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무기의 역사 전체를 【40분】으로 압축해버린 광기의 영상💥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전쟁 #지식 #역사
    "문자 기록이 없는 선사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전쟁과 무기는 어떻게 변화해왔을까?"
    칼에는 방패, 총에는 방탄복, 미사일에는 벙커, 벙커에는 벙커 버스터. 전쟁에서 쓰이는 병기는 언제나 상호보완&상호배타적으로 발달하고 확산됐습니다. 여러분은 이 영상 하나로 전쟁과 병기에 대해 모르고 있던 것을 알아가고, 알고 있던 것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실 수 있습니다. 이번 영상의 초점은 무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저는 새로운 무기가 생겨날 때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요인과 배경을 영상 속에 최대한 요약하여 녹여두었습니다.
    인간/인류/호모 사피엔스/진화/도구/선사 시대/구석기/뗀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고대/중세/르네상스/근대/현대/돌과 막대기/창/방패/청동검/활/판금 갑옷/풀 플레이트 아머/기사/기사도/기병/충각/망치와 모루/사선대형/밀집대형/장창병/팔랑크스/스파르탄/로마 군단병/파이크병/말/군마/화승총/조총/아쿼버스/아르케부스/핸드 캐논/승자총통/총기의 역사/대포/화약/공성전/수성전/농성전/트레뷰셋/투석기/캐터펄트/십자군/전열보병/참호전/전차/탱크/대전차전/기갑차량/기갑전력/도그 파이트/전차의 역사/후사르 기병대/레드 코트/대영제국/유럽 열강/식민지배/제국주의/대항해/머스킷/콩키스타도르/민족주의/개틀링 기관총/나치 독일/소련/추축국/맥심 기관총/항공모함/항모전단/미드웨이/사회주의/민주주의/냉전/핵확산/핵확산금지조약/상호확증파괴/인류 멸망의 공포/뉴클리어 아포칼립스/핵전쟁/제네바 협약/상임이사국/핵우산/진영 논리/6.25/한국전쟁/맥아더 장군/트루먼 대통령/오펜하이머/원자폭탄/핵폭탄/우크라이나/러시아/팔레스타인/이란/군사/작전/사막의 폭풍/얼티메이텀/카서스 벨리/파라벨룸
    Mongolian Cavalry Archers source: ‪@AltanNergui‬
    Hand Cannon source: ‪@InrangeTv‬ ‪@相馬中村藩古式砲術‬
    Cannon source: ‪@SmithsonianChannel‬
    M1 Garand source: ‪@NTXoutdoors‬
    North Korea parade source: ‪@theGuardian‬
    US Navy aircraft carrier battle group source: ‪@navyproductions‬
    History Video source: ‪@DavidHoffmanFilmmaker‬ ‪@USNationalArchives‬ ‪@josephhewes3923‬ ‪@PlenilunePictures‬ ‪@BBCStudios‬ ‪@HarrySTrumanLibrary‬ ‪@spottydog4477‬
    Thumbnail Character from: God of War, Dark Souls, CALL OF DUTY

Комментарии • 254

  • @Inmoon-hak0871
    @Inmoon-hak087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6

    영상에 오류가 있어 설명 드리면 장창 위주의 밀집 대형(마케도니아 팔랑크스 나 스페인의 파이크 방진, 전국시대 아시가루의 방진 등)을 상대로 검병을 내보낸다면 검병의 검이 츠바이핸더 급 장검이 아닌 이상 검병 쪽이 전멸 합니다. 정면 창 방진은 창 보다 짧은 무기로는 뚫을 수 없으며 원거리 병기와 같은 창병으로 상대 해야 합니다.
    단순히 시뮬레이션으로 만 한정 한다면 전방의 검병이 희생할 시 검병쪽에 유리한 면이 없지는 않겠지만 장창 방진을 상대로 돌진하는 검병의 사기가 높기란 힘든 일 입니다.
    실제로 30년 전쟁 당시 파이크 방진을 뚫기 위해 장검류가 일부 사용된 경우를 제외 하면 창병의 밀집 대형을 상대로 검병은 그다지 효과적인 공격을 입히지 못합니다.
    이는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 당시 로마군이 그리스군의 팔랑크스를 상대로 전면전을 벌이다 패배한 사례가 대표적이며 임진왜란 당시에 도 마찬가지로 일본의 장창진에 조선군 살수가 애를 많이 먹었습니다.
    (팔랑크스vs팔랑크스 상황시 단검을 든 꼬마가 방진 아래를 뚫고 무방비 상태의 적병을 공격 하는 전술이 존재 하기는 합니다.)

