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정확하게 "소실점" 이란건데요 유투브에서는 잘 안다뤄지는 내용 이였는데 언젠간 유투브에 나타날거라 생각하고 있었는데 드뎌 쫑프로님께서 작업 하셨네요^^ 그런데 이렇게 간단한게 아니예요 소실점을 좀더 파해쳐서 다음에 다시한번 올려주시면 좋겠어요 제가 글로 설명하기는 그래서요 소실점의 위치도 좀더 디테일한 부분이 있어서요 무조건 제일 먼곳이나 가까운지점에 설정하면 말도 안되는 결과가 나올거예요 50에서 30 까지의 포인트 사이 거리의 1.5배 되는 위치에 점을 찍어야 되며 이렇게 간단하게 끝내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많아요 예를들어 50 에서 10 거리는 길이가 더길어지니까 1.5배의 소실점의 길이도 훨씬더 길어지겠죠 등등...유튜브계의 소실점 창시자가 되시길...
이거 기준점을 50에서 칠 수 있다는 가정 말고... 그냥 30 대칭 시스템 쓰시면 돼요. 50에 20을 볼 필요 없이, 적구들이 있는 곳 바로 대칭되는 반대편(대략 57정도?)에 가서 30을 바라보면 아마 왼쪽 철기둥이 있을거에요. 근데 이 시스템은... 타법이 중요한 것 같아요. 너무 부드러워도, 너무 빨라도 안되더라구요. 30 대칭시스템으로 잘 쓰고 있었는데... 이제 다 알게 됐네요. ㅋㅋ
유로피안 시스템 같네요. 유럽선수들이 주로 사용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야매로 들었습니다 😂 기준에 사용한 당점 스트록이 유지되어야 하고 내공 위치에 따라서 조금씩 보정이 필요한 시스템으로 알고 있습니다. 재가 다니는 클럽사장님이 주로 사용 하시던데 연습이 더 필요해 보였습니다. 그런데 쫑프로님 시타를 보니 확률이 꽤 높아 보이네요. 🤔 오늘도 재미있고 유익한 레슨영상 감사합니다 ~ 🙏
이건 정확하게 "소실점" 이란건데요 유투브에서는 잘 안다뤄지는 내용 이였는데
언젠간 유투브에 나타날거라 생각하고 있었는데 드뎌 쫑프로님께서 작업 하셨네요^^
그런데 이렇게 간단한게 아니예요 소실점을 좀더 파해쳐서 다음에 다시한번 올려주시면 좋겠어요
제가 글로 설명하기는 그래서요 소실점의 위치도 좀더 디테일한 부분이 있어서요
무조건 제일 먼곳이나 가까운지점에 설정하면 말도 안되는 결과가 나올거예요
50에서 30 까지의 포인트 사이 거리의 1.5배 되는 위치에 점을 찍어야 되며 이렇게 간단하게 끝내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많아요 예를들어 50 에서 10 거리는 길이가 더길어지니까 1.5배의 소실점의 길이도 훨씬더 길어지겠죠
등등...유튜브계의 소실점 창시자가 되시길...
제가 약 8년전에 당구장 사장님께 배운방법이군요ㅋ 당구장다이마다 사물 표시해두고 쳤던 기억이 나네요. 이거 정말 잘맞습니다ㅋ
당구가 점점 재미있어 지네요!
쫑프로님 감사합니다!
물체를 이용한 시스템이라니 신기하네요.
어떤 원리인지는 모르겠지만...
오늘도 좋은 영상과 설명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쫑프로님!
대---------------------------박 !!!!
이거 나를 위한 거네요.
감사 감사 합니다.
계산 안 돼서 당구 못 쳤어요.
👏👏👏👏👏👏👏👏
👍👍👍👍👍
대단한 발견입니다 참신선한 프로입니다 고맙습니다
머리가 나빠서 시스템 적용을 못하고 있었는데 멋지네요! 존경합니다!
와우 . 감탄사 나오네요 ~ 감사합니다 .
이야...이거 획기적이네....완전...꿀이넹..올해에 혁신상...3등 안에 들어가요.
출발값(긴출발/짧은출발)에 따라서 회전(당점)에 변화는 없나요?
푸하하하....
재미있고 기가막힌 발상이네요.ㅎㅎ
물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것같은데.
적정한 거리도 알려주심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좋아요 꾹 ㅡㅡㅡ 언제나 응원할게요 화이팅 하세요 ㅎㅎ
정통 야매 파이브앤 기둥 시스템이군요. 잘봤습니다.
좋은 영상입니다 좋아요
이거 기준점을 50에서 칠 수 있다는 가정 말고... 그냥 30 대칭 시스템 쓰시면 돼요. 50에 20을 볼 필요 없이, 적구들이 있는 곳 바로 대칭되는 반대편(대략 57정도?)에 가서 30을 바라보면 아마 왼쪽 철기둥이 있을거에요. 근데 이 시스템은... 타법이 중요한 것 같아요. 너무 부드러워도, 너무 빨라도 안되더라구요. 30 대칭시스템으로 잘 쓰고 있었는데... 이제 다 알게 됐네요. ㅋㅋ
여태까지 본거중 제일쉽네요.
