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풀면 절대 시간없습니다... 분수 비교 또는 0.03처럼 곱셈하는것이 아닌, 비율 관련 질문은 해당 값의 10%,1%의 값을 구한뒤 비교하는게 훨씬 빠릅니다. 예를들어, 본 영상에서 나온것처럼 외래환자 중 서울지구 3% 이상인지는 각 총 환자수의 1%를 구한뒤 어림잡아 3 곱해서 넘어가는지만 확인하면 됩니다. 절대 이 방법 보고 하시지마세요 1분만에 풀거 3분으로 늘리는겁니다
가르켜준 대소비교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당,, 참고하세용 대부분 맞는데 몇개는 안되는 경우도 있음 예를 들어 495,079/817,974 랑 60/100 비교하면 가르켜준 방식대로하면 495,079/817,974 => 바꾸면 490,000/820,000 > 60/100 이렇게 되는데 실제로는 495,079/817,974 < 60/100 입니당.. 495,079/817,974 = 0.61이 되고 490,000/820,000 =0.59가 됩니당...
부등호 비교할 때 A>B 를 확실하게?하려면, A의 가장 작을 때 조차도 B가 가장 클 때보다 큰 값이어야 한다는거 같아요. 따라서 A의 최소값으로 반올림을 하면 분자는 작게, 분모는 크게 반올림하고 B의 최대값으로 반올림하면 분자는 크게, 분모는 작게 만들어서 계산하라는 것 같습니당
이렇게 알려주시면 안되죠; 혼란이 가중되잖아요 모든 문제에 적용되는건 아닐수도있다 참고해라 이말은 치트키가 아닙니다 강사님; 5분30초에 나오는 최소 최대로의 변환은 부등호 방향이 반대로 나온다면 결과는 모른다가 맞고 선택의 근거가 되지 못하는건데 그걸로 답을 골라버리시면 그냥 운에 맡기는거고 찍는거랑 뭐가다른가요… 영상의 의도는 참좋으나 정확하지 않은 영상은 오히려 많은 이들에게 해가 됩니다 영상을 내리던 수정을 하던 다시올리시는게 맞다고봅니다.
이렇게 풀면 절대 시간없습니다... 분수 비교 또는 0.03처럼 곱셈하는것이 아닌, 비율 관련 질문은 해당 값의 10%,1%의 값을 구한뒤 비교하는게 훨씬 빠릅니다. 예를들어, 본 영상에서 나온것처럼 외래환자 중 서울지구 3% 이상인지는 각 총 환자수의 1%를 구한뒤 어림잡아 3 곱해서 넘어가는지만 확인하면 됩니다. 절대 이 방법 보고 하시지마세요 1분만에 풀거 3분으로 늘리는겁니다
비례식,분수비교, 여집합등 봉봉tv 또는 해커스 김소원 선생님 강의 추천드립니다. 다들 gsat 잘 보시길. 본 영상보단 계산이 깔끔하게 나온다는 카더라가 있으니 포기하지말고 다들 열심히 해봐요
분수 비교 반올림은 원하는 결과가 나왔을땐 100프로 맞지만 반대로 나오면 무조건 맞다고는 못할 것 같은데(같은 논리로)
그럼 더 정확도 높이려면 어떻게 풀까용?
1번선지 단순비교, 2번선지 대전외래 10%증가-10%감소-유지인데 대전입원 유지-5%감소-유지 일정하지 않으니까 틀림, 3번선지 2017 2018 2019는 총계가 100만이 안되는데 3만이 넘으니까 3% 이상이고 2016년만 보면 되는데 거의 3만명인데 85만명이니까 맞고 끝... 이걸 계산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면 걍 패스할듯..
선생님하세요나중에...
부탁드려요....
수포자인데
정말귀에쏙쏙들어오네요.
목소리톤하고딕션도좋으시고..
진짜제대로배우고갑니다..
감사합니다
04:46 반올림.. 찔리네요 여탸 틀린 방법으로 풀었다니🥺 내년 지쌋은 진짜 꼭..ㅠ
좋은 공부법 배워갑니다.
가르켜준 대소비교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당,, 참고하세용 대부분 맞는데 몇개는 안되는 경우도 있음 예를 들어 495,079/817,974 랑 60/100 비교하면 가르켜준 방식대로하면 495,079/817,974 => 바꾸면 490,000/820,000 > 60/100 이렇게 되는데 실제로는 495,079/817,974 < 60/100 입니당.. 495,079/817,974 = 0.61이 되고 490,000/820,000 =0.59가 됩니당...
해당 풀이법이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으며, 예시로 들어준 문제와 비슷하게 출제 될 경우 해당 풀이법으로 빠르게 푸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EduwillPublic 넵 감사합니다.! 평소에 영상보며 많이 배우고있습니다.! :-)
유효숫자 두자리에서 끊으면
오류 엄청 커집니다
외래환자 대비 입원환자비율이면 외래분의 입원인데 분모분자 바꿔쓰셨어요
그니까요.. 제가잘못푼건가했음
어우 이거 제가 잘못 알고 있는줄 알고 몇번을 돌려보고 고민함.....
