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개발자의 미래는 좋나요? | 개발자 고민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CS지식의 정석
    inf.run/17Fb
    ▶C++ 10주완성 코딩테스트
    inf.run/xZhA

Комментарии • 52

  • @yalco-coding
    @yalco-codin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2

    배우신 분의 질문과 배우신 분들의 답변이네요 ㄷㄷ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사람이 될 것... 좋은 인사이트 얻어갑니다!!

    • @mofu2228
      @mofu222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ㄷㄷ얄코님

    • @llollapalooza
      @llollapalooz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와… 얄코형 전방위 열활동 중이네 ㅎㄷㄷㄷ

  • @김영진-v5h1g
    @김영진-v5h1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아니 애초에 AI 하나만 가지고는 뭘 할수가 없는 상황이라.. 웹이든 앱에든 붙여서 적용을 해야 뭔가 아웃풋이 나올수 있는 구조인데..
    웹개발은 인터넷이 사라지지 않는한 망할리는 없다고 생각하고(앱도 마찬가지) 큰돌님 말처럼 모든 개발자들이 풀스택으로 가야만 하는 상황이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AI가 지금 유행이라고 하더라도 미국에 비하면 투자나 AI 능력 자체가 한참 떨어지기 때문에 제가 생각하기에는 현재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자체 AI 모델을 개발하는것보다 좋은 AI 모델이 나오면 가져다 쓰는게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 @fghj-zh6cv
    @fghj-zh6cv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저는 파이썬만 쓰다가 이제 c++를 공부하고 있는 time-series 연구원인데...진짜 응용과학 쪽으로 개발자 뽑기 너무 힘들어요.
    Fourier Transform, Discretazation 등 기본적으로 공대에서 배우것 외에 전기전자 및 역학지식들이 필요한데, 이러한 부분들을 컴공 대부분 커리큘럼에 있지 않다보니, database/서버/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하는 분들한테 프로그램을 맡기면 소통불가 및 연구원들이 입맛에 맞는 프로그램이 나오지 않아요. 그래서 제가 udemy,인프런 등을 찾아서 공부하면서, 개발을 시작한 케이스입니다. 앞으로 IT 분야로 진출하고 싶은 분들은 Biology/EE/ME 쪽을 전공하고 프로그래밍 기술을 가진 사람이 그나마 좋은 대우를 받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구-e6j
    @구-e6j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현재 LLM 기반 모델은 2개를 못함.
    1. 한분야에 대해서 깊이 있는 질문을 할때 제대로 답하지 못하고 있음. 이건 해당 분야의 도메인 지식 데이터 결합이 아직까진 느슨해서 깊이있게 대답 못하는걸로 보임
    2. 여러분야를 통합하는거를 못함.
    결국 다양한분야를 얕지만 AI로 보완을 통해서 하나의 제품을 만들 수 있을 정도의 제너럴 리스트, 데이터가 쉽게 얻을 수 없는 분야의 스페셜리스트 이 두개가 가장 오래 살아남을거임

    • @intoks22
      @intoks2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건 질문하는 사람의 대가리에 좀 따른거같음 ㅋㅋ LLM 관련해서 질문할때 질문 잘 해봐여 ㅋㅋ

    • @Alalspsp
      @Alalspsp 8 месяцев назад

      @@intoks22 관종이냐?

    • @구-e6j
      @구-e6j 5 месяцев назад

      @@intoks22 LLM 자체가 확률기반 가장 높은걸 대답하다보니 파인튜닝을 해도 깊은 분야 두 곳에 내용을 결합하는 것을 못하더라고요. 한다고 해도 겉햟기로 하고 물론 학습을 더 잘 시키면 가능은 하겠지만 현재기준으로는 못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깊게 질문해도 가벼운 내용 혹은 잘못된 정보를 말하기도 하는데 그 부분을 짚지 않으면 대형사고 날거같은 코드도 막뱉어서요. 현재기준으론 위 두개를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 @seonjunmoon2024
    @seonjunmoon202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9

    근데 실력을 입증하려면... 도대체 기준이 너무높아서 어이가 없긴 합니다. 무슨 업무를 그냥 요즘은... 왠만큼 잘하지 않고서야 정말... ㅈ소기업도 이력서 천개 쌓이던데 보면 기가찹니다.

  • @user-nn9ek713ek
    @user-nn9ek713e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대체 드립치는 애들은 개발자가 아니거나 누구나 최저임금주고 대체 가능한 단순 코더들임 아직 대체되려면 한참 남앗음 ㅋㅋ

  • @Son-lm5mf
    @Son-lm5m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캬 좋은 질문에 좋은답변에 양쪽에서 좋은 생각을 얻어갑니다❤❤

  • @user-seunghso
    @user-seunghs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사연자랑 똑같이 18학번 데사전공하고 웹개발하고 있는데 정확하게 동일한 고민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요ㅠㅠ 걱정이 많습니다

  • @ymj2934
    @ymj293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학벌이 좋으시니까 관리자급으로 가고 싶으면 웹개발 하셔도 괜찮음

  • @alwoehvlwlsbdielg
    @alwoehvlwlsbdiel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미시간에서 데싸 전공을 해놓고 왜 웹개발을 하려고 하시나요.....

