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패권 최후의 승자는? ㉑] 중국이 미국을 능가하기 힘든 이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92

  • @lkofficeinc.5126
    @lkofficeinc.5126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참 국민을 깨우는 강의 감사합니다

  • @선인장-t2m
    @선인장-t2m 4 месяца назад +16

    연속극 보는 것 같아서 더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FMEC
      @FMEC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저도요! 21편 대종의 미를 거두셨네요~

    • @황소의-o3t
      @황소의-o3t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더 보고 싶었는데 아쉽네요 ㅜㅜ 최근 거 까지 다 해 주시고 끝내주시지

  • @thelogicstudy7262
    @thelogicstudy7262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최고입니다
    부동산도 좋고, 베트남 러시아도 넘 좋습니다
    혹시 가능하시다면 일본도 근현대사부터 부탁드려요
    일본과 미국의 밀월관계가 얼마나 갈지
    특히 미국채를 많이들고있는 일본이 앞으로 어떻게 포석을 가져가는지가 넘 중요한거같아서요

  • @sangyeoulhan7032
    @sangyeoulhan7032 4 месяца назад +9

    역쉬 세계를보는 혜안이 뛰어나시네요~박선생 존경합니다~므쩌요!

  • @Honey_Fun_Economic_Lab
    @Honey_Fun_Economic_Lab 4 месяца назад +9

    몰아보기 올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Prof.Park_Yeouidomention
      @Prof.Park_Yeouidomention  4 месяца назад +7

      추석 때 몰아보기 올라갑니다. 참고해 주세요

    • @lupin9305
      @lupin9305 4 месяца назад +1

      @@Prof.Park_Yeouidomention오 좋습니다 대하드라마네요 ㅋㅋ

  • @spily2844
    @spily2844 4 месяца назад +4

    넘 재밌는거 아녀

  • @손봉균-j5j
    @손봉균-j5j 4 месяца назад +5

    너무나 중요한 지식을 배운ㅂ니다

  • @김기헌-g8p
    @김기헌-g8p 4 месяца назад +2

    박정호 교수님이 늘 얘기하듯 자국 이익의 관점에서 국제관계를 바라보는 시각이 진정한 보수의 눈이라고 생각 합니다.

  • @paulcho9053
    @paulcho9053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재밌게 구수하게 넘 좋아요 🎉

  • @s_goo3099
    @s_goo3099 4 месяца назад +4

    다음 시간에 좋아요 ㅋㅋㅋ❤❤❤

  • @FMEC
    @FMEC 4 месяца назад +7

    잘 볼게요!!

  • @lupin9305
    @lupin9305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쿠키 영상에 시퀄까지 예고하는 교수님 여의도멘션은 유튜브 계의 마블이네요 ㅋㅋ 중국몽 시리즈 기대하겠습니다!

  • @gskjh1004
    @gskjh1004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이번엔 카페베네 엔딩은 아니고 다음 시즌을 기다려주세요 군요 ㅎㅎ

  • @부자아버지
    @부자아버지 4 месяца назад +12

    즐거운 주말 보내자고요~

  • @Andrew_OTG
    @Andrew_OTG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기다렸어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 @bbokdoong
    @bbokdoong 4 месяца назад +3

    박정호 교수의 카페베네❤❤

  • @summerhaze2220
    @summerhaze2220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아이고오....
    그냥 담에 이거 계속 해주시는게 잠이 잘 올 것 같은데요

    • @황소의-o3t
      @황소의-o3t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맞아요 얼마 안남았는데 마무리 해 주시지. 궁금해서 어쩌죠

  • @user-7008
    @user-7008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아프리카 대륙이 엄청커서 미국.
    중국.인도.서유럽.일본.포르투칼.스페인.이탈리아를 합친것보다큰대륙임!

  • @hotsgodgame
    @hotsgodgame 4 месяца назад +4

    도요타가 하브 체제로 가겠다 선택했을때 미국이 귀띔을 해준걸까 아니면 시장흐름을 읽은걸까 감일걸까 아님 어쩔수없이 선택하게 된걸까

  • @riki360
    @riki360 4 месяца назад +6

    AIIB ...돈장사...중국위주의...이걸 미국이 가만두지 안두지

  • @yousangoon
    @yousangoon Месяц назад +1

    이제 이시리즈 또하셔야죠 22편주세요

  • @AgainAgain-dk7wl
    @AgainAgain-dk7wl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중국도 저런거보면 속이 참 좁아 열받게하니까 바로 수입금지 ㅋㅋㅋ 에라이 그런 머리로 뭔넘에 굴기를 한답시고 까쳐대는지

