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cm 높아진 지하 주차장 때문이죠"...엉터리 설계, 시공이 망쳐버린 한국형 건축공법ㅣ땅집고연구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85

  • @민이리-v3g
    @민이리-v3g Год назад +76

    제대로 시공 해도 지진 등 진동에 취약한 게 무량판 구조일텐데 그나마 설계도 대충, 시공도 엉터리, 감리는 한눈 파니 서있는 것 자체가 기적이네.

  • @krh6875
    @krh6875 Год назад +159

    순살아파트 문제가 부도덕한 어느 한 시공사의 문제가 아니라 발주 설계 시공 감리 선분양 정책까지 총체적인 문제네요. 삼풍백화점이라는 큰 참사를 겪고 30년이 지났어도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는 사실이 정말 참담하네요. 부실시공 원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sangho9274
      @sangho9274 Год назад +8

      김대중노무현 10년이나 더블당정권
      이었는데 바뀐게 없고 더 심해지네요

    • @r2d2f27
      @r2d2f27 Год назад +12

      ​@@sangho9274 건설회사 해봤다는 이명박과 그리고 박근혜도 있었는데 무슨 ㅎㅎㅎ

    • @UCBerkeleyCS
      @UCBerkeleyCS Год назад

      최대이하 징역 , 최대이하 벌금 법자체가 의미없다 앞으로 계속 반복됨 장담 100%
      ruclips.net/video/hBMg5yWiguU/видео.html
      싱가폴 사람들이 싱가포르법을 지키는 것은 태형 벌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범죄자들이 처벌을 두려워하지 않으니 한국법이 무너지고 있는중
      이것이 무서워 싱가포르 권력,정치인,판검사가 법을 제일 잘 지킵니다 42년간 0% 기적
      대통령 , 정치인 , 판검사들이 법을 잘 지키니까 국민들도 잘 지키는 나라임
      롤모델은 최소이상 징역 개정과 싱가포르식 태형 도입해야 한국 초선진국된다
      한국 - 최대이하 징역 , 최대 이하 벌금
      싱가폴 - 최소이상 징역 , 최소이상 태형 , 최소이상 벌금 혹은 고정 벌금
      싱가포르 - 파면 , 해임 2가지
      한국 - 파면, 해임, 강등, 정직, 감봉, 견책 6가지 코미디 ㅋ

    • @UCBerkeleyCS
      @UCBerkeleyCS Год назад +1

      담배꽁초 버리면 한화 고정벌금 200만원임 , 돈없다면 태형 8대
      2진부터 2배씩 가산 400만 or 태형 16대
      떨게 만드는 무시무시한 법강국
      싱가포르를 세계에서 법 집행이 가장 강한 나라 , 세계 3대 청정부국중 1위

    • @Ss2_ss2
      @Ss2_ss2 Год назад +4

      @@sangho9274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역시 2찍 탈출은 지능순이짘ㅋㅋㅋㅋ

  • @oryango
    @oryango Год назад +218

    무슨 구조로 짓든간에 제대로 철근 넣어서 지어야지;

    • @시라쏘니-c9m
      @시라쏘니-c9m Год назад +23

      정답입니다
      무량판에 문제생겨 그것만 강조하는데
      다른구조식도 철근있어야죠

    • @user-kvclsoecnmjg59fu9ic
      @user-kvclsoecnmjg59fu9ic Год назад +7

      @@시라쏘니-c9m 당연히 철근이 있어야 하지만 다른 공법은 어느정도 버타지만 무량판은 버틸 힘이 없음. 그래서 무량판은 잘못된 공법임.

    • @mensa2030
      @mensa2030 Год назад +17

      ​@@user-kvclsoecnmjg59fu9ic공법은 문제가 없어요. 공법대로 안하는게 문제지. 실수로 빼먹은게 아니잖아여

    • @sunmelody
      @sunmelody Год назад +10

      @@mensa2030 요새 외노자들 많아서 제대로 무량판 공법대로 시공할줄 모름.

    • @yhun1212
      @yhun1212 Год назад +11

      ​@@sunmelody현장 노동자가 그런 걸 왜 알아야됨? 관리자가 잘 지시해야지

  • @lsy30
    @lsy30 Год назад +119

    결론은 돈은 다 올려 받고, 자재는 안넣고, 집은 불량이고, 시공사는 배 따뜻하다 깜빵가고. 나라꼴 잘 돌아가요잉???

  • @Vincent-qw3pn
    @Vincent-qw3pn Год назад +82

    콘트리트 라멘조로 아파트를 짓던 1980년대 아파트는 층간 소음이라는 것이 없었다. 기둥과 보로 구조를 만들고 조적으로 벽돌을 쌓았기 때문에 요즘 짓는 내력벽 구조 와는 달이 벽과 슬라브에 울림이 없었던 것이다. 기둥과 보가 소리를 흡수 한 탓이었다. 노가다 회사들의 악습인 공기 단축과 건축비 절감 정책이 오늘 날의 내력벽(Con. Turnnel) 아파트를 지어 나간 것이다. 결국 입주자들은 만성적인 층간 소음에 시달리게 되었다. 이제는 한 술 더 떠서 무량판 구조로 아파트를 지을 뿐만 아니라 아예 철근까지 빼 먹고 짓고 있다. 다 같이 망하자는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다 믿어도 노가다 회사는 믿지 말라는 속설은 헛소리가 아니다. 1960년대에 마포 영세민 아파트가 무너졌는데 그로부터 반세기 후에 새 아파트가 무너지고 있다. 이 나라는 후퇴 하고 있는 것이다.

    • @복복-x8u
      @복복-x8u Год назад +1

      중요한 말만 딱 하셨네요!

    • @Nana-t4h5y
      @Nana-t4h5y Год назад +1

      저는 LH임대 아파트를 계약해서 내년초 입주인데 걱정입니다. 조회해보니까 거기도 무량판구조로 지은 곳이라고 리스트가 나오네요. 무량판구조로 지은 주차장만 위험하고 아파트 본건물은 괜찮은 건지 알려주세요. 아파트 본건물은 무량판 구조가 아닌지요?

