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역량은 어떻게 키워야하는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66

  • @maybeSecret
    @maybeSecret Год назад +29

    저는 구현을 쉽게하는 방법을 분할정복이라고 생각해요.
    크게 보면 복잡한 기능도 여러가지 작은 기능의 조합으로 분할될 수 있고 작은 기능을 더 작은 기능으로 분해하면 내가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기능으로 분해가 됩니다.
    그래서 복잡한 기능이 있다면 알고리즘 순서도를 그려보는 연습을 하고 순서도 안에서 구현이 안되는 동작은 그 동작에 대한 순서도를 그려보는 방식으로 나눈다면 쉽게 구현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해요

  • @zx25r-kawasaki
    @zx25r-kawasaki Год назад +26

    제가 느낀건 프로그래밍은 수학 문제 같다 였습니다. 문제가 있고 그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내가 알고있는 공식, 풀이법등을 활용해서 풀어야 하고 문제를 잘 풀기위해서는 연습문제를 죽어라 풀어야겠죠 그러니까 토이 프로젝트 하는거고 사이드 프로젝트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 @알로하오에-l9y
    @알로하오에-l9y Год назад +24

    저는 사실 그냥 일단 해보는게 낫다는 의견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게 사실 요즘 실패하는 것 자체를 두려워하는 기저가 깔려있어서라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구현 해야할지 모르겠다? 이거 해서 실패 경험을 마주하면 어떻게하지? 라는 얘기랑 결이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 @nullnull_not_eq_null
    @nullnull_not_eq_null Год назад +8

    두 분 대화에서 백엔드 개발자의 생각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어 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doorheon
    @doorheon Год назад +11

    경력직 면접 궁금하네요. 이제 곧 3년차가 되고 있고 이직 생각이 생기는데, 어디서부터 준비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경력직 개발자의 이직에 대해서도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코인불장졸업
    @코인불장졸업 Год назад +11

    ㅋㅋ난 11살에 코딩시작했는데 이 바닥 확실한건 역량이란건 결국 걍 입 닫고 묵묵하게 하는 애들이 결국 살아남음 팩트임

  • @조영민-v8r2u
    @조영민-v8r2u Год назад +5

    12:36 주니어분들은 꼭 되짚어 볼만하네요..

  • @johnjeong5044
    @johnjeong5044 Год назад +46

    살빠진 매직박 ㅋㅋㅋㅋㅋㅋ

  • @yejunjang1058
    @yejunjang1058 Год назад +1

    덥네요. 두 분 다 건강하시길!

  • @jipdol2638
    @jipdol2638 Год назад +4

    누군가 저에게 너 구글링 하지 않고 만들 수 있어?? 라고 질문을 했었는데....왜 구글링을 하지 않고 개발을 해야되는거지? 라는 생각이들더라고요. 충분히 구글링을 통해서 개발하는것도 역량이 아닐까...하는 생각입니다

  • @핀-h3m
    @핀-h3m Год назад +7

    저 같은 경우는 그려서 해결했어요. 코딩하는 순서를 대충이라도 그리거나, 순서를 적고 순서대로 구현하면서. 계속 수정해나간거 같아요.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을 프로그래밍 하라” 라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공유해서 피드백 할 수 있으면 더 좋구요. 큰 그림 부터 먼저 대충 적어가며 해결했어요.

  • @가글Gageul
    @가글Gageul Год назад

    좋은 말씀이네요, 처음가는 길은 멀리 느껴지지만 계속 가다보면 쉽게 가게되고 익숙해진다... 😊

  • @bang_rr
    @bang_rr Год назад +8

    썸네일 폼 미쵸따!!

  • @zx25r-kawasaki
    @zx25r-kawasaki Год назад +10

    개발바닥 초기에 말씀하셨던 호돌맨님 이력서 vs 향로님 이력서 보고싶어요 ㅋㅋ

  • @yondoreu
    @yondoreu Год назад +2

    어디서 봤는데 구현 능력은 (알고리즘이든 서비스 개발이든) 피지컬이라고 합니다 ㅋㅋ
    뭘 하더라도 기본 체급을 키워 두면 도움이 된다는거죠

  • @MD-te1lz
    @MD-te1lz Год назад +3

    오늘도 좋은 인사이트 많이 받고 갑니다 취준하는 입장에서 어떻게 해야될지, 그리고 취업을 하게 된다면 그 이후에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공부해야될 지도 알 수 있는 영상이네욤 감사합니다!

  • @study0cho
    @study0cho Год назад

    알고리즘을 축구 선수의 달리기 속도로 비유하는것을 어디선가 들은것 같네요. 개발자의 기본기인 만큼 갖춰야하는 요소는 맞지만 달리기 빠르다고 축구 잘하는건 아니니깐.. 같이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베스트 인 것 같네요.

    • @잠시사용-t9v
      @잠시사용-t9v Год назад

      축구선수의 달리기 속도에 비유하는건 순 엉터리네요

  • @KORDEVBACKEND
    @KORDEVBACKEND Год назад +1

    호돌쇼를 보고 내 인생이 달라졌다

  • @rachel-su1nm
    @rachel-su1nm Год назад

    호돌맨님 뭔가 무서웠는데 오늘 되게 친절한 선배님 느낌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devbadak
      @devbadak  Год назад

      안무서워요 감사합니다 ㅋㅋ 😭

  • @sSJunSs
    @sSJunSs Год назад

    끊임없이 생각하다 보면 어느 순간에 팍하고 해결되는 과정이 오는 것 같기도 합니다

  • @ophiuchus3434
    @ophiuchus3434 Год назад +1

    좋은 영상과 조언 감사합니다.

