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3번째 책 리뷰] 성공의 공식 포뮬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제가 투자자 독서 모임에
    우연히 참여 비슷하게 하게 됐는데
    거기서 이 책을 읽고 있더라고요
    이거랑 그 운과 실력의 성공 방정식
    그 책이랑 이 두 가지를
    이제 이번 주책 다음 주책 다
    이번 달 책 다음 달 책 이렇게 하시더라고요
    근 데 저는 이 책이
    좀 너무 흥미 진진 했던 거는
    과학자
    세계적인 과학자가
    성공의 공식을
    공식화 해갖고 책을 냈다
    이 부분이 되게 재밌었고
    그리고 결국은 우리 조별 과제
    한 얘기를 하면서
    이게 현실 버전으로 일어날 수 있다
    조별 과제 했을 때
    하나도 안 한 사람이
    공을 다 가져간다거나
    그런 경우가 있는데,
    직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을 별로 안 하는 사람이 승진을 한다거나
    그런 것에 있어서
    왜 그러는가?
    그리고 그런 식으로
    이제 성공 이란 뭔가를 정의하는 것부터 해서
    그 니까 성공이라는 사람들이 인정해 준다
    인정해 줘서 돈을 번다
    뭐 이런 것
    그렇게 하는 그 성공을 하는 원인이
    뭔가에 대해서 말을 해줘요
    네 여기 되게 흥미로운 사례가 나오는데
    아인슈타인이 왜왜 그렇게 유명해 졌나
    그러니까 유명하면 유명함을 낳는다
    이런 부분도 성공의 법칙 중에 하나인데
    어느 날 항구 같은 데 왔는데
    한국에서 다른 사람을 보러 온
    엄청 많은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 우연히 아인슈타인이
    그 자리에 있었어요
    근데 어떤 기자들이
    어,
    이렇게 유명하다고? 라고 하면서
    당황 을 한 거예요
    다른 나라 였거든
    아인슈타인이 있는 나라랑
    그래서 그때부터 아인슈타인 에 대한 기사를 내기 시작하면서
    어쩌다 보니까 보니까 보니까
    유명해져 버린 거예요
    그러니
    어마어마하게 유명해진 게
    그 운 이었다는 거예요
    그래서 그 운의 법칙 같은 걸 정리해 놓은 그런 책이거든요
    그래서 좀 흥미롭고
    아 나도 이거를 이용하면
    좀 잘 될 수 있나
    이런 생각도 많이 들기도 했고,
    어,
    그리고 이제 성공을 했을 때
    그 성공할 수 있는 한계가 무한하게
    그러니까 잘 안 되는 사람은
    끝없이 안되고
    성공한 사람 돈을 어마어마
    어마하게 많이 번다
    정말 상상 이상으로 번다,
    무한 하다 라고 표현을 하더라고요
    그런 부분이 좀 어, 그렇구나
    나도 성공하고 싶다
    라는 마음을 좀 불러 일으키는 부분이었고
    음,
    아무튼 어쨌든
    그리고 결국은 근데 실력이 없으면
    성공을 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실력을 갖춰 놓고
    유명세를 만들고
    또 갖춰 놓고,
    그래야 선순환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요즘 시대에는 진짜 그렇잖아요
    유명세를 직접 만들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이 유튜브나 이런 인스타 같은 걸로
    그러니까 내가 진짜로 진정하게 실력이 있고,
    유명세를 만들어 낼 수만 있다면
    정말 성공을 할 수 있다
    라는 식으로
    이 책은 말을 해 줍니다
    그리고 또 이제 진짜 내가 진짜 실력 좋은 음악가
    예술가 들도 성공 못 하지만
    좀 유명한 사람들의 그 연결 망에 들어가서
    내가 엄청 유명한 박물관이나
    이런 데에 내 작품을 전시할 수만 있다면
    그게 이제 타고 타고
    이제 선순환을 그린다
    라는 말인 거죠