  • @mega7442
    @mega744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5:15 실력이라는걸 딱 집어서 어떤걸 어떻게 평가되는 걸 의미하나요?

    • @찢재명-z3o
      @찢재명-z3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Ai가 짜줘도 그거 에러 개많던데 ㅋ 아직까진 gpt 개노답임 큰 흐름은 그거 따라 개발해도 결국 리팩토링 필요함

  • @RX-0-s2m
    @RX-0-s2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학생은 취업하기 힘들어요. 일단 비자 스폰서부터 구하세요.

  • @mduniv
    @mduniv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좋은 영상 감사해요. :)

  • @java-spring-kotlin
    @java-spring-kotli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한팀에서 한 개인이 한다면 그냥 혼자 창업하는게 더 낫지 않나요

    • @mayday274
      @mayday27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창업이 하기만 하면 성공하는거임?ㅋㅋ

  • @lawrencequinn5666
    @lawrencequinn566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경력22년차 리딩개발자입니다, 지금 600억짜리 플젝 하고잇습니다, 아침출근길에 갑갑? 답답해서ㅈ한자적고갑니다
    고민할 시간에 공부하세요
    gpt로 짜준 코드 여러분들이 백퍼 이해되나요? 그거 복붙해서 사용가능할 정도 실력부터 키우세요

  • @IiIiiiiiIiiiiiIIIIIIII11
    @IiIiiiiiIiiiiiIIIIIIII1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큰틀의 터전 감사합니다.

  • @java-spring-kotlin
    @java-spring-kotli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웹 개발 말곤 할게 없..

    • @alwoehvlwlsbdielg
      @alwoehvlwlsbdiel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DBA, 데이터 엔지니어, 인프라, 네트워크, 임베디드, 펌웨어, 시스템, AI, SW R&D, 데이터 분석, ios, 안드로이드, 게임 클라이언트, 아키텍터, 데브옵스, 클라우드 엔지니어...

    • @java-spring-kotlin
      @java-spring-kotli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저기서 절반은 뽑지도 않고 DBA, 인프라, 블록체인, 데브옵스는 백엔드 개발자로 일하다가 주니어때 전향하지 않나요

    • @alwoehvlwlsbdielg
      @alwoehvlwlsbdiel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java-spring-kotlin 대부분 직군은 신입 채용이 있습니다. 다만 최근 기업 유형이 서비스 스타트업이나 SI 업체가 많기 때문에 문이 작은건 사실이죠.
      말씀하신 직군 중 DBA는 보통 석/박사급이 많고, 인프라/데브옵스/블록체인은 백엔드랑 크게 상관 없습니다.백엔드에서 전향이 많은 직군은 데이터 엔지니어죠.

    • @alwoehvlwlsbdielg
      @alwoehvlwlsbdiel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java-spring-kotlin 문이 작은 것도 사실이지만, 지원자가 적은 것도 사실이니 오히려 조금만 잘해도 귀한 인재 취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네트워크, 시스템, 펌웨어, SW R&D 같은 직군은 통신 3사나 삼전, 하닉, LG전자 같은 대기업에서 없어서 못구하는 직군입니다.

    • @java-spring-kotlin
      @java-spring-kotli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alwoehvlwlsbdielg 아하 그렇군요 좋은 인사이트를 얻었네요 감사합니다

  • @후후훗-i7f
    @후후훗-i7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AI로 웹개발자 대체되려면 한참 멀었어요..
    일단 AI가 코딩한다고 회사에서는 고려를 하고 있는데...
    쉽지 않아요..
    AI가 질문의 답은 잘하지만 뭔가 통합해서 하는작업은 아직 못합니다.
    부분 부분 질문을 해줘야 AI가 답을 주는데.. 이런형식으로 한 세월이고
    그런 질문을 던질수 있는사람도 웹개발자입니다.
    오히려 가장 위험한 쪽은 데이터 분석, AI 사업 분야입니다.
    웹개발보단 우대해주고 있는 분야이지만.. 대체하기가 훨씬 쉬운 분야이기도 합니다.
    웹개발이 처음 접하기도 쉽고해서 예전부터 웹개발자 대체하기 위하여 로우레벨 코딩등 개발자 없이 사이트를 개발할수 있는 기술들이 많이 등장하고
    저가로 홈페이지도 뚝딱, 쿠팡같은것도 양산할수 있는 업체, 기술들이 마구 쏟아졌지만... 대체를 못했습니다. (진짜 왜그럴까?)
    만약 AI한테 질문을 던져서 쿠팡 하나 만들어줘 했을때... 쿠팡을 만들수 있는 수준이되더라도 웹개발자는 지속적으로 필요할겁니다.