    • @우기부기-g8i
      @우기부기-g8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저도 영상보다가 검병을 내보내면 그냥 학살당할거같다는 생각이 ㄷ ㄷ

    • @woonya32
      @woonya32 4 месяца назад

      검병 과 창병의 승패에는 정해진 정답이 없습니다만 고대를 넘어 중세에 오기까지엔 검병이 더 우세했던것이 사실입니다
      물론 여기엔 검병의 정예화 와 더 긴 훈련기간도 필요했지만 결과로만 봤을땐 검병이 창병을 이긴다는건 잘못된 견해가 아닙니다
      거대한 방패를 들고 필룸 과 같은 투창을 던지며 밀집대형으로 근거리까지 밀고들어오는 로마군의 글라디우스에 결국 거리를 내준 마케도니아군은
      길다란 창이 되려 무용지물이 되버렸고 짧은리치로 근거리난전에 용이한 로마군에데 난도질 당하며 패했고
      임진왜란에 조총으로 조선의정예기병을 무력화 시키고 창을든 살수 와 환도 와 방패로 무장한 팽배수를 상대로
      왜군의 단병기는 너무나도 치명적이었고 물론 여기서도 조총을 빼더라도 본토에서 전국시대를 겪으며 200년간 전쟁만한
      일본검병의 숙련도 차이가 심각했습니다
      정리하자면 비슷한수준의 징집농민병끼리의 전투에선 창병의 니가와가 통하지만 군대의 훈련도가 조금이라도 차이가 난다면 검병이 우세한건
      역사가 증명하고있습니다
      물론 총기의 발명이후 검병의 숙련도는 의미가 없어졌고 난전에 있어서 창병에 뿌리를 두고있는 총검을 쓰게되었으니
      창병 과 검병의 논란은 끝이 안나는걸지도 모르지요

    • @skavud1
      @skavud1 4 месяца назад +1

      피드나 전투에서 로마 레기온이 마케도니아 팔랑크스 상대로 이겼잖아요?

    • @Inmoon-hak0871
      @Inmoon-hak0871 4 месяца назад +4

      @@skavud1 로마가 고지 활용과 재빠른 병력 재투입 전술로 승전한 전적이 있지만 단순 병종 상성으로는 팔랑기테가 우위죠. 제가 말씀 드린 것은 정면 방진vs 정면 방진 상태에서의 접전입니다.
      기동성과 복합전술 면에서 열세인 마케도니아가 평지 전면전이면 몰라도 복합전은 로마에 밀리겠지요.

    • @user-uc4px3vu6z
      @user-uc4px3vu6z 3 месяца назад

      ​​@@skavud1 애초에 피드나 전투가 의미하는건 역설적으로 로마가 산병전을 시도하기 전까지는 마케도니아식 장창 팔랑크스를 뚫은 군대가 없었다는 뜻임. 초창기 로마군도 그리스군의 아류 그 자체였고, 켈트족을 상대하다 발전한 전술로 그리스세계와 맞부딫혔을때 새로운 전술로 박살낸거임. 물론 이당시 국제정세가 마케도니아는 한번만 져도 로마한테 먹히는거였고, 로마는 이길때까지 그리스를 공격하던 상황이라 시간문제긴 했음. 그 큰 흐름에서 임계치를 넘은 시점이 피드나전투일뿐.

