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내 공생과 진화 [린 마굴리스 / 공생진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0

  • @왕파리-b3h
    @왕파리-b3h Год назад +4

    우리집도 오갈데 없는 인간이 공생 하고 있는데 갑자기 미토콘트리아로 느껴지네요 난 핵산이고

  • @jailylee
    @jailylee 4 года назад +4

    공생자 행성 읽던 중에 영상까지 보게 되네요. 잘 보고 갑니다 :)

    • @darwin1859
      @darwin1859  4 года назад +1

      그 책에서 '성의 진화' 부분이 가장 흥미로웠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myrsoffice9896
    @myrsoffice9896 4 года назад +4

    미생물님 알림 뜨자마자 와보았습니다 ㅎㅎ 다음에는 매우 특이한 사례이자 진화의 간접적 원인이 될 수 있는 수평적유전자전달, HGT에 대해서도 다루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darwin1859
      @darwin1859  4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트랜스포존 같은 것들은 언제 한번 다뤄보려 했습니다.^^
      참고해보겠습니다.

  • @jaeyunjeong3742
    @jaeyunjeong3742 4 года назад +3

    굿굿굿

  • @dogyunkwon
    @dogyunkwon 4 года назад +3

    와 미생물 동족포식은 처음 봤네요. 단세포 얘들은 간단하니까 저런것도 되는군요

    • @darwin1859
      @darwin1859  4 года назад +1

      좀 오래된 논문이긴 한데
      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2/jmor.1050850202
      Trichonympha 감수분열 기원 관련입니다.
      성이 어떻게 나왔냐고 물어봤을때 답해줄 만한 듯 합니다.
      물론 받아들이느냐가 중요하겠지만요.^^

  • @xmadx81
    @xmadx81 3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궁금한것이 있어서 글남깁니다. 탈질화과정이후에 산물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미생물이 잇을것이다.라고 짐작만되는데요.
    혹시나 무여과 무환수 수조내의 미생물에 대해서도 다루어보실 계획은 없을까요?
    천연수조라고 아쿠아윌에서 여과기 없이 환수도 안하고 10년이상 물갈이 없이 수조를 운영중인곳이 있어서요. 너무 신기하지않나요?

  • @jonathanlee6697
    @jonathanlee6697 4 года назад +1

    내용이 좋고 깊내요... 정리와 분류상태가 좋아요

    • @darwin1859
      @darwin1859  4 года назад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che1
    @che1 Год назад

    영상 감사합니다. 엽록소는 어떻게 다음 세대 나무 개체 종자 생명체에 전달되나요? 미톤콘드리아는 엄마 몸을 통해 전달 된다고 들었거든요

  • @캐늅이
    @캐늅이 3 года назад +2

    안녕하세요.전 초등학생 6학년입니다.어제 과학학원에서 발표하라고 숙제를 내주셨는데 공생진화에 대한걸 발표하라고 하셨어요.그런데 공생과정은 알겠는데 진화는 어떻게 하나요.영상에 찾아보는데 도무지 못찾을거같아서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 @darwin1859
      @darwin1859  3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우선 진화란 세대를 거치면서 집단의 유전자 및 형질이 바뀌는 과정을 말합니다.
      본 영상에 나오는 공생은 '세포내 공생'으로써 세포소기관의 형성 과정을 통해 세포가 진화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진화'라는 것이 생물학에서는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다뤄질 수 있기 때문에 세균이 세포 밖에서 안으로 들어와 같이 살게 된 과정 및 결과(현재)를 '세포의 진화'라고 합니다.(이 경우는 생물집단이 아니라 세포가 그 대상이므로 위에 써드린 정의와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아마 님께서 말씀하시는 공생진화가 공진화(coevolution)라면 개체군(집단) 간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진화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꽃과 벌은 각자의 생존 본능에 따라 생명활동을 하지만 그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음으로써 생존과 번식에 유리하도록 진화합니다. (꽃은 벌을 더 유인하는 쪽으로, 벌은 꽃을 더 잘 찾는 쪽으로)
      포식자와 피식자의 경우도 포식자는 더 잘 잡아야 생존에 유리하므로 더 빨리 달리는 쪽으로 진화할 수 있고, 피식자도 빨리 도망가는 개체가 생존에 유리하므로 더 빨리 달리는 쪽으로 진화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같이 진화하는 경우를 공진화라고 합니다.

    • @캐늅이
      @캐늅이 3 года назад

      @@darwin1859 오 그렇군요.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덕분에 과학숙제 PPT 끝낼수 있겠네요.감사합니닷!

  • @jongh3262
    @jongh3262 3 года назад +1

    이렇게 세포내에 소기관들이 막으로 둘러쌓여 구획으로 나누어진 이점이 뭘까요? 영상을 보다보니 궁금해졌네요!

    • @darwin1859
      @darwin1859  3 года назад

      분업이 가능해져 더욱 정교한 메커니즘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고 따라서 진핵생물이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marlynguayl3725
    @marlynguayl3725 3 года назад

    동족섭식에서 세대교번이 나타난거군요! (연구는 더 되어야겠지만) 크으으으 소오름~ 쥑인다

    • @darwin1859
      @darwin1859  3 года назад

      조지 윌리엄스는 핵산 간 돌연변이 교정 과정에서 유전자의 융합 및 비교가 일어났고 이것이 성의 근원이라고 보았습니다. 원인이야 어찌되었든 유전자의 융합과 분리 과정이 성의 시작인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 @천문학자TV
    @천문학자TV 4 года назад +1

    15번 거절이 사실인가요? 믿어지지가 않습니다. 저는 3번 거절당했을 때 편집장과 대판 싸우고 포기했었는데... 대단합니다. 저도 뒤늦었지만 다시 시도해 볼까 하다가 이제 기력이...ㅎㅎ

    • @darwin1859
      @darwin1859  4 года назад +1

      네. 책에 '15번 정도'라고 적혀 있습니다.
      편집장이 칼 세이건과 앙숙이었거나 소싯적 마굴리스를 흠모했거나...(소설 한번 써봤습니다^^)
      편집장이 절대 권력이군요.ㅎㅎ

    • @천문학자TV
      @천문학자TV 4 года назад +1

      @@darwin1859 대부분의 경우에는 논문 제출자와 심사위원이 싸우게 놔두다가 싸움이 길어지면 중재를 합니다만, 심사위원을 편집장이 선정하기 때문에 얼마든지 사심이 들어갈 여지는 많습니다.