  • @삐용이-z8q
    @삐용이-z8q Год назад +2

    출근길 최고의 선택

  • @no-Name..
    @no-Name.. Год назад +3

    그렇다. 삽질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삽을 퍼야 하는가.
    또 삽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무엇을 퍼야 하는가.
    그리고 왜 퍼야 하는가. 수많은 고민과 고찰이 필요한 일이라 생각합니다.

  • @코와이-q6g
    @코와이-q6g Год назад +3

    레벨에 따라서 필요한 구현 역량이 너무 달라서 좀 애매한것 같습니다.

  • @Le_no_x
    @Le_no_x Год назад

    드디어 세계 최초 예능지향 DEV 엔터테인먼트 토크쇼에 걸맞는 섬네일이 되었군요

  • @josang1204
    @josang1204 Год назад +1

    네카 가서도 알고리즘 공부하는건 구글가려는거 아닐까요. 빅테크는 코테만 보니깐요

  • @chulgunsirru
    @chulgunsirru Год назад +2

    코테에 올인하게 만든 채용공고 들이 워낙 많았죠....

    • @토스-c4g
      @토스-c4g Год назад +3

      요즘 사라지는중 입니다 과제테스트로 바뀌는 추세고 아마 내년쯤부터는 대기업들도 과제테스트로 바꾸지않을까 싶네요

    • @ppguin6844
      @ppguin6844 Год назад

      @@토스-c4g애초에 대체될 수가 있나요?

    • @eung-ae12345
      @eung-ae12345 Год назад +2

      @@토스-c4g 면접프로세스에 과제 테스트가 추가되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대체를 하나요?

  • @JS-he8rk
    @JS-he8rk Год назад

    잘들었습니다. 백엔드 공부중인데 공감가네요. 코드보면 어느정도 이해되고 복붙 수정하면 구현은 가능한데 백지상태에서 하라고하면 머리가 하얘짐ㅠ 과제테스트로 구현연습해보고 싶은데 이건 면접가야지만 할수있는건가요? 검색해봐도 프로그래머스의 과제테스트 말고는 안나오네요

    • @김영현-q2g
      @김영현-q2g Год назад +1

      저도 완전 처음에는 막막했는데 구현관련 문제 풀다보니 백지상태에서 조금씩 할수있더라구용 삼성역량테스트쪽 문제 추천드려요

  • @Devotetoday96
    @Devotetoday96 Год назад +3

    호돌님 점점 잘생겨지시는거같은느낌..

    • @gaejm1
      @gaejm1 Год назад

      저도 같은 생각 ㅋㅋㅋ

    • @니코-h1t
      @니코-h1t Год назад +2

      말씀 삼가주세요... 살빠진 매직박님이십니다..

    • @xizASwojQG
      @xizASwojQG Год назад

      호돌아 일해라

    • @MrSecretFolder
      @MrSecretFolder Год назад

      호돌맨 어머님 여기서 이러시면 안 됩니다

  • @lumina3914
    @lumina3914 Год назад

    살빠진 매직박ㅋㅋㅋㅋㅋㅋㅋㅋ

  • @rispyk3796
    @rispyk3796 Год назад

    참고로 호돌님 러브라이브 좋아하십니다.

  • @yeonheehan1095
    @yeonheehan1095 Год назад

    앜 살 빠진 매직박 말구 배우 이동휘로 하시죠!!😂

  • @음다-f8u
    @음다-f8u Год назад

    매직박? 누군지 몰라서 검색해봤는데
    닮았네요 ㅋㅋㅋㅋㅋ

  • @tscofet
    @tscofet Год назад

    썸네일이 인상깊네요

  • @isitblacktea
    @isitblacktea Год назад

    코파민 중독 😂

  • @titleun1052
    @titleun1052 Год назад

    1~2주면 시간이 부족해서 못할 수 있나 밤을 새서 해도 되는건데

  • @gyeommyu
    @gyeommyu Год назад

    개발+마술이면 채소 30만

  • @green__apple
    @green__apple Год назад

    11:45

  • @chulgunsirru
    @chulgunsirru Год назад

    출최선~

  • @전완기-j2i
    @전완기-j2i Год назад +1

    향로님! 블로그 람다로 동적 페이지 구축하기에 댓글 남겼었는데, 궁금증 해결이 안되서 유튜브에도 댓글 남깁니다..!
    저는 람다로 서버리스 api구축할 때, 동시성 이슈때문에 애먹은적이 있는데
    블로그 글 상에서 이벤트 페이지를 람다로 구축하실 때 동시성 이슈를 어떻게 해결하셨는지 궁금합니다.
    프로비저닝해서 사용하신걸까요?

  • @kwohyuno3877
    @kwohyuno3877 Год назад +1

    제목이..좀 그렇네요😢

    • @devbadak
      @devbadak  Год назад +8

      헤이 못토 와라이타이노니 못토 스나오니 나리타이노니 헤이 이마 카가야키타이노니 손나 키모치와 코코데 사이고니 헤이 우다우다 구치라나이데 스구 테라시테아게루카라 키미노 테오 니기리시메테와 케시테 하나시와 시나이카라

    • @FolksOfBeaveryTown
      @FolksOfBeaveryTown Год назад +3

      😧

    • @eung-ae12345
      @eung-ae12345 Год назад

      @@devbadak 와 일본어 개잘하시네여 ㄷㄷ

    • @eung-ae12345
      @eung-ae12345 Год назад

      ​@@devbadak 근데 무슨 뜻인가여 ㄷㄷ

  • @맘마단
    @맘마단 Год назад

  • @조인혁-v5m
    @조인혁-v5m Год назад

    와 1등

  • @anju3097
    @anju3097 Год назад

    1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