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치품은 원래부터가 절대 돈값 못하는 물건이었지. 국민소득 올라가서 더 이상 사치품들이 “돈 없어 못사는 제품”이 아니라 “사려면 살 수 있지만 돈값 못해서 안사는 제품”이 되어버렸으니까 굳이 살 필요가 없는것. 남의 시선 or 잠깐의 자기만족 외의 구매이유를 고객한테 줄 수가 없으니 더 이상 안사는거뿐
돈 있어도 사치에 소비를 하는게 도움됨?? 물론 저 듀프라는것도 결국엔 사치품의 디자인을 따라서 만들었다는 것에 니말이 맞긴함 어쩔수없이 돈이 없어서 사치품을 사지못해서 사는 그런 경향이 강하겠지 그런데 부자들이 사치품을 소비를 하는 이유중 제일 큰게 자기만족이라는 부분일텐데 그 자기만족이 인류사에 도움이 되냐고 그런의미에서 돈이 있던 없던 부자건 듀프제품을 사건 똑같이 생각없는건 맞다고 봄
명품이 패키지나 검수,고객경험 같은 부분에도 비용이 드는 건데 확실히 가짜는 제품자체도 조악함. 다 필요 없이 외관만 흉내낸 걸 가지고 다니는 거지.. 나라면 차라리 굳이 명품 디자인의 카피보다는 같은 가격에 독창적인 디자이너 브랜드의 제품을 고르겠음.. 가치관 차이라고 생각함.
듀프가 성행하고 그 인기가 빨리식지않는 이유는 복합적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글로벌경제의 불안정, 불확실성에 따른 고물가시대와 최근 몇년사이 지속적으로 문제시되었던 명품 대량생산과정의 실태를 본 소비자들의 중장기적 신뢰 손상과 그에 따른 가치에 대한 의문발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본다.
로고만 다를 뿐 요즘 명품 인기제품들 보면 디자인이 다 거기서 거기. 이제 명품이고 아니고 다들 서로가 서로꺼 배끼는 느낌.
원래부터 세상 처음부터 존재한건 없어요...다들 카피하고 변형하는 것일뿐..
@UKGRADE 그게 문제라는 뜻은 아니에요. 배낀다라는 개념에 대해 단순히 비싼 제품을 따라한다는 개념이 아니라 다른 시각에서 한 번 생각해보자는 거죠.
그래 이제는 그냥 있는 대로 살자
사치품은 원래부터가 절대 돈값 못하는 물건이었지. 국민소득 올라가서 더 이상 사치품들이 “돈 없어 못사는 제품”이 아니라 “사려면 살 수 있지만 돈값 못해서 안사는 제품”이 되어버렸으니까 굳이 살 필요가 없는것. 남의 시선 or 잠깐의 자기만족 외의 구매이유를 고객한테 줄 수가 없으니 더 이상 안사는거뿐
진짜 이게 제일 어이가 없음 짭 사는게 왜 트렌드인거임??
저걸 사는게 단순히 이뻐서면 모르겠음 워킨백, 유니포터 이러면서 사는거 보면 사고싶은거 돈 없어서 못사는게 유행이 되는게 어이가 없음
아마 더 다양해질듯 가성비가 최고지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습니다
돈 있으면 알아주는 명품사지 ㅋㅋㅋㅋ 돈 없으니까 저런 거 찾는 거지
우린 그런걸 짝퉁이라고 하죠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이덴티티를 그대로 가져와서 만드는걸 뭔 짭이아니라고 둘러대는지. 그냥 짭 사고싶은데 트랜드라고 동조해서 이때다 싶어서 사는거지.
원가대비 거품투성이.실질적인 소비가 현명하죠. 베끼기.사서 쓰다버리기.이런 것들은 조심해야죠.
솔직히 다~~ 브랜드 값이지ㅋㅋㅋ
월마트 버킨백 제품은 에르메스 로고 있는 곳에 월마트 로고가 찍힌것도 아니고 그냥 흔해 빠진
디자인 카피제품인데
저건 동대문시장이든 중국이든 어디나 널려있던건데
월마트에서 팔았다고 이슈가 되네요??
그냥 중국거 제일 싸구려 떼다가 판거같은데...
'dupe'는 한국말로 '짭'.
돈은 없는데, 허영심은 채우고 싶어서, '합리적인 소비자'라고 자기위안하며, 짭 사는걸 뭘 그렇게 포장을 해 ㅋㅋㅋㅋ
ㄹㅇ 오히려 저런거 보면 인간적으로 정떨어짐. 홈플러스에서 990원 할인한다고 뛰면서 몰려가는 아줌마들같음.
브랜드도 짭인데 뭔 소리야..... 중국인이 만드는 짝퉁에 로고만 붙인거지.....
@@chaostar88뭔 개소리야
인스타그램으로 몇초만 보고 디자인이 같다고 생각할만큼 현실과 디지털을 구분 못하는 세상임. 트랜드한 모든것들처럼 이걸 또한 지나가겠지.
그냥 돈 없어서 그런거.
그런 애들 돈 뜯어 먹으려고 그런 컨셉으로 상품 만들어 파는거고.
일부러 찾는거 아니고
할 수 없이. 어쩔수 없이. 마지 못해. 가 맞음.
