7u 2 года назад

      @@박원순집무실의침대 그건 걔가 ㅈ빠지게 열심히한거고 ㅋㅋ남의 노력을 일반화시키네 과고나 특목고도 아니고 모든 4등급이 12등급이다?ㅋㅋㅋㅋ뻘하게 웃기네 12 등급이면 수학 쉬운 4점은 기본으로풀고 21번 29번 정도 풀고 1등급은 다 쳐풀수있어야되는데 일반고 선생님들은 매번 시험준비할때마다 모든문제를 수능 30번문제급으로 쳐만들어서 등급 나누냐? 말도 쳐안되는 소리좀 하지마셈 ㅇㅋ?

    • @김재현-m7r7u
      @김재현-m7r7u 2 года назад

      @@imhuman04 농어촌 전형쓰세여 그러면 ㅋㅋ겁나 징징대네 고등학교까지 서울을 본다고? 그건좀 허수같은데 3등급이면 지거국운 가지 이사람아

  • @UserPKN
    @UserPKN 2 года назад +551

    교내폭력 / 의욕없는 선생 / 부조리한 관습 강요
    폐쇄적인 공간 / 적성 선택폭 부족 등등
    솔직히 학교가 꼭 필요할까요?

    • @바스티오프
      @바스티오프 2 года назад +7

      답글 꼬라지가;;

    • @로봇-h2n
      @로봇-h2n 2 года назад +22

      ㅇㅇ 꼭 필요함 기초는 알고 사회에 나가야지 공부안하는 애들을 위해 필요함

    • @user-ez7mc5eq3l
      @user-ez7mc5eq3l 2 года назад +7

      @@로봇-h2n 초등학교 까지는 인정 중학교는 좀 애매하고 고등학교는 절대 아님

    • @junghwanryu1188
      @junghwanryu1188 2 года назад +18

      제대로 말하자면 필요는 함. 어릴때의 배움이 성장의 동력이 되는경우가 많고, 냉정하게 말하자면 무엇보다 무언가를 하는데 있어서 아는것이 조금이라도 있어야지 남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수있는거임. 그걸 안하면 그냥 빈민국가에서 보이는 프로페셔널 코스프레하는 짝퉁들이 넘쳐나게되는거임. 도덕과 질서의식의 결함으로 나타나는 인성문제는 뻔한거고.
      다만, 문제는 그 필수로 있어야 하는 학교가 제대로된 실효성을 갖춘 역할을 하질 않고 or 못하고 있어서임. 아직도 학벌시대에 머무른 멍청한 노인네들이 윗자리에 있어서 그럼.

    • @미리내-v5p
      @미리내-v5p 2 года назад +5

      @@로봇-h2n 사실 살아가는데 필요한 교육은 초등교육만으로도 퉁분할듯 합니다
      중등부 부터는 개인의 자질과 재능 취미 적성 분야로 다체로운 맞춤식 교육이 필요하나
      교육현장에서는 그럴 의지도 방법도 모른다는 현실

  • @야호-c6z
    @야호-c6z 2 года назад +398

    단순히 취업, 대입에 맞춰진 교육구조가 그동안 직업의 다양성을 막아왔다고 생각합니다. 자습시간에 교과과목 제외한 자습을 하면 교무실에 불려갔던 기억이 나네요.
    직업의 다양성이 늘어나고 성공의 방향도 다양해지는 만큼 이런 변화는 자연스러운 일일 수도 있다고 생각드네요.

    • @메모장-e9h
      @메모장-e9h 2 года назад +9

      다른게 하고 싶으면 해당 분야 특성화고 가서 하시면 됩니다.

    • @김민재-c8n6q
      @김민재-c8n6q 2 года назад +1

      @@메모장-e9h 맞는 말씀이십니다

    • @뽀얀허벅지
      @뽀얀허벅지 2 года назад +17

      @@메모장-e9h 특성화고 가도 마찬가지임.
      뭐 특성화고는 대학 안가도 된다고 하는줄 아나ㅋㅋㅋㅋ
      뭐 수능에 교과과목 이외의 문항이 출제되기라도 함?

    • @야호-c6z
      @야호-c6z 2 года назад +1

      @@메모장-e9h 일찍이 본인이 하고 싶은 게 뭔지 알게된 아이들은 그런 선택을 통해 자신이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겠죠. 옳으신 말씀이에요. 하지만 고등학교 입학 당시에 자신이 하고 싶은 게 뭔지 잘 모르고 맹목적으로 학업에만 몰두하는 학생도 많다고 생각해요.
      그런 아이들은 고입 이후에 교과과목 이외에 새로운 분야에 관심이 생겨도 그 기회에 다가가는 것 조차 힘든 경우가 많은 거 같네요.
      요즘은 어떤 지 모르겠지만 아침 9시부터 밤 6시까지 교과과목을 배우고 그 후에 4시간 정도 자습시간에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를 독학으로 해보려는 학생들이 학업이 아니란 이유로 그 기회를 박탈 당하는 경우를 봐왔어요.
      물론 모든 학교가 그렇지는 않을거고 모든 학생이 이렇지도 않겠죠. 제 짧은 견식으로는 아직 이런 환경을 많이 봐왔고 그 이외에 다른 모습들이 있었다면 제가 생각을 고치기 위해 노력해봐야겠어요.

    • @도현수-n8n
      @도현수-n8n 2 года назад

      @@뽀얀허벅지 기업생산직 같은거 할거 아니면 크게 공부 안해도되는데 뭔 개소리하냐

  • @나더러어쩌라곰
    @나더러어쩌라곰 2 года назад +32

    저도 학교를 왜 다니는지
    늘 의문이었어요
    내가 하고싶은걸 제대로 배우지 못한채 졸업하고 시간망 낭비하는 인생을 산 거 같아요
    제 후배들은 빨리 깨달았으면 해요
    우리나라 학교가 얼마나 쓸데없는걸 많이
    가르치는지..
    이동수업위주로 자기가 원하는 과를 지원해서 배우는 교육 시스템이 아니라면 정말 우리나라 교육 시스템 별로예요

  • @I1RpJ1CA604ShhQ
    @I1RpJ1CA604ShhQ 2 года назад +208

    국영수 대학 진학 교육만 시키지말고 사회나가서 살아갈 수 있는 교육을 시켜야.

    • @ping-fl1gr
      @ping-fl1gr 2 года назад +2

      그럼뭐해 목표가 대학인걸...

    • @Mohamed_Salah_Ghaly
      @Mohamed_Salah_Ghaly 2 года назад

      @제3의길 ㄹㅇ입니다 제 꿈이 경찰인데 공채 할려고 하거든요 중고등학교도 경찰행정학과 같은거좀 생겼으면 좋겠습니다.고등학교 자퇴하고 공채 공부해야할지 의문이네요 ㅠ

    • @빨강-w6i
      @빨강-w6i 2 года назад +1

      @@Mohamed_Salah_Ghaly 공무원 시험은 학력제한 나이제한 없지 않나요?

    • @lunar-zn9wo
      @lunar-zn9wo 2 года назад +3

      다른 나라들 보면 학생들 진로를 위해 다양한 경험을 시키죠 우리나라는 환경 탓에 공부가 제일이어서 대학은 많이 보내는데 .... 취업은 어렵고 ㅎ ..

    • @Mohamed_Salah_Ghaly
      @Mohamed_Salah_Ghaly 2 года назад

      @@빨강-w6i 네 맞아요

  • @bictoriariching
    @bictoriariching 2 года назад +498

    솔직히 진짜....... 친구만나러가는거지... 확실히 수준있게 배우는건 학원이다... 수능에 나오는 모든문제를 학교에서 배워서 사교육을 필요로하지않는 학교가 되었으면좋겠다.. 그렇게되면 학원가느라 지쳐하는 학생들의 여가시간이 늘어나서 행복해지지않을까?

    • @박혜진-w3w
      @박혜진-w3w 2 года назад +67

      완전 공감합니다.
      학교 쌤들 수업 건성건성, 학원쌤들과 너무나 비교된다.

    • @deltax9471
      @deltax9471 2 года назад +17

      그 친구들 만나는게 사회성과 집단 생활 적응 하는데에 도움되는건데,,

    • @이민규-j6f
      @이민규-j6f 2 года назад +14

      더 발전 없는 사회에 무슨 학교가 필요함

    • @다람지-h7b
      @다람지-h7b 2 года назад +16

      학원은 그나마 공부라도 하려는 학생이 가는것이라 학교와 비교하기는 무리라는 생각.

    • @shlee6728
      @shlee6728 2 года назад +45

      학교에 뭘 바래요 초등학교 선생님들부터가 학원에서 다 배워왔을거라고 생각하고 대충 가르치는데 저 고딩 때 수학 선생님 아이가 초딩이었는데 저희 수학선생님이 깜짝 놀라심 자녀 학교 선생님이 학원에서 다 배웠지 선행학습을 당연히 했을거라 생각하고 가르친다는데 같은 선생님들도 놀랄 정도 이게 2000년대 중반쯤부터 일어난 일임

  • @최인순-p3r
    @최인순-p3r 2 года назад +446

    우리 막내 고일때 학교 관둔건 조상이 돌본거라고 생각함
    진짜 똑똑한 우리막내 헉교를 관두고
    착해졌으며 자존감이 높아졌고 무엇보다
    미래를 생각하고 있다는점이다
    이제 능력만 키우면 되는 우리막내
    학교 밖에서 또 다른 꿈과 희망에 내일을
    위해 미래를 위해 걷고있다

  • @연심-e4x
    @연심-e4x 2 года назад +140

    솔직히 어려서 그렇다는 생각도 있지만 나도 학생 때 방황하고 학교 잘 안나갔던 사람으로서 솔직히 학교도 중학교까지는 끌려오는 거고 고등학교는 사회적 시선때문에 억지로 가는거라고 치면 적어도 성적 낮다고, 의지 없다고 차별은 하지 말아야지. 교사들 실적에 금간다고 기수열외를 시켜버리니 원.. 솔직히 학교 다니면서 제일 화났던건 획일화된 교육보다 성적 낮다고 눈치주는 교사였음.

    • @요시무라준이치로
      @요시무라준이치로 2 года назад

      기수열외 ㅋㅋㅋ

    • @biomass12
      @biomass12 2 года назад +4

      그건 너무 옛날일 같아요 ㅎㅎ저도 공부잘하는 학교에서 자퇴고민했었는데 성적낮다고 공부하라고 강요하는 선생님들 하나도 없었어요 ㅎ 공무원이라 실적그런거 아무상관없었어요.

    • @biterlames3220
      @biterlames3220 2 года назад +6

      나 고딩때도 쓰레기 같은 강제 야자 때문에 좆같았음

    • @김영걸-j9n
      @김영걸-j9n 2 года назад +1

      근데 저도 어렸을때부터 공부 안하고 성적도 맨뒤였지만 살아가나보니까 성적은 중요하지 않더군요. 그냥 학교를 나와서 많은 학생들과 어울리면서 사람과 잘 지내는법도 배워가고 청소년기 발달시기에 교육은 정말 중요합니다 연심님도 정말로 학교를 안나왔고 많은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았더라면 지금쯤 사람들과 소통하는법도 모를꺼에요 아동기때 모방이중요하다고 하죠 인간은 모방을 하는 짐승이에요 나보다 더 잘났고 잘난 사람이면 똑같이 따라할려하고 그게 인간의 본능입니다

    • @연심-e4x
      @연심-e4x 2 года назад +1

      @@김영걸-j9n 그건 동의함. 학생이 방황하면 교사가 끌어주는 것도 역할이라고 생각할 뿐.. 나야 잘 살고 있으니 괜찮은데 학교 잘 안나오다 온갖 양아치질 하는 친구나 또래들 생각하면 너무 안타까워서 그럼. 전부 차별받던 친구들이라. 좋은 말씀 감사함

  • @카이-d1g
    @카이-d1g 2 года назад +303

    학교선생님을 어떤 사람을 만나느냐가 인생에 미치는 아주 큰 행운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 @fokuteve
      @fokuteve 2 года назад +3

      비틱질 ㅈ같이 할거면
      한강 앞에서 ㅈ위나하셈
      거기에 운나빠서 뛰어내린애들 많으니까

    • @2023MooHyeon
      @2023MooHyeon 2 года назад +18

      그만큼 선생들의 수준이 저질이라는거죠.

    • @카이-d1g
      @카이-d1g 2 года назад +12

      @@fokuteve 나대지마세요ㅋㅋㅋ

    • @fokuteve
      @fokuteve 2 года назад

      @@카이-d1g 느계미요

    • @brianmoon7277
      @brianmoon7277 2 года назад +5

      @@2023MooHyeon 남탓도 병이다..

  • @시시해-39
    @시시해-39 2 года назад +226

    현명하다..자기인생을 다른 학생들처럼 끌려가지않고 끌고가는 학생들..

