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018] 항렬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항렬자(行列字)와 돌림자의 차이. 항렬자 운영 시스템 소개. 항렬자의 발생과 강제화 되는 과정 속개. 항렬자를 사용할 때 장점과 문제점 소개.

Комментарии • 12

  • @usocute123
    @usocute123 Месяц назад

    항렬자가 앞에 다음에는 뒤에 배치되는것은 음양의 원리입니다.

  • @smilebaby0704
    @smilebaby0704 2 года назад +2

    딸아이를 낳았는데 용자 넣어서 이름지었는데 용은이라는 좋은 이름을 발굴했습니다.
    저희 아버지께서 강요하셨지요^^
    문성공 29세손

    • @appleapple000
      @appleapple000 3 месяца назад

      철(기)자 항렬이세요? 저도 철(기)자 항렬입니다. 저도 자식낳으면 용(석) 항렬입니다.

  • @etymologist1976
    @etymologist197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항렬은 예로 족보에 가로 선을 그어 세대를 나눠 놓은 것을 항렬이라 합니다.

    항렬자는 예로 1세 부터 30세 까지 각 항렬에 음양오행 또는 십간지 등으로 만들어 정해진 모든 각 항렬의 글자를 통털어 항렬자라 합니다.
    돌림자는 항렬에 정해진 글자 하나를 돌림자라고 합니다.

    대개 돌림자는 가로 선(칸)에 해당되는 같은 항렬의 예로 같은 17世에 형제들이
    돌려(나눠)쓰는 글자여서 돌림자이며
    世를 구분하기 위해 지그재그 앞뒤로 돌려쓴자고 해서 돌림자라 합니다.
    대한제국 패망후 대한제국 산물인 모든 각 성씨의 대종회 와 각 성씨 족보가 갑자기
    일제강점기인 1920년 전후 발족 및 반간됩니다.
    즉 예전에는 돌림자 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일제강점기 친일파들이 무소불위 권력을 잡아 각 성씨 대지주 집안 재산을 불법으로 찬탈할 목적으로 집단적으로 조직화해 각 족보에 적장자로 위조해 재산을 찬탈하였습니다.
    이들은 족보도 돌림자도 역사에도 무지하였기에 돌림자을 무시하고 앞 항렬 또는 뒷 항렬에 삼대가 연속으로 같다 붙이기도 하고 형제로 위조해 갔다붙이면서 엉터리 이름 갔다붙여 형제가 돌림자가 다른 사례도 있습니다.
    즉 이들은 이런 거짓된 역사를 숨기려고 돌림자 대신 항렬자로 통칭하게 됩니다.
    참고로 저는 청주한씨 문정공파 종중회 총무이며
    저희 집에 증조부님께서 이승만 임정에 군자금 지원하신후 화를 당한후
    저희 집에 집단적으로 친일파들이 재산을 찬탈하였습니다.
    이들은 임진왜란때 저희 할아버지 만 살아 남으셔서 저희 할아버지를 낳으셨는데..
    그분을 서자로 변조하고 가공 인물을 적장자로 끼어넣고 허위 수단을 만들어
    일제강점기에 하세에 양자로 붙인것으로 꾸미고 저희 할아버지를 쫒차내고 찬탈한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들은 그후 임진왜란 때 희생되어 후사가 없는 방계 할아버지에 후손으로 갔다 붙이고
    상위 여러 지파를 만들어 100년 넘게 저희 집안 선산 및 토지를 수탈해 지금도 호의호식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약 10만에서 20만명이 가짜 한씨인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들 친일파들은 남의 자산을 불법으로 강탈하고 신분까지 귀족으로 세탁하였으며
    이것을 숨기려고 갑오개혁때 한씨성 받은 자들을 돈받고 족보에 수단하는 장사까지하며
    해마다 제사때 헌성금 장사까지합니다.
    친일파들 들러리 하다가 이들은 임원도 못해보고 조금씩 종사에 참여하지 않게되며
    결국 친일파들은 이들 뒤로 꼭 꼭 숨어 지금도 각 종중회를 대부분 장악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본인들이 친일파 후손것도 모르는 경우도 있으며
    또는 친일파 후손인거 알고 대를 이어 문서를 변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임진왜란 병자호란 이괄의난 식민지시대 무후인 곳에 불법적으로 갔다붙인 사례가 대부분입니다.
    또한
    가짜로 붙인것 숨기려고 한世대에 돌림자를 두개 세개까지 만들어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희집만 남성 약30여명 만 진짜 한씨이며 약10~20만명이 가짜입니다.
    추가 조사중이여서 더 늘어 날수도 있습니다.
    참고하십시오.

  • @moderator-l1w
    @moderator-l1w 3 года назад +2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참고로 저의 종중은 항렬자가 주/부 나뉘고 해서 21가지로 돌아갑니다 즉 주로 주항렬자를 사용하지만 부항렬자까지 합하면 약 40가지(2곳은 부항렬자없음) 항렬자가 되기에 항렬자만 들으면 대략 알수있으며 겹치는 이름도 드물다고 할수 있습니다 (항렬자는 거의 주항렬자로 사용함)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의 아버지만 해도
    집안 전체 항렬자가 았고
    가까운 친족만 쓰는 돌림자가 따로 있어서
    족보상 이름과 실제 이름이 다릅니다.

  • @jang2005224017
    @jang2005224017 2 года назад +1

    흥성장씨 항렬자가 궁금해요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릴때
    동기 이름중 한명이
    이름이 최낙순이었는대
    특별활동 신청할때
    남자만 받는 그룹이 있었는데
    이름때문에 탈락한 슬픈 사연이
    있죠

  • @appleapple000
    @appleapple000 3 месяца назад

    전문가도 아니면서 전문가 흉내 그만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