  • @ssroooebs3192
    @ssroooebs319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우와~리스펙! 감탄이 저절로 나오네요. 엄청난 사전 조사와 훌륭한 영상 편집으로 인해 제목에 아주 충실한 , 심지어 교육용으로도 손색 없어 보일 영상을 만들어 내셨네요. 최고입니다. 그리고 인류가 어리석은 짓거리인 전쟁을 그만 둘 수가 없을 것 같아서 슬프네요.ㅜㅜ

  • @B174III
    @B174II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6

    최곱니다. 최근 돌아다니는 무익한 쇼츠에 비해 전혀 시간이 아깝지 않았습니다. 영상 제작에 감사합니다.

  • @gmr.9863
    @gmr.986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1

    다 아는 부분임에도 누가 이렇게 상세하게 되짚어주고 상기시켜주고
    정보전,프로파간다 등 전쟁은 여전히 우리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진행되고 있단 생각에
    무시무시하면서 헛웃음 나오고 게다가 오싹한 기분까지 들정도로
    인류의 역사는 곧 전쟁의 역사라는게 괜한 말이 아니라는걸 다시금 깨닫네요.
    처음 보는데도 도중부터 끝까지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Thank you!

  • @백지훈-k5j
    @백지훈-k5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4

    이 영상을 보면서 어딘가에서 누군가가 "전쟁은 역사로만 남아 기억되는 것이 옳다."라는 말을 했었던게 기억이나네요.
    저는 작가지망생인데 전쟁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싶은데 다시 한번 생각해볼 시간을 준 좋은 영상이었던 것 같습니다.
    영상 마지막에 애기하신 미래전에 관한 내용도 다루시게 된다면 꼭좀 보고 싶네요.
    아무튼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신광인-y9l
      @신광인-y9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생의 절반을 역덕 밀덕질로 보낸지라 중세이후 근세부터의 일과 개념들에ㅡ대해 글쓰려는데 조언이 필요하면 코멘트 남겨주세요.

  • @god_dnsahr
    @god_dnsahr Год назад +244

    가볍게 알아가는 영상 (40분)

    • @choijiung1123
      @choijiung1123 Год назад +64

      인류전쟁 의 역사로 따지면 상당히 가벼운 영상 이긴함ㅋㅋㅋ

    • @punglam_
      @punglam_ Год назад +30

      "상대적"으로 가벼움😂😂

    • @ironmornitor
      @ironmornito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수만년의 시간에 비유하면 찰나의 순간

    • @user_NEOB
      @user_NEO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보면 볼수록 내 존재가 더 가벼워짐

    • @lllllIlllllllI
      @lllllIlllllll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근데 궁금한게, 왜 그리스 중심의 헬레니즘 문화는 장창계열의 방진인 팔랑스가 메인이었나요? 팔랑스는 평지에서 싸워야 유리하고, 그리스 특성 상 산지가 많는 등 지형적 제한사항으로 폴리스라는 지역 단위의 국가가 형성된건데.

  • @koeHniJmiK
    @koeHniJmi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무기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였고, 전쟁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였으며,
    이러한 역사가 문화를 만들어냈다.

  • @찬란한별들
    @찬란한별들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핵무기로 인하여 전쟁이 훨씬 효율적이게 과거처럼 서로의 땅을 장악하는 것이 아닌 상대국가의 경제권을 장악하고 이로써 외교적 우위를 얻으며 신무기의 개념은 신기술이 차지하는 강대국들의 경제 전쟁이 시작되었다고도 생각됩니다 이 부분도 있었으면 조금더 좋은 영상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에 적어 봅니다.. 훌륭한 영상 감사합니다

  • @Hwanee0811
    @Hwanee0811 Год назад +1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어요.

  • @사나칸-p3x
    @사나칸-p3x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정독 완료
    정말 숨도 못쉬고 본거 같네요

  • @znumk
    @znum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대본이 좋네요. 문장과 구성 다 훌륭합니다.

