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구현을 쉽게하는 방법을 분할정복이라고 생각해요. 크게 보면 복잡한 기능도 여러가지 작은 기능의 조합으로 분할될 수 있고 작은 기능을 더 작은 기능으로 분해하면 내가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기능으로 분해가 됩니다. 그래서 복잡한 기능이 있다면 알고리즘 순서도를 그려보는 연습을 하고 순서도 안에서 구현이 안되는 동작은 그 동작에 대한 순서도를 그려보는 방식으로 나눈다면 쉽게 구현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저는 사실 그냥 일단 해보는게 낫다는 의견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게 사실 요즘 실패하는 것 자체를 두려워하는 기저가 깔려있어서라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구현 해야할지 모르겠다? 이거 해서 실패 경험을 마주하면 어떻게하지? 라는 얘기랑 결이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저 같은 경우는 그려서 해결했어요. 코딩하는 순서를 대충이라도 그리거나, 순서를 적고 순서대로 구현하면서. 계속 수정해나간거 같아요.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을 프로그래밍 하라” 라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공유해서 피드백 할 수 있으면 더 좋구요. 큰 그림 부터 먼저 대충 적어가며 해결했어요.
향로님! 블로그 람다로 동적 페이지 구축하기에 댓글 남겼었는데, 궁금증 해결이 안되서 유튜브에도 댓글 남깁니다..! 저는 람다로 서버리스 api구축할 때, 동시성 이슈때문에 애먹은적이 있는데 블로그 글 상에서 이벤트 페이지를 람다로 구축하실 때 동시성 이슈를 어떻게 해결하셨는지 궁금합니다. 프로비저닝해서 사용하신걸까요?
저는 구현을 쉽게하는 방법을 분할정복이라고 생각해요.
크게 보면 복잡한 기능도 여러가지 작은 기능의 조합으로 분할될 수 있고 작은 기능을 더 작은 기능으로 분해하면 내가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기능으로 분해가 됩니다.
그래서 복잡한 기능이 있다면 알고리즘 순서도를 그려보는 연습을 하고 순서도 안에서 구현이 안되는 동작은 그 동작에 대한 순서도를 그려보는 방식으로 나눈다면 쉽게 구현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제가 느낀건 프로그래밍은 수학 문제 같다 였습니다. 문제가 있고 그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내가 알고있는 공식, 풀이법등을 활용해서 풀어야 하고 문제를 잘 풀기위해서는 연습문제를 죽어라 풀어야겠죠 그러니까 토이 프로젝트 하는거고 사이드 프로젝트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사실 그냥 일단 해보는게 낫다는 의견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게 사실 요즘 실패하는 것 자체를 두려워하는 기저가 깔려있어서라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구현 해야할지 모르겠다? 이거 해서 실패 경험을 마주하면 어떻게하지? 라는 얘기랑 결이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두 분 대화에서 백엔드 개발자의 생각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어 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오옷!!.
경력직 면접 궁금하네요. 이제 곧 3년차가 되고 있고 이직 생각이 생기는데, 어디서부터 준비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경력직 개발자의 이직에 대해서도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ㅋㅋ난 11살에 코딩시작했는데 이 바닥 확실한건 역량이란건 결국 걍 입 닫고 묵묵하게 하는 애들이 결국 살아남음 팩트임
12:36 주니어분들은 꼭 되짚어 볼만하네요..
살빠진 매직박 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ㅇㅈ
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 빵터졌음
개추
굽
덥네요. 두 분 다 건강하시길!
누군가 저에게 너 구글링 하지 않고 만들 수 있어?? 라고 질문을 했었는데....왜 구글링을 하지 않고 개발을 해야되는거지? 라는 생각이들더라고요. 충분히 구글링을 통해서 개발하는것도 역량이 아닐까...하는 생각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그려서 해결했어요. 코딩하는 순서를 대충이라도 그리거나, 순서를 적고 순서대로 구현하면서. 계속 수정해나간거 같아요.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을 프로그래밍 하라” 라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공유해서 피드백 할 수 있으면 더 좋구요. 큰 그림 부터 먼저 대충 적어가며 해결했어요.
좋은 말씀이네요, 처음가는 길은 멀리 느껴지지만 계속 가다보면 쉽게 가게되고 익숙해진다... 😊
오?
썸네일 폼 미쵸따!!
