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비어있던 몽촌토성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서울] 비어있던 몽촌토성
#몽촌토성 #서울 #서울여행 #백제 #고구려
#역사 #여행 #역사이야기 #사적돌 #답사 #답사여행
#문화재 #국가유산 #역사여행 #한국사
#korea #travel #history
#korean historical places
#south korea history
#south korea travel
#ancient korean history
#korea history
▬▬▬▬▬▬▬▬▬▬▬▬▬▬▬▬▬
사적돌 모든영상이 동의없이 AI 프로그램의 자료로 사용되는것을 거부합니다.
대부분의 영상자료는 자체 촬영 및, 획득한것입니다.
드론 촬영의 경우 반드시 비행허가, 촬영허가를 득한것입니다.
요청지는 가능한 방문합니다, 순서는 출장에따라 아주 다를수 있습니다.
공식명칭, 공식용어를 기본으로 하되, 쉽게 풀이한 단어를 사용하겠습니다.
발굴상황, 정보공개, 저작권, 등 제반 여건에 따라 제작이 불가한 경우가 있습니다.
상기한 이유로 고증과 일치하지않는 자료, 소수의견, 해석 등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차별, 혐오 욕설 등 다른 구독자분들께 폐를 끼칠수 있는 댓글은 예고없이 삭제됩니다 😌
즐겨 시청해 주심 감사드립니다. 관리에 더욱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
사용된자료
해당 유적지 발굴조사보고서
한국민족대백과사전
국사편찬위원회 사서자료
사용된지도
국토지리정보원 www.ngii.go.kr...
구글맵스 www.google.co....
구글어스 www.google.co....
사용된이미지
국가유산청 www.cha.go.kr/...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
위키미디어 commons.wikime...
사용된음악
Pixelated Autumn Leaves
State Drive - VYEN
사용된소스
[Video Source Support]
RUclips channel "freeticon" : / freeticon
▬▬▬▬▬▬▬▬▬▬▬▬▬▬▬▬▬
서울은 마치 고대 트로이유적처럼 매시대마다 문화재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한성백제부터 고구려 신라 통일신라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안나온 역사가 없는 것 같아요. 미래 통일한국의 중심도 왜 서울인지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적이 증명하는 것 같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강북 어딘가있다는 하북위례성만 찾는다면 모든시대를 망라하게되겠네요😄
삼성동 토성이나 풍납토성의 경우 개발 전에 미리 발굴조사라도 했으면 좋았을텐데... 그러질 않아서 아쉽습니다
백제유적들이 대부분 날아가버린것이 뼈아프지요😞
@@사적돌 이전에는 먹고 살기 힘들어 유적에 관심을 가질 여력이 없었던 거죠...
만약 앞으로 경제가 엄청 힘들어 지고, 서울 집값 잡는다는 여론이 높아지면, 누군가 이거 개발해야 한다고 할지도 모릅니다....
올림픽공원에 산책하러 자주가는데, 너무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오 몽촌토성의 현대 문화적위치가 무척 마음에 듭니다😄
잘봤습니다 좋아요 눌렀어요 계속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정말 실감나는 프로네요
맘에드신다니 제게도 보람입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오 시청 감사드려요😄
이 채널을 처음 알게 된 건, 사실 일본성이나 관련 사적에 관심이 많아 관련 유튜브를 보던 중 알고리즘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한국에도 이토록 매력적인 고성들이나 사적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사적돌님을 통해서 알게 되었네요. 일본 현지에서는 대중을 대상으로 한, 여러 사적들에 대한 전문 서적들을 포함해 복원그림책들이 많습니다. 한국도 유튜브를 넘어, 대중에게 흥미를 돋울 수 있는 미디어 자료들이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매번 감사드립니다.
오 저도 답사에대한 저변이 넓어졌으면하는 마음입니다😄
흥미진진한 얘기들 좋았습니다
교육방송으로 최고입니다
항상 좋은 말씀 감사드려요😄
퇴근하고 운동삼아 다녔던 몽촌토성길이 영상을 통해서 많은 것을 알게 되었네요... 백제시절의 성으로만 알고 있었거든요...
저의 본가가 대구이고 저의 외가가 고성인데요... 대구본가 뒤쪽으로 대구지역에서 제일규모가 큰 불로동고분군이 있는데..
신라시대 지방호족들의 무덤이라고 하더라구요...가족들이랑 불로동고분에 나있는 산책로 삼아 자주 걸어다녔던거 같습니다.