    • @jihyeounglee4013
      @jihyeounglee4013 Год назад

      @@Nana-t4h5y
      아파트 본체도 무량판이면 같은 높이면 층수를 더 많이 가져갈 수 있습니다.

    • @sjchoi777
      @sjchoi77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Nana-t4h5y 무량판이라서 위험한게 아닙니다..좋은공법이에요..부실시공했는지가 문제지..부실시공하면 안 위험한 공법이 어디있을까요?

    • @sjchoi777
      @sjchoi77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량판은 그나마 벽식보다 층간소음은 적지..

  • @큰형-n5f
    @큰형-n5f Год назад +43

    무량판구조는 건설사만 꿀빠는공법입니다. 건축시간단축 건축비절감.

    • @AntiSound098
      @AntiSound098 Год назад

      꼭 그런건 아니에요 제대로 시공하면 다른 시공방법이랑 큰차이 없어요

    • @양촌-q1q
      @양촌-q1q Год назад

      @@AntiSound098 그 제대로가 안되니 문제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상상-f1j
    @상상-f1j Год назад +31

    기둥식으로도 지하주차장 층고를 높게 할 수 있다. 다만 돈이 더 드니 무량판으로 한거지.

  • @로블록스하고싶은사람
    @로블록스하고싶은사람 Год назад +28

    공기업인 lh공사가... 지금 전세 보증보험의 사기에 호구잡혀 계속 돈물어주고있고 lh공급용으로 짓는 아파트들도 기존 아파트들이랑 같은가격에 사오는데도 불구하고
    품질차이가 난다는건 10년도 더된애기다..자재빼먹고 돈도빼먹고 눈먼돈 빼먹으나 아파트 부지지정할때부터 지을때까지 얼마나많은 돈을 빼먹기쉬운구조인지
    보면 알거같다

  • @윤미옥-l6b
    @윤미옥-l6b Год назад +15

    잘 봤습니다^^
    늘 고맙습니다~~

  • @우리공주님들
    @우리공주님들 Год назад +17

    보기좋고 공간확보 용이..이모든게 안전과는 무관한것
    진동 충격 하중 지진에 취약한 무량판 공법.
    미국 일본 등은 이제 잘 사용하지 않는 위험한 공법.
    아파트 무너져야 다시는 사용하지 않을거 같음

  • @coinpapa-68
    @coinpapa-68 Год назад +61

    감리이야기가 많이 나와서 한마디 합니다 현행감리는 현장시공 위주의 감리가 아니라 서류위주의 감리입니다 국토부 점검나와도 현장보다 서류를더많이 봅니다 그러니 철근배근 여부를 감리가 제대로 안보는 실정이고 시공사에서 전적으로 책임시공합니다 감리는 서류만 챙겨주면 현장은 잘 안보고 대충넘어 가지만 서류안챙겨주면 진짜 지랄발광을 합니다 점검시 벌점받으면 감리생활 못한다고~~~
    이런사실을 과연 모를까요 국토부가?
    현행체제로는 불가능합니다

    • @초묘-g3p
      @초묘-g3p Год назад +10

      그걸 보고 우린 감리가 제대로 일을 안 했다 라고 하는겁니다.

    • @minb.j9303
      @minb.j9303 Год назад +2

      ​@@초묘-g3p일을 안했다가 아니라 현행 감리 대부분은 건축시공이 아닌 건축사보 또는 건축사라서 시공관련 업무 지식이 그렇게 높지 안습니다.

    • @초묘-g3p
      @초묘-g3p Год назад +2

      @@minb.j9303 건축에서 철근 배근과 수량 계산은 기본중에 기본입니다. 아무리 바보 멍청이 찐따를 가져다 놔도 그걸 간과할수 있는 영역이 아니죠.

    • @과학생활
      @과학생활 Год назад +6

      제대로 시공하면 감리가 왜 필요할까요...시공이 불량이라 감리제도를 만들었더니 감리도 부실....이건 진짜 이나라 사람 특징인가...

    • @김기기리
      @김기기리 Год назад +3

      검단자이 무너지고 건설사현직 애들 감리가 ㅈ으로 보이냐 절대 빼먹을수 없는 시스템이다고 쉴드질 하다가 철근 빼먹었다고 다른곳은 154개 다 빼먹었다는 조사결과 나오니까 코빼기도 안보임

  • @westhero76
    @westhero76 Год назад +60

    아파트 지하 주차장은 수많은 보와 보가 교차하는 기둥식 구조가 당연히 안전하죠.

    • @user-ww1xw1rb9j
      @user-ww1xw1rb9j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차장 뿐만 아니라 모든 건축방식중 가장 안전함 타워형 주차장은 기둥식으로만 짓는거 보면 그 많은 차량무게를 버틸 수 있는건 기둥식뿐이라서 그럼

  • @samseo664
    @samseo664 Год назад +7

    현업자인데, 문제 정확하게 보셨습니다. 우리는 시공표준이라는 것이 산업 전체에서 수립되지 않고, 각 시공사들이 본인들의 경험에 따른 시공 매뉴얼이 있고, 그 자체가 기술력으로 인정받았습니다. 뭐 사우디에서 일본이 3년 걸린다 한거 우리 건설사가 2년만에 지었다..박수. 하는 식으로.
    문제는 무량판 구조는 시공사들 기존 매뉴얼로 감당할 수 없는 설계인데, 우리는 그동안 어떠한 적법한 표준 시공방법을 세우고 그걸 준수하는 방향으로 업계가 커오지를 않았습니다. 기존 매뉴얼은 안맞는데, 그럴경우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든 문제는 민간에서 풀어왔고, 국토부는 그런 민간을 믿고 놀아왔어요.
    현대건설 같은데서 이걸 어떻게든 정상화를 시킬겁니다. 그럼 다들 아 우리가 문제가 있었는데 이제 해결되었구나 하고 넘어가겠죠 몇년 뒤에 같은 구조의 문제로 또 어디가 무너질 때 까지…

    • @giti7853
      @giti7853 Год назад +1

      무량판도 철근만 있으면 괜찮다는 말만 듣고 안심했는데, 현장에서는 무량판 표준 시공방법조차 마련할 생각조차 없는 상황이라는 게 충격이네요.