  • @김경현-t7p
    @김경현-t7p 4 месяца назад +3

    기시다 총리 곧 방한,방미한다는데 이것 좀 다뤄주세요

  • @봉우리-i7t
    @봉우리-i7t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중국과 러시아. 동맹국
    으로 알고있어요. 근데요
    그렇치가. 아닌가봐요

  • @MacGyner
    @MacGyner 4 месяца назад +4

    달러패권은 여전히 강력한 것이 맞지만.. 강하다는 뜻은 약한 존재가 있다는 뜻인데 이전에는 러시아(소련)이였다면 잠깐 일본 그리고 지금은 중국인데.. 미국이 중국을 억누르고 그 다음 어떤 약한 국가(=패자로 만들 국가)로 만들지(혹은 태어날지) 궁금하네욬ㅋ ㅋㅋ

  • @Money_English
    @Money_English 4 месяца назад +6

    다른 주제들도 기다려지는군요! 여의도멘션 파이팅~!!

  • @michaelSeol
    @michaelSeol Месяц назад +1

    대충 스트롱맨들이 둘러싸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타 국들도...
    그리고 내부 인민들마저도...
    아 그리고 c가 마음에 안드시면 ch로 할께요.

  • @godchang2075
    @godchang2075 4 месяца назад +6

    호플릭~~

  • @riki360
    @riki360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중국정부가 전기차 만들면 보조금 주니까 중국회사들이 마구 뛰어든 사업이죠

  • @jijhiit
    @jijhiit 4 месяца назад +2

    박정호 교수님 😊만세 만세😊

  • @seaname1
    @seaname1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중국에서도 이거많이 본다고 하셨는데, 경쟁력이 갑자기 좋아지는거 아니야???

  • @莲顺金
    @莲顺金 4 месяца назад +2

    기더려 집니다

  • @박시영-g5t
    @박시영-g5t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중국군이 북한 들어가면, 러시아군 자동 개입

  • @황성희-j8r
    @황성희-j8r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의도는 없었지만... 약오르는 것도 사실.. 현기증 나는 것도 사실.. ㅋㅋㅋ

  • @joe-jn6yh
    @joe-jn6yh 4 месяца назад +2

    미쿡의 체스 ,, 중쿡의 바둑은 ,, 쬐끔 다를 수 바께요 !!????!!!!

  • @김병국-x3q
    @김병국-x3q 4 месяца назад +2

    근대 현대차는 수를 잘두는것같다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수소전기차 등을 모두가저가니까 모든패를 다쥐고있는것같다

  • @철수한
    @철수한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미국중국이비슷하게나가면서ㅡ서로협력할것같네요

  • @luckyguy215
    @luckyguy215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책장에 dp 책, 마이클 샌델 책 좀 ~ 없애 주세요
    그 인간, 생각만 해도 구역질 날라 캐서요

  • @riki360
    @riki360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친환경 =ESG 중국은 못함

  • @고달픈삶
    @고달픈삶 4 месяца назад +39

    전세계가 힘든 이유가 중국이 미국이 세워놓은 질서에 순응을 해야 하는데 저렇듯 계속해서 덤비니 힘든건데 이젠 미국의 패권을 인정하고 시진핑을 쫓아내고 백기투항을 했으면 좋겠다. 옆에 작은 나라 대한민국은 너무 힘들다......

    • @qiuqiu1102
      @qiuqiu1102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중국은 자존심 있어서 미국 지배 받는거 실어해...

    • @collardrag
      @collardrag 4 месяца назад +16

      ​@@qiuqiu1102그럼 가난해지면 되겠네요

    • @qiuqiu1102
      @qiuqiu1102 4 месяца назад +6

      @@collardrag 응... 가난해지면... 그럴수도...

    • @MrRanegade1
      @MrRanegade1 4 месяца назад +3

      백기 투항할러면
      미국이 일본과 맺었던 협정 그런걸 맺어야 하는데 현실성이 없음

    • @好雨知時節-q6b
      @好雨知時節-q6b 4 месяца назад

      바짝 기여다니는 한국이 뭘 알겠어? 주둥이만 다들 살아갓고 .. 발전하려는 마음은 당연한거 아닌가? 몇년 한번씩 달러패권으로 전세계를 등쳐먹는데 찍소리도 못하고 ..참 다들 잘났어 ㅋㅋ

  • @wohwjde9274
    @wohwjde9274 4 месяца назад +5

    미국의 함정으로 갈라파고스화가 되어버렸…

  • @철수한
    @철수한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미국이똑똑한사람이ㅡ부채가제일많엌ㅋㅋㅋ

  • @fireeegg
    @fireeegg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미쿡만 선택하는 삶을 사니까 가능한것같네요

  • @kang8431
    @kang8431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중국이 정말 패권의지를 드러낸 것인지 한 번쯤은 심사숙고 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패권국에 고분고분 하지 않은 2등국에 '패권의지'라는 딱지를 붙이면 한결 수월해지는 게 패권국의 입장이기도 하니까요. 중국 정부의 위장전술이 먹힌 것일수도 있지만, 실제 많은 중국인들은 미국과의 패권경쟁이란 주제에 "오잉? 우리가? 왜?" 식의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 @FMEC
      @FMEC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아... 그래요...?!