  • @kimm.s9489
    @kimm.s948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퀄리티 미쳤네요

  • @dgh06175
    @dgh0617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마지막 교훈까지 너무 좋은 영상이였습니다

  • @better_life086
    @better_life086 Год назад +2

    너무 제가 좋아하는 종류의 영상만 만들어주시는데... 취향저격 채널 찾은듯 ㅋㅋㅋㅋㅋ

  • @Pskdkjdneke
    @Pskdkjdnek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4

    웹툰 작가들 이영상 좀봐라 총이 얼마나 좋은지 알려주는 영상이다

    • @free_worlde2008
      @free_worlde200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ㄹㅇㅋㅋ

    • @frieden520
      @frieden52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웹툰작가들에게 그런거 바라지마... 관심없어할껄?

    • @부계정-f6y9q
      @부계정-f6y9q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그치만 총 한방쏘고 끝나면 재미가 없는걸...

    • @lupin9305
      @lupin930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그걸 모르지 않겠지...

    • @user-uf9tv3uv4v
      @user-uf9tv3uv4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그렇다고 메인빌런 k2로 0.1초컷내면 안볼꺼잖아....

  • @Jtk-j9c
    @Jtk-j9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25:05 tmi이긴 한데 영상에 쓰인 영국의 전차 mk 시리즈는 후방이 땅에 붙어있고 전방이 위로 떠있습니다
    당시의 전차는 참호를 지나갈 때 빈 공간 때문에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려 넘어지기 전 건너편 땅과 닿아 부드럽게 지나가기 위해 그렇게 만들어졌습니다

  • @moonchold
    @moonchold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영상이 과도하게 재밌을때 생기는 문제가, 켜놓고 소리만 들으면서 딴거 하려다가 그냥 영상을 눈으로도 보고 싶어져서 딴거 하려던걸 그만두게됨...

  • @カザクス
    @カザクス Месяц назад

    40분을 전부 스킵없이 볼정도로 유익한 영상이였습니다 단 1분도 지루한 구간이 없네요

  • @BlackMambaKR
    @BlackMambaKR Год назад +1

    역사적이기도 하면서 철학적이기도 하면서 여러생각이 들게만드는 영상이네요 잘 봤습니다.

  • @MiniINFO2025
    @MiniINFO2025 Год назад +2

    별 생각없이 봤는데, 시간이 후딱 가네요. 잘 보았습니다. ^^

  • @김백사
    @김백사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우리의 군대, 우리의 육체, 우리의 정신은 우리의 주적을 상대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충분히 무장되어 있는가.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돌아보지 않으면 안될 내용의 핵심을 잘 짚어주신 것 같습니다.

  • @찬란한별들
    @찬란한별들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너무 훌륭한 영상인것 같아요

  • @user-zn2jy4ck8f
    @user-zn2jy4ck8f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고려때도 조선때도 대한민국도 국민을 버렸던 전적이 있으니 한민족이라면 교훈을 깨쳐야함.

  • @루태루르
    @루태루르 Год назад +2

    오늘 처음으로 알고리즘에 뜨셔서 쭉 보는데.. 취향저격이네요.
    구독박고 갑니다, 앞으로도 즐겨볼게요

  • @자유-k6g
    @자유-k6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매일 들어와서 좋아요를 누르고 싶은 채널입니다. 정말 고생하셨습니다. ^^

  • @지금눈떴어
    @지금눈떴어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39:07 정말 인상 깊었습니다.

  • @marylemony
    @marylemon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갓오브워부터 포아너를 거쳐 콜오브듀티까지 설명영상 잘 보았습니다

  • @Kimchi_JJigaa
    @Kimchi_JJiga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보는 내내 푹 빠졌습니다 40분이라는 것도 모른채 쭉 봤네요

  • @danik4204
    @danik420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녕하세요, 40분간 정말 알찬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tshhchb4296
    @tshhchb4296 Год назад +1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다음영상도 기대합니다

  • @giraffe_wayland
    @giraffe_waylan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영상마다 퀄리티가 장난 없네요 ㄷㄷ 금방 떡상하실겁니다 ㄷㄷ

  • @GimDongYoung
    @GimDongYoun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마지막 말들이 상당히 와닿고 정리도 깔끔하네요.