  • @아름다운하늘-j6d
    @아름다운하늘-j6d Год назад +35

    내 아파트가 안전하게 지어졌다고 해도 친구집에 놀러갔다가 붕괴로 죽을 수도 있는....무섭네요

  • @MsHitman332
    @MsHitman332 Год назад +86

    울나라 조선소에 만든 배는 전세계에서 인정합니다. 납기, 가격, 성능 등등 모두를 만족해서 전세계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게 그냥 되는게 아닙니다. 조선소가 기술이 너무 좋아서? 아닙니다. 선주가 파견한 선주 감독관의 철저한 감리를 받기 때문입니다.
    배에다가 전등 하나만 달아도 선주 감독관, 회사 감독관, 작업자 이렇게 3팀이 와서 작업을 확인합니다. 도면의 위치와 맞는지, 도면의 표시된 자재를 사용 했는지 일일이
    확인해서 선주 감독관이 확인을 하고 사인을 합니다.
    울나라 건설현장에서 감리 하는 사람 있나요? 철골에 콘크리트 부으면 그 철골 제대로 만들었는지 확인 하나요?? 감리가 그거 확인했으면 순살 자이 는 없었겠죠
    저도 내선공사 슬라브 타면서 공사 했었지만, 그 어떤 현장에서 작업현장에 감리는 없었습니다.
    네 자재 빼먹는 사람 어딘가에 있겠죠.. 기술 안되는 사람이 시공도 하겠죠.. 그런데 그걸 잡아내야하는게 감리입니다. 기술적인 문제 도의적인 문제 다 떠나서 감리가 현장에서
    작업확인을 해야 하는데 그걸 울나라 건설현장에선 안합니다. 그런 감리는 왜 돈주고 고용하는지는 당췌 모르겠네요

    • @Exynos3
      @Exynos3 Год назад +1

      예? 이미 해외도 비슷한 사례 있고 조선은 이미 망하고 있고 현대미포조선은 납기일 밀려서 위약금 내는데 ㅋㅋ

    • @khackers
      @khackers Год назад

      팩트:인건비 ㅈㄴ후려쳐서

    • @김알렉산더-h1s
      @김알렉산더-h1s Год назад

      옳은 말씀이네요

  • @samseek
    @samseek Год назад +5

    오우야 분석글 좋네요. 잘배워갑니다.

  • @김명준-c4t
    @김명준-c4t Год назад +53

    1...법이 약해서 그래요....
    2.. 법을 만드는 국회의원들이 놀아서 그래요...
    3...책임소재를 확실하게 시공사로 해야해요... 하청업자는 시공사가 하라는데로 하니....
    4.. 사고 혹은 검사시 불법시공은 감리도 똑같이 시공사와 동일하게 처벌 해야해요...

    • @castlep7570
      @castlep7570 Год назад +2

      시공사는 발주처가 하라는데로 합니다...
      설계부터 모든걸 지시받고 해요..

    • @castlep7570
      @castlep7570 Год назад

      특히 공공공사는 내역까지 전부 발주처에서 주는데로 진짜 시공사는 시키는데로 시공만 합니다..

    • @dy4951
      @dy4951 Год назад

      180석 문주당 넘들이 일을 안 하네
      맨날 입으로는 민생 민생하면서
      문주당 애들 보호하는 "검수완박", 노조 넘들 보호하는 "노랑봉투법" 이 딴 떼법이나 만들며 시간 다 보냄
      징글징글

    • @푸른하늘-q2t
      @푸른하늘-q2t Год назад

      기술인력이 없어요.

    • @coinpapa-68
      @coinpapa-68 Год назад +2

      하청업체가 갑이고 인력도 없고 하청도 민주노총이 꽉잡고있으니 시공사 힘하나도 없어요 민노총 민원노동부 넣으면 귀찮아서 시공사 편아무도 없습니다 전부 소란피우는 노조 편들면서 공무원들 만만한 시공사만 조지는데
      무슨일이 제대로 되겠습니까?
      시공사들은 왜가만히 있는지 메이저 시공사들도 입다물고 있는게 속편하다 싶어 할말은많지만 ~~~~

  • @ReusP
    @ReusP Год назад +8

    진짜 설명 잘하신다
    이해가 딱됩니다

  • @sangho9274
    @sangho9274 Год назад +32

    광주에서 아이파크 무너졌을때 면허취소 했어야 합니다
    사람이 먼저다라고 얘기를 하지 말던가

    • @ygtyt44
      @ygtyt44 Год назад +4

      미안하돠..고맙돠..

    • @Ss2_ss2
      @Ss2_ss2 Год назад

      @@ygtyt44 여가부 언제해체하놐ㅋㅋㅋㅋㅋㅋㅋㅋㅋ통수 맞아도 정신 못차리눜ㅋㅋㅋ

  • @billyk5285
    @billyk5285 Год назад +2

    사람이 죽어도 안바뀌는 건설업계ㅋㅋ 삼풍급 대사건이 나고 높은인간들이 깜빵가고 회사가 몇개 망해야 바뀔까말까

  • @떠들우
    @떠들우 Год назад +41

    법대로 하면되는데 법을 안지켜도 처벌은 약하고 이득은 크니깐 대 놓고 불법 하라고 하는거나 마찬가지

    • @Exynos3
      @Exynos3 Год назад +2

      그게 법 자체가 문제고 의미 없다는건데요? ㅋㅋ 그리고 긴 이야기가 필요하지만 독일이나 미국이 좀 나은거지 건축/건설/토목/부동산은 늘 서로 하나이고 설계와 시공 기술 즉 전문성 없으면 접근조차 못할 정도로 접근성이 높고 전문성 요구가 자동차나 의료쪽 같이 높아서 저가입찰하고 분상제 하면 혹독하게 치루는 대가가 많죠 ㅋㅋ 자본주의상 합법적인 것도 많고 어차피 관리, 감독, 감시가 크게 안먹히는 분야도 많고 제대로 까면 좌우 모든 기득권이 걸리기도 하고 우파라는 것들도 저런 문제를 잘 안까는 이유가 제대로 까면 지금 정부와 군인 특히 영관과 장군도 걸려서 문제가 많죠 ㅋㅋ 군대 관련 건축/건설/토목 수주가 많아서 ㅎㅎ 이정도로 사회적 권위와 지위, 영향력, 가치가 높다는 증거가 많고 전문성 없으면 대응이 힘들어요 이 유튜브 채널에도 잘 나오는 이야기던데 심지어 자재 슈킹 문제 말고 하자는 시공자 수준따라가는데 이것도 민도에 돈 문제가 얽혔고..