    • @chan051112
      @chan051112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시진핑이 오바마를 만났을때 신형대국관계를 들먹이며 태평양을 양분하고 중국영향력을 인정하라는 취지로 말했는데 그때부터 미국이 위기감을 느끼기 시작했다함

    • @kang8431
      @kang8431 4 месяца назад +1

      @@chan051112 주로 미국의 정치학자, 경제학자들의 입을 통해 중국 경제가 조만간 미국을 추월할 것이란 설이 급부상한 때가 2000년대 중반이고, 금융위기로 본격화 됐습니다. 부시 시절이죠. 또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미중 관계를 논할 때 '패권hegemony'이란 단어가 등장했다 합니다. 시진핑 집권은 2012년부터입니다.

    • @kang8431
      @kang8431 4 месяца назад +1

      @@chan051112 아래는 챗GPT의 썰입니다. 참고로만 하세요~ ^^
      ____________
      미중 패권경쟁이라는 개념은 주로 미국 측에서 제기된 프레임으로 보는 시각이 강합니다. 이 용어는 특히 미국 내에서 중국의 부상에 대한 경계와 위기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미국의 학자와 정치 지도자들이 이를 통해 미중 관계를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1. 미국의 패권적 위치: 냉전 이후 미국은 세계 유일의 패권국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경제, 군사, 외교 등 여러 측면에서 확고했습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중국이 급속히 부상하면서 미국의 패권에 도전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로 중국이 떠오르게 되었고, 이에 대해 미국 내에서 "패권 경쟁"이라는 프레임이 등장했습니다.
      2. 미국 학계와 정치권의 논의: "투키디데스 함정"(Thucydides Trap)과 같은 이론을 제기한 하버드대 교수 **그레이엄 앨리슨(Graham Allison)**은 미중 관계를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와 아테네의 전쟁에 비유하며, 신흥 강대국(중국)이 기존 패권국(미국)에 도전하게 되는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분석은 미중 관계가 단순한 경제적 경쟁이 아니라 패권 다툼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미국 내에서 경계하는 담론을 형성했습니다.
      3. 중국의 대응: 중국은 이 같은 "패권 경쟁"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리를 두는 입장을 취해 왔습니다. 중국은 공식적으로 "평화적 부상"(和平崛起)을 강조하며, 자신들의 부상이 세계 질서를 위협하지 않고 공존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웠습니다. 중국의 지도자들은 "패권"이라는 용어를 회피하거나 부정하며, 자국이 패권을 추구하지 않는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따라서 "미중 패권 경쟁"이라는 프레임은 미국이 중국의 부상을 위협으로 느끼면서 이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낸 개념이라는 분석이 일반적입니다. 중국은 이를 미국의 시각으로 본 과장된 프레임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미국은 중국의 경제력, 군사력, 국제적 영향력이 확장되는 것을 패권 도전으로 해석한 것입니다.

    • @Akira-y4i
      @Akira-y4i 4 месяца назад +2

      ​@@kang8431 그 집권을 시작으로 위대한 중국을 실현한다라는 명목으로 중국몽을 시작했고 전량외교를 펼친결과 지금의 현실이 되고있죠

  • @After_the_rain_0410
    @After_the_rain_0410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언젠가 중국이 세계 패권을 잡을 날이 올 수 있을까...

    • @sociolocomtsac
      @sociolocomtsac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중국 부자, 천재들도 미국으로 가고싶어함. 중국은 부자 이민률 1위로 다 도망가는중. 언제 공산당한테 털릴지 모르는데 중국에 있고싶겠어요?

    • @Zxcvbnm-g7i
      @Zxcvbnm-g7i 4 месяца назад

      중공은 공산당이 몰락해서 완전한 시장경제로 가지않는 한 몰락의 길로 갈 수밖에 없죠.

    • @비카라-i8w
      @비카라-i8w 4 месяца назад

      ㅋㅋㅋ중국몽이네

  • @nanoman1657
    @nanoman1657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제제상황만 아니어도 이란과 러시아와 교류할게 많은데 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