    • @darwin1859
      @darwin1859  4 года назад +1

      @@천문학자TV 그렇군요. 치열하기도 하고 사회생활도 겸해야하는 학계에 저도 내년부터 발을 담가보려 합니다.^^
      임용 시험 치르고 다 끝난줄 알았던 공부를 다시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줄은 몰랐네요.ㅎㅎ
      교수님의 영향도 적지 않았습니다.

    • @천문학자TV
      @천문학자TV 4 года назад +1

      @@darwin1859 오우~~~ 축하드립니다! 이제 전문학자로까지 무장하시면 창조좀비들 박멸은 시간 문제이겠습니다.
      선생님 구독자수가 꾸준히 늘고 있네요. 저는 부업으로 창조좀비 참교육 일을 한다는 게 들통이 났는지 며칠 전에 드디어 구독 취소수가 구독자수를 넘겼습니다.ㅎㅎ

    • @darwin1859
      @darwin1859  4 года назад +1

      @@천문학자TV 저도 2명 증가하면 꼭 1명씩 빠지더라구요.ㅎㅎ
      이유야 여러가지가 있겠지만요.
      무튼 그냥 책 열심히 읽고 아웃풋 내본다는 생각으로 꾸준히 해보려 합니다.
      어그로 끄는 것도 해본 이들이 한다고 저는 잘 하지도 못하겠어요.ㅎㅎㅎ

  • @user-jq8sq4nv5i
    @user-jq8sq4nv5i 3 года назад

    그러면 공생 발생설에서 고세균의 원핵세포의 세포질에 핵의 형성과 미토콘드리아의 세포 내 공생이 일어나게 된게 맞죠? 이렇게 되면 고세균의 세포가 원핵세포에서 진핵세포로 바뀐 것이니 고세균이 진핵생물이 된 것인가요?? 국어지문에서는 고세균이 진핵생물이 된 것이 아닌 진핵세포가 되었다고 언급되어 헷갈려서 여쭤봅니다.

    • @darwin1859
      @darwin1859  3 года назад

      진핵생물은 진핵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니 국어지문 문장 자체는 틀리지 않아 보입니다.
      예시로 효모는 단세포 진핵생물이면서 진핵세포입니다.

    • @user-jq8sq4nv5i
      @user-jq8sq4nv5i 3 года назад

      @@darwin1859 아 생물 자체가 세포 하나로만 이루어져있다는 말씀이신가요?? 그러면 진핵세포이자 진핵생물이 될 수 있으니 위 지문에서 이렇게 표기한 것이구요??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 @darwin1859
      @darwin1859  3 года назад

      @@user-jq8sq4nv5i 네 맞습니다.
      단세포 진핵생물은 효모, 짚신벌레, 아메바 등이 있습니다.
      이런 생물들은 진핵세포 한 개로 구성된 진핵생물입니다.

    • @user-jq8sq4nv5i
      @user-jq8sq4nv5i 3 года назад +1

      @@darwin1859 그렇군요! 지문 읽을때 진핵세포를 진핵생물이 가지는 세포로 정의해놨는데 갑자기 원핵생물인 고세균이 핵이 생겨서 진핵 세포가 되었다고하니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이 어떻게 세포 하나로 바뀌는지가 이해가 안됐었는데 생물자체가 세포면 해결되는 일이였근요! 감사합니다

  • @dogyunkwon
    @dogyunkwon 4 года назад

    윽 미토콘드리아를 보니 또또 왜곡질하던 구라쟁이들이 생각나는군요. 오늘 영상은 이전보다 더 고퀄리티인것 같습니다. ㅎㅎ

    • @darwin1859
      @darwin1859  4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ㅎㅎ
      미토콘드리아 이브 말고 또 미토콘드리아로 시비거는 것 있나요?

    • @dogyunkwon
      @dogyunkwon 4 года назад

      @@darwin1859 거의 이브 파생이죠. 구라쟁이들 본부에서 지령나온게 그것 뿐이니 ㅎㅎ. 저 공생설 자체를 시비걸기도 합니다. Mtdna는 인간에게도 쓸모있는 dna다. 하면서요.

    • @darwin1859
      @darwin1859  4 года назад

      @@dogyunkwon 부계 mtDNA가 수정란에 포함되어 유지되는 사례도 충분히 있고, 미토콘드리아 이브 자체가 집단일 수밖에 없는건데요.ㅎ
      또 인류 조상을 찾는 수많은 방법 중 여자 조상을 찾는 하나의 방법일 뿐이고요.
      '이브'라고 이름 지어서 흥행하기도 했지만 그만큼 저들에 이용당하네요.ㅜ
      세포 내 공생으로 시비거는건 또 처음 알았습니다.ㅎㅎ

    • @dogyunkwon
      @dogyunkwon 4 года назад

      @@darwin1859 쟤들한텐 모든 DNA가 의미가 있어야 하니까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