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공칭전압은 우리나라 어디에서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220v를 말하며, 정격전압은 각 기기마다의 가장 알맞은 전압을 말합니다. 따라서 공칭전압은 220v로 정해져 있으며, 정격전압은 기기마다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220v는 공칭전압이고, 250v는 정격전압입니다...^^
어제 시험을 보고왔는데, 이번 기사 3회 난이도가 정말 어려웠던것 같습니다... 사실 저번 2회차에는 기사실기를 공부하고나서 시험에 떨어져보니, 기초가 너무 안되어 있는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번에는 산업기사를 먼저 해보자라는 생각으로,술도 안먹고 친구도 안만나가면서 정말 열심히 했었습니다. 다행히도 산업기사는 정말 쉽게 느껴져서 검토까지 다 했는데도 시간이 남았는데, 기사는 공부를 한사람이어도 이번 시험, 쉽지 않겠다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런데 이번에 한가지 깨달은게, 역시 기초를 단단히 하고 이론을 알아가니까, 전기라는게 아, 이래서 이렇게 배운거구나를 알게되니까, 자신감이 생기게 되더라구요. 기사 기출은 이번에 한번도 보진 못했지만, 기본 실력으로 50%는 풀었습니다. 이제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감이 잡히는 것 같더라구요.. 혹시나 이번에도 기사를 낙방한다면, 다음번엔 이번에 공부한 베이스를 가지고 제가 모르는 이론과 기출 내공을 통해서 살만 붙이면 될 것 같다는 자신감이 생깁니다. 그런 의미에서 내년 실기를 재도전하게 되면 원장님 이론부터 하나씩 업그레이드 해볼 예정입니다. 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그동안 시험 공부하시고, 또 시험 보시느라 정말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전기 공부에대해 많은 진전이 있으셨고 이와 더불어 좋은 결과가 있었다면 더 좋았겠지만... 전기에 대한 내공이 더욱 쌓이는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실기 시험의 경우 전기 내공이 높은 분들이 가채점 결과 불합격에서 실제 합격으로 변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아무쪼록 좋은 소식 전해 들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시한번 시험 보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설비 부분은 kec가 적용되면서 기존에 비해 적게는 3문제 많게는 6~7문제 가량 수정 및 삭제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파트의 경우 기존 기출문제는 잠시 접어두시고 필기 이론교재를 영상과 함께 공부하신 후, 기출문제에 적용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원장님 그럼
보통 우리가 쓰는 단상전압에서 콘센트에서는,
220V는 공칭전압이고 250V은 정격전압이라 볼수있겠네요?
이부분이 햇갈려요
정격전압이 220인지 250인지 햇갈려요.
안녕하세요...
공칭전압은 우리나라 어디에서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220v를 말하며,
정격전압은 각 기기마다의 가장 알맞은 전압을 말합니다.
따라서 공칭전압은 220v로 정해져 있으며,
정격전압은 기기마다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220v는 공칭전압이고, 250v는 정격전압입니다...^^
감사합니다 잘보고 있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어제 시험을 보고왔는데, 이번 기사 3회 난이도가 정말 어려웠던것 같습니다...
사실 저번 2회차에는 기사실기를 공부하고나서 시험에 떨어져보니, 기초가 너무 안되어 있는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번에는 산업기사를 먼저 해보자라는 생각으로,술도 안먹고 친구도 안만나가면서 정말 열심히 했었습니다.
다행히도 산업기사는 정말 쉽게 느껴져서 검토까지 다 했는데도 시간이 남았는데,
기사는 공부를 한사람이어도 이번 시험, 쉽지 않겠다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런데 이번에 한가지 깨달은게, 역시 기초를 단단히 하고 이론을 알아가니까, 전기라는게 아, 이래서 이렇게 배운거구나를 알게되니까, 자신감이 생기게 되더라구요.
기사 기출은 이번에 한번도 보진 못했지만, 기본 실력으로 50%는 풀었습니다.
이제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감이 잡히는 것 같더라구요..
혹시나 이번에도 기사를 낙방한다면, 다음번엔 이번에 공부한 베이스를 가지고 제가 모르는 이론과 기출 내공을 통해서 살만 붙이면 될 것 같다는 자신감이 생깁니다.
그런 의미에서 내년 실기를 재도전하게 되면 원장님 이론부터 하나씩 업그레이드 해볼 예정입니다.
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그동안 시험 공부하시고,
또 시험 보시느라 정말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전기 공부에대해 많은 진전이 있으셨고
이와 더불어 좋은 결과가 있었다면 더 좋았겠지만...
전기에 대한 내공이 더욱 쌓이는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실기 시험의 경우 전기 내공이 높은 분들이
가채점 결과 불합격에서 실제 합격으로 변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아무쪼록 좋은 소식 전해 들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시한번 시험 보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원장님! 피뢰기에서 정격전압이랑 공칭전압은 같은건가요?
어떤 책에서 제한전압 = 공칭전압 = 상용주파허용단자전압 이렇게 설명해준데 맞는건가요? 갑자기 혼란스러워서요.
제한전압은 속류를 차단할수 있는 교류 최대전압이라고 되어 있던데.
안녕하세요...
피뢰기에서 정격전압과 공칭 전압은 다릅니다.
예를들어 공칭전압 154kV에서
피뢰기의 정격전압은 144KV이며,
기준충격 절연강도는 625KV입니다.
원장님 제가 실기 이론 수업을 들으면서 얼핏 기억나는것이.. 결선과 관련된 문제에서 정격전압이 주어지면 기본적으로 선간전압으로 계산하라 했던것 같은데 맞는지요?
네… 맞습니다…
특별한 언급이 없을경우 선간전압을 대입하시면 되며…
다만, 공식에따라 상전압이나 대지전압을 대입해야 할 경우도 있으니
공식별로 정리를 해주셔야 합니다…
원장님..제가 작년도 출판된 다산에듀 기출10개년 2020년 개정판을 가지고 있는데요..작년에 사놓고 올해부터 공부하기시작한지 별로 않됬습니다.(전기산업기사)
질문..
전기설비 기술기준 과목은 개정이 많이 됬다는데..
과년도 2010~2020년 기출을 풀어보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아니면 어떤식으로 접근하는게 좋을까요?
원장님..
질문드려서 죄송합니다.
안녕하세요..
설비 부분은 kec가 적용되면서
기존에 비해 적게는 3문제 많게는 6~7문제 가량
수정 및 삭제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파트의 경우
기존 기출문제는 잠시 접어두시고
필기 이론교재를 영상과 함께 공부하신 후,
기출문제에 적용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원장님 뜬금없지만 질문하나드려도될까요?
제가 어제 전기산업기사 시험을 보고왔는데
문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5번에 시퀀스 그리는 문제였는데요
과년도 문제였기때문에 그림은 완벽하게 그렸습니다만 접점에 찐한점을 안그렸습니다 ㅜㅜ
이런경우에는 부분점수도 없이 0점처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원칙적으로 채점을 한다면 시퀀스에서 접속점에는 진한 점을 찍어야 합니다.
다만, 이러한 부분이 배려되어 채점되셨다는 분들도 많기 때문에
확실히 맞다, 틀리다란 답을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아무쪼록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