Комментарии •

  • @tv-sp8su
    @tv-sp8su  4 дня назад

    제가 투자자 독서 모임에
    우연히 참여 비슷하게 하게 됐는데
    거기서 이 책을 읽고 있더라고요
    이거랑 그 운과 실력의 성공 방정식
    그 책이랑 이 두 가지를
    이제 이번 주책 다음 주책 다
    이번 달 책 다음 달 책 이렇게 하시더라고요
    근 데 저는 이 책이
    좀 너무 흥미 진진 했던 거는
    과학자
    세계적인 과학자가
    성공의 공식을
    공식화 해갖고 책을 냈다
    이 부분이 되게 재밌었고
    그리고 결국은 우리 조별 과제
    한 얘기를 하면서
    이게 현실 버전으로 일어날 수 있다
    조별 과제 했을 때
    하나도 안 한 사람이
    공을 다 가져간다거나
    그런 경우가 있는데,
    직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을 별로 안 하는 사람이 승진을 한다거나
    그런 것에 있어서
    왜 그러는가?
    그리고 그런 식으로
    이제 성공 이란 뭔가를 정의하는 것부터 해서
    그 니까 성공이라는 사람들이 인정해 준다
    인정해 줘서 돈을 번다
    뭐 이런 것
    그렇게 하는 그 성공을 하는 원인이
    뭔가에 대해서 말을 해줘요
    네 여기 되게 흥미로운 사례가 나오는데
    아인슈타인이 왜왜 그렇게 유명해 졌나
    그러니까 유명하면 유명함을 낳는다
    이런 부분도 성공의 법칙 중에 하나인데
    어느 날 항구 같은 데 왔는데
    한국에서 다른 사람을 보러 온
    엄청 많은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 우연히 아인슈타인이
    그 자리에 있었어요
    근데 어떤 기자들이
    어,
    이렇게 유명하다고? 라고 하면서
    당황 을 한 거예요
    다른 나라 였거든
    아인슈타인이 있는 나라랑
    그래서 그때부터 아인슈타인 에 대한 기사를 내기 시작하면서
    어쩌다 보니까 보니까 보니까
    유명해져 버린 거예요
    그러니
    어마어마하게 유명해진 게
    그 운 이었다는 거예요
    그래서 그 운의 법칙 같은 걸 정리해 놓은 그런 책이거든요
    그래서 좀 흥미롭고
    아 나도 이거를 이용하면
    좀 잘 될 수 있나
    이런 생각도 많이 들기도 했고,
    어,
    그리고 이제 성공을 했을 때
    그 성공할 수 있는 한계가 무한하게
    그러니까 잘 안 되는 사람은
    끝없이 안되고
    성공한 사람 돈을 어마어마
    어마하게 많이 번다
    정말 상상 이상으로 번다,
    무한 하다 라고 표현을 하더라고요
    그런 부분이 좀 어, 그렇구나
    나도 성공하고 싶다
    라는 마음을 좀 불러 일으키는 부분이었고
    음,
    아무튼 어쨌든
    그리고 결국은 근데 실력이 없으면
    성공을 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실력을 갖춰 놓고
    유명세를 만들고
    또 갖춰 놓고,
    그래야 선순환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요즘 시대에는 진짜 그렇잖아요
    유명세를 직접 만들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이 유튜브나 이런 인스타 같은 걸로
    그러니까 내가 진짜로 진정하게 실력이 있고,
    유명세를 만들어 낼 수만 있다면
    정말 성공을 할 수 있다
    라는 식으로
    이 책은 말을 해 줍니다
    그리고 또 이제 진짜 내가 진짜 실력 좋은 음악가
    예술가 들도 성공 못 하지만
    좀 유명한 사람들의 그 연결 망에 들어가서
    내가 엄청 유명한 박물관이나
    이런 데에 내 작품을 전시할 수만 있다면
    그게 이제 타고 타고
    이제 선순환을 그린다
    라는 말인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