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벽지위 웨인스코팅(2편)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맛과멋-f1s
    @맛과멋-f1s 4 года назад

    많은 정보 감사합니다.

  • @boongboong2
    @boongboong2 5 лет назад

    사장님 올려주는 영상 너무나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번에 셀프로 옥상 우레탄 방수를 하려고 하는데 몇가지 궁금증이 풀리지 않아 이렇게 도움을 구합니다.
    우선, 연삭기를 이용하여 약 20평 되는 옥상 면갈기를 할 예정입니다. 그런다음 하도, 중도, 상도를 할때 사용할 롤러 붓을 어떤걸 써야할지 헷갈리네요. 모든 단계를 수성 롤러로만 써야할지, 아님 하도, 상도는 겸용 로라를 쓰고 중도때만 두께를 올리기 위해 수성을 써야할지 판단이 잘 서질 않습니다. 그리고 만약 방수 후 이어서 에너지 세이버 쿨루프 수성을 시공할 경우 상도 위에 프라이머 시공 후 해야할지 아님 건너 뛰어야할지도 판단이 서지를 않습니다. 전체적으로 소요 될 우레탄 하도 중도 상도 자제 소요량도 말씀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바쁜신 중에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운날씨에 건강 조심하시길 빕니다. 유용한 정보들 또한 감사합니다.

    • @paintmarket
      @paintmarket  5 лет назад +1

      옥상방수 작업을 직접 해보시려고 하는군요 정말 많은 분들이 직접 시공을 하셧는데 경우에 따라서 좀 고생스럽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말 잘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우선 옥상 방수작업을 하실 때 하도는 털이 많은 수성용 로울러로 하시면 됩니다 하도를 바르시면서 하도가 바닥면에 많이 고이지 않게 골고루 잘 펴주듯이 바르시면 됩니다 하도가 듬뿍 몰리는 곳은 기포가 생길 수있으니 1차 바르시면서 기포가 올라오면 하도를 묻히지말고 살며시 한두번씩 로울러로 펴주시면 기포는 없어집니다 날씨와 기온에 따라서 다르긴 하겠지만 1차 시공하시고 나서 요즘날씨 기준이면 대략30분~1시간정도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2차 하도 작업을 잘 해주세요 옥상 우레탄 시공이나 실내 에폭시 바닥시공시에 가장 중요한 작업은 바탕면처리와 하도 작업입니다 중도는 도막의 두께에 따라서 바르는 방법이 다른데 로울러 도장으로 시공할 경우 수성용 로울러를 사용하면 되고 가장 좋은 방법은 1차와 2차로 나누어서 바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시간이 바쁘실 경우에는 한번에 약간의 두꼐를 주면서 시공 해서 1회로 마무리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처럼 기온이 30도 이상 높은 경우에는 기온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4시이후에 시공 하세요 한 낮에는 시공을 피하시고요 1차 중도 작업후 대략 24시간 경과후 다시한번 동일한 방법으로 중도를 바르시면 됩니다(이 경우 아마 전날 사용한 로울러는 굳어 있을것이므로 새 로울러를 사용하셔야 할겁니다) 중도를 시공하는 방법은 일액형 중도일 경우는 위와 같이 로울러로 도장하시면 매우 편리 합니다 1액형 중도도 레기(톱날 헤라)를 이용해서 시공이 가능 하나 한번에 너무 과하게 (약 2미리 이상)도막 두께를 올릴경우 건조불량 또는 부풀음 현상(바닥면이 약 40도이상 고온일 경우)등이 발생할 수있으니 톱날헤라를 사용해서 시공할 경우에는 저에게 전화 하셔서 상담을 받으시면 됩니다(010-7343-7707) 상도는 수성 로울러나 겸용로울러 정도 사용 하시면 큰문제 없습니다 간혹 시공 하시고 남은 상도를 한곳에 아주 두껍게 부어 놓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경우 갈라짐 현상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상도는 전체적으로 빠짐없이 코팅하듯이 얇게 하시면 됩니다 에너지세이버 우레탄(쿨루프)은 수성 타입과 유성 타입이 있습니다 우레탄 방수를 하시면서 쿨루프까지 원하시면 중도까지 시공하시고 나서 일반 우레탄 상도를 시공하지 말고 에너지세이버 우레탄R 이라는 제품으로 바꿔서 상도를 마감하시면 됩니다 옥상방수를 우레탄으로 하기 때문에 수성 쿨루프 제품보다는 같은 우레탄으로 마감하시는것이 문제가 없겠지요 내용이 많이 길었네요 요약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하도, 중도, 상도 모두 수성 로울러 사용가능함. 겸용로울러 사용하실거면 상도 할때 쓰시면 됨. 에너지세이버 우레탄은 하도와 중도후에 별도로 하도작업없이 중도 위에 일반상도 대신 시공 하시면됨. 필요한 자재문의는 위 전화 번호로 문의 주시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boongboong2
      @boongboong2 5 лет назад

