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азмер ви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ать панель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
Автоповтор
조종사님들 모두 ❤
앞을 보는게 아니라 계기판을 보고 있습니다~~!!^^
랜딩은 활주로를 봐야죠
ILS의 도움도 받아야죠
안되면 뭐 m/a 해야줘 뭐
@@꼬물이-o7km/a 가 뭔가요?
@@PlainYogurtSimpson 실패접근절차입니다.
보잉회사의 비행기는 요동치는 조종대덕분에 더 무서울것 같다... 파일럿들 대단하십니다
보잉이라서가 아니라 어떤기종이든 돌풍맞으면 흔들리지요
@@Blossom_chernobyl 조종대를 말씀하신거 같습니다
조종간이 요동치지는 않아요ㅎㅎ요동치는 비행기를 바로 잡으려고 조종간을 움직이는거에요^^
@@아이구양아그니까 조종간이 바쁘게 일로 절로 왔다리 갔다리 흔들흔들 거리니 하는말인가보네용
고어라운드 한번 겪어봤는데.. 탑승인원들 웅성웅성거림 ㄷㄷ
어우C... 쇼츠 보는 건데 식은땀이 난다;;
이륙 착륙 횟수만 몇천번 몇만번 하면 진짜 한번은 꼬꾸라질듯... 수천번 몇 만번중에 왠지 딱 한번정도는 그럴꺼 같지 않냐? ㅠㅜ 정년까지의 조종사들의 비행횟수가 6000~24000회 정도 된데...
영상이 실감나고 와닿네요.
와이퍼 돌아가는 속도봐라
와.. 대단하다 정말
저 와이퍼 속도 실화인건가?
처음에 영상에 기상레이더 빨강색 실화?......ㅎㄷㄷ
어우... 무섭다.. ㅋㅋ
괜히 억받는게 아니지
보는내가 긴장되네;;;
"(bee- Beep!)WINDSHEAR WINDSHEAR"
안정 착륙 후 객들은 기장과 승무원들에게 감사 표시 해야 뽀너스를 주던지 앙그래요?
저거 날개 끝 부러지면 ㅈ될거 같은데
워우.....
테일 스트라이크 가즈아
측면은 도움도줌니다 착륙할때 후면 에서 분다면 활주로를 넘어 추락할수도
생각보다 별 걱정은 안됩니다. 이번 7C2216 사고같이 엔진추력이 날아가는 게 가장 무서운 거지, 저 날씨에는 새도 없고 바람 방향 풍속은 이미 계산에 들어 있으니까요. 엔진이 멀쩡하면 고어라운드 하면 그만이고요.
보통. 착륙은 자동으로 된다 물론 측풍심할땐 수동으로 하겠지만 이륙보다 착륙이 훨씬안전함
무슨 개소린진 모르겠지만 CAT3방식 어프로치 자주 사용 안합니다 라이센스도 따로 있어야하고 가시거리가 100M도 채 안될때 여러 조건들이 모두 충족하면 사용합니다.
반대 아님?? 착륙이 걍 딱봐도 더 위험해 보이는데...
@@ANGEL-st9xr 네 반대입니다 일단 비행기는 땅에 있을때가 제일 안전하다고 보시면 돼요 이륙은 중간에 리젝션 절차가 있기때문에 착륙이 훨씬 더 위험합니다
먼가 잘못알고계시는것같은데 조종사분들 대부분 착륙할때 자동착륙이 아닌 수동랜딩(메뉴얼랜딩)으로 합니다. 게다가 이착륙 둘다위험합니다.. 기종이 어떤기종이든지간에 기종별로 면장(라이센스)도 취득해야하고 그냥조종할수도없고 일정기간마다 시뮬레이션테스트도진행해야 실조종이 가능합니다.
@@정현석-f2k 수동랜딩 하는 이유가 재밌어서아니였음?ㅋㅋ
비행기 타보니 알겠더라 . 근데 그것만큼 기술의 발전이 많은게 요즘 항공기 사고 눈에띄게 줄었음
항공기 사고중 기술문제때문에 일어난 사고는 거의 없음. 대부분이 버드스트라이크나 조종사의 욕심,고집때문에 일어남.
@@fairparty 노노 . 화물칸이 뜯겨나가거나 기체부분이 뜯겨나간 사고도 존재합니다 . 정비부분인 점도 맞으나 설계과정에서 누락된 사고도 분명 존재합니다 . 없진 않죠
@@user-s7a1b78ri3na 예 모르는데요 ㅋ 어쩌라구요
무안 제주항공참사를 기억해야합니다..
