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저도 같은 영어강사로 근무중인데, 혹시 목표지향/관련 지문의 원문을 알 수 있을까요? 워낙 까다롭고 추상적인 글이라 아이들에게 자세히 설명해주고싶은데 선생님께서는 원문을 읽어보신듯하여 공유 요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이 늦었네요.. 다음 주소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좋은 댓글 감사드립니다! books.google.co.kr/books?id=5vo9zMJRnMwC&pg=PA20&dq=%22Given+the+range+of+goals+that+can+influence+learning,+it+is+not+surprising+that+different+models+reflect+different+types+and+degrees+of+goal-based+influence.%22&hl=en&newbks=1&newbks_redir=0&sa=X&ved=2ahUKEwi7uLCfktKJAxWcdvUHHacwJiIQ6AF6BAgHEAI#v=onepage&q=%22Given%20the%20range%20of%20goals%20that%20can%20influence%20learning%2C%20it%20is%20not%20surprising%20that%20different%20models%20reflect%20different%20types%20and%20degrees%20of%20goal-based%20influence.%22&f=false
@@englishong네, 선생님. an accurate model of the world around it에서 it이 가리키는 건 model이라고 학교에서 설명을 해서요… it이 지칭하는게 reasoner이라고 보는게 타당할 수 있지만, model이라고 했을때도 문제가 생기는건 아니다.라고 하셨어요 reasoner을 추론자 말고 교수자라고 했는데, 원문 논문이 교육자들에게 교육방법을 제시하는 논문이라서 reasoner은 교수자를 지칭할 수 밖에 없다고도 덧붙였어요. 뭔가,,,찜찜해서 여쭤봅니다!
@@TiffanyJo-w2t 1. it을 model로 보면 단어가 중복되어 이상합니다 (책상의 책상 같은 느낌) 2.이글은 교사들이 인지해야하는 내용은 맞지만 학습목표에대한 설명이고 학습자에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그리고 teaching이 아니라 learning이라고 명시되고있죠) 교수자가 아닌 학습자로봐야합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제 생명의 은인입니다 내용 꼼꼼하신데도 20분 안에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화이팅하세요!
1학기 중간기말에 이어서 이번 중간고사도 넘누너무 감사합니다 ❤❤❤❤❤
화이팅입니다^^
14-2번 진짜 막막했는데 이해 잘 됐어요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었다니 기분좋네요
화이팅입니다!
2번 지문에서 축구로 비유하신게 진짜 엄청 이해가 잘 됐어요! 감사합니다
@@utopiaaroundtheskyandeunxeo 축구는 못하는데 비유는 잘됐네요ㅎ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저도 같은 영어강사로 근무중인데, 혹시 목표지향/관련 지문의 원문을 알 수 있을까요? 워낙 까다롭고 추상적인 글이라 아이들에게 자세히 설명해주고싶은데 선생님께서는 원문을 읽어보신듯하여 공유 요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이 늦었네요.. 다음 주소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좋은 댓글 감사드립니다!
books.google.co.kr/books?id=5vo9zMJRnMwC&pg=PA20&dq=%22Given+the+range+of+goals+that+can+influence+learning,+it+is+not+surprising+that+different+models+reflect+different+types+and+degrees+of+goal-based+influence.%22&hl=en&newbks=1&newbks_redir=0&sa=X&ved=2ahUKEwi7uLCfktKJAxWcdvUHHacwJiIQ6AF6BAgHEAI#v=onepage&q=%22Given%20the%20range%20of%20goals%20that%20can%20influence%20learning%2C%20it%20is%20not%20surprising%20that%20different%20models%20reflect%20different%20types%20and%20degrees%20of%20goal-based%20influence.%22&f=false
3번 지문에서 one of confused feeling이라고 나와 있는데, one of 뒤에는 복수 명사가 와야 돼서 feelings여야 하는 거 아닌가요? 궁금합니다!
선생니 안녕하세요 문장 3강 문장 the drawing was of an irregularly branched tree, intended to convey----- 여기서 convey를 conveying 으로 써도 되나요?
"intend to동원"은 하나의 표현으로 형태를 바꾸면 안됩니다
여기서 to는 전치사가 아니거든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10:47 의 adapted는 수동을 의미하는 과거분사로 쓰인건가요?
become+형용사구조에서 형용사성질로 분사가 쓰였고 수동의미의 과거분사로보셔도 됩니다
그런데 사전을찾아보면 adaped(형, 적당한 알맞은)가 형용사 단어로 나오기도합니다
두가지 모두 가능한 구조해석입니다
그런데요 선생님. 질문이 있어요. One of를 ~인 것 으로 대명사로 해석할순 없나요?
좀더 자세히 질문해주겠어요? 질문이 뭔지 애매하네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2번에 it을 a reasoner이라고 설명듣고 이해했습니다. 혹시 model도 틀리지 않다. 가 가능할까요?
질문을 조금더 자세히 해주시겠어요?
it을 model로봐도 틀리지않다는건가요?
아니면 다른 질문인지??
@@englishong네, 선생님. an accurate model of the world around it에서 it이 가리키는 건 model이라고 학교에서 설명을 해서요… it이 지칭하는게 reasoner이라고 보는게 타당할 수 있지만, model이라고 했을때도 문제가 생기는건 아니다.라고 하셨어요
reasoner을 추론자 말고 교수자라고 했는데, 원문 논문이 교육자들에게 교육방법을 제시하는 논문이라서 reasoner은 교수자를 지칭할 수 밖에 없다고도 덧붙였어요.
뭔가,,,찜찜해서 여쭤봅니다!
@@TiffanyJo-w2t 1. it을 model로 보면 단어가 중복되어 이상합니다 (책상의 책상 같은 느낌)
2.이글은 교사들이 인지해야하는 내용은 맞지만 학습목표에대한 설명이고 학습자에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그리고 teaching이 아니라 learning이라고 명시되고있죠) 교수자가 아닌 학습자로봐야합니다
감사합니다❤
2번 지문 ㄹㅇ 만든 ㅅㄲ ㅇㅁ 터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