      바쁘신 중에도 자세하고 친절한 설명 주신 사장님께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곧 시간이 허락되는데로 작업을 하려 합니다. 그전에 전화 드려 감사하다는
      인사를 직접 전하면서 소요 자재 관련해서 궁금한 점을 다시 한번 여쭙겠습니다. 더운 날씨에 건강 조심하시고 하시는 사업 번창하십시오 ~ 다시 한번 감사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 @younghoshin5257
    @younghoshin5257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수고하세요

  • @김겟타
    @김겟타 5 лет назад

    좋은영상들 감사합니다 사장님^^ 페인트에관해선 모르시는게 없으니 박사님이라고 불러드려도 될것같습니다! 제가 10월중순쯤에 가게계약을해서 바닥공사를 해야하는데 도끼다시에 데코타일이 깔려있는 바닥입니다. 컬러에폭시를 시공하려고하는데, 데코타일위에는 아무래도 불안하고 다 걷어내서 도끼다시바닥에 시공하려고 합니다! 수평몰탈은 사용이 불가능한 구조입니다ㅠㅠ 어떤 방법과 재료를 사용해야 들뜨지않고 튼튼하게 시공할 수 있을까요?? 조언을 주실 수 있을까요?

    • @paintmarket
      @paintmarket  5 лет назад

      페인트 박사는 과찬이고요 저도 모르는것 상당히 많습니다 ... 도끼다시위에는 일반적인 하도를 사용하시면 부착이 약합니다 따라서 부착이 나오는 하도로 바꾸시면 되며 시공에관한 아주 자세한 방법은 모두 알려드리고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잘 하셨고요...... 걱정하시지 말고 10월 초에 현장 사진 찍으시고 면적 계산해서 카톡으로 보내주시면 분석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현장작업중이거나 전화량이 많아서 못받는 경우가 좀있으니 추가적인 궁금점은 카톡이나 메세지 남겨 주세요 010-7343-7707 입니다

  • @너불이-k1k
    @너불이-k1k 5 лет назад

    영상 잘 봤습니다 너무 이쁘네요
    근데 석고면은 mdf합판 댈때 실리콘 바르고 타카 쏘면 될거 같은데 조적벽은 mdf합판을 어떻게 고정하는 걸까요???^^;;;;;;;

    • @paintmarket
      @paintmarket  5 лет назад

      문의 하신 내용은 목수분 께서 답해드려야할 내용인것 같습니다만 제가 알고 있는 부분만 말씀드려 봅니다 조적벽에는 직접 합판이나 mdf판을 붙이기가 쉽지않으니 기본 조적 바탕면에 각재를 먼저 대고 나서 그 각재위에다가 mdf나 석고보드를 본드로 바르고 타카 처리해서 붙이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게 1-2겹으로 잡아주고나서 도장작업으로 마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혹시 오류가 있거나 다른 방법이 있으면 전문가 분께서 말씀 부탁드립니다

    • @akintv1973
      @akintv1973 5 лет назад

      콘크리트 타카를 써두 되고 에폭시 본드 로 시공해도 될듯~~

  • @sseunggyun9887
    @sseunggyun9887 5 лет назад

    궁금한게 있는데요 바닥에 에폭시 시공할때 신나를 넣는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넣어도 관계없지 않나요?