  • @ehdhxhhxkfff
    @ehdhxhhxkff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게임은 별로인가보네요 ,,
    항상 언급조차 안되는ㅋㅋ

    • @MN-do7hk
      @MN-do7h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국 게임 산업 10창인게 좀 큰듯

    • @dHxuqDSoWRpOtVnQ
      @dHxuqDSoWRpOtVnQ 3 месяца назад

      한국 게임산업이 매우 별로라 그렇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하하

  • @JavaCoffee-0621
    @JavaCoffee-06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자바 웹개발 학원 나와서 웹개발도 재밌긴 한데 ERD가 궁금한데요. 혹시 요즘 어떤지 아시나요? 개인적으로 회계도 좀 좋아해서..

    • @20wi47
      @20wi4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erp말씀이신가여

    • @JavaCoffee-0621
      @JavaCoffee-06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0wi47 아고 ㅋㅋ erd보고있다가 썼더니 오타났네여. 네 erp요. 겉듣기로는 고인물 많고 자리가 없다 들었는데..

    • @어흥이예랑
      @어흥이예랑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회계랑 ERP랑은 좀 많이 달라요 ㅋㅋㅋㅋ

    • @JavaCoffee-0621
      @JavaCoffee-06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흥이예랑 그게아니라 네이버 회계파트 친구가 새 시스템개발로 개발자랑 협업하는데 저에게 그런것도 있다 추천해줘서요. 회계는 그냥 단순 관심사입니다

    • @JavaCoffee-0621
      @JavaCoffee-062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흥이예랑 네이버페이 파트 친구가 얘기해준게 있어서요.

  • @한우갈비-e1q
    @한우갈비-e1q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회사 = 경영집단+노동집단
    노동집단 중 개발집단 = 상위 관리자 ~ 아키텍처 ~ 실제 구현 개발자
    ai의 성능이 무한하다고 가정해보자. 그럼 실 구현은 당연히 대체될거고 아키텍처도 마찬가지. 이 ai를 관리하는 ai도 있을테니 상위 관리자도 대체. 그럼 노동자 집단은 전부 대체됨. 경영? 회사는 무조건 소유자가 있어야함. 그래서 경영ai가 실제 경영업무를 수행하더라도 이를 소유하고 있는 실 소유자는 있어야함.
    이렇게 극단화를 하면 실 소유자를 제외하면 모두가 대체됨. 아니면 각 업무별 ai를 운영하는 오퍼레이터 직군만 남아있을거임
    결국 대체될거라는 두려움에서 빠져나오고 싶으면 압도적 실력을 보여서 ai 발전속도보다 빠른 성장을 하던가 회사의 소유자가 되어야함
    노동자 영역에서는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음. ai 발전속도를 이길수 없기에.

    • @tonylim1225
      @tonylim122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단순 코딩, OOP 원칙에 맞는 리팩토링, 에러 디버깅에 대해서는 LLM 이 그 누구보다도 잘 한다고 자부합니다.
      다만, AI가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과연 비즈니스 컨텍스트와 팀 상황에 맞게 적합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가?" 에 대해 의문입니다.
      또한 "해당 선택의 기로들에 대해서 처리된 결과물들에 대해 관리할 수 있는가?" 에 대해서도요.
      이제 막 개발을 시작한, 깊은 고민을 하지 않는 개발자가 대체되는 것은 금방 올 것 같지만
      깊은 고민과 그에 맞는 방안을 구축하는 개발자분들이 대체될 수 있을까 모르겠네요.

    • @MN-do7hk
      @MN-do7h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여친 만들고 싶으면 잘생긴 얼굴을 가져라 같은 소리 하고 있네 씹ㅋㅋㅋ

    • @찢재명-z3o
      @찢재명-z3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tonylim1225 그게 ai가 대체 못하는 10x개발자 역량임

  • @loganj6203
    @loganj620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내일 일도 모르는데 뭘 저리 걱정하는지... 그냥 열심히 하고 미래에 맞춰 살아가면되지 나도 미국 대기업에서 일하고 있지만 저런거 걱정하며 생기지도 않을일 걱정하는거보면 좀 한심함.. 그 시간에 미래에 대한 준비를 하시길

  • @hhh1096
    @hhh109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해야 하는구나

  • @demian66
    @demian6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몇년만에 무슨일이 일어난건지 ㅠㅠ

    • @kundol
      @kundo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힘든세상이에여...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