  • @아루나-d6z
    @아루나-d6z Год назад +31

    감리와 시공사 간의 관계를 단절시키지 않는다면 영원히 해결 불가~~~~

    • @흐지마-q2z
      @흐지마-q2z Год назад

      감리가 무보수 직이면 그리될듯
      시청이나 정부에서만

  • @radiotracer
    @radiotracer Год назад +49

    2011-2015년 전후일겁니다. 우리나라 토목, 건설회사들이 월급도 못 줄 정도로 경영위기에 빠졌었고. 그 전후로 인력들 변동도 많고. 전체적으로 개판이 되어버렸음. 과거의 대한민국 건설, 토목. 이제는 그 실력 없을겁니다

    • @푸른하늘-q2t
      @푸른하늘-q2t Год назад +11

      지금도 싸게 외주처리만 하니 제대로 일하는 사람이 없습니다.

    • @부통-ab
      @부통-ab Год назад +4

      지금도 탈출 중. 누가 노가다 합니까

    • @haim7512
      @haim7512 Год назад +7

      건축시 7층 이상은 순수익이라는 말이 돌정도로 많이 먹습니다. 조선업도 비서도 1억 이상 받는 다는 말이 있었는데 돈 놀이 하다가 터진거고요.

  • @BIG_TRAIN
    @BIG_TRAIN Год назад +1

    무량판인데 철근 까지 빼먹내

  • @skycops
    @skycops Год назад +4

    아파트 만의 문제 일가요.. 지금 지었던 대형 마트.. 상업시설 ,,,, 쇼핑몰등.. 사람이 몰리는 곳등 대대적으로 조사해야 하지 않을까요. 지금 아파트 터졌으니...... 아파트만 집중하고있지..... 나중에 쇼핑몰 등 대형 마트 시설이 이같은 상황 벌이지면 그때서야 자원 잃고 사람잃고 해야 대처 할런지.... 에효........ 다른 시설 전수조사 요청 해달라고 부탁합니다.

  •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Год назад +5

    삼풍백화점 이후 늘어난건 아 저렇게 해야 빼먹을수있구나 하며 비용절감만 연구

  • @ushuaiau8009
    @ushuaiau8009 Год назад +6

    부실 아파트 전수조사해서 다시는 이런일이 발생하지 않도록하자

  • @WestWood_M
    @WestWood_M Год назад +1

    아이구야, 세상에..

  • @seonghun83
    @seonghun83 Год назад +8

    결국 30년전이나 지금이나 달라진게 없다네

  • @truthfree
    @truthfree Год назад +4

    이거 단순히 해결될 문제가 아니네요. 큰칼이 필요하고 대대적이고 거국적인 법안마련 및 정부의 움직임 동반해야 함

  • @eppest9078
    @eppest9078 Год назад +12

    말뚝 몇개 박아놓고 수천채 집을 팔아먹는걸 아직도 이상하다고 생각 못하죠?
    층간소음 부실공사 모두 후분양이 답인데,선진국이라며?

  • @backlashlee
    @backlashlee Год назад +5

    저런 비리, 사기 전부 사형 때려 버리면 많이 줄 건데 우리나라는 법이 너무 관대하죠.

  • @wwoo-dg3px
    @wwoo-dg3px Год назад +7

    기둥식에서 보가 빠진 무량판 구조는 안전에 가장 취약합니다. 삼풍백화점도 무량판... 일본은 5층 이상 모든 부동산은 기둥식으로 짓도록 법으로 정해놨습니다... 또한 층간소음도 벽식 > 무량판 > 기둥식 순으로 줄어들어서 기둥식에서는 층간소음 자체가 나지 않습니다. 모든 아파트를 기둥식으로 짓도록 법으로 정해야 합니다. 기둥식으로 지으면 내구성이 좋아 아파트 수명을 100년 이상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그렇게 수명을 늘리면, 인구감소로 노동인력이 줄어드는데 유리하고, 자원 낭비를 막고, 아파트 가격이 지금처럼 미친듯 오르지 않게 됩니다. (건설사로서는 돈 벌 기회가 줄어드니, 건설사 스스로는 절대 이렇게 기둥식으로 100년 이상 가는 아파트를 짓지 않을 거기 때문에 일본처럼 법으로 기둥식으로 짓도록 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 @DiGIMon74
      @DiGIMon74 Год назад +1

      다 장단점이 있죠... 기둥식이 좋은건 누구나 알지만, 공간의 효율성 또한 벽식 >> 기둥식으로 차이나기 때문에 같은 40평이라도 기둥식은 30평으로 느끼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50~60평 이상에서만 기둥식을 사용하는 이유기도 하구요.. 사람들 맨들 옛날집이 평수가 잘 뽑혔다, 평당 얼마다~, 요즘 구조 치고 넓다, 이렇게 그 무엇보다 평수를 중요시 하는 경향이 있기도 하구요

    • @heayulyang3
      @heayulyang3 Год назад +1

      의문나는건 철근을 빼먹어도 반이상 빼먹지 않을거고 그렇다면 철근반으로 지은 건물이 외부 하중충격없이 무너진다. 대만 터키 지진 났을때 벽속 깡통 철근 반이상 적게넣었는데도 외부 충격없이 무너지지 않았어요. 실제로 보를 만들어서 시험을 할때도철근 콘 크리트는 굉장히 강합니다.시험체의 금이 다 숫자상우로 강도 0아라고 판정해도 장기하중정도는 충분히 견딜수 있죠.건데
      무량판구조는 하중전달과정이 불명확하고 인장과 전단력의 발생위치가 불명확 할것 같은데.. 그러고 고층갈수록 지진력이 엄청날것 같은데 그걸 어떻게 소화 시키는지도 궁금합니다.
      배근 몇개로 인해 폭삭 주저앉는 이유가 배근 부족 때문인가요?
      구조적인 상식으로는 도저히 납득이 안돼서요.