와 저도요 ㅠ제가 잘못푸는줄
7:27 반올림을 써서 해결하는 방법도 알려드립니다
29956->약 3만. 3/100을 3만/100만이라고 생각하면
29956/88만 어쩌구->3만/88만
분자는 비슷한데 분모 차이는 88만
영상에 있는것처럼 계산하는게 정확하겠지만 그건 1번부터 5번까지 다 어림으로 풀고 답이 없을 때 '정밀한 계산을 요구하는 문제구나'라고 의도를 파악한 뒤 해도 늦지 않습니다~
5:30 이거 예시가 잘못된것같은데요?? 뭔가이상해서 혼자생각해보는데.. 처음 가정부분은 당연히 맞는데, 예시드신거는 결국 좌항이 우항보다 크지않았으니, 반올림안한 원래거는 대소비교를 "모른다" 가 맞는거아닌가요?? 설명좀 ㅠㅠ
그니까요 ㅋㅋㅋ
이런거 넘 좋다
큰수치의 최소값
작은 수치의 최대값이라는게 이해가 안가는데요 ...
두 분모 모두 범위가 있는 것들이 아니지않나요?
3.4 > 3.3이면
3.4라는 숫자를 줄이고 3.3을 늘리면
결과가 달리지지않나요 ㅠ?
고맙습니다
(더 큰수) > (작은 수) 일 때 (최소수) > (최대수) 로 바꿨는데 부등호 안 바뀌면 전자가 당연히 맞게 되는 그런 논리 아닌가요??
하반기 이제 슬 지쌋공부 시작할라고하다가 얼마전에 알고리즘떴던 이거 생각나서 다시보는데.. 수학적오류 분명히있는데 정정이없네요 ㅠㅠ 저렇게푸시면 도박입니다 여러분.. 좌항 작은값근사화 우항 큰값근사화해서 좌항이 더 크게나오면 맞고 우항이더크게나오면 "모른다", 좌항 큰값근사화 우항 작은값근사화해서 우항이더크게나오면 맞고 작게나오면 또다시 "모른다"
모른다일때는 근사화수치를 더 줄이거나 생노가다해야 정확한 결과 나옵니다. 근사화수치줄인다는건 예를들면 이분이풀때 134556을 130000으로 근사화한걸 134000정도로 하는걸 말합니다. 운이좋게 이문제는 들어맞았을지몰라도 정확히알고푸셔요!!
해당 풀이법이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으며, 예시로 들어준 문제와 비슷하게 출제 될 경우 해당 풀이법으로 빠르게 푸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도 동감.. 반올림 할때 유효숫자를 한두개 더 가지고 가는 게 훨씬 안전해요
@@EduwillPublic 그말이아닙니다 :) 풀더라도 이방법이 가능한 이유를 모르고 방법만갖다가 대입시 큰확률로 틀릴수있다는걸 감안하고 풀어야한단겁니다.
@@EduwillPublic 해당문제는 운이좋게 맞아떨어진거지요.
@@KRsseds ㅋㅋㅋㅋㅋㅋ 도박을추천하네 ㅇㄷㅇ 클라스...반성하세요
꿀팁이다
저래해도 오류생길수있는거아닌가요
해당 풀이법이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으며, 예시로 들어준 문제와 비슷하게 출제 될 경우 해당 풀이법으로 빠르게 푸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영상 끝나니까 나령님 얼굴에서 빛이 나는데 정상인가요?
잘빠네ㅋㅋ
지독한 천재들............
5:24 이렇게 기준삼은게 이해안가네요. 설명부탁드려요...
5:44 (8:00~8:08) [주의사항 : Danzo KR 댓글 참조]
4번 증가율 35%이상 틀린거 아니요?
틀림
분수 비교 저렇게 하면 망합니다 누구 조지려고 이런 풀이 올리는 거에요?
출판사 출제자를 GSAT 출제자처럼 적어두신건가요?ㅋㅋㅋ 웃고갑니다…
분모분자 퍼센트 계산하면 3초도 안걸리는데..이렇게 푸는건 좀..
퍼센트 계산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분자가 분모의 몇퍼센트에 해당하는가? 이렇게 생각하는건가요? ㅠㅠ
저풀이도 조금 오류가 있는거 같은데, 애초에 퍼센트 계산도 시간 오래 걸리지 않나요?...
푸는법 팁 가르쳐주세요
반올림 시 최대값 최소값이 무슨 말인지 이해가안갑니다. 풀어서 말해주실 수 있나요?
부등호 비교할 때 A>B 를 확실하게?하려면, A의 가장 작을 때 조차도 B가 가장 클 때보다 큰 값이어야 한다는거 같아요.
