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브리핑 라이브] 쓰레기는 역시 과학이었어! 쓰레기 박사의 쓰레기 이야기_21.12.27_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홍수열 소장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라이브 : 오후 5시 컴퍼니 백브리핑, 오후 7시30분 백브리핑
    -구독: 백브리핑의 모든 영상은 [언더스탠딩 : 백브리핑] 채널에 업로드됩니다. 1)유튜브에서 ‘언더스탠딩’을 검색하거나 2)아래 링크에서 ‘구독’을 누르면시면 백브리핑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 @understanding.

Комментарии • 57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3 года назад +4

    -라이브 : 오후 5시 컴퍼니 백브리핑, 오후 7시30분 백브리핑
    -구독: 백브리핑의 모든 영상은 [언더스탠딩 : 백브리핑] 채널에 업로드됩니다. 1)유튜브에서 ‘언더스탠딩’을 검색하거나 2)아래 링크에서 ‘구독’을 누르면시면 백브리핑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ruclips.net/channel/UCIUni4ScRp4mqPXsxy62L5w

  • @서주영-u7h
    @서주영-u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고대박종훈교수님께서 유익하게 보셨다고해서 시청했는데 우와 진짜 꼭 알아야하는 정보네요. 홍박사님 명쾌하십니다.

  • @alone_stand-tj
    @alone_stand-tj 3 года назад +10

    삼프로 후드짚업 하나랑 맨투맨 하나 샀습니다. 언제나 응원합니다 두 기자님들. 많이 사드리고싶은데 아직 사회적으로 성공을 하지 못했습니다.

  • @옐로그린-m5e
    @옐로그린-m5e 3 года назад +3

    비닐도 깨끗이 씻어 말려배출하꼬 분리배출에 나름 진심이었는데 뭔가 잘못하고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분리배출 결벽증에서 벗어나 현명하게 재활용 해야겠네요 기업과 정부 기관에서 다같이 좀 나서줬으면 좋겠네요

  • @수수-d3o9c
    @수수-d3o9c 3 года назад +14

    너무 재밌고 유익한 방송이었어요 두번째 듣고 있어요 박사님 자주 모셨음 좋겠습니다^^

  • @lizie2002
    @lizie2002 3 года назад +4

    너무너무너무 감사합니다. ㅜㅡㅜ 쓰레기 박사님 자주 모셔주세요

  • @창우의인생극장
    @창우의인생극장 2 года назад

    정말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 @jinpark5062
    @jinpark5062 2 года назад +3

    유익한 방송이란게 이런거다..!! 주기적으로 방송을 하죠!

  • @alone_stand-tj
    @alone_stand-tj 3 года назад +11

    박사님 정말 내용 감사합니다. 평상시에 쓰레기 분리배출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는데 많은 정보 얻고갑니다. 지금 개인적으로 쓰레기 분리배출 홈페이지 제작을 하고 있는데 하나하나 만들어보겠습니다!

  • @kakaanastasia
    @kakaanastasia Год назад

    너무 유용합니다. 상식의 오류를 정정하는데 엄청난 정보입니다. 고맙습니다
    양파망은 플라스틱~~

  • @spicalee9012
    @spicalee9012 3 года назад +3

    백브리핑 역시 짱입니다

  • @나야나-h3b
    @나야나-h3b 3 года назад +5

    이야...... 정말 좋은 정보입니다.
    내가 몰랐지만 정말 필요한 내용입니다.
    다른분들도 꼭 보세요..
    감사합니다

  • @alone_stand-tj
    @alone_stand-tj 3 года назад +4

    리사이클링을 하려면 제도적으로도 손볼곳이 많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필요하고.. 정말 손 많이 가는 사업이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꼭 해결해야하는 사업입니다. 메탄가스를 포집해서 에너지로 쓴다던지 메탄가스를 빨아들이는 미생물을 발견한다던지 미국처럼 대기업이 뛰어들어서 문제를 해결한다던지 해야지 지금같은 영세업체들만으론 이 문제 절대 해결 되지 않을거라는 거 적극 공감합니다.

  • @cheunting
    @cheunting 3 года назад +3

    쓰레기가 쓰레기가 아닌 쓰레기자원ㅎㅎㅎ
    오늘도 정말 몰랐던 실생활에서의 지식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 @jhvfefv
    @jhvfefv 2 года назад +2

    이 영상을 늦게 보는 저는 좀 혼나고 싶습니다ㅠ그간 재활용 강박증에 시달리는 이유도 있었고 이렇게 재밌고 유익한 영상을 놓쳤다니요. 박사님, 쉽고 명확한 설명 감사드리며 저는 벌로 2번. 3번 시청하겠습니다.