해질무렵에 가면 노을때문에 너무 예쁘거든요. 또 불로동이 대구중심지에서 팔공산 가는 길에 있어서 왕건과 관련된 이야기도 많구요..
아.. 외가동네가 고성군청부근이라 차로 지나갈때 항상 송학동고분군을 지나치는데.. 송학동고분일대가 소가야?인가.. 도읍지며 소가야왕들의 무덤이
아닐까라고 들은 적이 있습니다.. 아무튼 많은 영상으로 몰랐던 역사들을 배울 수 있어서 기쁘네요.
역사적 명소와 연관이 많으시네요😄 고성 송학동고분군은 아주 중요한 곳입니다. 우리가야사의 열쇠가 될지도 모르는곳이네요, 과거에는 양쪽으로 만을두고 대부분이 바다였습니다. 해양세력의 입지로서 아주 훌륭한곳.
백제 분들이 땅보는 눈은 최고였던 것 같습니다^^ 강남 센터자리에 딱! 그것도 삼국시대 이전에!!! 사당역에 자리잡고 있는 수도방위사령부가 연상됩니다.
발굴 로 얼마나 많은 사실이 드러날지 기대되는곳입니다😄
@@Jeong-eun오늘은 약 안드셨나봐요
@@Jeong-eun 할매요....풍선 그만 날리소...그라고 자소. 퍼뜩..
@@사적돌 그냥 과거에 살기 좋았던 지형이 현대에도 살기 좋았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동네에 살았어서 어릴때 올림픽공원 몽촌토성 자주 올랐었는데 부여 가서 부소산성 올랐다가 깜짝 놀랐음 완전 똑닮은 구조에다 몽촌토성 확장판이었음
오 덧글 감사드립니다😄
솔직히 서울 공주 부여 익산 유적지 모아놓으면 경주만한 대 유적지대가 펼쳐질거 같습니다. 다만 서울은 지가가 지가인 만큼 복원이 힘들겠지만요
나주도 있지죠
그래서 풍납토성 획득사업이 대단한것같습니다😯
❤❤❤
오 시청감사드립니다😄
저기 외로운 나무?의 위쪽에 높은 언덕이 있는데 거기 올라서서 보면 남쪽으론 남한산성이 보이고 북쪽으론 아차산성이 보이는 걸로 봐서 상당한 요지인 것은 사실인것 같습니다. 원래 한강 본류가 이곳으로 흘렀던 것을 생각하자면 어느 역사다큐에서 처럼 이곳이 해상무역의 최적지인것도 사실인 듯 합니다. 몽촌토성에 갈때마다 그때의 백제 모습이 얼마나 위풍당당했을지 그려 봅니다 ㅎㅎ
인근산성과 가도의 중심은 오히려 몽촌토성이지요 😄
어릴적, 길동 뒷산과 춘궁동을 가면.. 그냥 돌구르듯 시기를 알수없는 기와와 토기등 엄청 많았는데.. 생각이 나네요. 아,, 길동 뒷산이 일자산이네요
와 좋은 추억입니다😄
백제인들의 치수능력은 뛰어난거같습니다 서울 부여
물을 적극적으로 극복하려던국가😮
매번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혹시 우리 역사를 공부하면서 도움이 되는 사이트나 역사논문을 볼 수 있는 곳이 있으실까요?
오 네이버 카페 부흥이라고 있습니다. 자정작용이 작동하고 의견제시와 검증과정이 안착되어 있습니다😌
@@사적돌 저도 거기서 활동중인 회원입니다:) 요즘 돌아버리는 고려사 다시 정독중인데 너무 재밌네요. ㅎㅎ 거기서도 활동하시나봐요~
@@따지지마 오 그러시군요😄 공부할때 잠깐씩 도움받고있습니다😌
여러모로 아쉬운 서울의 백제유적...
그래도 몽촌토성이 효자네요😄
우와 몽촌토성 이다
백제사의 효자입니다😄
@@사적돌:)
몽촌토성만이라도 온전하게 지킨건 다행이라해야되나요? ㅎㅎ
몽촌토성이 효자지요 시간대에맞는 삼국 유물이 충실하게 나와주고있습니다😄
엄청난 역사 유적지가 될 수 있었을텐데..