    • @user-hd0602
      @user-hd0602 2 года назад +14

      의무교육을 끌려간다고 표현한다니..ㅋㅋ 계획이 있으면 상관없는데 무계획으로 학교를 떠나는게 문제인거임

    • @지니-r3x4b
      @지니-r3x4b 2 года назад +12

      @@user-hd0602 이게 맞지 체제에 적응해서 열심히 하고 있는 학생들보고 끌려간다고 표현하다니

    • @hiems1923
      @hiems1923 2 года назад +3

      @@지니-r3x4b 체제에 적응해서 하는 입장에서 끌려가는게 맞음. 자퇴하면 그해에 수능을 못 보는거 아니면 자퇴율 급증한다고 장담함.

    • @brown-v2x
      @brown-v2x 2 года назад

      @@user-hd0602 ㅇㅇ 이게 맞는 듯. 자기만의 길을 미리 찾고 자퇴를 한 것은 현명한 것이지만, 아무런 계획 없이 학교 가기 싫어서 자퇴하는 것마저 현명하다고 할 수 있는가..

    • @WDsounds
      @WDsounds 2 года назад +2

      @@brown-v2x 학교를 가기 싫을 만큼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면, 자퇴하는 것도 결코 하자 있는 선택은 아닙니다. 당장 자퇴한 다음에 할 거 없는 상황에 놓이면 그때서부터 찾고 계획을 세워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 @맨의저
    @맨의저 2 года назад +1034

    이미 학교졸업장을 받은지 오래되었지만
    진짜 학교는 발전이 없는건 현실이다는 것, 왜 다닐까? 라는 생각이 지금도 계속 생각이 나네요

    • @놈팡이-r5s
      @놈팡이-r5s 2 года назад +72

      학교에서 사회생활과 인간관계를 배우는거지요
      학교=공부 이 생각이 잘못된거임
      학교 다닌애랑 안다닌애랑 사람대하는걸 보면
      차이가 확실히 보임

    • @비비디바비디-i9z
      @비비디바비디-i9z 2 года назад +17

      학교에 즐거운 추억이 없으시단 게 너무 안타깝네요

    • @맨의저
      @맨의저 2 года назад +36

      @@비비디바비디-i9z 안타깝기보다 제가 다닌학교가 학생수도 많고, 거의 추억이라기 보다는 친구들하고 노는거만 빼고 선생님 중에서 궁합이 잘맞는 선생님은 빼고는
      벌로 친하지도 않는 쌤이 대부분 자기알아서 해라는 태도를 막 보여주니까
      발전없고, 그리고 학교가 워낙 일진같은 애들이 더 많으니 발전이 안나는 거죠...

    • @JRS977
      @JRS977 2 года назад +3

      @@비비디바비디-i9z 또다른 곳에서 또다른 추억이 생기는거죠.새롭게 발전되어 가는 세상이네요ㅎㅎ

    • @서바이버나인
      @서바이버나인 2 года назад +51

      @@놈팡이-r5s 학교 다녀도 사람 대하는게
      이상한 사람들 많습니다.
      오히려 이런 친구들에 영향 받느니
      검정고시와 원하는 진로를 위해
      학교를 나오는것도 좋게 생각드네요
      제 아이들도 후에 원한다면
      지원 해주겠습니다

  • @xmmochl
    @xmmochl 2 года назад +151

    자기가 하고싶은 일도 없고 학교만 가서
    불만인 몇몇 학생들이 일진처럼 삐뚤어지기도 하죠..
    사람들의 말처럼 자기가 하고싶은 일을 찾게 해주는것과 알게 해주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qidjdn
      @qidjdn 2 года назад +4

      인문계 고등학교인데 학교에 100명 중에 2명정도는 자퇴하더라고요... 근데 보통 3~4등급 받고 성적을 올리면 지거국은 갈 수 있는데 답 없을 것 같으니깐 수능친다고 자퇴하고 공부안하는게 아이러니...

    • @kdtube8126
      @kdtube8126 2 года назад +2

      @@qidjdn 내신 3-4등급대면 지거국 갈 바에 자퇴하고 수능 쳐서 인서울 더 높은곳 가는게 오히려 훨씬 유리할 수 있는데?

  • @큐리오
    @큐리오 2 года назад +209

    국공립 고등학교를 나왔지만 학교에서도 학생들 상위권 대학 보내는게 목적이였던걸 보면서 학생을 강제로 하여금 본인들의 이익 수단에 이용하는게 아닐까 생각한 적도 있습니다.
    물론 모든 교사분들이 그런 마음은 아니셨겠지만..
    본인이 원하는게 학교에 없다면 찾아 떠나는게 멋있어 보입니다.

    • @Ulsanman3
      @Ulsanman3 2 года назад +3

      우리나라 교육 시스템은 입시시스템 개선 말고는 답이 없죠
      수시 정시 이런 입시가 미래 인재육성에 안맞는것 같다고 생각함
      개인적인 생각인데 대학교 정원이 이제는 넘쳐나는 상황이니 특정 인기 학과를 제외하면 인원수 제한을 풀어야 한다고 생각함
      정원이란 개념을 없에는 것이죠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면 정원이 무의미하겠죠
      입학은 쉬워지는 대신 학점은 까다롭게 해서 졸업이 어렵게 해야한다고 생각함
      그럼 고등교육도 일부 시험쳐서 들어가야하는 학과 지망생을 제외하면 입시 영향을 안 받으니
      교육의 방향이 좀 바뀌겠죠
      그리고 늘어난 정원에 온라인 수업이면 대학생들 교육비 부담은 줄어들겠죠
      온라인 수업을 하게 되면 학교 입장에선 강의실이 필요 없어지고 학생들은 교통비 주거부담이 줄어들겠죠
      자취를 하던 기숙사 생활을 하던 다 돈이 들어가는데 온라인 수업을 하면 집에서 수업을 들으니
      비용 절감 효과가 클듯
      그리고 1온라인 수업에 다수의 학생들이 수강을 하면 교수분들도 수업을 여러개 진행할 필요가 없으니 좀 더 자기 전공 분야
      연구에 더 집중할수도 있구요

    • @dr_1990
      @dr_1990 2 года назад +6

      @@Ulsanman3 평준화 시키려면 부실 대학들 싹 정리시키는것도 필요하다고 봄

    • @큐리오
      @큐리오 2 года назад +2

      @@Ulsanman3 이해가 안되는데 대학교 정원이 넘쳐나는 상황이라고요? 정원 부족해지는 상황 아닌가요? 점점 학생이 없어져서 대학 자체가 사라지고 있는게 현실인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그리고 온라인 수업 하면 교육의 질이 심각해집니다 2년 코로나 사태로 교육계가 난리났었는데...
      미래인재 육성.. 학생때 아무리 인재를 잘 육성해도 사회에서 대접을 안해줘서 인재들이 해외로 나가는게 대한민국 현실인데 인재양성을 위한 개선만이 중요할까 싶습니다.

    • @쭝우-v1u
      @쭝우-v1u 2 года назад +2

      @@Ulsanman3 이상한말하지마십쇼 ㅋㅋ 대학이라는건 그사람이 10-20대에 얼마나 노력해본 사람인지 보여주는건데 노력안한사람이랑 똑같은 취급받는것은 얼마나 억울한 처사입니까

    • @chew.chew._.
      @chew.chew._. 2 года назад +12

      국공립 교사들이 학생들 상위권 보내서 얻는 이득이 뭐가있다고... 그렇게 하는이유 9할이 학부모 때문임

  • @장주찬-f9l
    @장주찬-f9l 2 года назад +929

    집 잘살고 못살고애 따라
    공부 잘하고 못하고애 따라
    이미 미래를 결정해 주시는 선생님이 계셨고
    그게 학교라는 이름으로 당연시되는
    시절을 살아오다보니
    자기 하고자하는 미래를 위해 과감한 결정을 하는
    요즘 학생들이 정말 기특하고 멋지다.

    • @미숫가루찌개
      @미숫가루찌개 2 года назад +65

      그리고 실패하고
      부모탓. 나라탓. 선생탓.
      3가지만 안하면 완벽함.

    • @rinfa.
      @rinfa. 2 года назад +3

      @@미숫가루찌개 그런날이 오기는할까?

    • @미숫가루찌개
      @미숫가루찌개 2 года назад +27

      @@rinfa. 이미 자기탓이 아니라고 하는 순간. 성공못함. 주변에서 얼마나 말렸겠음

    • @광교남김삿갓
      @광교남김삿갓 2 года назад +9

      이게맞는거지 서울대 나와봐야 흙수저는답이없다

    • @GPTChat-m1m
      @GPTChat-m1m 2 года назад +3

      @@광교남김삿갓 ㄹㅇㅋㅋ

  • @재래식소금
    @재래식소금 2 года назад +309

    제발 좀 내신에만 집착하지말고 부동산 공부나 보험공부, 세금내는방법같은 꼭 필요한 실질적인 생활 기초 경제수업 있었으면 좋겠다...

    • @zcw1258
      @zcw1258 2 года назад +5

      그게 미적분이랑 수학1 원리 합계다
      사회탐구에 경제라는 과목도 있고
      앞서 말한 두 과목을 기반한 경제수학이란 과목도 있는데

    • @재래식소금
      @재래식소금 2 года назад +3

      학교는 아무래도 학생들의 필요로 수업이 결정되는게 아니라 수능대비를 위해 많은 아이들이 선택하는 과목 위주로 생윤이나 사문을 위주로 택해서 경제를 기본과목으로 듣는 학교가 대부분일거에요

    • @wow7578
      @wow7578 2 года назад

      @@Always_orange_cat 실생활에 필요하니까 기본 개념을 가르치는것 같아요. 수학, 경제수학에선 실생활에 활용할수 있게끔 '기본내용'을 가르치는건데 그걸 활용하는건 학생이 해야하는게 아닐까요?

    • @wow7578
      @wow7578 2 года назад

      그냥 김누리 교수님 말대로 수능폐지가 정답인듯

    • @cleanland4061
      @cleanland4061 2 года назад +4

      @@zcw1258 대학가야지 직장 얻는건 아닌데 대학가야지 좋은 직장 만나는건 맞제 아니면 편돌이나 상하차 더하겠음

  • @비만-m5j
    @비만-m5j 2 года назад +109

    학교는 변질된지 오래지.
    교사는 생계형이 되버렸고
    학생들은 학업을 가장한 스팩쌓기의 수단으로만 생각하고
    배움이란게 더 이상 의미 없는 곳이구나 보호받고 가르침 받는 곳이 아닌 학교 위상의 수단으로 이용당하고 차별과 무시 를 묵과는 기관이 되버린거지

  • @성이름-u2h3y
    @성이름-u2h3y 2 года назад +180

    부정적으로 안 봐서 다행이다
    몇년전까지만 해도 안 좋게 보고
    그래도 인문계 고등학교는 나와야지
    이러면서 진짜...
    인문계열 수업 왜 듣는지 딱히 모르겠음
    내가 하고 싶은 분야랑 연관이 있는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졸업하고 내가 실제로 쓰냐? 이것도 아니고
    좋은대학 가기 위해서다..라는게 아쉬움
    학교성적을 전부로 보던게

    • @정보안관-f5r
      @정보안관-f5r 2 года назад +5

      있는집 자식들 들러리 서라고요 짜증나게 교육세는 더럽게 많이도 걷어요 어딜가도 뭘해도 교육세 뜯기드만 그 돈으로 의사놈들 멀쩡한 아이 마루타 만들어 실습하고 없는살림 병원비로 거덜 나게 만들고 뭔 사회가 이따위로 돌아가는지 모르겠어요 억울해 디지것습니다

    • @user-uj6js1xu8o
      @user-uj6js1xu8o 2 года назад +10

      지금에와서야 공교육의 폐해가 드러났다고 생각해요.
      공부 열심히하고 대학 잘가면 성공한 인생을 보장 하는 것처럼 주입식교육을 해서 너도나도 달려서 왔더니 대기업이나 좋다는 자리는 부족하고 대다수가 투자한 노력에 비해 만족스럽 못한 결과에 회의감이 드는 거겠죠.
      진로희망도 남들이 다하니까. 이런식으로 가서 그런것도있고 이게 부단 개인만의 문제라기보단 사회 정서와 시스템이 오로직 대학에만 맞춰져서 간것이 아닌가 싶네요

    • @천도-g5i
      @천도-g5i 2 года назад +1

      문과인데 1년 대학 다니다 전문대 이공과로 바꾼 사람인데 여서 공부하는 것도 나쁘지 않는듯

    • @토트넘우승
      @토트넘우승 2 года назад +1

      특성화고 다니는데 여기도 배우는게 전기관련자격증 배우는게 끝이고 결국에 졸업생들보면 다 대학감ㅋㅋ

    • @Toii-h3c
      @Toii-h3c 2 года назад +1

      @@토트넘우승 특성화고는 자격증이라도 남지 일반고 다니는 애들은 남는게 없음 ㅋㅋ

  • @9dok_lover
    @9dok_lover 2 года назад +334

    수십년 지났지만.. 여전히 입시위주의 국영수가 중점이니 저런 다양한 가치관의 청소년들을 현재 학교가 수용할 수 가 없음. 정말 금수저 자녀들처럼 특화된 특목교가 아닌이상은 순응하며 현학교를 다니던가 아님 검정고시를 활용해서 자신만의 강점을 셀프로 함양할 수 밖에 없는 것임. 모두다 반세기 이상 지속된 입시경쟁의 그림자들임.