살떨린다
조종사님들 모두 ❤
앞을 보는게 아니라 계기판을 보고 있습니다~~!!^^
랜딩은 활주로를 봐야죠
ILS의 도움도 받아야죠
안되면 뭐 m/a 해야줘 뭐
@@꼬물이-o7km/a 가 뭔가요?
@@PlainYogurtSimpson 실패접근절차입니다.
보잉회사의 비행기는 요동치는 조종대덕분에 더 무서울것 같다... 파일럿들 대단하십니다
보잉이라서가 아니라 어떤기종이든 돌풍맞으면 흔들리지요
@@Blossom_chernobyl 조종대를 말씀하신거 같습니다
조종간이 요동치지는 않아요ㅎㅎ
요동치는 비행기를 바로 잡으려고 조종간을 움직이는거에요^^
@@아이구양아그니까 조종간이 바쁘게 일로 절로 왔다리 갔다리 흔들흔들 거리니 하는말인가보네용
고어라운드 한번 겪어봤는데.. 탑승인원들 웅성웅성거림 ㄷㄷ
어우C... 쇼츠 보는 건데 식은땀이 난다;;
이륙 착륙 횟수만 몇천번 몇만번 하면 진짜 한번은 꼬꾸라질듯... 수천번 몇 만번중에 왠지 딱 한번정도는 그럴꺼 같지 않냐? ㅠㅜ 정년까지의 조종사들의 비행횟수가 6000~24000회 정도 된데...
영상이 실감나고 와닿네요.
와이퍼 돌아가는 속도봐라
와.. 대단하다 정말
저 와이퍼 속도 실화인건가?
처음에 영상에 기상레이더 빨강색 실화?......ㅎㄷㄷ
어우... 무섭다.. ㅋㅋ
괜히 억받는게 아니지
보는내가 긴장되네;;;
"(bee- Beep!)WINDSHEAR WINDSHEAR"
안정 착륙 후 객들은 기장과 승무원들에게 감사 표시 해야 뽀너스를 주던지 앙그래요?
저거 날개 끝 부러지면 ㅈ될거 같은데
워우.....
테일 스트라이크 가즈아
측면은 도움도줌니다 착륙할때 후면 에서 분다면 활주로를 넘어 추락할수도
생각보다 별 걱정은 안됩니다. 이번 7C2216 사고같이 엔진추력이 날아가는 게 가장 무서운 거지, 저 날씨에는 새도 없고 바람 방향 풍속은 이미 계산에 들어 있으니까요. 엔진이 멀쩡하면 고어라운드 하면 그만이고요.
보통. 착륙은 자동으로 된다 물론 측풍심할땐 수동으로 하겠지만 이륙보다 착륙이 훨씬안전함
무슨 개소린진 모르겠지만 CAT3방식 어프로치 자주 사용 안합니다 라이센스도 따로 있어야하고 가시거리가 100M도 채 안될때 여러 조건들이 모두 충족하면 사용합니다.
반대 아님?? 착륙이 걍 딱봐도 더 위험해 보이는데...
@@ANGEL-st9xr 네 반대입니다 일단 비행기는 땅에 있을때가 제일 안전하다고 보시면 돼요 이륙은 중간에 리젝션 절차가 있기때문에 착륙이 훨씬 더 위험합니다
먼가 잘못알고계시는것같은데 조종사분들 대부분 착륙할때 자동착륙이 아닌 수동랜딩(메뉴얼랜딩)으로 합니다. 게다가 이착륙 둘다위험합니다..
기종이 어떤기종이든지간에 기종별로 면장(라이센스)도 취득해야하고 그냥조종할수도없고 일정기간마다 시뮬레이션테스트도진행해야 실조종이 가능합니다.
@@정현석-f2k 수동랜딩 하는 이유가 재밌어서아니였음?ㅋㅋ
비행기 타보니 알겠더라 .
근데 그것만큼 기술의 발전이 많은게
요즘 항공기 사고 눈에띄게 줄었음
항공기 사고중 기술문제때문에 일어난 사고는 거의 없음. 대부분이 버드스트라이크나 조종사의 욕심,고집때문에 일어남.
@@fairparty 노노 . 화물칸이 뜯겨나가거나 기체부분이 뜯겨나간 사고도 존재합니다 .
정비부분인 점도 맞으나 설계과정에서 누락된 사고도 분명 존재합니다 . 없진 않죠
@@user-s7a1b78ri3na 예 모르는데요 ㅋ 어쩌라구요
무안 제주항공참사를 기억해야합니다..
살떨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