돈 있어도 사치에 소비를 하는게 도움됨?? 물론 저 듀프라는것도 결국엔 사치품의 디자인을 따라서 만들었다는 것에 니말이 맞긴함 어쩔수없이 돈이 없어서 사치품을 사지못해서 사는 그런 경향이 강하겠지 그런데 부자들이 사치품을 소비를 하는 이유중 제일 큰게 자기만족이라는 부분일텐데 그 자기만족이 인류사에 도움이 되냐고 그런의미에서 돈이 있던 없던 부자건 듀프제품을 사건 똑같이 생각없는건 맞다고 봄
@@RyuOng92진짜 부자들은 생각이 없어도 돼. 인류사에 공헌이나 대의같은거 없이 아무 생각 없이 1-2억 써도 아예 타격이 없어서 사는것임. 그들에게 돈은 전혀 문제가 아니니까
우린 저런걸 짭이라 부르고있다
뭐 특별히 새로운거라고
명품이 패키지나 검수,고객경험 같은 부분에도 비용이 드는 건데 확실히 가짜는 제품자체도 조악함. 다 필요 없이 외관만 흉내낸 걸 가지고 다니는 거지.. 나라면 차라리 굳이 명품 디자인의 카피보다는 같은 가격에 독창적인 디자이너 브랜드의 제품을 고르겠음.. 가치관 차이라고 생각함.
그리고 듀프라고 전면에 내세우는 업체들은 낯짝이 두껍다고 생각함ㅋㅋ
사치품인만큼 이미테이션을 쓰는 마음도 이해가 됨..
대한민국은 듀프를 짭퉁시장으로 이해함
명품이란 단어는 고가품과 동일시 하는거 반대
그냥 고가품이나 사치품이라 부르는게 마땅합니다
명품뿐만아니라 다른 고가제품들이 그 가격을 그 돈주고 사는게 호구잡혔네 생각하는사람들이 늘어나니까 낮은가격주고샀다라고 숨기지않고 공개해버림.
어차피 저런걸로 채우지 못하는 허영심을
채워주는게 사치품 명품브랜드들임
쟤네들도 돈 많이 벌면 너도나도 듀프
버리고 명품브랜드 살거라서
그렇게 큰 타격은 아닐거임
비싼 시계 브랜드들도 스마트워치에 밀리고 있던데... 확실히 스마트워치사고 나서는 비싼 시계에 대한 소유욕이 없어짐
근데 입소문 타면 또...비싸져서 명품 되는거 아니여
솔직히 돈만 있으면 비싼 거 사지않았을까싶네요..😢
그 비싼것도 원가는 거기서 거기다.... 니 허영심이 만든 브랜드 값이지......
차는 성능이라도 다르지.... 가방은 성능이 똑같잖아?
@@chaostar88비싼거 안매보셨나요? 500만원짜리랑 1,000만원 짜리는 품질 같을 순 있어도 100만원 짜리랑 500만원 짜리는 달라요. 어느정도 가격까지는 품질도 상승합니다.
@@user-gkcycic 디올 몇백짜리 명품백들 원가는 8만원에 중국에서 만든거라 질도 별로임 요즘 명품백들 리뷰보면 죄다 엉망진창이라 문제 많다는 영상 엄청 많음 비싸니까 값한다는 말 요즘 명품엔 해당사항 없음
@chaostar88 오! 그렇네요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 구매 안하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그렇지만 현실적으로는 짝퉁티난다는 이유로 많이 이용하지는 않을듯합니다. 대신 더 상대적으로 저렴한 디브를 살거같음..
디브가 뭐예요?
가성비만 좋다면 뭐
명품이나 짝퉁이나 다 외노자 갈아서 만든거니
똑같지.. 왠간해선 재료도 동일하더만 ㅋ
ㄹㅇ 루이비통,샤넬 만들던 사람이 부업으로 짝퉁도 만들듯
듀프가 성행하고 그 인기가 빨리식지않는 이유는 복합적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글로벌경제의 불안정, 불확실성에 따른 고물가시대와 최근 몇년사이 지속적으로 문제시되었던 명품 대량생산과정의 실태를 본 소비자들의 중장기적 신뢰 손상과 그에 따른 가치에 대한 의문발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본다.
요즘엔 용어만 그럴싸하게 바꿔서 부르는게 유행이냐? 그냥 듀프가 아니라 개짭이라고 불러라…
내가 돈이 없지 가오가 없나??
듀프가 가성비?? 짭 사는 건 절대 현명한 소비가 아님. 돈은 충분히 지불하기 싫은데 명품의 특징은 탐나고 남이 명품 들고 다니는 사람으로 알아주기를 바라는 기형적인 소비지.
짭이랑은 다른개념이라고 처음부터 소개했는데요
영상 안봤죠?
@@꾕갈이 소비트렌드라고 포장하는거지 로고없는 짭이랑 같은거지 아이덴티티를 그대로 가져오는건데
몹시 빈티나보이는 거지같은 흐름이지만 이 흐름이 지나간 다음에는 내실있게 디자인 독창적으로 잘 뽑아내고 적정한 가격대의 디자이너 브랜드가 다시 조명받는 때가 올 듯
있어보이게 듀프라고 주잡싸지말고 짭이라 해라
한국은 테무 미국은 듀프 중국은 핑티. 현재 세계적 현상이 보이네요 😅
저딴게 뭐라고 수백만원 주고 사냐......
이 영상도 김지윤의 지식플레이 듀프한건가? 주제만 다르지 분위기가 똑같네
ㅋㅋ 왜요 그쪽 영상은 유료 회원가입제인가요?
쫌 배웠다는 양반이 "명품"이 뭡니까?
언제부터 "럭셔리"가 "명품"으로 번역되던가요?
차라리 그대로 따와서 럭셔리 브랜드라고 하던가
아니면 고가 사치품이라고 하던가
오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