    • @wwoo-dg3px
      @wwoo-dg3px Год назад

      @@heayulyang3 생각하신 바로 그 콘크리트가, 문제였다네요.
      검단동 주차장 붕괴는 7일 보도(tv조선)에 의하면 저강도 콘크리트 사용이 원인이라네요.
      (잉, 철근 빼 먹은 건 원인이 아니란 말인가?)
      **전단보강근** 그리고 책상다리와 비교.. *** (잠깐이지만, 그래도 공부..한게 아까워 적고 갑니다.)
      기둥에 평탄한 슬라브를 얹은 구조라, 기둥과 슬라브가 만나는 부분이 끊어지기(=전단, 즉, 슬라브가 기둥을 뚫고 주저 앉기) 쉬워서, "전단보강근"을 꼭 해줘야 합니다. 이걸 막강하게 잘 해주면 제법 튼튼해 질 겁니다.
      (저도 전문가가 아니라 많이 찾아보고 적었어요..ㅠㅠ 전단의 "전"과 "단"은 한자로 모두 끊어진다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발음만으로는 그 의미 파악이 쉽지 않아 한자도 찾아봤습니다.)
      ((비유)주방 테이블 --- 상판에 책상 다리만 4개 꽂혀 있다면 그게 무량판, 그 상판에 연결된 다리 4개를 둘러싼 보가 있다면 기둥식. 그 보가 강철로 뗌질된 사각형이라면 상판이 얇아도 좌우로 절대 흔들리지 않는 매우 튼튼한 테이블이 된다는걸 우린 모두 경험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리만 있는 테이블은 아무리 튼튼하게 만들어도 좌우로 흔들어 쉽게 삐걱 거리게 할 수 있음을 모두가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안 흔들면 괜찮습니다.ㅋㅋ)
      말씀대로 무량판은 고층으로 갈수록 지진에 더 취약해져서 일본에서는 5층이상 모든 부동산엔 사용하지 않은 공법.
      우리나라는 지진이 잘 나지 않으니, 정말로 무리해서 짓지만 않으면 안 무너질텐데. 말입니다.. 도대체 얼마나 무리해서 지었으면 가만히 있는데도 무너졌을까요? ㅠㅠ
      기둥식도 단점이 있습니다. 벽을 얇게해도 안 무너지니, 그럴 경우 이웃 집 소리가 들리기 쉽습니다. 층간소음은 거의 없으나(아래위), 벽을 얇게 지으면(좌우) 이웃간 소음이 나기 쉽습니다. 벽지지식은 벽이 두껍기 때문에 이웃간 소음은 전혀 없으나 층간소음은 있습니다. 무량판도 벽을 얇게 짓기 쉬운데, 이 경우 역시 이웃간 소음이 나기 쉽죠.

  • @hjsong1337
    @hjsong1337 Год назад +6

    작은 부분이지만, 수정하셔야 할 것이.... 지하구조물의 보 높이는 1.0m 내외입니다. 40cm는 창문 개구부 보강정도 밖에 안됩니다.

  • @새뜸인
    @새뜸인 Год назад +7

    2010년까지가 건설현장 인부들이 한국인이었고
    그 이후 외국인이 대거 유입되어 아파트부실문제가
    본격적으로 터진거라 하던데 제대로 감리까지 안되면
    아파트가 사상누각이죠.
    건설사가 이윤에만 눈이멀면 붕괴사고 앞으로
    많이 생길겁니다.

    • @giti7853
      @giti7853 Год назад

      외국인 노동자와 무량판은 수익극대화를 위해서죠.

  • @꼭꼭씹어먹자
    @꼭꼭씹어먹자 Год назад +10

    설명이 엄청 깔끔하셔서 이해가 잘 돼요~~~^^

  • @하늘소-d4y
    @하늘소-d4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원가 절감 목적 으로 무량판 구조
    건설사 탐 욕 ㅡㅡ

  • @ooparts6175
    @ooparts6175 Год назад +14

    기둥-보-도리는 건축의 전통임

  • @최범순-r6l
    @최범순-r6l Год назад +1

    영상을 잘들었습니다 좋은 소식 감사합니다

    • @ddangzipgo
      @ddangzipgo  Год назад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준영황-v5w
    @준영황-v5w Год назад +5

    제대로된 처벌이 안됐는데 시간만 30년 흘렀다고 뭐가 바뀌겠나.

  • @모세-t3s
    @모세-t3s Год назад +7

    플랫슬라브 구조는 원래 잘만시공하면 안정적인 공법이에요… 우리나라가 개판으로해서그렇지

  • @junyeoni
    @junyeoni Год назад +5

    무량판구조의 핵심부분의 중요한 철근까지 빼먹었는데 그 안전마진이 좀 더 있다는 벽식, 기둥식 구조 속의 철근은 다 넣었을런지? 빼먹자 마음 먹으면 더 쉬웠을 거 같은데? 무량판 구조만 조사해서 되는 건지 의문이 드는군요.

  • @원열류-t3h
    @원열류-t3h Год назад +5

    LH만 전관 문제가 있는게 아닙니다. 도로공사 같은 공기업에는 더 심각합니다. 설계사, 감리사 모두 도로공사 퇴직자들의 집합소 같아요

  • @heaye
    @heaye Год назад +1

    한국에선 안되.