    • @paintmarket
      @paintmarket  5 лет назад

      에폭시는 보통 용제형 에폭시와 무용제형 에폭시 정도가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용제형 에폭시는 말그대로 희석제(신너)를 일정한 비율에 맞게 사용해서 작업하는 제품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무용제형 에폭시는 희석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얘기인데 반드시 그런것은 아닙니다 제조사의 제품 설명서에는 보통 무희석이라고 표기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에폭시는 기온의 변화에 따라서 제품의 성질이 매우 민감하게 반응 합니다 예를들면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상당히 묽은편이되고 기온이 낮은 한겨울철에는 매우 점도가 되어 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무희석 또는 최소량희석으로 작업하시면 되며 겨울철에는 조금 더 첨가해서 작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겨울철 같은 경우 신너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는 작업이 힘든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에폭시 라이닝의 장점인 셀프 레벨링성도 제대로 나오지않아 마감결과가 않좋게 나오기도 합니다 현장에서 에폭시라이닝시공은 여러가지 테크닉이 있는데 일일이 모두 열거 하기는 어렵습니다 주의해야할 점은 무용제형에폭시에 신너를 과하게 첨가하면 경화가 되지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있으니 주의 하셔야하고 신너를 희석하게되면 에폭시 고유의 물성에 약간의 변화가 생기기도 합니다만 큰 문제는 없습니다보다 더 구체적인 궁금점은 전화 주시면 알려드리겠습니다 010-7343-7707

    • @paintmarket
      @paintmarket  5 лет назад

      용제형에폭시는 로울러 도장으로 시공을 하고 동일한 양으로도 에폭시라이닝보다는 시공할 수있는 면적이 훨씬 많습니다 반면에 무용제형 에폭시 라이닝은 레기(톱날처럼생긴 도구)로 시공을 하며 용제형에폭시보다는 후도막(두꺼운 도막)을 만들어 낼 수있고 마감의 질감이 우수 합니다 한 말로 시공할 수 있는 면적도 용제형보다는 많이 적습니다

  • @designback6762
    @designback6762 5 лет назад

    사장님 영상 잘보고있는데요 혹시 mdf에 빠데말고 서페이서 작업한다고하는데 도대체이 서페이서작업이 뭘로하는걸까요?

    • @paintmarket
      @paintmarket  5 лет назад

      퍼티(빠데)는 보통 크랙부분이나 이음새 부분 또는 홈이 있을경우 메꿈용도로 사용을 하시고요 서페이서는 표면처리제로서 퍼티작업후 목재등에 있는 눈메꿈용으로 표면을 일차적으로 메꿔서 마감 상도의 품질을 높여주는 역활을 합니다 유성 서페이서는 일반적으로 락카 서페이서를 많이 사용하며 수성 서페이서는 젯소를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MDF표면은 목재로 보통 유성 작업으로 마무리를 할경우에는 락카서페이서를 사용합니다 용제는 락카신너이고 냄새가 많이 심합니다 작업도구는 로울러도장 에어리스 뿜칠도장으로 1-2회정도 하시면 됩니다 특히 목재 절단면은 서페이서를 많이 흡수하므로 여러차례 도장해주셔야 합니다

  • @dha2976
    @dha2976 5 лет назад

    홈페이지에서 테이블에폭시 관련해서 카톡상담했는데 피드백이 없어요ㅠ

    • @paintmarket
      @paintmarket  5 лет назад

      아~~ 그러셧군요 저희가 업무가 너무 많아서 확인못했던것 같습니다 대단히 죄송합니다 테이블 에폭시 시공은 직접 설명을 드리는것이 좋습니다 문자로 전화번호를 남기시거나 직접 전화 주시면 자세히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10-7343-7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