  • @아카자의동료가된오니
    @아카자의동료가된오니 Год назад +2

    정리 감사합니다. ^^

  • @비내리는밤의달
    @비내리는밤의달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간의 역사는 싸움과 전쟁의 역사 그잡채....재밌게 봤습니다!

  • @unkown1881
    @unkown1881 2 месяца назад

    목소리 좋고, 대본 좋고, BGM좋고, 영상길이 좋습니다. 그만두지만 말아주시오. 선생😢

  • @hyunmiii
    @hyunmiii 4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 처음부터 끝까지 재밌게 봤습니다~

  • @눈이부시게-h9m
    @눈이부시게-h9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누구나 한번쯤 들어봐야하는 유익한 내용

  • @뿔쏘-k3m
    @뿔쏘-k3m 11 дней назад

    사회의 형성은 상대를 다구리를 놓기 위함이란 진리 하나를 배우고 갑니다.

  • @이재용-k3p
    @이재용-k3p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단하십니다

  • @흛뚫
    @흛뚫 Год назад +3

    전차(채리엇)가 잠깐이라도 언급이 안된게 아쉽네요 ㅠㅠ
    청동기 시대에 천년정도 전장을 지배하던 전장의 주역 이었는데요.
    그 시절엔 말을 직접 탄 기병은 전장에 거의 없었고
    동서양 가리지 않고 어딜 가도 전차가 주력 이었어요.

    • @해창정-w1d
      @해창정-w1d Год назад +1

      안장이 개발되기전까지, 유목민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말을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였죠...

  • @노력금지
    @노력금지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영상자료 준비한게 하나하나 공들인게 느껴지네요 어떻게 다 찾아서 편집했을까

  • @kutjanus9933
    @kutjanus9933 3 месяца назад

    완벽한 스토리라인🎉🎉

  • @Ultronisultranationalist
    @Ultronisultranationalist 3 месяца назад

    전술과 전략, 책략, 정보전, 병기, 전쟁훈련 경험 등등 전쟁에 있어 이런 요소들이 승패를 가르죠

  • @siwol_8117
    @siwol_811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마지막 말이 와닿네요

  • @suny1074
    @suny107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마지막 이야기가 씁쓸한 내용이네요

  • @이잉잉-j3s
    @이잉잉-j3s Год назад +1

    정말 유익한 영상입니다

  • @찰떡쿠킹
    @찰떡쿠킹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흥미롭게 잘봤습니다!

  • @مرحبًا-ص7ع
    @مرحبًا-ص7ع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문명을 했다면 공감되는 영상... 상대국이 기병으로 공격해올때 항모에서 전투기 출격시켜서 혼내주고 핵잠으로 원폭투하...

  • @Nycat1
    @Nycat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내 장담하는데 이영상 하나로 이채널은 전설이 된다.

  • @가을에폭풍
    @가을에폭풍 Год назад +2

    훌륭한영상입니다.

  • @용무이-s7f
    @용무이-s7f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계속 듣다보니 숨이 막힙니다😂 한 숨 돌리시며 해설하셔요!

  • @mjkim9193
    @mjkim919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젠 아이언맨같은
    비행 전투 슈트가 필요한 시기.

  • @카이트-k8k
    @카이트-k8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최고네요

  • @house-guardian
    @house-guardian Год назад +3

    이 채널 재미있네 주제도 다양하고 다큐멘터리와 흥미위주 정보영상 그 사이의 깊이와 흥미로움이 절묘하네

  • @HioC-sq1eh
    @HioC-sq1e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간만에 재미있는 유튜브다!