구독 누릅니다~
최고입니다~
강력하네요~
신기하네요~😊
항상 야매를 연구하는 쫑프로님 멋지십니다~!!
최고예요
너무 잘 봤습니다. 어떤 원리가 숨어있는걸까요 너무 궁금하네요
예전에 먼산보기 시그템이라고 배워서 잘 써먹고 있어요
당점도 모두 동일한 대각선 3팁인가요?
긴각일수록 접점을 먼곳으로 설정하고 짧은각 일수록 가깝게 설정하세요.
오차가 많이 줄어들겁니다
대략 30각 기준 1.5 m
40각 기준 2m
70각 기준 6m
역시 야메당구네요. 베리 굿~!!!
저멀리의 한물체의 거리가 다르면 시스템이 맞나요?
쫑프로님 전 수구수 숫자필요없이 보정필요없이 심지어 기둥필요 없이 파하시스탬 쓰는 방법알고있어요
당구님 좀 알려 주세요..ㅋㅋ
@@한반도-i9o 네 연락주시면 모든 시스템을 숫자없이 정확하게 칠수 있는 법을알려드릴게요 닭돌이 사면
@@Sapa26-j4o 연락을 어케 해야되나여..전화번호인가여? 일단 운동갔다와서 글 다시 보겠습니다.^^
알고 싶어요
저도 줄 서봅니다. 부탁 드립니다.
빌리어드 아틀라스에서 비슷한 내용을 본 기억이.. 가끔 쓰는데 들쭉날쭉 하더라는..
초심으로 돌아온 야메장인 응원합니다~
유로피안 시스템 같네요.
유럽선수들이 주로 사용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야매로 들었습니다 😂
기준에 사용한 당점 스트록이 유지되어야 하고 내공 위치에 따라서 조금씩 보정이 필요한 시스템으로 알고 있습니다.
재가 다니는 클럽사장님이 주로 사용 하시던데 연습이 더 필요해 보였습니다. 그런데 쫑프로님 시타를 보니 확률이 꽤 높아 보이네요. 🤔
오늘도 재미있고 유익한 레슨영상 감사합니다 ~ 🙏
최고♥♥♥♥♥
25년전 짝대기 형이 알려줬던 공이네요.공이 빅 볼일때만 써먹을수 있어요 오차범위 1~5포인트 정도 생겨요
와 신기하다 ❤❤❤❤❤❤❤
시타영상은 2적구가 전부 30라인인데.. 다른경우는요???, 케이스마다 다 외우는것도 한계가 있고, 딱 한 시스템으로만은 안되나요?
옆돌리기, 앞돌리기,세워치기 등등.. 각각 1시스템으로만 하고싶은데..
기둥없으면어떨게치나요
제가 쓰고있는데 오차범위 없는것같던데요 전 잘써먹고 있어요. 단 2적구가 3쿠션 가까이있을땐 보정이 필요해요
벽속의 점이라는 시스템이죠. 플러스투에서 많이 쓰는 방식입니다.
나 댓글 안다는데..
오늘은 놀랐습니다 ㅋ
어디서 본것인데? 전에 안했었나요?
아주. 좋은길. 배웟네요
원근법에서 말하는 소실점이라고 합니다.
당구선수들이 많이 이용하죠. 일종의 평행이동법.
네 차암 좋은 정보네요
신기신기 한번 실습해봐야 겠습니다^^
신통방통
합니다~~
와!
당구계의 신대륙 발견 입니다.
기준을 더 멀리볼수록 정확할까여?
네
그전에 야매당구에서 했던
영상이네요
중다이도 해당이될까요 . ...
천재 !
아주 오래전 봤던 영상인데
재탕인지 새로운 촬영분인지 모르겠네요
어쨋거나 야매지만 일리가 있어보이네요
👍 👍 👍
짧은각은 어쩌죠?
와...신기방기ㅋㅋ
굿
수개월전에 올렸던 영상인가요? 같은 내용 본것같은데..
굿. 초이스
먼산보기 시스템 이라고 하네요
신기하네요
굳
당구학 박사 따셔도 될듯
철봉보고~~치면들어가 ㅋㅋ
진짜 쉽고 재밌게치자 쫑프로님😍😍😍😍
따봉~!!
소실점 찾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레슨은 없었는데 고맙습니다
날으는 원더돼지 드림
일명 철봉시스템
먼산 시스템 ㅎㅎ
백견이 불여일행이라 당구장으로 고고.
왜캐 마르셨어요.
요즘 피곤하신가요 ?
ㅋㅋㅋㅋ 웃음뿐
ㅎㅎㅎㅎ
이것이.. 그렇게 간단하게 될까요???기하학적으로 좀 증명을 해주시면 믿음이 갈텐데…
Jm 시스템
제목만 보면 거창하고 신선한데..
요 근래엔 재탕,짜집기 너무 많아요.
복습이라고 생각해주시면 좋을텐데 재탕…짜집기…
서운하면서도
모두를 만족시킬수 없으니 아쉽네요
오히려 전 종종 복습을 원합니다
게다가 복습하는 과정에서 추가되는 설명이나 다양한 상황을 예로 들면 더 좋더라구요
당점 보정 없이 한다면서 당점이 어디죠 ?
헐~~~~~~~~~~~~~~~~ 감사합니다.
와~ 대박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