    • @jsnakkdndne
      @jsnakkdndne 2 года назад +1

      탐구도 ㅈㄴ 중요한데ㅋㅋㅋㅋ 국영수 중점은 무슨ㅋㅋ

    • @김家다시안
      @김家다시안 2 года назад +7

      @@jsnakkdndne 탐구 시수가 국영수에 비해 ㅈㄴ 작은데 뭔

    • @jsnakkdndne
      @jsnakkdndne 2 года назад

      @@김家다시안 국영수1 맞고 탐구 3-4 떠봐라ㅋㅋ 입시 ㅈ도 모르네 이거ㅋㅋ

    • @김家다시안
      @김家다시안 2 года назад

      @@jsnakkdndne 국어 5단위 영어 5단위 수학 5단위 탐구4과목 각각 2단위 기준이면 국영수1에 탐구 3.4가 국영수 3.4에 탐구 1보다 나음 외고같이 탐구나 선택과목도 단위수가 4단위 넘는 학교면 모를까 그리고 주요과목이 왜 중요한지 모르냐 같은 내신이어도 주요과목 더 잘 본 애랑 탐구과목 더 잘 본 애 있으면 전자 뽑는다 너야말로 이런 기본적인 것도 모르는 입시알못 아니냐

    • @jsnakkdndne
      @jsnakkdndne 2 года назад

      @@김家다시안 왜 기준을 외고 특목고로 잡지? 일반고도 같이 잡아야지ㅋㅋ 수시만 보냐? 정시도 보지ㅋㅋ 요즘 입시 트렌트 바뀌어서 그따구로 안 뽑음 국영수 낮아도 수시는 생기부 적힌거 본다ㅋ

  • @Horeman1999
    @Horeman1999 2 года назад +133

    학교가 좀 더 다양화를 통해 커리큘럼을 더 다양하게 해야함.. 시간낭비도 많고, 뚜렷한 목표의식이나 인생철학의 면에서 부족하다.

    • @googlezzangna
      @googlezzangna 2 года назад +1

      맞아요. 외국은 학교가 단순히 학습을 위한 곳이 아니라 친구들과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사회활동, 소통하는방법, 진로탐색을 하는 곳인데 우리나라 오로지 학습,공부 그것마저 사교육에 뺏기고 의미를 다 상실한 것 같아요

    • @이름-e8l6i
      @이름-e8l6i 2 года назад +1

      중학생인데 그래서 고등학교 특목고 준비중..

  • @도크너
    @도크너 2 года назад +45

    대학 나와도 스펙이 정말 특출나거나 특기가 없으면 크게 유의미하지 못한 상황이니. 대입위주 교육에 대한 인식이 점점 바뀌어 가는듯 하네요. 저 나이에 저런 생각과 결정을 하는 아이들이 있다니 너무 부럽고 대단합니다.

    • @아잉-y4q3v
      @아잉-y4q3v 2 года назад +3

      딱 제가 느끼고 갖고있는 생각을 정리해주셨네요

  • @crossbow273
    @crossbow273 2 года назад +100

    학교에 안다닌다해서 친구를 못사귀는게아닙니다
    오히려 왕따당하고
    서로 나쁜길에 빠지는 것
    보다 낫습니다.
    목표가 뚜렸하다면
    적극추천합니다.

    • @먹는건가
      @먹는건가 2 года назад +29

      @@여니-z2f 이건 또 무슨 헛소린지..?
      친구중에 자퇴한 얘 있는데 전혀 비행 청소년 아니고 난 오히려 지금 학교다니는 나보다 자기 꿈 찾아서 자퇴하시는 분들이 더 멋지다고 본다

    • @인섭김-g4n
      @인섭김-g4n 2 года назад

      자식이 없거나 자퇴를 둔 자식이 있는 부모가 아니면 그런 애기가 나올까 싶네.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라면 당신들이 이런 애기를 할까??

    • @crossbow273
      @crossbow273 2 года назад +2

      @@인섭김-g4n 자식이 있으니까 이런말 하는겁니다.

    • @태서-l6z
      @태서-l6z 2 года назад

      @최아린 근데 이제 서울대 내신보지 않음?

  • @user-rq6lq3it6t
    @user-rq6lq3it6t 2 года назад +253

    학교가 사회성과 인성의 교육기관임을 점점 포기하고, 취업 훈련소로 변화하길 선택했지만, 좋은 일자리를 보장해줄 수 없기 때문에 존재 가치가 없어지는 것. 고등학교 나와도 대학 휴학하고, 공무원 시험 준비하거나, 회사가 적성에 맞지 않으면, 빨리 전문성을 높이는 쪽으로 선택하는 것 같아요.

    • @susa1165
      @susa1165 2 года назад +16

      취업훈련소로써의 기능도 1도 하지못했음.
      그저 상위 0.1% 거르기 위한 체계일뿐임.
      사람들 모두가 하고싶은것을 할수 있다면 가령 누구나가 하기싫은 일들.
      저임금이면서 인식도 안좋은 그런 직업들을 할 사람들이 없으니 그걸 공부라는 언뜻보기엔 공평해 보이는 방식을 통해
      뽑는거죠.

    • @kor_cinnamon
      @kor_cinnamon 2 года назад

      이게 맞다 ㅋㅋㅋ

    • @우쿨렐레-z7w
      @우쿨렐레-z7w 2 года назад

      자기가 하고싶은 주체가 없음. 공부하기 싫으면 노동직, 공부 계속 하고 싶으면 전문직. 시원시원하게 가면 될 것을 그놈의 인식에, 직업의 귀천에 그딴 잣대로 나뉨.

    • @냐옹냐옹멍멍-m4z
      @냐옹냐옹멍멍-m4z 2 года назад +3

      개인적인 생각으로 안타깝지만 우리나라의 교육열이 염증은 많았지만 우리나라을 성장시킨 가장큰 원동력이 였다는건 사실이예요..

    • @Ragoon-p4x
      @Ragoon-p4x 2 года назад

      정확하다..

  • @oo-yv1lx
    @oo-yv1lx 2 года назад +310

    학교는 비효율적이고 의지가 있다면 떠나는 게 맞다 난 이걸 이미 알았지만 구시대적인 부모님과 의견차이로 그러지못했는데 요즘 세대는 학교에서 시간허비하지말고 자신의 뜻을 추구했으면 좋겠네요

    • @mimi-nt2vu
      @mimi-nt2vu 2 года назад +21

      학교가 비효율적인건 맞는데 떠나는건 별로인듯
      학교를 떠난다고 학생이 그 시간을 온전히 진로를 위해서 쓰는것도 아니고
      부모가 욕심만 줄인다면 학교가 끝난 후에도 충분히 시간은 많음
      물론 몇명은 학교 그만두고 크게 성공해서 후회 안할지는 몰라도
      대부분은 자신의 재능에 한계를 느끼고 못한 학교 생활을 후회함

    • @2w051
      @2w051 2 года назад +7

      @@언옹-j5z 그건 잘해봐야 중학교 때까지 인듯

    • @ju7126
      @ju7126 2 года назад +3

      ​@@언옹-j5z 쓸모없는 인격 ㄹㅇ
      학생때 모범생 , 성적 장학금 , 비록명문대는 아니지만
      선생님한테 좋은소리 듣고 자랐지만
      사회 나와보니 인간 쓰레기 눈에 많이보임
      꼭 본인한테 피해주는것만 아닌
      sns 뉴스 , 유튜브 , 사회경험에서 인격이 중요한가
      다시 본인한테 물을때가 많아여
      좋고 가난한 독립운동가 될건지
      남의 눈에는 쓰레기지만 주변 사람들을 챙기고
      돈 명예가지는 이완용 같은 사람 될건지
      고르자면 후자 택할듯여

    • @안녕-j3u3d
      @안녕-j3u3d 2 года назад +1

      ​@@ilililliliill 고3땐 보통 그러지 않나? 고3때 수업시간에 교과서 한번 펴본적 없음

    • @25th552
      @25th552 2 года назад +1

      @@안녕-j3u3d 어떤 고등학교가 사설 인강 교재, 주간지, n제, 실모를 갖고 수업해요 대부분 고등학교는 수특임 ㅋㅋ
      갓반고나 자사특목도 쌤 재량으로 실모 정도?
      뉴런,드릴로 수업하면 전국 1위 고등학교임 ㅋㅋ

  • @intp._.x
    @intp._.x 2 года назад +67

    작년부터, 내가 하던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많구나..
    내가 좋아하지도, 잘하지도 않는 과목을 몇년동안 점수를 위해 하다니
    여러 진로체험 많이 해주면 좋겠어요. 제발.
    학교 다니는 날 마다 시간을 밀도있게 쓰지 못하는 것 같아서, 지겹고 고통스러워요
    자기 일 아니라고, 돈 든다고, 천천히 해도 모르겠지
    이런생각 하지마세요
    자기가 원하는거 찾을 기회도 잘 안주면서.. 그럼 저희 아빠가 버는 돈으로 다른 체험 하라는건데?
    3자매가 좋아하는 일 찾으려고 얼마나 많은 돈을 써야할까요?
    진로체험을 사교육말고 공교육으로, 학교에서 중점적으로 하고
    자신이 원하는 일 찾으면 그때부터, 관련된 학교나 사교육하면 좋겠어요

    • @hohonanjosinhe
      @hohonanjosinhe 2 года назад +6

      진짜 요즘 전혀 관심없는 과목들 점수 따느랴 바빠서.... 정작 제꿈이 뭔지도 모르겠어요 너무 고민되고 갑갑해요 대체 꿈은 언제찾아야하나요..ㅠㅠ

    • @고권-f7m
      @고권-f7m 2 года назад +7

      부모님이랑 선생님은 항상 꿈이 뭐니라고 물어보면 꿀먹은 벙어리 되는 것도 솔직히 이젠 지겨움

    • @user-yy9du7xl8g
      @user-yy9du7xl8g 2 года назад

      @UCiwNyZPUHzOiMQSmLAgVKxg 유교국가는 이게 문제지 지금 학생들이 원하는 걸 나이 많은 사람 입맛대로 해석해서 이해하는 거 누가 자기 입맛대로만 배우고 일하고 싶다고 했냐고.. 조금 더 많은 커리큘럼에 교육을 배우고 틀에 박힌 교육을 배우는 것이 아닌 여러 분야를 같이 경험해보고 진로와 관련된 공부를 하고 싶다는 거지 내 진로와 상관 없는 거 공부하다 스트레스 받고 자해나 자살하는 것도 10대 자살률 OECD 국가 중 1위인 거 보면 이건 이제 사회적 문제 같은데 언제까지 8,90년대 생각 방식과 그때 살아오면서 요즘 빠르게 변한 현대사회를 이해하지 못 하는 사람들이 만드는 정책을 계속 맞다고 생각하면서 바뀔 생각은 안 하고 너네 생각이 틀렸어 하면서 쭉 이어나갈 생각인데 자살률만 봐도 일단 지금보단 상황이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은 안 하세요?

    • @user-wi6vkq21k9a
      @user-wi6vkq21k9a 2 года назад

      니 삶이 그렇게 불행한것 같니? ㅋㅋㅋㅋㅋㅋㅋㅋ 누가보면 소말리아 학생인줄 알겠노 ㅋㅋㅋ교육 강국 한국에서ㅋㅋㅋ

    • @페리-k3k
      @페리-k3k 2 года назад

      진짜..수능때문에관심없는과목이라도공부해야되니까 진짜재미없고 지루한데 미술입시하는게 공부보다훨재밌음..ㅠ

  • @dongdamYnP
    @dongdamYnP 2 года назад +231

    학교에서 학폭 당한 경험이 꼭 사회나가서 도움 되지는 않더라구요. 이상한 선생 만나서 고생하는 것도 도움 안됩니다! 오히려 자존감 브레이커였다고 할까요? 그래도 묵묵히 다녀서 졸업하고 대학도 나오고 사회생활하지만, 다시 돌아간다면 과감히 자퇴하겠어요. 학교에서 배운건.. 세상에 참 이상한 사람도 이상한 어른도 많다~ 였어요

    • @KDH-mv9ny
      @KDH-mv9ny 2 года назад +19

      공감합니다

    • @빚에서빛
      @빚에서빛 2 года назад +32

      폭력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지는 시스템

    • @frieden520
      @frieden520 2 года назад +21

      야생을 경험하고싶으면 학교로!

    • @brownrabbit99
      @brownrabbit99 2 года назад +29

      이렇게보면 그냥 그거같음
      학교생활 문제없이 잘 다녔고 좋은 추억만 있음 => 학교는 필요함
      학교에서 ㅈ같은 경험만 함 => 왜 필요함?

