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변란사] 미국 독립전쟁의 서막을 알린, 보스턴 차 사건과 랙싱턴 전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미국변란사 #미국_독립전쟁 #보스턴_차_사건 #랙싱턴전투 #보스턴 학살 #새뮤얼 애덤스 #제1차_대륙 회의 #조셉_갤러웨이 #자유의_아들들 #렉싱턴전투 #콩코드전투 #토머스_게이지 #존_핸콕 #존_애덤스 #폴_리비어
    오늘 미국변란사는 미국 독립전쟁의 서막을 알린, 보스턴 차 사건과 랙싱턴 전투입니다.
    1676년에 영국 의회는 재무장관 타운센드의 발의로 타운센드법을 통과시켰는데 이 조례는 북아메리카에서 영국으로 수입되는 유리, 종이, 안료, 차, 설탕 등에 수입세를 징수하도록 규정했습니다.
    영국 정부는 인지세법을 폐지해 포기해야 했던 조세 수입을 이 수입세로 충당하는 한편, 북아메리카에서 영국의 공고한 지위를 확실히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이 조례도 북아메리카 식민지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는데 그들은 영국 상품 불매 운동을 벌였고, 영국과의 무역을 중단하려고 했습니다.
    영국은 결국 1770년에 타운센드법을 폐지했지만 차에 대한 세금은 계속 거두어 들였는데 영국의 이런 조치는 식민지와의 갈등을 심화시켜 중재할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했습니다.
    북아메리카가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나려고 한 대내외적인 요인은 크게 네 가지로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일단 북아메리카의 정치가들은 종주국에 대한 공동체 의식이 없는 데다 북아메리카 식민지가 자립할 만한 자주성을 갖추었다고 판단했고 경제력을 갖춰 독립적으로 생존하고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둘째, 북아메리카 식민지는 형식적으로 영국의 영토일 뿐 정치적으로는 자치를 실현했는데 정치 엘리트들이 정치를 주도하면서 풍부한 경험을 쌓아 더는 정치적으로 모국의 보호가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셋째, 북아메리카를 두고 영국과의 쟁탈전에서 패한 유럽 국가들이 떠나면서 이민자들이 대거 유입되어 인디언의 위협도 기본적으로 해소되어 종주국의 군사 보호도 별다른 의미가 없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아메리카 인이라는 정체성이 형성되면서 북아메리카 각 식민지의 유럽 이민자 후손들에게는 점차 공동체 의식이 생겨났습니다.
    이처럼 식민지의 정치 엘리트들은 더 많은 자유와 더 큰 발전을 위해 영국의 식민 정책을 오히려 자신들에게 유리한 공격용 채찍으로 삼았습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