따라서 A의 최소값으로 반올림을 하면 분자는 작게, 분모는 크게 반올림하고
B의 최대값으로 반올림하면 분자는 크게, 분모는 작게 만들어서 계산하라는 것 같습니당
@@여미-e3p 저도 이해가 안갔는데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그렇게해서 원래 부등호 방향과 같다면 확실한 근거가 되는데 반대로 방향이 나온다면 결국 모르는게 되는거 아닌가요??
입원/외래환자 ×100인데...
저보다 어렵게 푸시는데여,,
왜 반올림이 아니라 올림이에요?
안녕하세요 872,865 * 0.075 같은 계산식은 알겠는데 이 계산식 자체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결국 872,865와 75를 다 곱해야 하는걸까요? 아니면 더 빠른 방법이 있을까요?
4분에3 해서10나누면됨
ㅎㅎ... 75 ×100해서 그것에 10퍼센트정도 빼주는게 가장 빠릅니다..
872865 의 50% 와 50%의 절반인 25%를 더한후에 소수점만 한칸 앞으로 땡기면 됩니다.
근데 이런 수학문제를 푸는게 회사생활에 도움이 되나요? 1도 없다 생각하는데... 그냥 지원 직무역량이 중요한거 아닌가요? 인성하고.. 이런 수학문제는 그냥 컴터로 계산기 뚜드림 되잖어.
제철쪽 P사 10년째 근무중인데 도움됩니다
가져올 수 있으면 상관 없지만 숫자가 많은 로우 데이터 (원본) 를 가져오기 어려울 때 (즉, 수식을 입히기 어려울 때) 대략적인 수치를 빠르게 비교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이 분이 Gsat 출제자라구요?
이 풀이대로 25나누기 153이랑 36나누기 249 했을때
36/249 가 더 크게 나오는데 뭐가 잘못된거죠!?
그게 크게 나오는건.. 계산 실수 같은데요. 영상 풀이보단.. 각 분자에 6배를 해보시면 바로 뭐가 큰지 보입니다.
@@uglydailymeal 왜 6배를 하죠!?
25/153 이랑 36/249 비교하고 싶은데 둘다 같은 수를 곱해서 비교하기 쉽게 바꾸는거 같은데요 (예를들어 4랑 5 둘 다에 2 곱해도 8 10 인것 처럼 대소비교에는 차이가 없으니까) 6정도를 곱해보면 25*6=150 36*6=216 이고 150/153 216/249 는 앞에것이 1에 가까우니까 더크다 라고 판단할 수 있어서 그런거 같아요
제생각입니다,,,
@@발랑까진조개 감사합니다 !
최대값 최소값은 무슨 말ㅇㄴ가요 ㅠㅠ 이해가 안됩니당 ㅠㅠ
반올림을 안전하게 하기위해서인데요
왼쪽항에 분자를 4500으로 내림으로 4578으로 계산해도 반내림한게 확실하고 안전하게 작겠죠? 분모도 149996보다 150000으로 반올림해서 원래정확하게 계산값보다 더 작은값을 계산함으로써 반올림해도 안전하다는얘기죠
즉 왼쪽항을 원래대로계산하면 A값이 나온다고치고 반올림한게 B값이면 A가 B보다 무조건 더 큰값이 나오게되어
B값을 사용해 오른쪽항과 부등호비교해도 문제없다는얘기입니다.
@@1reynolds710 저는 원리는 이해 됐는데 자리수에 따라서 분모 분자의 반올림 반내림 단위 선택이 잘못되어 좀 커지는 순간 매우 작은 차이였다면 왼쪽 값이 더 큰데 작아질 수도 있는 거 아닌가요?
@@1reynolds710 실제로 4578/149996 과 4278/140262를 비교하는 것이었다면 대소 관계가 바뀌네요
@@wcndjejndj 무슨말인지 이해가 안가서그런데 예를들어줄수있나요?
@@wcndjejndj4278의 분모가 140262가아니라 134556아닌가요?
내가 거르는 문제 😂😂
이렇게 알려주시면 안되죠; 혼란이 가중되잖아요 모든 문제에 적용되는건 아닐수도있다 참고해라 이말은 치트키가 아닙니다 강사님;
5분30초에 나오는 최소 최대로의 변환은 부등호 방향이 반대로 나온다면 결과는 모른다가 맞고 선택의 근거가 되지 못하는건데 그걸로 답을 골라버리시면 그냥 운에 맡기는거고 찍는거랑 뭐가다른가요… 영상의 의도는 참좋으나 정확하지 않은 영상은 오히려 많은 이들에게 해가 됩니다 영상을 내리던 수정을 하던 다시올리시는게 맞다고봅니다.
01:46 그져웃음
더러운 숫자 ㅜㅜ
ㅈㄴ 못푸네 진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