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pson method training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심장초음파실 sonographer가 알려주는 똑똑하게 에코잡는 tip
    심장초음파 잘 잡는 법에 대한 꿀팁 대방출합니다^^
    똑똑쌤들한데 #echo 할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영상이길 바래요^^
    #echocardiography #심장초음파 #에코 #echo #똑똑에코
    #TTE #sonography #rdcs #cardiology #heart #심초 #입문기
    #방사선사 #초음파
    1:1실습/강의 문의 : ttokttokecho.tte@gmail.com

Комментарии •

  • @쩡이-i5r
    @쩡이-i5r 10 дней назад +1

    선생님 궁금한거ㅠ질문드려요!😢
    심슨을 해야될때가 RWMA 있을때와 RWMA 없어도 심슨값이 preserve 수치이면 global로 나가는건가요.,,?
    2D EF값이 preserve일때에는 심슨을 다 해야하나요..?

    • @똑똑에코
      @똑똑에코  10 дней назад +1

      선생님 안녕하세요~2D EF값이라는것이 visual EF 즉, 눈으로 봤을때 EF를 말씀하시는건가요? 그걸 물어보시는게 맞다면 보통 경험이 많으신 선생님들께서는 visual 하게 EF가 떨어져 보이면 심슨을 하고, 아니면 하지 않아요~그치만 초보 선생님들은 무조건 심슨을 해야합니다. 내 눈이 아직 정확하지 않기 때문이죠~ 그리고 RWMA가 있다면 즉, wall motion이 없다면 수축기에 움직이지 않는것이므로 EF가 떨어질 수밖에 없으니 심슨을 해서 정확한 EF 값을 평가 해주어야 해요. 하지만 RWMA가 없다면 심슨을 무조건적으로 하진 않습니다. 단, RWMA가 없는데 EF가 떨어진 경우를 global이라고 부르고 이 경우는 국소벽운동장애는 없지만 전체적으로 벽운동장애가 동반된 경우이니 수축력이 약할 수 밖에 없겠죠? 그래서 global hypokinesia 일때는 EF가 무조건 떨어진 경우 이므로 반드시 심슨을 해주셔야 합니다😀

  • @호롤로-g7c
    @호롤로-g7c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선생님은 주로 오토로 하시나요~??결과값도 신뢰성만 있다면 오토로 해보고싶네요ㅠㅠ

    • @똑똑에코
      @똑똑에코  4 месяца назад +1

      @@호롤로-g7c 제 저는 오토로 해요~ 오토로 해도 수정할수 있기 때문에 매뉴얼로 그리는것 보단 훨씬 편하고 빠릅니다. 그리고 숙련된 선생님들께는 오토로 하나 매뉴얼로 하나 큰 차이가 없습니다 저는 신규쌤한데도 오토로 가르쳐줍니다. 장비에서 가능하다면 오토해보세요 아마 매뉴얼로 못돌아가실겁니다😁

  • @moonreyna5531
    @moonreyna553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선생님 질문하나 드려도 될까요?
    MR / MS mitral valve regurgitation, stenosis 는 R-systolic 이고 S-diastolic
    때가 맞는건가요? 전 왜 이게 헷갈릴까요?
    영상 잘 봤습니다😊
    참 혹시 블로그가 있으신가요? 제가 네이버 계정을 얼마전에 만들어서요 알려주시면 공부하는데 참고하려고요

    • @똑똑에코
      @똑똑에코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선생님 안녕하세요 전 블로그는 안합니다ㅜㅜ 그리고 R-systolic/S-diastolic이 맞습니다. 제가 5달차 LV diastolic fx끝내고 6달차 valve편 준비하고 있어요 강의에 자세히 다룰테니 좀만 기다려주세요^^

  • @합격-e2c
    @합격-e2c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선생님 너무 초보라 질문이 그런데 4챔버에서 열였을때 한번 닫혔을때 한번 체크하고 2챔버에서 열였을때 한번 닫혔을때 한번 체크해서 값이 나오는건가요?? 저는 4챔버에서 닫혔을때. 제일 커졌을때 제일 작을때 체크해서 값을 구하는데 틀린건지요

    • @똑똑에코
      @똑똑에코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선생님~ 답변이 늦어서 죄송해요 ㅠㅠ~ simpson method는 biplane으로 측정을 하셔야 해요~ 말그대로 4ch plane과 2ch plane 이렇게 2개의 plane에서 biplane으로 측정 되었을때 더 신뢰할 만한 값으로 권장되고 있어요~ RWMA이 있거나 부정맥이 있을 때 4ch랑 2ch의 값이 grade가 다르게 나올 때가 있거든요~ 그리고 열였을때? 닫혔을 때?는 mitral valve를 말씀하시는 거지요?? 정확한 개념은 LV가 가장 커졌을 때 (end-diastolic) 즉, MV 가 닫히기 직전, 그리고 LV가 가장 작아졌을 때 (end-systolic) 즉, MV 가 열리기 직전에 측정하셔야 해요~ 저의 영상 중 5달차 3탄 biplane simpon method 이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놓은 게 있으니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