    • @empath9077
      @empath9077 2 года назад +13

      맞아요.. 저는 대안학교 가고 싶다고 뗴를 썼던 기억이 있네요.. 생기부에는 착하다, 밝다, 활발하다 이런 좋은 말들만 적혀있지만 제 마음은 항상 우울하고 암울했거든요.. 자살하려고도 했었구요. 나름 좋은 고등학교를 나왔는데 고등학교 생각하면 크게 떠오르는 건 없네요. 예체능 하는 친구들 협박한 선생님들? 돈 더 받으려고 8교시 시키던 선생님들? 정말 학생들을 위한 선생님들은 거의 없었던 것 같아요. 그나마 저는 고등학교 1학년 때 담임쌤이 좀 다른 선생님들이랑은 달랐어서 딱 그 분 한 분만 기억에 남고 27살인 지금까지도 감사한 마음이 크네요.

  • @xy253
    @xy253 2 года назад +698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인격을 만들고 사회에 나가는 것이 교육이라고 생각했는데 이제 변하기 시작하네요! 저런 선택하신 분들 존경합니다

    • @킥킥킥-l3j
      @킥킥킥-l3j 2 года назад +5

      내가 꼰대인가....? 100세시대에 초등학교 제외하면 고작 6년 다니는건데 이게 안맞다 난 이거하고싶은데 학교에서는 기회가 없다 의미가없다... 틀린말은 아닌데 자신이 하고싶은것만 하고 살아갈수있으면 문제없지만 사회에 나가면 막상 자신이 해왔던 정반대의 전공이나 다른일을 할수도있는데 그거 안맞다고 학교를포기...? 흠... 난학교가 단체생활를 배우는데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 하는데 선택은 본인이 하는거겠지만 글쎄...

    • @user-yj1bu3rc7n
      @user-yj1bu3rc7n 2 года назад +26

      @@킥킥킥-l3j 네 꼰대 맞습니다

    • @rs7performance
      @rs7performance 2 года назад +18

      @@킥킥킥-l3j 존중을못하면 꼰대맞죠

    • @붕어맨-y1h
      @붕어맨-y1h 2 года назад +11

      @@킥킥킥-l3j 16세쯤 되는 애들일텐데 대학포함 10년 다니는거면 체감 크죠. 고등학교 4년전에 다녔는데 대학 입시교육밖에 안하던데요? 솔직히 갈필요 없긴 한거 같아요 다만 저 학생분을 이끌어줄 사람이 필요하긴 할텐데...

    • @라인-u8q
      @라인-u8q 2 года назад +4

      @@킥킥킥-l3j 일단 중퇴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사회 기저에 깔려있긴 하지만, 10 ~ 20대가 사회 진출의 첫걸음이 되는 시기임을 고려해야함. 또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학교폭력이나 학업 스트레스 등을 고려하면 단체생활도 의미가 있나 싶음.

  • @장인성-l6b
    @장인성-l6b 2 года назад +738

    솔직히 이 변화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여기서 어른들이 편견, 선입견 없이 학생들이 자라나 사회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정민혁-d2x
      @정민혁-d2x 2 года назад +15

      @@harrybrown3433 ㅇㅈ 자퇴하면 기록도 남는데 취업시 백퍼 걸림돌임

    • @장인성-l6b
      @장인성-l6b 2 года назад

      @@8Dyssey 맞습니다ㅠㅠ

    • @user-tv7uk9ou1d
      @user-tv7uk9ou1d 2 года назад +9

      하.... 힘든거 참고 학교다닌애랑 다니기 싫다고 자퇴하는 애랑 어떻게 똑같은 취급을 받냐? 기회의평등?? 하... ㅋㅋㅋㅋ 웃기지 마세요 제발 니들이 이상하게 살아서 지금 이상한 인생을 사는거 입니다

    • @user-tv7uk9ou1d
      @user-tv7uk9ou1d 2 года назад

      @@harrybrown3433 예체능 포함임 아니 재능도 없는애들이 예체능 하겠다고 나대서 뭐 얼마나 많이 얼마나 대단히 성공함??

    • @조준호-h5j
      @조준호-h5j 2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 그래서 설대 입학생중 자퇴생이 몇퍼더라ㅋㅋㅋㅋ 행복회로 작살나노
      차라리 자퇴하고 서울대간 사람이랑 고등학교 졸업하고 서울대간 사람을 비교하던가 ㅋㅋ

  • @Pathfinder_gd203
    @Pathfinder_gd203 2 года назад +179

    학교에서의 공부 목적을 찾을 수없는 시스템붕괴, 제대로된 시스템과 프로그램이 현실성 있게 보완 되면 좋겠네요. 왜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목적도 없이 꿈을 물어보는 학교 시스템은 세월이 지나도 크게 변하지 않는걸 보니 어른으로써 부끄럽습니다.

    • @haveaniceday5448
      @haveaniceday5448 2 года назад

      으로서

    • @박광호-i6n
      @박광호-i6n 2 года назад

      간단한 맞춤법도 틀리는걸 보니 확실히 의미없긴 하나보네요.

    • @bingchilinggaming3604
      @bingchilinggaming3604 2 года назад +5

      @@박광호-i6n 이게 맞고 틀리고 할 처지인가 ㅋ 저정도면 그냥 감안 하는거지, 그리고 주제에 안맞게 왤케 딴지 걸음

    • @쿠키가좋은쿠키런
      @쿠키가좋은쿠키런 2 года назад

      @@bingchilinggaming3604 저녀석은 사회부적응자 아니면 잼민이라 실수도 용납못하는거지 ㅋㅋㅋ 자기는 실수도안하는 신이거나 ㅋㅋㅋㅋㅋㅋㅋ

    • @화니야
      @화니야 2 года назад +1

      공부를 못하면 사회에서 살아남기 힘들기에 맹목적으로 공부를 시키고 돈있는집 부모 재벌부모 돈펑펑쓰며 학원 유학 보네는겁니다.
      더 정확한 목적은 니가 커서 공부만 잘하면 뭘해도 먹고 사니까 아닥하고 공부나해라고 시키는 겁니다. 나이들어 머리크면 자기 하고싶은거 다 찾아서 합니다.
      하고싶은것을 하기위한 바탕이 되어있지 않다면 뭘해도 힘든법이니... 재벌2세가 아닌이상 공부가 답이지요...

  • @hypeboy0713
    @hypeboy0713 2 года назад +136

    그래 중학교 까지만 다니면 돼 사회성 익히는데는 중학교까지면 충분하다. 본인의 적성을 찾았다면 남들보다 먼저 그 길로 가는게 현명하지

    • @crazy_dog030
      @crazy_dog030 2 года назад +1

      그래서 본인자식도 중졸시키고 적성찾아 떠나겠다하면 허락하기 쉽냐는거지

    • @공-y8h
      @공-y8h 2 года назад +2

      @@crazy_dog030 어 난 허락할건데? 내가 한국학교 나온 결과 마치 군대처럼 안갈수있으면 안가는게 최선이다라는 결론이 나왔다 ㅋ

    • @crazy_dog030
      @crazy_dog030 2 года назад

      @@공-y8h 멋지네요..하지도않는 공부 붙잡고 일반계 다니느니 자퇴하는게 낫겠죠

    • @공-y8h
      @공-y8h 2 года назад

      @@crazy_dog030 그럼요 공부 안하는 애들 억지로 붙잡고있는건 종이 낭비이며 부모,선생,학생 본인까지 다 힘들게 합니다

    • @user-zz3kj7dw7c
      @user-zz3kj7dw7c 2 года назад

      @@crazy_dog030 주변 학생들까지도 힘들게 하죠 공부 안하는 애랑
      공부주제로 조별과제 해보셨나요?ㅋㅋㅋ끔찍해요

  • @kjh6469
    @kjh6469 2 года назад +890

    애들은 죄가 없어요. 이런 현실까지 온 게 애들이 흔히 말하는 어른들, 학교, 사회 탓이죠. 그래도 공교육이 앞으로도 존재하길 바라는 사람으로서 저런 학생들까지 감싸안는 학교로 달라지길 기원합니다.

    • @Sanaki_03
      @Sanaki_03 2 года назад +19

      독일 교육제도가 시급하다ㄹㅇ

    • @라이엇-g9m
      @라이엇-g9m 2 года назад +7

      @@Sanaki_03 ㄹㅇ이다 이말

    • @jasonjung6017
      @jasonjung6017 2 года назад +6

      죄 자체가 아닌데 어른도 사회도 죄를 저지르지않고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 @spdhs0405
      @spdhs0405 2 года назад +1

      돈같은걸로 사교육 심하게하는거(아예 막진말고) 어느정도만 막았으면..

    • @그말이맞다
      @그말이맞다 2 года назад +1

      어째서 김제동이 하는 말이 떠오르지 ㅋㅋ

  • @user-hn9jc7ec6y
    @user-hn9jc7ec6y 2 года назад +560

    특성화고나 직업고등학교, 예고 체고 자사고 등등 인식도 개선되고 다양한 학교가 있긴 하지만 아직도 많이 부족하고 그 학교들마저도 큰 한계가 있어 학생들이 할 수 있는 활동에 큰 방해물이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의 길을 찾는 학생들이 멋집니다. 파이팅!

    • @time979
      @time979 2 года назад +22

      근데 중요한건 자신의 길을 찾겠다고 나간애들이 집 가출하고 맨날 술마시고 주변에서 깽판치고 다니는게 문제지. 저렇게 학교 나가는 애들 중에 얼마나 성공하고 국가에 도움이 되겠냐....
      재네들이 뼈빠지게 일해야지 학교 다닐 때가 좋을 때라는걸 알지

    • @user-hn9jc7ec6y
      @user-hn9jc7ec6y 2 года назад +38

      @@time979 모두가 그렇지는 않습니다. 제 주변만 봐도 학교는 안 갔지만 열심히 일하고 따로 공부해서 잘 사는 친구가 수두룩합니다. 마찬가지로 학교 잘 다녔다고해서 다들 만족하고 잘 살지도 않고요. 일부 비행 청소년들이 학교를 무단으로 가지 않거나 학교 밖에서 피해를 주는 등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기도하지만 오히려 그것 때문에 더 열심히, 힘들게 사는 친구들이 많다는 걸 아셨으면 좋겠습니다.

    • @user-hn9jc7ec6y
      @user-hn9jc7ec6y 2 года назад +5

      @어림없지 저 또한 일부 비행 청소년들의 태도를 인정하고 있습니다. 뉴스에도 나올 뿐 아니라 사소하게는 윗 댓글과 같이 남의 동네, 남의 소유지에서 피해를 주거나 범죄를 일으키기도 하죠. 그러나 제가 말씀드리고자 한 바는 모두가 비행 청소년의 길로 빠지는 것은 아니니 굳이 바른 길을 걷고 있는 이들을 칭찬하는 댓글에 그들을 일반화시켜서 욕하는 말을 하지 않아주시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한 것이었습니다. 또한 뉴스에는 심각한 범죄나 큰 일을 주로 올리지만, 주변을 보았을 때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는 걸 말씀드리고자 했습니다. 물론 어림없지님의 말씀도 맞는 말이지만요.

    • @user-hn9jc7ec6y
      @user-hn9jc7ec6y 2 года назад +3

      @어림없지 이해했습니다! 그 또한 동의하고요. 그러나 혹시 열심히 사는 사람들을 칭찬하려는 댓글에 부정적인 의도로 답글을 다신 것일까 하는 생각에 저도 긴 댓글을 달아보았네요. 아무쪼록 좋은 저녁 보내시길 바랍니다>

    • @user-tv7uk9ou1d
      @user-tv7uk9ou1d 2 года назад +1

      @@user-hn9jc7ec6y 모두가 그런거는 아니다충 나왔네 일반화 해서 보면 저말이 맞아요

  • @아티스타-q4q
    @아티스타-q4q 2 года назад +5

    확실히 의미가 없긴하더라.. 자기가 원하는게 있다면 자율적으로 공부해서 공부한 이력이랑 증명만 되면..

