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역학 060 마찰계수 층류 why friction factor is 64/Re in laminar flow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why friction factor is 64/Re in laminar flow
    질문은 페이스북 그룹에서 해주세요~! 이제 질문이 너무 많아서 댓글로 질문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유체역학 그룹 / 3476396862477381
    열역학 그룹 / 385055566275739
    채널구독 : bit.ly/30EBadl
    슈퍼브레인 채널 : / superbrainsb
    열역학 인강 슈퍼브레인 (since 2016) 재생목록 : goo.gl/erKpav
    유체역학 재생목록 : bit.ly/2OTPLQD
    유체역학 강의 슬라이드
    books.google.c...
    play.google.co...
    열역학 교재링크
    books.google.c...
    열역학 교재링크(슬라이드만)
    books.google.c...
    유체역학 쉽고 빠른 요약 강의 영상입니다.
    SuperBrain의 강의 채널입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11

  • @jaceoh531
    @jaceoh531 3 года назад +2

    19년도에 인하공전에서 유체역학 수업 들었었는데 유튜브 아직도 하시는군요! 언제나 활기차고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유용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SuperBrainSB
      @SuperBrainSB  3 года назад +1

      @Jace OH 안녕하세요! 이렇게 찾아와주고 댓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오프라인 대면 강의가 더 재밌었는데 말이죠 ㅠ 더 열심히 할게요~ 자주 찾아오세요 ! Jace OH님도 화이팅 !

  • @이이재인-s3b
    @이이재인-s3b Год назад +1

    항상 많이배우고있습니다.ㅠ 근데 16/Re랑은 차이가 무엇인가요 ? ? ㅠㅠ 천재님 도와주세요~!! 그냥 16/Re는 패닝마찰계수에서 유도된거라 난류에서 사용하고 64/Re는 층류고 이렇게만 하면되나요 ㅠㅠ 비교해설영상 올리면 많은분들에게 참 도움될거같아요 ㅠㅠ

    • @SuperBrainSB
      @SuperBrainSB  Год назад

      Fanning friction factor는 sheer stress tau와 동압과의 비율로 정의합니다. factor의 정의를 다르게 한 것일 뿐입니다. 둘 다 사실상 개념은 같은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둘 다 laminar(층류)에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힘 내세요 !

  • @성이름-y9f1b
    @성이름-y9f1b 7 месяцев назад

    Bird Transport Phenomena 2판 p.181에 나오는 원형관을 흐르는 laminar flow에서 가지는 friction factor는 64/Re가 아닌 16/Re인데 뭐가 맞는 것인가요? Darcy-Weisbach 공식을 쓰지 않고 drag force가 원형관의 안쪽 전체 단면적에 가하는 힘이 관 양단 압력차와 수직 단면적의 곱과 같다는걸 이용해서 구할 수도 있는데 왜 frictiom factor가 4배 차이나는지 모르겠습니다.

  • @문준호-g5b
    @문준호-g5b 3 года назад +1

    상복이형 화이팅 하세요

    • @SuperBrainSB
      @SuperBrainSB  3 года назад

      준호야 고마워 ~ 준호도 화이팅 !

  • @webb9608
    @webb9608 3 года назад

    레이놀즈의 수송정리 강의 영상은 없나요??

  • @hafssachamakh9983
    @hafssachamakh998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Is there a proof for f ; turbulent flow (Blasius) please

    • @SuperBrainSB
      @SuperBrainS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ruclips.net/video/Fv2gTIrpgiw/видео.html
      I understand that the formula is an experimental formula. Because it is an empirical formula, there is no proof process.

  • @류시면-o5x
    @류시면-o5x 3 года назад

    기초도모르는데 봐도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