  • @김현재-c7z
    @김현재-c7z Год назад +6

    근데 철근을 하나도 빠짐없이.빼먹었는데 도대체 검사는 어떻게 한거야??

  • @mferrvetgvhye
    @mferrvetgvhye Год назад +6

    아파트 단지 전부다 철거를 하고 모두 다시 시공해라

  • @Noname-ju9vm
    @Noname-ju9vm Год назад +7

    그냥 처벌이 허술한 틈을 타 너도나도 신나게 남의 안전을 희생해 돈을 챙겨먹었던거네요.

  • @지단-r1z
    @지단-r1z Год назад +1

    지진나면 100% 무너지는거지. 장점 이야기 하지 마세요~ 제대로 지은 무량판 건물 1도 없읍니다.

  • @hitman12218
    @hitman12218 Год назад +10

    삼풍백화점이 무량판구조 였다고 아는 건축사가 말해줬던 기억이

  • @ramg1617
    @ramg1617 Год назад +1

    우리 아파트 주차장도 2.7미터 무량판인대요 불안하네요. 어쩐지 기둥이 많아서 차다니기 불편했는요.

  • @Go-cr1cu
    @Go-cr1cu Год назад +30

    무량판은 공법상좋은거지 보있는거보다는 안전상 좋을수가 없음

    • @rider1921
      @rider1921 Год назад +3

      고층으로 갈수록 무량판공법이 훨씬 안전하고 아예 초고층은 무량판방식 아니면 시공자체가 거의 불가능함.

    • @haim7512
      @haim7512 Год назад +1

      @@rider1921 기둥식으로 하면 무량판에 비해서 공사비도 시공시간도 오래 걸리니까 안하는 것도 있음.

    • @rider1921
      @rider1921 Год назад

      @@haim7512
      40층 이상 넘어가면 기둥 하중도 엄청남.
      무량판방식 고층빌딩은보를 대신해서 앵커를 이용하는데
      지진과 충격에 훨씬 안전해서.
      두바이.뉴욕과 도쿄의 고층빌딩들이 대부분 무량판시공이고 롯데타워도 무량판방식임.
      911테러처럼 한계를 초월한 충격이 한지점에 집중되면 연쇄적으로 무너지는데
      그 한계점까진 그 어떤공법보다 강함.
      공법이 욕먹을 이유는 없고 시공과 감리를 콩밥먹여야함.

    • @아비투스-h6c
      @아비투스-h6c Год назад +2

      ​@@haim7512그게아니고 원청사에서 철근 빼묵으려고 꼼수를 쓴거임 무량판구조에 보강철근 하면 겁나 튼튼함 근데 보강을 안해서 문제된거 구조는 문제없음

  • @국가투명화
    @국가투명화 Год назад +2

    건설사가 마진 다 빼먹고 지들 대신 하도급업체한테 지으라고하니 이모양 이꼴이지 건설사 직주로 바꿔야 돈 때문에 뻬먹는거 막을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 달성이다

  • @뽀아빠
    @뽀아빠 Год назад +2

    무량판구조가 정상적으로 지워져도 만약에 지진이라도 발생하면 어떻게 될련지 이런걱정을 안할수가 없네요

  • @associationkos2884
    @associationkos2884 Год назад +3

    이정도면 무량판 시공법 자체를 금지해야 하는거 아냐

  • @ksatan9607
    @ksatan9607 Год назад +1

    현제 지어진 무량판구조 아파트 대부분.. 거의 전체에 해당하는 중대한 사안입니다. 이런집에 사시는 분들.. 뚝..뚜뚝 퉁~~ 이런 비슷한 콘크리트 파괴되며 울리는 소리 조금이라도 들리면 무조건 중요자산만 챙기셔서 아파트단지 외부로 피신해야 합니다. 그리고 평상시 집에 드나들때 무량판 기둥주변 갈라짐은 없는지 뭔가 부스러기가 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습관을 반드시 길러야 합니다.

  • @ubermensch652
    @ubermensch652 Год назад +4

    설계대로 안지으면 사형시켜라.

    • @ktd3136
      @ktd3136 Год назад

      산채로 화형 시켜

  • @AlphaGo27
    @AlphaGo27 Год назад +37

    무량판이 문제 -> X
    무량판인데 철근을 빼돌린 놈들이 문제 -> O
    정말 무량판 구조가 문제였다면 아예 법적으로 해당 시공 방식을 금지시켰을 거임.
    근데 지금 발생하는 모든 문제는 무량판 구조인데 거기서 철근 빼돌린 놈들 때문에 생긴 문제임.

    • @펄라
      @펄라 Год назад

      무량판을 전면적으로 적용할만한 비용수준이 아님

    • @belluttti
      @belluttti Год назад

      맞습니다.

    • @Dark-hunter646
      @Dark-hunter646 Год назад +3

      자이가 철근 빼돌리게 된게 어떻게 생긴줄 알고 있나요? 아파트 현장 왠만한곳은 철근 가공장이 현장 내부에 있는데 자이는 현장내에 철근 가공장이 없어요 그말이 무슨말인지 모르죠? 철근 가공장이 현장에 있다는건 즉 철근 가공하고 남은 자재 즉 고철이 나온다는 말입니다 그런 고철은 현장직원들의 회식비등으로 지출하게 되는데 자이는 현장내에 가공장이 없음으로 인해 철근 반입에서 빼돌리기 하는 수단을 사용하기에 문제가 발생한거로 보이네요

    • @coinpapa-68
      @coinpapa-68 Год назад +2

      철근 빼돌리려고 빠진게 아님니다 시공상 기둥철근 슬래브철근 슬래브 두께 가 있다보니 보강근을 넣을수 없는 설계적 하자도 너무 많은 실정입니다 그래도 빼먹으면 안되지만 시공이 안되는걸 어쩝니까 대기업에서 철근값아낄려고 누락했다고 보십니까? 뒷갑당은 수백배 수천배 비용드는데

    • @KK-ub6ub
      @KK-ub6ub Год назад +4

      @@coinpapa-68 대기업이 철근을 뺴먹겠냐 ㅋㅋ 하청이나 현장 감독관련 애들이 서로 뺴먹는거지 생각이 부족하네

  • @우담바라One
    @우담바라One Год назад +1

    무조건 기둥식.

