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인구부양력이 높은 비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5

  • @KNN_Speech
    @KNN_Speec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한국인의 쌀농사! 그 이유는?
    풀영상은 채널 마크 아래(▶) 클릭

  • @armdaum
    @armdau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구릉에 재배하는 산두라는 밭벼를 재배했어요. 찹쌀로 주로 썼어요.

    • @김동현-y3t4s
      @김동현-y3t4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산도라고 해요.
      논에 심는건 수도,밭에 심는건 산도.
      우리 어릴때 밭에 산도 심었는데 벼 껍질이 보리처럼 가시가 길어요.
      찰벼였죠.

  • @bossl2310
    @bossl231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다른나라도 매한가지임 각자의 나라가 각자의 고충이 있다.

  • @sunlee2529
    @sunlee252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한반도에서 수도작을 고조선시대 부터 했을까요? 농업에 대해 연구를 하신분인가? 언제부터 수도작을 했는지 알고 계시는지? 왜 수도작으로 바뀌게 되었는지 아시는지? 나원참...

    • @낮부터내린비-p4f
      @낮부터내린비-p4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얼마전에 우리나라에서 발견 되었죠...15000년 된 볍씨....이 발견 대로라면 우리 한국이 세계 최초로 쌀 농사를 지은 민족이 되는거죠...세계사에 쌀 농사에 대한 부분은 또 바뀌게 되는 겁니다.

    • @kownwoo4521
      @kownwoo452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벼를 밭에 심어도 쌀이 나옵니다. 그런데 맛이 없습니다. 무엇보다 밭이 아니라 논농사하면 아래 부분이 물에 잠겨서 잡초가 덜 자랍니다. 물론 피 같은 잡초가 자라지만 상대적으로 잡초 제거하는 수고가 적습니다.
      수도작 고조선 얘기는 말도 안되는 소리고 조선시대도 관개시설이 미비해서 힘들게 이루어졌고 조선 말에 가서나 널리 퍼졌음

  • @낮부터내린비-p4f
    @낮부터내린비-p4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런거 말고...
    왜 몇 년 사이에 채소 값 과일 값이 이렇게 폭등하는지..
    구체적인 이유를 설명해 주세요...
    물론 인건비 상승...경제난 등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사실 대 중국과의 외교적 문제도 적지 않다고 봅니다...
    이정도 까지는 국민들도 알 수 있어요...그러나 그 뒤에 숨은 것은 모릅니다..구체적 설명...그리고 대처 방안 이런것을 설명해 주시면 좋겠네요...

    • @백민-j4k
      @백민-j4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대부분 국민들 알고 있지않나요? 전쟁,지구온난화,보호무역등,그외 중간 상인들의 농간과 생산자들의 이기심도 한몫. 우리만 먹던 먹거리가 해외수출로 더 귀해짐.

  • @푸른풀농원
    @푸른풀농원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개풀뜯어먹는 소리하고있네

  • @바다도깨비
    @바다도깨비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옥수수가 쌀보다 생산량이 2배임 ..비용도 덜 들고 ...

    • @lalalee8739
      @lalalee873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옥수수는 그때 우리나라에 들어 오지도 않았음
      16세기나 되서 들어옴
      심지어 옛날 옥수수 보면 진짜 얇고 조그만했음
      옛날 시골에 보면 진짜 옛날 옥수수가끔봤는데 크기가 현재 옥수수 반도 안되고 자잘했음

    • @북극곰-n1u
      @북극곰-n1u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옥수수는...지력을 무시무시하게 잡아먹잖아요.
      아메리카 대륙의 도시문명이 왜 잘나가다가 흐지부지 망했는데요? 옥수수 심었다가 지력 나가고 수확량 폭망해서 그런겁니다

  • @gangwonna1293
    @gangwonna129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역사적 관점은 지리적 지역적에서
    출발하시는게 재밋내요
    하지만 한반도의 축소적 관점은 재미없네요. 답답하고 초중고까지 들어왔던 답답한 말들의
    연속이며 약소국이라는 프레임안에 갇혀 버리는것 같습니다.
    이것 하나만 말씀드리죠.
    역사는 사람처럼 끊임없이 이동의 관점에서 바라보시길.
    조선역사학에 빠지지 마시길
    농자천하지대본이라는 썩어빠진 조선역사에 빠지지 않았으면 합니다.
    관점과 해석은 참 재밋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