  • @seoha88
    @seoha88 2 года назад +377

    학교에서 뭘배운다기보다 거쳐가는인생에서 사회성등을 배우는건데 요즘은 선생님들도 예전처럼 인성을가르치기보단 기계마냥 먹고살기위해 임하는게 대부분이라
    현명한선택인듯

    • @ju7126
      @ju7126 2 года назад +8

      사회성은 실력으로 모든게 해결됨
      결국 맞는 사람들끼리 대화하고 그 분야에서 더발전하는거라
      솔직히 친구사귀려고 학교가는건 아니잖음
      인간성은 실력다음 2번째 남아돌때 투자하는거

    • @user-bj9vr1jo2p
      @user-bj9vr1jo2p 2 года назад +27

      @@ju7126 너 친구없지

    • @부동시병역비리돼지새
      @부동시병역비리돼지새 2 года назад +6

      @@ju7126 초중고 시절 친구들과 시간이 얼마나 귀하고 아름다운데, 물론 케바케지만 ㅋㅋㅋ

    • @포도알-i7n
      @포도알-i7n 2 года назад +16

      @@ju7126 학교라는건 사회생활의 작은 축소판임 학교를 무조건 공부만하러 가는게 아니라 거기서 만나는 다양한 친구들을 만나 대인관계를 쌓거나 서로 배울점을 찾는거라 생각함 실력이 좋고 공부 잘하는거랑 사회성은 별개다

    • @skgsdl167
      @skgsdl167 2 года назад +8

      학교 학폭만 기억에 남음

  • @KaInt02
    @KaInt02 2 года назад +59

    부럽다.. 이미 졸업했지만 학교다닐때도 지금도 학교 왜다녀야하는지 자퇴하면 루저취급하는게 이해가안갔다 저렇게 어린나이에부터 자신이 결정하고 미래를 그리는분들 부럽고 응원합니다

    • @블리신-o7g
      @블리신-o7g 2 года назад

      난 학창시절이 제일 그리운데 ㅋㅋ미개하네

    • @oo_223.39
      @oo_223.39 2 года назад

      @@블리신-o7g 딱봐도 학창시절에 ㅈ1ㄴ놀다가 성인되서 야가다하는게 보이노ㅋㅋㅋㅋ

  • @도꾸-c4c
    @도꾸-c4c 2 года назад +200

    나 교생할때 담임은 질문을 해도 모르고 귀찮아한다고 나한테 물어보던 반장학생이 있었는데
    물론 모든 교사들이 다 그렇진 않겠지만 현교사들 노력 많이 해야합니다
    학생들이 더 똑똑합니다

    • @원더우먼-f6w
      @원더우먼-f6w 2 года назад +4

      진짜 옳으신 말씀이세요

    • @godib4840
      @godib4840 2 года назад +2

      정확하게 학생이 문제를 더 잘 푸는거라고 해야할듯. 물론 그 동안 해본 경력이 깊으신 분 선생님들이 있지만 선생이라는 자체가 푸는게 아니고 가르치는 목적이니까 심화 문제 못 푸는 경우가 많이 보임

    • @Blackswan-u2c
      @Blackswan-u2c 2 года назад

      @@godib4840 정작 문제 푸는걸 가르쳐야 하는게 현 세탠데 그걸 교사들이 못따라가는거임. 바꿔말하면, 걍 못가르친다는거 ㅇㅇ

  • @MrMichaelKwon
    @MrMichaelKwo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의무교육 없어져야한다. 선택할 수 있게 해야.

  • @무반동-u3m
    @무반동-u3m 2 года назад +39

    솔직히 학교가 가르치는건 개뿔도없음.... 올바른 인성을 가르쳐주는것도 아니고 대학가는 방법만 가르쳐주니...

    • @책임증명
      @책임증명 2 года назад +10

      대학가는 거라도 제대로 알려주면 다행이라고 생각드네요 ㅋㅋㅋ

    • @이민규-j6f
      @이민규-j6f 2 года назад +2

      대학가서 취업하면 노예 됩니다. ㅎㅎ
      전 30대지만 취업 안하고 인생살기가 목표입니다 정말 즐겁습니다.

    • @와개리
      @와개리 2 года назад +1

      그냥 망한 인생을 합리화하고 있는것 같습니다만

    • @이민규-j6f
      @이민규-j6f 2 года назад

      @@와개리 그러기엔 직장인 보다 돈을 더 잘버네요 힘내세요 배당만해도 한달에 88만원 정도 나오고요

  • @박지수-s9b
    @박지수-s9b 2 года назад +140

    진짜 자신에게 필요한, 자신이 원하는 공부를 위해 떠나는 학생들이 참 멋있어보인다

    • @슈뢰딩거떼껄룩
      @슈뢰딩거떼껄룩 2 года назад

      저것도 돈이 있어야하지 돈없는 사람들이 하는게 공부다. 예체능쪽 봐라 돈없으면 못한다

    • @햌무
      @햌무 2 года назад +1

      정말 자신을 위해서라면 상관없는데 공부가 힘든 마음을 자신이 다른것을 원한다며 포장하여 그만두는 학생들은 안타깝죠...

    • @이름-e8l6i
      @이름-e8l6i 2 года назад

      @@슈뢰딩거떼껄룩 말투 늙었내

    • @참치마요-t9l
      @참치마요-t9l 2 года назад

      자신의 꿈을위해서 학교다니는 학생들은 더 멋집니다

    • @참치마요-t9l
      @참치마요-t9l 2 года назад +2

      @ENTP 싱어송라이터 에녹ENOCH 공부를 해놓으면 꿈이 생겼을때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 @나무늘보-w5w
    @나무늘보-w5w 2 года назад +183

    완전 공감합니다!!!!
    자퇴한다는 이야기를 주변 지인들에게서 종종 듣습니다. 잘된것 같아요! 교육개혁해야지요 !
    80년이 지나도 바뀌지 않은게 교육 아닐까 합니다.

    • @옥-z6i
      @옥-z6i 2 года назад +6

      사실 어떻게 건드려야 할지도 막막하지

    • @KIM_Sung_Yeon
      @KIM_Sung_Yeon 2 года назад

      교육은 늘 바뀌어 왔음
      내용은 비슷비슷할지라도 그 교수 방법은 항상 달라져 있었음

    • @user-zz3kj7dw7c
      @user-zz3kj7dw7c 2 года назад +2

      @@옥-z6i일단 영어 독해말고 회화로라도 바꿔라 그 소리 계속 나오는데 안하는거지

    • @일루바타르-e5d
      @일루바타르-e5d 2 года назад +1

      철밥통이 괜히 철밥통인가 바꾸자고 하는 놈만 괴짜지

  • @정윤호-m8e
    @정윤호-m8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누구도 나의인생을 책임져주질 않는다 본인들이 현명한 판단 하시기실 바랍니다

  • @ieelek
    @ieelek 2 года назад +102

    자신의 미래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그만두는게 맞지. 학생들의 결정을 지지해주시는 부모님들도 멋있으시네..

  • @월주-j7c
    @월주-j7c 2 года назад +300

    나도 고3인데 학교 교육에 회의감을 느끼다가 우연히 기회가 되어서 한달동안 스페인 산티아고로 홀로 여행을 하게되었는데, 여기서 한달동안 보고느끼고 배운게 너무 커서 내가 얼마나 작은 세상에 갖혀있었는지 깨닫는중임. 나도 이 결정이 옳은지 확신은 안서지만, 학교안에서 공부만하는 삶이 옳은지도 잘 모르겠음.

    • @corea.
      @corea. 2 года назад +12

      수능만 잘 본다면 학교 안 가도 되겠죠 요즘 한국 집값이 너무 비싸서 너무 힘듬 취업 결혼 출산 포기하게 만들죠... 군대 공장 알바 등 빨리 해보는 게 인생에 도움 됨

    • @하고싶다3대600
      @하고싶다3대600 2 года назад +15

      무엇을 선택하든지 옳다고 봅니다. 넓고 좁고, 올고 그르고는 내가 속한 어떤 곳이 아니라 내 마음이 결정하는 것이더라구요. 아직 어린 학생인데도 자신에 대해 여러 고민을 하시는 분이신 것 같네요. 뭘 원하는지 아직 확실히 모르실 수도 있지만 님이 원하시는 목적지에 꼭 도착하실겁니다.
      다만 제가 조금 늙은 사람으로서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원하는 그곳에 이르는 길이 직선이 아니라 지그재그라는 것, 뒤돌아보니 지그재그였던 그 길이 오히려 더 좋았다는 것이에요.
      님은 분명히 고민과 갈등 중에서도 만족을 얻은실겁니다^^
      화이팅하세요! 사랑스럽네요.

    • @goliath5388
      @goliath5388 2 года назад +8

      고3인데 슾페인 홀로? 와웅

    • @부엉이바위-b2d
      @부엉이바위-b2d 2 года назад +13

      돈좀 있었나부네

    • @경기도민2
      @경기도민2 2 года назад +25

      갖혀있었는지는 도대체 어느 나라말이죠? 스페인어인가
      띄어쓰기도 그렇고 학교 교육에 회의감을 느낄만한 문장력이시긴 하네요

  • @장문벌레
    @장문벌레 2 года назад +254

    왜 필요한 지는 안 알려주고 일단 필요하다며 가르치는 학교와 선생들. 당연히 그 과목에 선출되려면 과목을 중요시여기는 자세가 필요시되니까 선생은 과목이 학생 전체에게 필요하다는 고정관념이 생기게 됨

    • @똥똥잉
      @똥똥잉 2 года назад +4

      ㅇㄱㄹㅇ

    • @박설화-u3u
      @박설화-u3u 2 года назад +4

      대체 어떤 교사한테 배웠길래 그렇게 일반화하노

    • @장문벌레
      @장문벌레 2 года назад

      @@박설화-u3u 참된 선생들은 대부분 왜 배우는지 장도는 알려주지. 대학말고도

    • @---hi7eq
      @---hi7eq 2 года назад +4

      @@장문벌레 왜배우는지는 뻔한거아님? 그냥 대학가려고 하는거지 다른이유가 뭐있냐 적어도 대한민국에서는 다른이유는 없음

    • @roff0808
      @roff0808 2 года назад +4

      @@---hi7eq 인생 목표가 대학 진학임?
      대학만 간다고 다 끝남?
      겨우 어디 진학, 어디 취업 이런 같잖은 이유가 공부를 해야하는 제대로 된 이유로 보기 힘드니까 이러는거지

  • @4thdimension87
    @4thdimension87 2 года назад +13

    솔직히 돌아보면 지금까지 제일 아까웠던 시간이 초중고등학교 다녔던 시간임. 차라리 대학교나 전문학교에서 공부나 기술을 배우는 게 훨씬 효율적임. 쓸데없는 과목들 배우고, 시간 낭비했던 시절이 후회된다...

    • @새롭게-b3y
      @새롭게-b3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학교 까지는 의미 있지 않았나? 특히 산수, 맞춤법 어휘는 중학교때 배우는데

  • @Bowlingtoday
    @Bowlingtoday 2 года назад +313

    개개인이 다 기질이다르고 잘하는것도 다른데 틀에박힌 똑같은 교육을 하니 이런일이 벌어지지 학교는 학생에 진로선택과 자립을 도와주는 쪽으로 교육시스템을 바꿔야한다

    • @범지-x9z
      @범지-x9z 2 года назад

      맞죠..이렇게 바뀌어야죠..시대에 맞게...그런데 전교조 이 새끼들은 지들 기득권을 위햐 아마 대보부터 할겁니다. 지들이 진짜 학생을들 위해 햐줄개 뭔지 찾기전에..우산 이 세력을 없애야 발전합니다.

    • @비긴이계인-e4x
      @비긴이계인-e4x 2 года назад +1

      크 딱 맞는말

    • @PETBOY
      @PETBOY 2 года назад +1

      부모 때문에 이모양 이꼴인건데 교육부 탓하지마라

    • @gzonegame
      @gzonegame 2 года назад +2

      @@PETBOY 그 부모의 사고방식을 만든게 어디라고 생각하냐 ㅋㅋㅋㅋ

    • @PETBOY
      @PETBOY 2 года назад +1

      @@gzonegame 말이되는 소리를 교육부는 부모들 따라갈뿐임. 원래 수능도 단순 테스트였는데 부모들이 줄세우기 안된다며 지금처럼된거 당시 뉴스 영상도 있어 ㅋㅋ

  • @michaelkim6493
    @michaelkim6493 2 года назад +482

    옛날엔 저런 애들이 튀고 별로라고 생각했는데, 자기가 하고싶은 공부를 하면서 사는게 얼마나 값지고 소중한건지 정말 대견함

    • @mangosmooddi_03
      @mangosmooddi_03 2 года назад +6

      공부 하기 싫어서 책임 회피 하는 아이들이 뭐가 대견함 그저 현실도피로 밖에 안보임
      그거하나 못견디는데 축소판 사회라고 불리는 학교에서 까지 나가면서 뭘하겠다는건지 모르겠다 나는

    • @granpadrink
      @granpadrink 2 года назад +32

      @@mangosmooddi_03 니가 챙겨주실 것도 아니잖아요.

    • @plsstop
      @plsstop 2 года назад +13

      @@mangosmooddi_03 현실 도피를 위해 자퇴를 선택하는 아이들도 많겠지만 , 자기 자신이 추구하는 성공을 위해 학교라는 축소판 사회흘 내려놓고 다른 방식이나 다른 길을 선택하여 성공하는 학생들도 분명 있을 것을 잊지마세요.
      사회성이 일부 결여되어도 성공한 사람은 의외로 많습니다.