  • @김동우-h4o
    @김동우-h4o Год назад +9

    앞으로 아파트를 볼때 무량판구조아파트는 걸러야하는...

  • @fra7757
    @fra7757 Год назад +17

    삼풍백화점 무너진지 30년이
    채 되지 않았는데...

  • @천대식-s8k
    @천대식-s8k Год назад +2

    아~ 백화점, 삼풍백화점이 무량판 공법이었군요.

  • @plmck
    @plmck Год назад +1

    대들보가 없으면 무게쏠림을 잡아주지 못합니다

  • @castiel9828
    @castiel9828 Год назад +1

    무량판은 해외에서도 많이함 캐나다도 고층건물 콘도같은거 무량판으로 짓는게 일상임 하지만 문제있었던적 거의없고 층간소음도 거의 느낄수가 없음 지금 작금의 사태는 단순히 무량판 구조가 아님 아주많은곳에서 아주 많은 문제들이 있음 철근도 철근이고 시멘트도 상당히 문제 많아보임

  • @jaeypupo8121
    @jaeypupo8121 Год назад +2

    순살이라고 하지말레요. 과도한 공포감든다고...불안감조성되니... 보강철근만 안넣은... 위에 건물있는곳도 별로없고요...

  • @chulmajo8551
    @chulmajo8551 Год назад +3

    아니, 30년 동안 이나라 건설은 제자리 걸음으로 발전이 하나도 없음. 정부, 건교부는 뭐 했냐고 묻고싶다.

  • @윤영화꼭지나와라오바
    @윤영화꼭지나와라오바 Год назад +5

    전부다 때려부셔야한다. 언제 무너질지 모른다.항상불안하게 살아라.

  • @고사리-d9e
    @고사리-d9e Год назад +1

    그동안 건설업체의 농간에 놀아난것 같음

  • @부통-ab
    @부통-ab Год назад +1

    삼풍이 그랬지만 하중이 기둥에 집중되서 이쑤시개가 뚫고나오듯 뽕뚤리는 문제가 발생함.

  • @user-cw04hiiiiih
    @user-cw04hiiiiih Год назад

    말씀 하시는분 둥굴둥굴 너무 귀엽게 생기셨어요😊

  • @흐지마-q2z
    @흐지마-q2z Год назад +1

    자회사 협력사 구조도 다 대기업 하청 및 전관예우 구조
    대기업 은퇴후 용돈 벌이용 자회사, 협력사
    이미 그들은 알고 있었다

  • @ongseong-min8304
    @ongseong-min8304 Год назад +1

    삼풍백화점은 무량판이 문제였던게 아니라 냉각시설이 옥상에 불법설치 되면서 과도한 하중이 문제가 되었던거고, 화정아이파크는 양생기간이 부족하고 잭서포트를 빨리철거한게 문제였던거고, 무량판은 오히려 슬래브를 두껍게 하니까 공법상으로는 문제가 없는데, 철근 빼먹은건 좀..

    • @구리구리-x7n
      @구리구리-x7n Год назад

      그런데 무너진 건물들은 대부분 무량판

  • @이홍준-o5l
    @이홍준-o5l Год назад +1

    새로지은 아파트 언제 사고날지 모르겟네요

  • @염인선-h9o
    @염인선-h9o Год назад +3

    사고난이후엔 여론을 의식해 법을 바꾸고, 그때부터 잘지을려고 하죠. 문제는 사고난 사람만 불쌍할뿐

  • @youngjaeyang1909
    @youngjaeyang1909 Год назад +21

    시공 단계에서 건설사 관리감독자와 감리의 역할이 중요한 것도 맞지만, 추가적으로 밝혀진 15개 사례 중 10개는 구조설계 단계에서 철근이 누락됐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그 누구도 그 부분은 관심가지지 않고 건설사만 하이라이트 중 😂

    • @jhh5999
      @jhh5999 Год назад +1

      뭐 어쩔수 없죠. 시공사가 악의축인데요 ㅋㅋ

    • @강호동-z1s
      @강호동-z1s Год назад

      과연 철근을 누락하지 않으면 시공사가 설계를 입찰했을지도 생각해봐야죠

  • @JK-sv7xw
    @JK-sv7xw Год назад +1

    다 부시고 다시 지어라.
    삼풍꼴 난다.

  • @kimshanha
    @kimshanha Год назад +2

    지하는 주차장이 많기 때문에
    기둥식이나 격벽식 보다
    차량 회전이 용이한 무량판 구조를 이용한다.
    대신에 무량판 구조는
    설계상 슬라브와 철근의 유격과 굵기가 정확해야 한다는 것이고
    무량판은
    모든 건축예술가가 자주 사용하는 공법이기 때문에 정확해야 함에도
    그러지 못했다는 이유로
    무량판이 도마위에 오른 것이다.
    무량판은 건축예술의 최고경지에 해당한다.
    다만
    철근을 빼먹는 도둑질을 안한다는 현실에 한해서

  • @상상-f1j
    @상상-f1j Год назад +1

    외국인 근로자야말로 시키는 대로 하는 사람들인데 이 사람들이 이해도가 떨어져 철근을 빼먹었다고? 말도 안되는 핑계 댖 마라.

  • @JennyShin-ob3gp
    @JennyShin-ob3gp Год назад +6

    빼먹은 곳들 감리가 LH전관이 세운....😅😅😅 천룡인이네 천룡인이야...

  • @bluerose1570
    @bluerose1570 Год назад +1

    이렇게 만드는데 왜 계속 집값은 오르나

  • @marco_k_7787
    @marco_k_7787 Год назад +27

    무량판 구조는 훌륭한 공법임. 철근을 빼먹고 지은 놈들이 문제임.
    아파트의 진짜 문제는 벽식임. 벽식 아파트는 수명이 정말 짧음.