그래도 몽촌토성은 개발을피해서 발굴할때마다 유물유적이 엄청 쏟아지네요 석촌동고분군이 제대로남아있었다면 우리 고대사가 달라졌을거에요🤔
@@사적돌 감사합니다
한강에 자리 잘 잡았네요
뒤로 물러서서 바라볼수록 절묘한 자리지요, 백제인들의 시각이 돋보입니다😄
한강이 유역변경 되지 않고 석촌호수 방향으로 쭉 흘렀다면, 잠실도가 있다면, 백제성들의 위용과 목적이 더 잘보였을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옛모습과함께 백제유구가 그대로 남아있었다면 하는 생각을 항상하곤합니다🤔
몽촌토성이 올림픽공원으로 개발(?) 되기 전이였던 80년대 중반쯤에 하남 30번 버스를 타고 몽촌토성쪽을 통과했던 기억이 살짝 납니다.
어릴 적이라 기억은 정확히는 안나지만 양 옆이 버스 높이 정도의 높은(아마도 구릉으로 되어 있던), 매우 좁고 커브길로 구성된 도로를 통과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당시 천호동에 살았었고 친척이 문정동에 사셔서 그 길을 가끔 지나치곤 했었는데요.
그이후 올림픽공원이 생기면서 그길 대신 신작로(올림픽공원 정문 앞)로 버스와 차가 지나가고 있지요.
올림픽공원 생긴 이후 그 안에서 산책도 많이 해봤고, 경치도 좋지만… 예전 몽촌토성 내부를 통과하던 버스에서 보던 풍경이 잊혀지지 않더군요. 꽤 토속적인 느낌이 인상적이였거든요…
와 좋은 추억인데요😄
통일되고 평양개발 할 때 왠지 고조선 유적도 나올 지도 모르겠군요
고구려멸망시 한국전쟁시 완전히 쓸려나가긴했어도 대방유물나오는것보면 희망을걸고있습니다🤔
들리는 썰에 의하면 강남 개발 때 몽촌토성 흙 파다가 잠실 메꾸려고 했다 학자들이 반대해서 막았다고 하더군요...
세상에.....😱
다른 영상에서도 댓글로 언급한적이 있지만 결국 한강 치수에 실패하고 좀더 안정적인 광주 하남쪽으로 대거 이주한듯 합니다
이성산성 하부에서 백제 유물이 나오니 가능한 일이지요😮
@@사적돌 백제나 다른 나라가 계속 강남권을 수도로 삼았으면 어떻게든 버티면서 살았을수도 있으나
고구려 신라 고려 조선에겐 그게 아니었으니 걍 공력을 낭비안하고 근처로 옮기는게 답이었을듯요
둘다 백제의 중요성은 맞지만 백제왕성으로 보기엔 위치가 심각한 문제임 크기도 그렇고
시청 감사합니다😌
더 발굴을 했다었다면 백제 미스터리가 많이 풀렸겠지요
현재진행형이니 결국 모두 풀어낼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왜 고구려는 평양을 한성이라고 했을까요?
한성에 큰성이나 수도라는 중의가있지요, 고구려말로 홀이 성이니 수도귄에 중복된지명이 많아서 현재의 서울을 뜻한다고 보기어렵지요🤔
옛날에 불렸던 수도의 아이콘같은거 아니었을까요? 옛말에 "장안의 화제" 라는 말의 '장안' 도 중국 전한의 수도였던 '장안' 에서 따온거고, 일본 전국시대에 나오는 '상락' 이라는 단어도 '락' 자가 낙양을 뜻하는, 일종의 수도의 아이콘이었죠
‘한’은 우리말로 크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한강, 한산, 한성 등등..
이병도가 그렇게 풍납토성은 배암드리성이니 사성이고 몽촌토성이 왕성이라고 주장했다던가. 대체 무슨 이유였을까.
상식선에서 생각해도 풍납토성같은 대규모공력이 들어간성곽을 왜 그랬는지 모르겟습니다😞
지금 은 불륜에성지 모텔 집성촌 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죠😢
오 그런가요😯
개발논리에 밀려서 제대로 발굴못한게 너무너무 안타까워요 ㅜㅠ
백제 고대사가 이렇게 대부분 멸실되어버렸지요😞
솔직히 신석기 유적 수준인데
백제 수도 맞냐
판축토성 기와 도로유구 중국제일본제가야제토기
일단 무역은 기본으로했었고 풍납토성같은 역사를할만큼 왕권이 있었지요😮
일본은 목조건축물을 올리는데 한국은 허허벌판만 있으니 전문가 아니면 모르는거지.
딱봐도 상인들 갈취나 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