  • @oneone8879
    @oneone8879 3 года назад +3

    정말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jinheecho3150
    @jinheecho3150 3 года назад +3

    세상에나 재활용 분리수거와 쓰레기가 이런 배경이 있었다니요..현재 뉴질랜드에 살면서 재활용 분리 수거 제대로 안하는 이 나라 욕을 엄청 했는데 소비자가 책임지게하는 방식이 궁극적이지 않다라는 말씀 듣고 깨달은 바가 있네요. 정책이 다를 수도 있었겠네요. 다음에 여러 나라의 사례도 더 알 수 있도록 준비해주시면 더 감사하겠습니다~~

  • @CHOPIN-y6h
    @CHOPIN-y6h 3 года назад +3

    국회로 가셔야!!
    유익한 내용 !!

  • @평택얼음조사
    @평택얼음조사 3 года назад +3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

  • @grace7945
    @grace7945 3 года назад

    이기자님 역쉬!! 두 기자님의 케미,서로를 메워주는 부분이 정말 칠떡이에요! 전 언더스텐딩 백브리핑 넘 재미있어서 찾아서 봅니다! 응원합니다.

  • @44fladnag94
    @44fladnag94 3 года назад +11

    2년동안 하루도 안빼고 봤던 삼프로 방송 중에 젤 유익했던 몇손가락안에 드는 방송인듯. 쓰레기는 사회 현상 경제문제를 넘어서 일종의 철학까지 확장되는 듯

  • @parksunneo
    @parksunneo Год назад

    구독합니다

  • @송숙-h4u
    @송숙-h4u 3 года назад +11

    방송 정말 유익하네요!
    모든 상품에 분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표기하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worldpeaceplz3333
    @worldpeaceplz3333 2 года назад

    쓰레기가 과확 맞네요. 재밌게 많이 배웠습니다.

  • @이은진-c5h7d
    @이은진-c5h7d 3 года назад +9

    백브리핑이나 되니까 이런 고품격 쓰레기 방송(긍정적인 의미임)이 가능하네요!! 역시 삼프로의 보석!!👍

  • @dhpark6805
    @dhpark6805 3 года назад +11

    와 대박 정말 하고픈말!
    소비자가 봉이냐 환경부 삐리리!!
    인프라도 안돼있는데 분리수거 요구하고 과태료부과로 쉽게 할 생각말고 생산자에게 보조금주는 방식으로 쉽게 분리되가나 분리가 필요없게 만들어라. 재활용 마크만 박으면 다 분리되는 것도 아닌데 아휴 생산적으로 일 좀 해라

  • @DdoDdoHee1
    @DdoDdoHee1 3 года назад

    재활용에 관한 이해가 깊어지는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소장님 앞으로도 자주 모셔 주세요.

  • @gomlady1
    @gomlady1 3 года назад +1

    이프로님보다 박사님을 국회로 보내는게 더 시급하네요. 진짜 유용하게 잘 들었습니다.

  • @skyoon7284
    @skyoon7284 3 года назад +1

    멋지십니다 닥터

  • @trustno1639
    @trustno1639 3 года назад +2

    쓰레기 재활용에 관심많은 한사람으로서 이런분 자주 모셔야 기업도 국민도 변할수 있습니다. 백브리핑 👍
    혹시 네0버 해피빈기부 연결 안되나요? 그걸로 백브리핑 가늘고 길게 기부하고 싶은데 ^^;;;;

  • @임유주선-m4n
    @임유주선-m4n 3 года назад +4

    난 오늘 5명 구독시켰어요~ 2명은 내가 직접 구독 눌렀고
    3명은 카톡으로 약속 받았어요~

  • @sdfdds11
    @sdfdds11 3 года назад +2

    오 삼프로가 아니었네요 ㅋㅋㅋ 구독했어요

  • @lee-i9b7x
    @lee-i9b7x 3 года назад +1

    전문가 진짜가나타나셨네요.

  • @mskim_0303
    @mskim_0303 3 года назад +2

    이번 편은 재활용 담당 남자들은 모두 봐야 할 듯

  • @통이버핏
    @통이버핏 3 года назад

    👍👍👍

  • @paullee5099
    @paullee5099 3 года назад +2

    12:15 딸기 플라스틱 용기 종이 라벨 붙은거 수돗물에 담가서 베란다에 방치해뒀다가 생각날 때 가서 보면 스르륵 떨어지더라구여ㅋ 시간 거의 안들어서 그렇게 떼긴 하는데 정말 안붙였으면 함