    • @uulyyy
      @uulyyy 2 года назад +10

      @@mangosmooddi_03 공부 하기 싫어서 책임 회피로 학교를 그만두었다는 건 반대로 얘기하면 학교를 다니는 건 공부하기 좋아한다는 말인건데 정말로 학교를 다니는 대다수의 학생은 공부하길 좋아할까요? 그리고 학교를 다니는 게 무슨 책임인걸까요? 책임이 있다면 권리가 있는건데 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에게는 그러면 어떤 권리가 주어지나요? 결국 사회는 젊은 사람을 필요로 하고 젊은 사람은 교육의 기회가 필요하기 때문에 서로가 윈윈하는 상황으로 공교육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한국의 공교육은 솔직히 이제는 왜 존재하는지 모를 정도로 너무 입시교육 위주로 꽉 막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그 오랜 공교육기간을 감내하라고만 하는건 기성세대의 고집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양성에 대한 고민을 공교육에서도 적극적으로 해야한다고 봅니다. 더이상 천편일률적인 교육으로는 어렵다고 봅니다.

    • @조준호-h5j
      @조준호-h5j 2 года назад

      윗댓 님 첫줄부터 틀리셨네요 흑백논리의 오류를 범한것 같네요.
      누가보면 학교가 공장인줄 알겠네요 학교다니는게 책임? 혜택인줄도 모르고...

  • @Hazel-ur2zn
    @Hazel-ur2zn 2 года назад +216

    국가시스템에 순응하고 유지하는 인간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고 개인의 자아실현따위는 관심없으니까 이렇게 되는 것이죠. 성적에 맞춰서 아무 학과나 붙는 대로 가고, 사회에 나가면 내가 이거 할려고 그렇게 공부했나 하면서 그냥 살다가, 나이가 들어서야 자아를 발견해서 정말 하고싶은 게 뭔지 찾아서 따로 배우는 듯.

    • @dhapj910
      @dhapj910 2 года назад +17

      원래 일정 수준의 동일한 시민을 만드는게 공교육의 시작이었죠- 지금은 인터넷이나 다른 교육기관이 많아서 공교육의 위기가 맞는것 같습니다, 다만 공교육이 줄 수 있는 보편적 인식, 예비 사회성이란 부분의 결핍은 나중에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 @임인규-l3x
      @임인규-l3x 2 года назад +1

      ​@@dhapj910 왤케 말 잘하시나요. 멋지당

    • @KIM_Sung_Yeon
      @KIM_Sung_Yeon 2 года назад

      국가 시스템에 순응하고 유지하는 인간을 만드는 것에 불만이라면
      테러리스트를 만드는 것에는 찬성하는건가?
      국가에 순응과 유지는 사회의 유지와도 관련이 깊음
      자아실현이라는 명목으로 무정부를 만들고 싶은거임? 아니면 새로운 국가를 위해 대한민국을 전복시키겠다는 의미임?

    • @Hazel-ur2zn
      @Hazel-ur2zn 2 года назад +11

      @@KIM_Sung_Yeon 자아실현이 왜 무정부와 연결되는것인지는 모르겠네요 ㅎㅎ 그렇지만 자아실현에 관심을 기울이는것이 조금이라도 좋은 사회로 가는 데에 보탬이 되지 않을까요?

    • @6256D-l5r
      @6256D-l5r 2 года назад

      @@dhapj910 대학때 도서관에서 사범대생으로 보이는 두명이 나누던 이야기가 어렴풋이 기억납니다. 바로 이 내용이었어요.

  • @628yt3
    @628yt3 2 года назад +78

    똑똑한 애들이지. 굉장히 현명한거다. 학교를 강제해선 안된다.

    • @628yt3
      @628yt3 2 года назад +13

      @@erwqsdasq768 말끼를 못알이듣는건지...지생각하고싶은대로 생각하는건지 참...

    • @리모리-h4l
      @리모리-h4l 2 года назад +1

      그래서 검정고시 있잖슴

    • @noname-ou3fj
      @noname-ou3fj 2 года назад +4

      @@erwqsdasq768 왜 혼자 딴말중이세요ㅋㅋㅋ

    • @wooiljeong4319
      @wooiljeong4319 2 года назад +2

      일단 학교가 꼭 공부만 배우러 가는 것도 아니고 학업 할 거 다 하면서 개인적인 성취를 다 해내는 학생들도 없는 게 아닐 텐데.... 뭐 공교육이 문제란 건 인정하지만 공교육이 구리다고 해서 공교육을 피하는 게 과연 현명한지는 두고 봐야겠네요

    • @kws5079
      @kws5079 2 года назад +2

      @@erwqsdasq768 신기한분이네 ㅋㅋ

  • @gjlms8443
    @gjlms8443 2 года назад +302

    근데 아직 우리나라 교육 제도가 많이 획일화 되어 있는 건 사실임. 이젠 좀 많이 바껴야 하는데.. 입시 위주의 숨 막히는 교육. 아이들이 떠날 수 밖에 없다.
    제발 이젠 좀 바뀌었으면...

    • @김재현-m7r7u
      @김재현-m7r7u 2 года назад +7

      그럼 입시위함이지 뭘 위해공부함?그래서 지들꿈찿아서 개인공부하겠다고 학교나가면 학교나간다고 또 지랄 어쩌란거 ㅋㅋ솔직히 요리사가 꿈인데 미적분 할필요는 없자너

    • @yourname862
      @yourname862 2 года назад

      @@김재현-m7r7u 입시할 야들만 해야지 획일화돼서 입시경쟁에 던져놓으니 문제죠 이미 재수학원엔 현역버금가게 바글바글한데 수시로는 도태되면 다시 살아날수 없는 구조에, 서울 편중화에, 문제가 참 많아서 말할기도 힘드네요

    • @공부해-k8w
      @공부해-k8w 2 года назад +5

      ​@@김재현-m7r7u 실질적인걸 해야지

    • @오펜하이머-n3n
      @오펜하이머-n3n 2 года назад

      @@김재현-m7r7u 요리사가 꿈이면 특성화 학교를
      가야지 ㅋㅋ 그리고 일반적인 학교에서는 사회인으로서 가져야 할 기본적인 소양을 가르치고 진로를 정할때 기초가 될 수 있는 과목들을 가르치는건데 그럴거면 공교육 자체를 없애 버려야지 ㅋㅋ 글 읽고, 내 이름 석 자 쓸 줄 알고 기본 사칙연산만 할 줄 알면 사는데 전혀 지장 없는데 뭐하러 세금 아깝게 교육에 투자해

    • @meermeerkat
      @meermeerkat 2 года назад

      @@김재현-m7r7u 뭐 아는게 없으니까 이런말을 하는거지.... 요리 제대로 공부하려면 화학이 필수다

  • @wkdgytjr88
    @wkdgytjr88 2 года назад +132

    자기가 하고싶은걸 배워야할 시기에 구세대가 짜놓은 스케쥴에 시간을 낭비하는게 맞는걸까. 자기의 미래를 위한 선택이라면 언제든 응원합니다

    • @긍정파워-r7d
      @긍정파워-r7d 2 года назад

      올바른말임

    • @Lschsh
      @Lschsh 2 года назад

      마즘 공부하고 직업 얻어봤자 돈도 별로 못벌어서 공부안한 애들이랑 똑같아짐

  • @kgpgo7489
    @kgpgo7489 2 года назад +105

    대한민국 교육은 아직도 후진적이다. 개혁의 대상중 하나가 교육계이기도 하니까,
    이런 학생들이 이만큼이나 된다는것이 놀랍지도 않다

    • @나현서-t7y
      @나현서-t7y 2 года назад +1

      요즈음 젊은이들은 왜이렇게 반사회적인 생각을 하는지.. 어휴 학생때는 힘들게 공부하는게 제일 좋은것도 모르고 편법쓰려하네 ㅉ

  • @EagleGhostBear
    @EagleGhostBear 2 года назад +35

    크고 나서야 느끼는건데 고등학생까지 배운 살면서 필요없다고 생각한 것들이 커서 상식이 되더라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쉬운 영단어, 사자성어, 과학적 사실, 역사, 지리, 세계사 물론 살아가는데 꼭 필요하다고는 할수 없지만 커서 보니깐 그게 다 본인의 지식 수준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함 상대방과 대화하면서 상식이라고 생각할 정도의 쉬운내용,단어도 못알아먹는 상황이 반복되면 주변사람들도 비슷한 수준의 사람들만 남게되더라 근데 이건 어른이 된후에는 손쓸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 학창시설부터 여러가지를 배워야한다고 생각함

    • @비오-t7q
      @비오-t7q 2 года назад +5

      저도 똑같이 느끼는 부분임

  • @guruging
    @guruging 2 года назад +160

    난 고등학생때 자퇴하면 인생망하는줄 알았지.. 학교가는게 지옥같아도 눈물을 삼키면서 다녔는데 진짜 너무 후회됌 .. 부럽다 진짜로

    • @온순한호순이
      @온순한호순이 2 года назад +12

      저도 그러생각 했었어요.
      학교에서 가르치는거 하고 마니 동떨어지는것같아요.
      우리 친구들중 에 공부도잘 하고 집도 괜찮은 애가 대학 은 서울대 나와서 시골 농협 비로과 에서 근 무 하며 보험 판 매 하네요.
      어떤 또한 애는 공주 사대 들어가서 교사
      한 다더니 깡시골에서
      부모님하는 주유소
      일 하고 있습니다.
      이런걸 보면 잘 난채 하더니 대학은 다 졸업장 자랑 하는것 밖에 않되는구나.
      먹 구 사는데는 꼭 의무적으로 대학 공부 해야 하는건가? 개인 적인 생각이 들었 습니다.

    • @Ares4885
      @Ares4885 2 года назад +1

      이거 인정 입니다

    • @jspark978
      @jspark978 2 года назад +1

      @@온순한호순이 띄어쓰기랑 맞춤법 정도는 할 줄 알아야 같은 말을 해도 더 설득력이 생기죠

    • @youngandwildandfree5573
      @youngandwildandfree5573 2 года назад +6

      @@온순한호순이 그런 케이스 제외한 나머지는 성공했을 가능성이 높겠죠 꿈이 확고하면 몰라도 그렇지 않다면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공부입니다. 자신이 올라보지 못한 길을 확정 짓지 마세요 물론 생각은 개인의 자유이지만 우물안의 개구리라는 생각이 드는 댓글이네요. 야망과 열정이 없다면 그냥 님처럼 살면 되는것이고 일반인들과 다른 야망을 가진 사람들이 좋은 대학 가서 잘 먹고 잘 삽니다 보통은. 그리고 자녀에게 좋은 환경을 마련해줄 수 있는 발판이자 가난하다면 가난의 되물림을 막을 수 있는 길이고요.

    • @오현승-o8h
      @오현승-o8h 2 года назад

      저 고등학교 2학년 담임이 고등학교 검정고시 이후에 교대 진학 21살에 해병대 입대 24에 정식 교사임명 최연소 선생님이라고

  • @좋은습관만들기
    @좋은습관만들기 2 года назад +148

    안가는 친구들은 진짜 똑똑하다..나도 진짜 학교 다니면서 배우는게 없다 생각이 들었는데

    • @MrJohyunHo
      @MrJohyunHo 2 года назад

      @@tv-vm4hn 이제 거기서 부터 ! 어떻게 살아갈 건지를 고민해야함.

  • @초코빼빼로
    @초코빼빼로 2 года назад +144

    그렇지 학교가 왜 존재하는지 모르겠다.
    맨날 입시경쟁 부추기고 학교폭력 발생하고 자살 부추기는 곳인데
    교육개편 싹 해야된다.
    적어도 사람이 죽지는 않게 해야지

    • @llkang54
      @llkang54 2 года назад +1

      어느 학교를 다녔길래... 학생이면 당연히 공부하는건 의무교육 공짜교육받는건데

    • @AC-tj6mq
      @AC-tj6mq 2 года назад +12

      @@llkang54 학교는 사회성 기르기 위해 가는 거지 그것 외에는 의미 없는 시간임. 공교육 해봐야 문제 풀라고 하는 시간 반 수업 가르치는 시간 반 이따구임. 차라리 인강 끊는 게 낫다

    • @VisforV
      @VisforV 2 года назад +8

      @@llkang54 그놈의 공짜교육 질이 너무 떨어져서 시간낭비처럼 느껴지니까 그렇지

    • @VisforV
      @VisforV 2 года назад +4

      @@llkang54 물론 잘 가르쳐주는 학교선생님도 있지만 요즘 사교육이 너무 잘돼서 자퇴해서 필수과목만 학원 다니는게 훨씬 효율 좋음 자기 진로에 안맞는 과목, 의미없는 교과서수업 굳이 들으면서 시간낭비 안해도 되고

    • @I_d.t_n_w
      @I_d.t_n_w 2 года назад +3

      @@llkang54 그 공부가 고2 고3때 자기개발이나 진로탐색, 진로 관련 활동이 수업의 반을 넘어야 하는데
      실재로 보다보면 맨날 국영수가 시간 다 잡고 대학 필요 없는 기술쪽 취준생이나 예체능, 창업 가계 물려받을 준비 하는 애들은 뭐…. 솔직히 내일 당장 자퇴해도 그러려니임
      이런 상황을 알고있다는 학생들 마음만 더 착잡해지고
      게다가 교욱청이 시대를 못따라감
      인터넷과 문화, 기술이 발전하면 그만큼 빠르게 따라가야 하는게 교육인데
      Sns나 인터넷 통신이 게임이랑 같다고 인터넷 사용 중제 노발대발 하다가
      결국 메타버스 등장했지….
      그것도 코로나 덕분에 메타버스가 나온거지
      평소같았으면 좀 더 쉬쉬하다가 우여곡절에 나왔을거임.
      글고 이건 어느 학교인지가 문제인게 아님.
      전체적으로 보면 공교육 강화가 문제가 아니라 수업 방향 개편이 중요함.