  • @longswordparkour511
    @longswordparkour511 Год назад +7

    저의 주력 훈련 냉병기들도 등장해서 흥미롭고 재밌는 영상이었네요 ㅎㅎ
    09:42 에 언급된 검술이 바로 "하프소딩"이죠~~
    츠바이핸더가 등장하지않은건(엄청 오래 활약한건 아니니 ㅜㅜ) 조금 아쉽네요 ㅋㅋ

    • @Delusion-DriveZ
      @Delusion-DriveZ  Год назад +3

      손잡이로 때리는 방법이랑 크고 아름다운 장검이랑 할버드에 대한 것도 넣을까...하다가 이렇게 축약했습니다ㅋㅋㅋㅋㅠㅠ

    • @longswordparkour511
      @longswordparkour511 Год назад +2

      @@Delusion-DriveZ 사실 그러면 두세편더 만들어야죠 ㅋㅋ (물론 전 볼의향 충분히 있습니다.ㅎㅎ)

  • @HioC-sq1eh
    @HioC-sq1e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간 영상만둘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현이1216
    @현이121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떡상기원합니다

  • @먼북소리-c1g
    @먼북소리-c1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고생했다 잘봤어진짜

  • @lilirurulala
    @lilirurulal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게임 문명5를 영상으로 즐기는 것 같네요.
    좋은 영상입니다!

  • @hill7656
    @hill765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8:30 매우 게임으로나 배웠을법한 전술입니다 아니 게임에서조차 장창병앞으로 보병을 배치하지않습니다 팔랑크스 대형이 괜히 유명한게아니죠 정면에 한해서 최고의 전투력을 가졌기에 유명한겁니다 팔랑크스 정면의 보병은 싸워 이기는것이 목적이아닌 방패를 이용해 이들의 창벽을 막아내며 방향전환을 하지못하게 막아내는 역활이지 이기는게 아닙니다. 팔랑크스를 이길 유일한 전술은 우회기동타격과 장창을 소유해야 하기에 소형화된 방패에서 오는 화살에 대한 대비책이 약해짐을 이용한 사수들의 사격입니다

  • @user-po5fv5bv4z
    @user-po5fv5bv4z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 정리한 최고의 영상임 👍 👍 👍 👍 👍 👍 👍 👍 👍 👍 👍 👍 👍 👍 👍 👍 👍 👍 👍 👍 👍 👍 👍

  • @UniqueUniv
    @UniqueUniv 8 дней назад

    너무 재밌고 유익한 영상 잘 봤습니다! 다만 각 무기의 역사 별로 대충이나마 몇 세기 즈음인지 무슨 시대인지 세계 몇차대전인지도 간단하게 적혀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네요! 물론 이런 전쟁사 영상을 만드신 망상드라이브님이나 재밌게 보는 사람들은 다 줄줄 꿰고있을만한 내용들이긴 하지만요..ㅋㅋㅋ

  • @달린다부엉이
    @달린다부엉이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재능있네 조만간 100만될듯

  • @swdotyoon
    @swdotyoon Год назад +2

    재밋게 보고 갑니다👍

    • @swdotyoon
      @swdotyoon Год назад +1

      또 보러왔네.. 뭔가 이분 영상은 그동안 내가 개소리하고 있었던걸 되게 잘 정리해서 만드시는거 같음

  • @하동균-m8c
    @하동균-m8c 11 дней назад

    정말 구독하길 잘했다

  • @goodwind126
    @goodwind126 Год назад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어여..여러 편으로 나눠서 올리면 좋을듯

  • @황성현-c1i
    @황성현-c1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35:38
    AK 할머니
    M16 누나
    K2 여자친구ㅋㅋㅋㅋㅋㄱㅋㅠㅠㅠㅜㅠ