  • @ddangzipgo
    @ddangzipgo  Год назад +1

    🤔남들 다 부동산, 재테크 하나씩은 하던데.. 나도 해볼까? 고민하신다면 여기 주목!!
    땅집고M에서 부동산 · 투자 · 절세전략 · 건축 등 나에게 맞는 강의를 찾아보세요.
    📢옆집 영희네 스테이는 2~3달 후 예약까지 풀로 찼다던데..?
    풀부킹되는 스테이&숙박 콘텐츠 알아보세요!
    강의 자세히 보기 :vo.la/Us3Ye
    📢비좁은 내 땅에 내 건물.. 수익률 최대로 낼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건축 노하우!
    신축할지, 리모델링할지 고민이라면?! 건축주대학 29기 수강하세요!
    강의 자세히 보기 :vo.la/ffuc7

  • @bluselee7087
    @bluselee7087 Год назад +7

    시공사는 둘째문제고 설계 감리문제가 첫째입니다.감리가 개판이면 그게 부실의 시작입니다.모든 촛점은 설계와 감리에 집중 해야합니다.설계 감리 그게 부실의 핵심 입니다.

  • @yonghu1292
    @yonghu1292 Год назад +3

    지하 주차장 만들면서 슬라브에 보가 들어가몬 공사비 엄청 늘어남 거기에들어가는 돈이 아까우니 무랑판으로 대충 지어버림 설마 무너지겄어 하는데 진짜로 무너진다

  • @strgrsgsde
    @strgrsgsde Год назад +4

    결국 돈이죠….돈에 눈이 멀어 원리원칙 개무시 하는거죠….
    이런 나라에 지진한번 제대로 나면 진짜 생지옥이 될꺼같음

  • @권하파-c6p
    @권하파-c6p Год назад +1

    부실시공한 건설사는 다 망하게해야!...

  • @초묘-g3p
    @초묘-g3p Год назад +2

    저들을 전부 다 형사처벌 해야 하는데 수사 안 하나? 그리고 공사 잡부의 문제도 아니고 장점만 취하고 단점을 외면한 결과가 아니라 그냥 공사비를 빼먹은 범죄 때문에 일어난 결과이고 모든 관련자들이 한통속일 때만 가능한 대형 사고이다라고 해야죠. 문제의 핵심을 비껴간 결론을 내시네요.

  • @softwindpark6262
    @softwindpark6262 Год назад

    무량판 구조는 먼저 구조계산상 상수의 문제가 있어 연구가 좀 더 필요합니다.
    경험상 기둥 단면적에 비해 너무 많은 하중이 집결되는데 철근량이 상당들어가야하고 고로 콘크타설이 부실도 가져오기하는 복합하자가 예상되는 구조 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유달리 크리프현상이 많아서 크랙이 많이 발생됩니다.
    기술적 연구도 보강하고 시공상 에도 시공성도 보완하면 공사 원가는 올라가지만 좋은 구조 입니다.

  • @훗냐-p4o
    @훗냐-p4o 29 дней назад

    살고 있는 아파트에 주차장 기둥을 확인했습니다
    총 지하 5층까지 되어 있으며
    1층은 라멘식
    2층은 무량판 드롭
    3층은 단순무량판 으로되어있습니다
    왜 이렇게 시공 했는지와 안전 한지 궁금합니다
    왜 전체 라멘식으로 안한건지도 궁금하네요

  • @YOONSUNGYUL
    @YOONSUNGYUL Год назад +5

    과거와 현재의 모습, 그리고 원인과 이유 등이 아주 잘 조사되어진듯

  • @futurekim4595
    @futurekim4595 Год назад +5

    무량판 공법은 문제가 없는거네요.
    제대로 설계와 시공을 안하는 거지. 철근을 왜 빼먹냐교?

    • @haim7512
      @haim7512 Год назад +2

      철근"도" 빼 먹은 겁니다.

  • @jdy-k6c
    @jdy-k6c Год назад

    무량판하면 양생 충분히 해야 하는데 타설 다음날 철근 올리고 난리입니다.

  • @youtubemonitoring337
    @youtubemonitoring337 Год назад

    후분양제를 해야하는 이유.

  • @jasonla3127
    @jasonla3127 Год назад

    공사 제발 상식적으로 해주세요 건설업 오래 근무했지만 이딴구조 하품질 콘크리트 철근 시공 너무너무 무섭다

  • @새뜸인
    @새뜸인 Год назад

    삼풍백화점이 무량판구조라서 붕괴되었다니
    안전보강없는 무량판구조물은 언제 붕괴될지 모르는
    시한폭탄같네요.

  • @tundratiger9473
    @tundratiger9473 Год назад +1

    미국에 사는데 어떤 빌딩의 실내 주차장을 가더라도 보가
    없는 주차장은 본 적이 없다. 미국 사람들이 바보라서
    보를 만들었을까?

  • @lecomtedemontecristo8939
    @lecomtedemontecristo8939 Год назад +7

    건설 카르텔이 만악의 근원

    • @새뜸인
      @새뜸인 Год назад +1

      건설카르텔과 법조카르텔이 공생관계입니다.

  • @Nana-t4h5y
    @Nana-t4h5y Год назад +1

    사고난 무량판 구조로 지은 아파트 주차장만 문제가되고 아파트 건물 자체연 문제가 없는건지요? 제가 LH 임대아트를 계약해 놓았는데 계약을 해약해야 되나 걱정이 되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구독좋아요 눌렀습니다..

  • @soot4450
    @soot4450 Год назад +1

    음...간단하게..살고 있는 아파트 지하 주차장 천장을 봤을때 두껍게 사각형 식으로 기둥까지 길쭉 길쭉~ 연결된 것은 튼튼한 거라는 거네..

  • @jemin.y
    @jemin.y Год назад +1

    수도권에 6.0 지진한번 나면 대참사겠네..

  • @ksj261
    @ksj261 Год назад

    그렇게 문제가 충분히 예상이 된다면
    주차장 무량판 시공 때만이라도 철근 배근관련 감리만 철저히 했으면 됬을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