  • @옼꾸릉
    @옼꾸릉 2 года назад +5

    학교를 떠난사람뿐만 아니라 학교에 있는사람도 의미없다고 느낌

  • @user-w2017j8
    @user-w2017j8 2 года назад +114

    공부의 진짜목적이 상실된지 오래...
    시험을 위해 공부하는 건지 자기자신을 좀 더 발전키시고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공부하는 건지

    • @user-w2017j8
      @user-w2017j8 2 года назад +1

      @@ssdhdfrhdtzfth6211 제발 잘 알지도 못하면서 겉핥기 식으로 보고 함부로 판단하지 마라

    • @patrick8429
      @patrick8429 2 года назад +2

      @@ssdhdfrhdtzfth6211 ㅇㅇ 맞는 말이긴함 근데 이런 교육체제는 결국 한계가 있을 수 밖에없음 ㅋㅋ

    • @minwerf8524
      @minwerf8524 2 года назад

      @@user-xup3e 당연히 성실함을 나타내는 지표는 성적이 아니여도 많죠 . 그건 학교문제가 아니라 성적만 보고 뽑는 회사가 문제 아닐까요? 그리고 요즘은 그런 친구들을 위해 예고나 특성화고도 있잖아요, 그리고 어차피 그림,음악,운동과 같이 예체능하는 친구들은 애초에 다른 사람들이 회사 취업하듯이 취업준비 하진 않을껄요..? 다 그 분야로 빠져서 활동하겠죠

    • @minwerf8524
      @minwerf8524 2 года назад

      @@user-xup3e 운동하던 사람이 갑자기 회사에 취업할수도 있겠지만 거의 그런경우는 흔치 않잖아요
      보통 학교 교육받고 그런 사람들이 취업하니까, 회사입장에서는 나름 학벌,성적이 좋은 사람들이 성실하겠구나 라고 판단하는건 크게 이상할것도 없는거 같아요
      운동하는 사람들은 또 운동하는 사람들끼리 나름 그들의 기준으로 또 사람을 판단하겠죠

    • @minwerf8524
      @minwerf8524 2 года назад

      @@user-xup3e 그런데 그런 예외상황을 다 없애기엔,, 모두가 만족할만한 해결책이 있을까요, 그리고 어느정도 성적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가령 똑같은 두 사람이여도 성적이 더 우수한 쪽이 있다면 굳이 안뽑을 이유는 없을텐데요? 만약 성적을 뛰어넘을 어떤 무언가가 있다면 그 사람을 뽑겠죠. 즉, 단지 공부를 못해서 안뽑았다는게 아닌거죠. 뽑히지 않았다면 분명 그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영상 편집이 취미인 사람은 성실하지 않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껄요,,ㅋㅋ 당연히 그 사람들도 성실하게 자기 일을 하겠죠 근데 사실 이건 모든 분야의 사람들이 다 그런거구요

  • @hae_deun
    @hae_deun 2 года назад +152

    가슴 벅찬 변화네요. 쉽지 않은 결정을 했을 학생들을 응원합니다🙏

  • @혈당쇼크
    @혈당쇼크 2 года назад +44

    관심분야가 다르고 생각하는 게 다르고 각자의 속도가 있는데 이걸 무시하고 정해진 툴에 엇나가면 누가 누구보다 못난 인간인지 점수를 매겨버리죠 참 언제 생각해도 이상한 시스템...학교 책상에 앉아서 매번 이 시스템을 의심했는데 학교 안 신분이라 의심스러워도 어물쩍 넘어간 시절이 후회되곤 합니다ㅠ

  • @벌래의속삭임촉매제
    @벌래의속삭임촉매제 2 года назад +12

    계속 학교에서 스트레스 받는 거보다 훨씬 낫다고 본다

  • @티시태시-l6v
    @티시태시-l6v 2 года назад +112

    학교는 의미없다.
    각자하고싶은거 하고살자.
    테두리안에 묶어두지말고
    범죄양성이 학교다.
    왕따문제 따돌림 문제 다학교에서 선생들이 시간때우기만 해서이다.

    • @세번.숨숨숨
      @세번.숨숨숨 2 года назад +3

      좋은 선생님도 있어요.
      학폭이 있다면 바로 자퇴시키려는 건
      다 같은 마음인가 봐요.

    • @jeichina76
      @jeichina76 2 года назад +2

      댓글과 반대인 정상적인 곳이 더 많지 않을까요?

    • @Watson_Amelia
      @Watson_Amelia 2 года назад

      @@jeichina76 그렇다 해도 안좋은 학교는 존재하는거자너

    • @dusthive2021
      @dusthive2021 2 года назад +8

      @@jeichina76그말은 일진, 빵셔틀 자기학교에 전혀 없다고하는 학교선생을 믿는거랑 뭐가 다른지....

    • @이준형-u7v
      @이준형-u7v 2 года назад +1

      @@dusthive2021 ㄹㅇ 우리 애는 착해요랑 뭐가 다른지ㅋㅋㅋ

  • @쟌짜자
    @쟌짜자 2 года назад +118

    교사들의 자질도 문제..임용고시는 점수로만 뽑을게 아니라 인성과 학생들을 위하는 마음이 진심인지 아닌지도 확인하고 뽑아야함

    • @똘복패밀리
      @똘복패밀리 2 года назад +13

      옳으신 말씀! 인성이 없으면 망해

    • @유리아쥬-d6s
      @유리아쥬-d6s 2 года назад +5

      공감합니다.

    • @쟌짜자
      @쟌짜자 2 года назад +8

      @@아돌C 아이들끼리의 학폭도 문제지만 교사들의 괴롭힘과 언어폭력 시급합니다.특히 초등교사들의 자질이 너무 문제예요

    • @푸른하늘-d7p
      @푸른하늘-d7p 2 года назад +5

      인성이안된선생들이 너무많아요
      아이들에게 명령조로 상처주는 선생 선생도아니라고생각합니다
      대한민국의 임용고시 성적으로만뽑는게문제입니다

    • @chungangie8732
      @chungangie8732 2 года назад +5

      네..근데 그 인성은 어떻게 평가할건지요? 면접요?

  • @0_ball
    @0_ball 2 года назад +191

    근데 학교가는게 시간이 좀 낭비된다는 감이 있긴 함.
    학원가면 훨씬 더 많이 배울수 있고,
    학교에선 복습도 안되는지라..
    친구 만나러 가는건 좋지, 하지만 그것도 안좋으면 학교 좋은점이 없다고 생각함.(지원비가 좀 나온다는 점 정도까지)

    • @MANDAE8298
      @MANDAE8298 2 года назад +14

      학교가 교육 기관 뿐만 아니라 사회화 기관인걸 망각하는 깨시민 잼민이들이 많다

    • @user-wp6hw2ip1b
      @user-wp6hw2ip1b 2 года назад +7

      그냥 공부할꺼면 자퇴하고 독서실이나 학원가는게 이득임 진짜로

    • @user-un5wt7bq4g
      @user-un5wt7bq4g 2 года назад +32

      학교는 그냥 사회성기르는 감옥이라고 보면됨
      자기가 원하는 과목,공부가 아닌 윗대가리들에 의해 강제적으로 원치않는 과목을 배우는거니까 ㅋㅋ

    • @khs6424
      @khs6424 2 года назад +7

      @@MANDAE8298 고등학교 자퇴해도 사회화는 이미 어느정도 되어있음 초중학교를 안다닌거면 모르겠지만

    • @임성욱-r3g
      @임성욱-r3g 2 года назад +2

      나는 학교에서 공부열심히 하고싶은데 자기 심심하다는 이유로 하루종일 괴롭히는 애들때문에 공부도 방해받고 숙제도 방해받고 다른 친구들과 어울리는것도 방해받고 뭘 할수가 없었던... 키작고 귀엽게 생겼는데 소시오패스인 애가 분위기 몰아가며 왕따시키는 꼴도 봤는데 이런애들한테 찍히면 자꾸 내 물건들 뭔가가 도둑질 당하고 주변에서 은근하게 사람 대우도 안하고 뭣같음...
      내 행동에 딴지걸고 뒤에서 없는이야기 지어내며 친구관계 끊어내고 망가지는 꼴을 구경하면서 자기 학업스트레스를 푸는 놈들도 있더라

  • @김현수1234
    @김현수1234 2 года назад +12

    학교에 다니면 사회성을 기를수 있다는데 솔직히 잘 모르겠음 사회성 있는 애들은 어디가서든 잘하는데 고등학생이 되도록 없는 애들도 천지임 진짜 급식 시간만 되면ㅋㅋㅋㅋㅋ 줄 지키는것도 아니고 서로 밀치고 싸우고 난리였고 줄도 안스고 휙 가버리는애 교사가 붙잡고 줄서야지 해도 지 여친 팔짱끼고 선생님한테 소리치는놈도 있고... 뭐만 맘에 안들면 인스타에 글 올려서 다른 애들 저격에...
    오늘은 누구 에어팟을 훔쳐서 팔까 이러는둥 답이 없는 애들은 끝까지 답이 없음.. 사회성 없는 선생님들도 많이 있고
    물건 훔친적도 없는데 애가 말을 제대로 못하는걸 알고 걔보고 훔쳤다고 몰아가고
    중요한건 이제 사회성을 기를수 있는 구조는 아닌듯 고등학생되면 대학수업 마냥 계속 반 옮겨다니면서 수업 들으니까 다들 폰만 보고 있음

  • @조호성-n1e
    @조호성-n1e 2 года назад +352

    학폭,부모님 직업과 재산 아파트에따른 상대적박탈감. 떨어져버린 공교육의 필요성.왕따. 학교에 나가지않는 부작용보다 학교에나가면 생기는 부작용이 너무나도 압도적으로 많음.
    이러니 학생들이 학교에 가기싫어합니다.
    사회에 나와서 초중고 때 배웠던 모든지식들은 사실상 덧셈뺄셈 나눗셈 곱셈 빼고는 쓸모가없어집니다.

    • @skgsdl167
      @skgsdl167 2 года назад +55

      이게 거의 정답임 나중에 영어도 혼자서 공부하면 금방배움 교육부 벌레들 진짜 지네들이 다 알면서 잘못한거 ㅇㅈ 안하잖아

    • @파인애플-z5w
      @파인애플-z5w 2 года назад +58

      @@skgsdl167 솔직히 학교에서 영어하는거 ㅈ도 도움 안됨
      걍 생활영어 따로 배우는게 남 ㅇㅇ

    • @윤진-y6j
      @윤진-y6j 2 года назад +21

      ㄹㅇ 문법 알아서 뭐 할건데 스피킹이 더 중요하지

    • @this_is_ummmm
      @this_is_ummmm 2 года назад +1

      @@윤진-y6j ㄹㅇ 영어쌤도 우리나라에서 배우는 영어 싫어함

    • @jpona7037
      @jpona7037 2 года назад +8

      오히려 우리나라 고육의 잘못된 입시 땜에 인간관계 틀어지고 비교하고 개인주의적으로 변질됨...

  • @길거리파이터-p8n
    @길거리파이터-p8n 2 года назад +40

    틀린말도 아니지 나도 아재가 되어가지만 학교가 너무 싫었고 하루마다 스트레스였다..어릴때 고등학교 졸업 못하면 큰일 나는지 알았다 ㅋㅋㅋㅋ
    나이 먹고보니 사회생활 지장 1도 없었고 자율로 바뀌는것도 좋을듯싶다

  • @limboys2
    @limboys2 2 года назад +81

    배우는건 학원에서 배우고 학교는 놀러가거나 시간때우기라는게 문제 놀기라도 잘하면 다행

  • @산타패-t7j
    @산타패-t7j 2 года назад +2

    용기있는 결정 응원합니다 원하는거 이루세요

  • @abc12e303
    @abc12e303 2 года назад +49

    초중등학교는 모르겠지만 고등학교는 진짜 입시위주란 생각이 들긴함... 국영수보다 다른 것에 더 큰 중점을 둔 친구들은 많이 답답할 것 같어

    • @도하29
      @도하29 2 года назад +1

      중등학교는 고등학교를 포함합니다.

  • @SKY_Citizen
    @SKY_Citizen 2 года назад +249

    학교 교육이 가르치는것은
    1. 진실은 권위에서 나온다.
    2. 기억하고 반복하는 능력이 지능이다.
    3. 정확한 기억력과 반복은 보상받는다.
    4. 규칙에 불응하면 처벌받는다.
    5. 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집단에 순응할 것.