    • @100-y1s
      @100-y1s 3 года назад

      종이가 플라스틱재활용에 정말 천적이엇군여

  • @taboo1551
    @taboo1551 3 года назад +1

    마지막 멘트에 이영상 덕분에 편해지겠다는 말은 모순입니다.
    이유는 집주인이 이영상을 못 봤거든요

  • @hanpark4814
    @hanpark4814 3 года назад +1

    아..예전에 뉴스에서 비닐 분리배출시에 딱지접지말라 그래서 멘붕이었는데 … 너무 어려움
    다시 나라살림 연구소장님이 관련 예산사업을 아실거 같은 느낌🥲

  • @SOH_Miyo
    @SOH_Miyo 3 года назад +5

    최고유용했어요. 배달용기 재활용으로 버릴려고 식세기에 돌리고 안뜯기는 비닐은 가위로 잘라내고 난리치다 지쳐서 그냥 다 쓰레기 봉투에 버렸었는데....
    근데 박사님 식용유 유리용기는 어케 버려야 하나요???

    • @100-y1s
      @100-y1s 3 года назад

      유리는 용광로에 녹여서 재활용하니까 그냥 유리로 버리면 되지않을까요

  • @사랑하는엄마-q8h
    @사랑하는엄마-q8h 3 года назад +1

    안그래도 좀 이상했던게 투명페트만 따로 모은다는데 제가 사는 아파트는 병뚜껑만 분리배출하라며 따로 박스가 생겼어요. 뭔가 반대로 가는 느낌. 포항시에서 잘 못알고 저렇게 하라고 지침이 내려와서 저러는건지 … 저는 포항시 양덕 삼성쉐르빌 주민입니다. 제발 배달음식 먹었으면 좀 씻어서 버리세요.

  • @user-wd9wd97w
    @user-wd9wd97w 3 года назад +2

    고맙게 잘 들었지만..
    마음이 무겁습니다
    결국 자원순환기술도 무역장벽으로..작용할꺼라는...ㅡ.ㅡ 몇년전에 kotiti에 어떤 박사님이 글로벌 기업의 섬유..재생??전략 말씀하시는거 들은적있는데 그때는 흘려들었는데..
    그때..이미 ...글로벌기업은... 자기밥그릇 챙기고 있었던거라고 생각하니.. 소오름~ 입니다.
    그리고 화장품산업도 용기관련 규제를 한다고 하던데 (시점은.. ㅡ.ㅡ 기억이 안납니다만.. 용기에 인쇄하면 부담금 내야 한다고 하더라고요..그래서.. lg생건인가? 아모랜가?? 중소기업이랑 특수잉크 개발한다고.. )
    산업별로 쓰레기 시리즈 한번 해주면 재밌을거 같아요
    1. 섬유산업
    2. 화장품 산업
    3. 내친김에 .. 바이오 플라스틱 도.^^;;

  • @nilenike8005
    @nilenike8005 2 года назад

    종이라벨의 경우.. 저는 가위로 오려냅니다. 잘 떨어지는 종이라벨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으니까..

  • @xerossxify
    @xerossxify 2 года назад +1

    옷을 많이 안사야겠어요ㅠㅠ

  • @alone_stand-tj
    @alone_stand-tj 3 года назад +2

    언더스탠딩 티셔츠 사려는데 구매가 너무 어려워요 ㅡ.ㅡ 구매버튼이 없는데요..

  • @asurakang
    @asurakang 2 года назад

    13:35 그럼 법으로 종이라벨은 금지해야지ㅠㅠ 그거 뜯을 때 깨끗하게 잘 떨어지지도 않는데.. 이 저 덜 떨어지는 스티커는 어케 해야 하나요ㅠ

  • @nanu4859
    @nanu4859 3 года назад +1

    고기뼈는 그냥 음식물 쓰레기에 넣어라. 이 문제 좀 확실히 해 주세요 ^^

  • @user-tj4dn8zd6p
    @user-tj4dn8zd6p 3 года назад +2

    ORGN 가즈아!!!!
    다니머 안녕

  • @yangsu94
    @yangsu94 Год назад

    자동차 부품에 벌써 그 영향 받음. 정부 re100 허상이라며 넋 놓고 있음.

  • @wonheelee3920
    @wonheelee3920 3 года назад +1

    쓰레기박사라니 ㅋㅋ

  • @jyang00
    @jyang00 3 года назад

    프라스틱을 먹고 분해하는 박테리아가 필요

  • @최유빈-i8b
    @최유빈-i8b Год назад

    왜 투명한 페트제질이 사용되어야 합니까 좀 불투명한 색상이면 되지않나요..뭐 나중에 점점 탁해 지겠죠 그건 맥주병으로...또 새로 만드는거

  • @휘수이-m4r
    @휘수이-m4r 3 года назад +1

    않이 썸넬 너무한거 아녀 ㅋㅋ

  • @willswillis4458
    @willswillis4458 3 года назад +1

    대니머 우짜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