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코로나 시국에 무탈하게 잘 지내시는지요? 교수님의 융복합적인 다양한 강의 덕분에 자습에 많은 도움을 받고있습니다. 고맙습니다. 난시안을 검영하여 중화점을 찾을 때 원주렌즈는 (-)굴절력 밖에 없기에 약주경선을 먼저 중화해야 하는데 이 때 약주경선을 확인하는 방법은, 반사선조광의 방향이 약주경선과 일치할 때 반사선조광의 1.밝기가 가장 밝고, 2.동행 또는 역행의 속도가 가장 빠르고, 3.두께는 가장 ~~~ 것으로 판단한다. 교수님! 약주경선 반사광선속의 두께 관련 질문입니다. 교수님의 강의동영상에는 두꺼운 것으로 나타나는데… 성풍주 교수님 안경광학 334쪽에는 얇은 즉, 약주경선의 반사광선의 폭에 대해 그림 2-15와 더불어 가장 좁다 라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관련하여 교수님 말씀이 맞는지 성풍주 교수님 말씀이 맞는지 가르침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리고, 망막을 기준으로 보면 근시의 약주경선과 원시의 강주경선의 두께 현상은 같아야 할 것 같은데 원시, 근시 구분 없이 약주경선의 두께 현상이 같은 것은, 어떤 생리적 또는 광학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강의와 연구로 여념이 없으신데 송구합니다.^*^
1. 약주경선 방향 80도 2. 실제 굴절이상이 표현(좁은 반사광)되는 방향은 170도 당연히 약주경선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인 170도에 해당하는 경선의 굴절이상도가 크기 때문에 170도 방향의 반사광 폭이 좁을 수 밖에 없습니다. 해당 내용은 약주경선의 방향을 찾는 방법을 의미한는 것이지 해당 방향으로 검영을 하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교재의 내용을 다시 한 번 더 차분히 읽어보신다면 교재에서 하고자 하는 내용의 의미를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검영법에서 많이들 헛갈리는 부분이 입사광의 방향과 검영하는 방향이 같다고 잘 못 이해하는 것입니다. 입사광의 위치와 검영하는 방향(굴절이상도 측정 방향)은 90도 차이가 나죠. 혹시 이해가 안 되면 다시 질문해 주세요~
@@eyefun 네, 덕분에 이해했습니다. 고맙습니다. 1. 강주경선 대비 약주경선 반사선조광(초선)의 특성은, 강주경선 대비 폭이 좁고, 밝기는 더 밝고, 동행 또는 역행하는 속도는 빠르다. 2. .중화점에 가까울수록 반사선조광(강주경선 또는 약주경선)의 넓이는 넓어지고, 밝기는 더 밝다. 교수님! 난시안(근시성이든 원시성이든 혼합난시든)에서 슬리브를 회전할 때 나타나는 약주경선의 반사광이 강주경선의 반사광 대비 더 밝고, 더 좁은 이유는 굴절이상 정도 즉, 굴절력이 낮기에 그렇습니까? 아니면, 다른 생리적 또는 광학적 원인이 있는지요?
최고 입니다
교수님! 코로나 시국에 무탈하게 잘 지내시는지요?
교수님의 융복합적인 다양한 강의 덕분에 자습에 많은 도움을 받고있습니다. 고맙습니다.
난시안을 검영하여 중화점을 찾을 때 원주렌즈는 (-)굴절력 밖에 없기에 약주경선을 먼저 중화해야 하는데 이 때 약주경선을 확인하는 방법은,
반사선조광의 방향이 약주경선과 일치할 때
반사선조광의 1.밝기가 가장 밝고, 2.동행 또는 역행의 속도가 가장 빠르고, 3.두께는 가장 ~~~ 것으로 판단한다.
교수님!
약주경선 반사광선속의 두께 관련 질문입니다.
교수님의 강의동영상에는 두꺼운 것으로 나타나는데…
성풍주 교수님 안경광학 334쪽에는 얇은 즉, 약주경선의 반사광선의 폭에 대해 그림 2-15와 더불어 가장 좁다 라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관련하여 교수님 말씀이 맞는지 성풍주 교수님 말씀이 맞는지 가르침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리고, 망막을 기준으로 보면 근시의 약주경선과 원시의 강주경선의 두께 현상은 같아야 할 것 같은데
원시, 근시 구분 없이 약주경선의 두께 현상이 같은 것은, 어떤 생리적 또는 광학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강의와 연구로 여념이 없으신데 송구합니다.^*^
1. 약주경선 방향 80도
2. 실제 굴절이상이 표현(좁은 반사광)되는 방향은 170도
당연히 약주경선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인 170도에 해당하는 경선의 굴절이상도가 크기 때문에 170도 방향의 반사광 폭이 좁을 수 밖에 없습니다.
해당 내용은 약주경선의 방향을 찾는 방법을 의미한는 것이지 해당 방향으로 검영을 하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교재의 내용을 다시 한 번 더 차분히 읽어보신다면 교재에서 하고자 하는 내용의 의미를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검영법에서 많이들 헛갈리는 부분이 입사광의 방향과 검영하는 방향이 같다고 잘 못 이해하는 것입니다.
입사광의 위치와 검영하는 방향(굴절이상도 측정 방향)은 90도 차이가 나죠.
혹시 이해가 안 되면 다시 질문해 주세요~
@@eyefun
네, 덕분에 이해했습니다. 고맙습니다.
1. 강주경선 대비 약주경선 반사선조광(초선)의 특성은, 강주경선 대비 폭이 좁고, 밝기는 더 밝고, 동행 또는 역행하는 속도는 빠르다.
2. .중화점에 가까울수록 반사선조광(강주경선 또는 약주경선)의 넓이는 넓어지고, 밝기는 더 밝다.
교수님!
난시안(근시성이든 원시성이든 혼합난시든)에서 슬리브를 회전할 때 나타나는 약주경선의 반사광이 강주경선의 반사광 대비 더 밝고, 더 좁은 이유는 굴절이상 정도 즉, 굴절력이 낮기에 그렇습니까? 아니면, 다른 생리적 또는 광학적 원인이 있는지요?
@@산책-w6y 순수하게 광학적인 이유(양주경선의 굴절이상도 차이)입니다. 생리학적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eyefun
네, 고맙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10년차 안경사인데 프로그램이 어떤 것일까요? 공부하기에 도움을 주실 수 있으실까요? 어려운 부탁드렸지만 답변주실 수 있으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shj3537 안녕하세요. '프로그램'은 무엇을 말씀하시는지요?
@@eyefun 레티노스코프 계산하는 프로그램입니다.^^
@@shj3537aao-resources-enformehosting.s3.amazonaws.com/resources/Pediatrics_Center/Retinoscopy-Simulator/ret.html
@@shj3537혹시 이 검영법 시뮬레이터(retinoscopy simulator)를 물으시는 건가요?
@@eyefun 감사합니다~!교수님
교수님
다음시간에 검사 거리를 유지 시키는 방법과 검사 위치를 유지 하는 방법도 알려주세요. ㅎㅎㅎ
목소리 들어서 반가웠습니다. ^^
네. 다음 시간에 준비해 보겠습니다 ㅎ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