    • @curtain5323
      @curtain5323 2 года назад +11

      1번 말고는 아주 잘못된건 아닌거 같은데여..

    • @마치-s7q
      @마치-s7q 2 года назад +35

      뭐냐..그냥 고급 노동자 교육방법 이잖아..
      노동자 찍는 곳이 학교군요

    • @king_7711
      @king_7711 2 года назад +41

      ㄹㅇ 개돼지만들기 프로젝트네요 ㅋㅋㅋㅋ 저런 교육 시스템에서 창의력 상상력은 사치일뿐

    • @JH-ek5bn
      @JH-ek5bn 2 года назад

      옳은 내용이네
      1번은 탈권위 한다고 ㅈ문가들 설치는데 관련지식없는 일반인 입장에선 우선 학계 권위 따라가는게 더 합리적이지
      2번은 뭐가 그럼 지능임?
      3번은 현실에서도 맞지 일하는데 기억 제대로 못하고 엥간한 직장들 큰틀에서 보면 비슷한거 반복인데
      4번은 그럼 법 ㅈㄲ실?ㅋ
      5번은 순응안하고 ㅈ대로 살면 교도소행이지ㅋㅋ

    • @granpadrink
      @granpadrink 2 года назад +14

      @@curtain5323 대신에 2345를 1로 깔아뭉게버는 절망적인 현실을 계속 마주하도록 학습시키죠... 구조적으로다가
      의도했든 아니든간에 말입니다...

  • @땡빈-f9h
    @땡빈-f9h 2 года назад +88

    자아를 가진 인간인데 모두 다 똑같은 방향으로 앞에서끌고가려 한다는게 문제인듯. 각자 개개인에 맞춰서 어느방향으로 가야할지 방황하지 않게 뒤에서 밀어주고 지원해주는게 교육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삶의 목표나 무엇이 하고 싶은지에 대해서 귀를 더 기울여 주시면 좋을것 같아요.

  • @민들레-z4j
    @민들레-z4j 2 года назад +41

    인정, 학교 진짜 학교폭력이라는것과 집단생활 같은 나쁜 행위에 대해서 배울수 밖에 없음. 그냥 학교라는 기능이 진짜 의미없다고 생각함. 혼자서 공부하는게 더 필요함.

    • @김영걸-j9n
      @김영걸-j9n 2 года назад +5

      노놉 학교가 중요하긴하죠 솔직히 공부?! 살아가면서 크게 중요하진 않았고 학교를 다니면서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리는법 또는 선생님을 통해 배우는 예의 공경이 중요하죠 사람은 어쩔수없이 집단단체이고 집단으로 있으면 약육강식 어느집단이든 있을수 밖에 없는 사람도 동물이고 짐승인지라 하지만 학교에서 어렸을때부터 발달하는 성장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필수임

    • @콩이콩-o7c
      @콩이콩-o7c 2 года назад

      @@김영걸-j9n 에휴 먼 개소리임 이게 아저씨 정신차려요

    • @blessu1164
      @blessu1164 2 года назад +1

      학교에 공부만 하려고 하는게 아니라
      사실 가장 중요한 건 사회생활 하러가는거죠
      공부는 학원이 더 잘 가르치는데

    • @밤하늘별빛-e9l
      @밤하늘별빛-e9l Год назад

      ​@@김영걸-j9n 몇몇 어른에게 그런 말 들으며 억지로 다녔는데 평생 상처만 남았습니다.그래도 필수인가요?

  • @오렌지-h8l
    @오렌지-h8l 2 года назад +157

    비효율적인 교육을 하니 문제가 되는거죠. 철학적 사고, 타인과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을 하는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iamgroot2674
      @iamgroot2674 2 года назад +3

      철학적 사고,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은 효율적인 교육 자체가 어려운 능력입니다. 오히려 효율지향적인 교육이 저 세가지 소양을 못키우게 방해하고 있죠

    • @user-zz3kj7dw7c
      @user-zz3kj7dw7c 2 года назад +2

      @@iamgroot2674 아~효율적인 공부하는 미국과 유럽은 의사소통능력,문제해결 능력,철학적 사고가 되는 사람들이 없나봐요~

    • @alexandrajeong1819
      @alexandrajeong1819 2 года назад

      아니요 그런 내용들은 죄다 변두리에 지나지 않습니다. 철학적 사고, 타인과의 의사소통능력 이런 것은 아무리 잘 배워봤자 대학 가는데 큰 도움이 안되거든요. 내신이 높아질것도 아니고 수능성적이 좋아질것도 아니고. 아직까지 대한민국 사회는 "우선 대학은 나와야", "좋은 대학을 가야 취업이 잘된다", "취업을 하든 창업을 하든 빨리 자신의 일을 찾아야한다" 이런 종류의 인식이 사회 전반의 기저에 깔려있습니다. 그러니까 경쟁은 끊이질 않는거고, 경쟁에서 중요한 것이 공정함이기에 최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도입해야 하고, 그 객관적인 지표를 맞추자니 교육이 지식 이해와 암기 위주로 갈 수밖에 없거든요.
      즉 현재 상황에서는 어떤 방침을 세운다 하더라도 결국에는 본래의 취지에서 크게 변질되기 마련인 겁니다. 애초에 사회 구조적인 근본 문제는 전혀 바뀐게 없으니까요.

    • @dri13829
      @dri13829 2 года назад +2

      @@user-zz3kj7dw7c
      네.
      괜히 미국에서 지구 평면설 같은 게 널리 퍼지는 게 아님.
      의사 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철학적 사고는 모두 바탕에 넓은 분야의 지식을 요구함.
      님이 말하는 건 지식이라는 재료가 없는 데 철학적 사고라는 집을 짓겠다는 말과 같음.

    • @dri13829
      @dri13829 2 года назад

      @@alexandrajeong1819
      철학적 사고, 타인과의 의사 소통, 문제 해결 능력 없으면 대학 생활 따라 가지 못하는 데요?
      그런 능력 없이 좋은 대학을 어떻게 가고 좋은 대학에서 어떻게 공부를 함?

  • @sbim5324
    @sbim5324 2 года назад +278

    학교를 다님으로서 얻게되는 득과실을 따져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인생을 설계하는 사람들을 응원합니다..
    내가 그러지 못해서...존중 존경합니다..

    • @김나나-u2q
      @김나나-u2q 2 года назад +1

      나도 다니기 싫었어요.ㅜ

  • @jungws1910
    @jungws1910 2 года назад +202

    좋은 방향으로 가는듯, 획일화된 가치만 추구 당하는 사회보다 좀더 다양성을 인정받는 사회로...

  • @미로-q4g
    @미로-q4g 2 года назад +5

    좋은 세상이다
    나는 자퇴할려고 말만 꺼냈어도
    아빠한테 욕쳐먹고 개쳐맞고 쫒겨났었는데
    부럽네요

  • @jjdop1
    @jjdop1 2 года назад +28

    꼭 꿈을 이루어서 성공하길바랍니다. 화이팅!

  • @shawnmontana6905
    @shawnmontana6905 2 года назад +55

    솔직히 대학진학이 목표가 아니라면 공교육 크게 의미 없음. 시대가 변했다. 일찍히 기술이나 장사를 배우는게 훨씬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다.

    • @반박시님말다맞음
      @반박시님말다맞음 2 года назад +10

      대학진학이 목표여도 의미가 없음 수준떨어짐 공교육

    • @jobwow3616
      @jobwow3616 2 года назад +4

      이거 맞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クロミ-c4l
      @クロミ-c4l 2 года назад +8

      체인점 판치는 나라에서 장사는 모르겠고 기술파는 장사나 하는게 낫다…

  • @제나i
    @제나i 2 года назад +71

    공감합니다. 고등학교 졸업한지 20년이 지났는데 또 그시절로 가라면 안가고 검정고시 보고 하고싶은거 할 것 같네요. 대학원까지 마친후에도 교육쪽에 있지만 우리나라 교육 유치원부터가 제자리 걸음인 걸 체감해요~ 그런 스트레스와 고통을 받는 학창시절보단 그길만 있는게 아니니 새로운 길로도 자신의 길을 성취하는 것도 좋은 것 같네요~~

    • @공-y8h
      @공-y8h 2 года назад

      @지현 서 학교가 몇천배 더 힘들지 검정고시하고 수능하고 같아?ㅋㅋㅋ

  • @해탈평정
    @해탈평정 2 года назад +5

    자기한테 맞지 않는 교육을 굳이 시간 버려가면서 멍하니 의자에 앉아 있을 필요가 없지

  • @Wowdfficult
    @Wowdfficult 2 года назад +107

    다 커서 생각하니 솔직히 교육은 의미가 없고, 다양한 친구들이랑 감정 교류하면서 힘들기도 하고 즐겁기도하면서 공감능력 배우는게 더 중요한듯. 하지만 꼭 학교에서만 감정영역을 넓힐 수 있는 것도 아닌 듯. 더 넓은 사회에 속해서 무언가 또 배운다면.

    • @chanhim6316
      @chanhim6316 2 года назад +11

      ....다들 학교 의무교육으로 졸업했는데 싸패같은 정신이상자 ㄸㄹㅇ가 조직에 반드시 있는거 보면 학교생활이 꼭 대인관계 사회성을 길러주는건 아닌거 같음^^ 아.....사회성은 기르는데 인간성은 개차반^^

    • @냥라떼-j1b
      @냥라떼-j1b 2 года назад +3

      근데 또 학교 아니면 어릴 때부터 어느 집단에 속해서 사회성을 배울지..

    • @tv-vm4hn
      @tv-vm4hn 2 года назад +3

      @@냥라떼-j1b 일시키면되지 사회성기르려면 일하면된다 ㅋㅋ 학교 12년 동안 사회성기르는게 알바 1달동안 하는것보다 사회성안길러짐ㅋ

    • @user-zz3kj7dw7c
      @user-zz3kj7dw7c 2 года назад

      @@냥라떼-j1b 동사무소같은 나라에서 무료로 해주는 프로그램들다 보내~ 유료여도 동사무소 같은데는 안비쌈

  • @bailey3417
    @bailey3417 2 года назад +7

    학교 그만둔지 올해로 1년되는 사람입니다. 학교 그만두길 정말 잘했다고 생각하고 오히려 더 일찍 자퇴하지 못해 후회가 될 정도입니다. 학교에서 배우는거라곤 그저 지식을 머리에 때려넣는거 뿐…. 생각할 힘을 길러주진 않더라구요. 학교 나오기 전까진 정치나 사회이슈에 대해 단한번도 생각해본적이 없는데 학교를 나오니까 그런게 눈에 보이기 시작해서 어느게 더 나은 방향이고 선택일지 생각해보고 스스로 판단하고 생각하는 힘을 기르게 되었습니다. 아마 학교를 나오지 않았다면 그냥 주입되는 생각들을 맞다고 느끼고 살았을거 같아서 더 더욱 자퇴하길 잘했다 생각합니다

  • @flyingpan2639
    @flyingpan2639 2 года назад +61

    군대 2년은 아까워하면서
    한국 학교 12년은 아무생각 없더라
    나는 언제나 군대 2년 따위보다 학교 12년의 허송 세월이 훨씬 더 아까웠다

    • @James92999
      @James92999 2 года назад +2

      마인드를 보니 남은 인생 자체가 아까운거 같은데ㅋㅋㅋ 어딜가든 니가 하기 나름인거여^^

    • @참사랑-i5n
      @참사랑-i5n 2 года назад

      중학교 1학년 미적분 까지는 일상생활에 꼭필요 하던데ㅡㆍㅡ

    • @sweetmoran
      @sweetmoran 2 года назад +5

      ​​@@참사랑-i5n 미적분을 일상의 대체 어느 부분에 쓰시는 건가요

    • @참사랑-i5n
      @참사랑-i5n 2 года назад

      @@sweetmoran 세금 계산 사업할때 소득 계산후 재산세 산정할때 쓰여요

    • @sweetmoran
      @sweetmoran 2 года назад +7

      @@참사랑-i5n 그걸 왜 직접 하세요 문명의 이기를 좀 누리고 사세요 수치 입력만 하면 알아서 계산해주는곳 천지인데.. 그리고 조금 복잡하다 싶으면 돈좀주고 사람쓰면 편하구요 본인이 그런 사업하시는거면 그건 본인의 직업특성이지 대부분의 일상이 아니예요.. 미적분을 일상에 쓴다는 얘기듣고 너무 어이가 없어서 지나가다 말을 걸어버렸네요 제가.. 가르치는 선생도 교수도 수업때 외에는 안 쓰는 것을

  • @토리집사-c1l
    @토리집사-c1l 2 года назад +2

    요즘친구들 참 똑똑하네 ㅎㅎ 솔직히 말해서 학교다닐때 배운거 살면서 써먹는건 사실상 없다고 보면된다 ..
    그냥 너희들이 관심이 생기고 재미있고 잘하는걸 열심히 해라.. 대한민국 교육은 확실히 잘못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