개발바닥 초기에 말씀하셨던 호돌맨님 이력서 vs 향로님 이력서 보고싶어요 ㅋㅋ
어디서 봤는데 구현 능력은 (알고리즘이든 서비스 개발이든) 피지컬이라고 합니다 ㅋㅋ
뭘 하더라도 기본 체급을 키워 두면 도움이 된다는거죠
오늘도 좋은 인사이트 많이 받고 갑니다 취준하는 입장에서 어떻게 해야될지, 그리고 취업을 하게 된다면 그 이후에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공부해야될 지도 알 수 있는 영상이네욤 감사합니다!
알고리즘을 축구 선수의 달리기 속도로 비유하는것을 어디선가 들은것 같네요. 개발자의 기본기인 만큼 갖춰야하는 요소는 맞지만 달리기 빠르다고 축구 잘하는건 아니니깐.. 같이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베스트 인 것 같네요.
축구선수의 달리기 속도에 비유하는건 순 엉터리네요
호돌쇼를 보고 내 인생이 달라졌다
호돌맨님 뭔가 무서웠는데 오늘 되게 친절한 선배님 느낌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안무서워요 감사합니다 ㅋㅋ 😭
끊임없이 생각하다 보면 어느 순간에 팍하고 해결되는 과정이 오는 것 같기도 합니다
좋은 영상과 조언 감사합니다.
출근길 최고의 선택
그렇다. 삽질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삽을 퍼야 하는가.
또 삽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무엇을 퍼야 하는가.
그리고 왜 퍼야 하는가. 수많은 고민과 고찰이 필요한 일이라 생각합니다.
레벨에 따라서 필요한 구현 역량이 너무 달라서 좀 애매한것 같습니다.
드디어 세계 최초 예능지향 DEV 엔터테인먼트 토크쇼에 걸맞는 섬네일이 되었군요
네카 가서도 알고리즘 공부하는건 구글가려는거 아닐까요. 빅테크는 코테만 보니깐요
코테에 올인하게 만든 채용공고 들이 워낙 많았죠....
요즘 사라지는중 입니다 과제테스트로 바뀌는 추세고 아마 내년쯤부터는 대기업들도 과제테스트로 바꾸지않을까 싶네요
@@토스-c4g애초에 대체될 수가 있나요?
@@토스-c4g 면접프로세스에 과제 테스트가 추가되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대체를 하나요?
잘들었습니다. 백엔드 공부중인데 공감가네요. 코드보면 어느정도 이해되고 복붙 수정하면 구현은 가능한데 백지상태에서 하라고하면 머리가 하얘짐ㅠ 과제테스트로 구현연습해보고 싶은데 이건 면접가야지만 할수있는건가요? 검색해봐도 프로그래머스의 과제테스트 말고는 안나오네요
저도 완전 처음에는 막막했는데 구현관련 문제 풀다보니 백지상태에서 조금씩 할수있더라구용 삼성역량테스트쪽 문제 추천드려요
호돌님 점점 잘생겨지시는거같은느낌..
저도 같은 생각 ㅋㅋㅋ
말씀 삼가주세요... 살빠진 매직박님이십니다..
호돌아 일해라
호돌맨 어머님 여기서 이러시면 안 됩니다
살빠진 매직박ㅋㅋㅋㅋㅋㅋㅋㅋ
참고로 호돌님 러브라이브 좋아하십니다.
앜 살 빠진 매직박 말구 배우 이동휘로 하시죠!!😂
😭
매직박? 누군지 몰라서 검색해봤는데
닮았네요 ㅋㅋㅋㅋㅋ
썸네일이 인상깊네요
코파민 중독 😂
1~2주면 시간이 부족해서 못할 수 있나 밤을 새서 해도 되는건데
개발+마술이면 채소 30만
11:45
출최선~
향로님! 블로그 람다로 동적 페이지 구축하기에 댓글 남겼었는데, 궁금증 해결이 안되서 유튜브에도 댓글 남깁니다..!
저는 람다로 서버리스 api구축할 때, 동시성 이슈때문에 애먹은적이 있는데
블로그 글 상에서 이벤트 페이지를 람다로 구축하실 때 동시성 이슈를 어떻게 해결하셨는지 궁금합니다.
프로비저닝해서 사용하신걸까요?
제목이..좀 그렇네요😢
헤이 못토 와라이타이노니 못토 스나오니 나리타이노니 헤이 이마 카가야키타이노니 손나 키모치와 코코데 사이고니 헤이 우다우다 구치라나이데 스구 테라시테아게루카라 키미노 테오 니기리시메테와 케시테 하나시와 시나이카라
😧
@@devbadak 와 일본어 개잘하시네여 ㄷㄷ
@@devbadak 근데 무슨 뜻인가여 ㄷㄷ
ㅣ
와 1등
1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