  • @벽을뚫는포신
    @벽을뚫는포신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본래는 전투기와 전투기가 서로 꼬리를 잡는 낭만 있는 도그파이트가 주로 싸우는 방식이었는데 미사일이라는 물건이 나오면서 공대공 전투는 가시거리 내에서 미사일을 쏘는 전투 방식을 쓰다가 이제는 보이지도 않는 거리에서 레이더로만 확인하고 미사일을 쏘는 방식으로 싸운다더라구요. 예컨대 우리 공군은 북한군 전투기를 미리 발견하고 유도미사일을 발사한 다음에 전투기는 빠집니다. 북한 공군에게도 유도미사일은 있다고는 하는데 북한이 쓰는 미사일은 전투기가 계속 유도를 해줘야(적 전투기가 있는 방향으로 겨냥해줘야) 제대로 날아간다고 합니다. 우리는 쓸데없이 그럴 필요가 없죠. 그리고 나서 적 공군을 받쳐주는 시설을 체스를 하듯이 차례대로 파괴한다네요. 이게 현대 공군의 주된 전투 방식입니다.

  • @angeldoIl
    @angeldoI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따봉~!

  • @zeuj2
    @zeuj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으잉 .. 이렇게 유용한 채널이 !!!

  • @부르스왕
    @부르스왕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무 흥미로운데... 동,서양 문화권을 나눠서 두편더 만들어봅시다.

  • @user-zd9zi1dz7b
    @user-zd9zi1dz7b 2 месяца назад

    잘 봤습니다. 다만 미사일 관련 내용의 지분이 너무 적은게 아쉽네요..

  • @최지민-v7z
    @최지민-v7z 2 месяца назад

    재밌당

  • @entprise5324
    @entprise5324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진자 절라게재밋다....... 근데 39:07~39:11 이부분을 보고 요즘 세상 돌아가는 꼴을 떠올려보면 좀 싸하긴 하네요..

  • @Owner_ki_Hun
    @Owner_ki_Hu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영상 잘봤습니다

  • @재훈정-u8h
    @재훈정-u8h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채널 뜨겟다

  • @보들리버
    @보들리버 Год назад +8

    그렇게 전장을 지배했던 전차는 값싼 드론들의 표적이 되었습니다. 드론은 멀리 날지 못하죠 항공모함이 등장한 시기때처럼 드론들을 채운 차량이 등장하게 됩니다. 전차안쪽에 있는사람과 방어자입장이 되어봅시다 리퍼나 이런것도 포함됩니다 인류는 사람을 계속 갈아넣다보니 이겨도 노동력이 감소하고 경제가 무너집니다. 지면 모든걸 잃습니다. 그런이유로 사람을 보내서 방어및 공격을 합니다. 이때 사람들은 생각합니다. 항공기를 리모컨으로 조종하여 적을 공격할수는 없을까 걸프전때 미국의 프레데터가 등장합니다. 그리고 정찰기로써 성능이 우수하고 격추가 되도 인명손실이 없으며 원격조종사는 멀쩡하니 다른거를 갈아끼면되고 사람을 탑재안해도 되니 산소통이나 탑승석따위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덤으로 G포트 중력가속도의 압력을 견디는것도 인체보다 우수해서 사람은 불가능한 곡예비행도 가능합니다. 집접탑승하지도 않으니 무인전투기의 훈련시간은 대폭 줄여집니다. 그리고 헬파이어 미사일로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에서도 암살목적으로도 성능을 입증했습니다. 그뒤에 공격형 드론이 나왔죠 대놓고 공격하라고 16발의 헬파이어 미사일과 2발의 레이저유도폭탄을 탑재했습니다. 무산소고도에서 은밀히 접근하고 산소통도 탑승석도 격추되도 인명손실도 없으니 리퍼는 이때부터 전쟁의 신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글로벌호크는 헬파이어 미사일을 더 장착해서 아파치헬기와 같은 수준이 되었고 아파치헬기의 자리를 조금씩 밀어내었습니다. 적공군이 쏘아 맞추어도 조종사를 잃지않고 우리가 쏘아 맞추면 적군들은 조종사를 잃게 되었습니다. 이렇게되다보니 전투기들이 설자리를 밀고 드론들로 대체되기 시작했죠. 그리고 이들은 생각하게 됩니다 이거 잘만하면 공대공 미사일을 장착해서 적 전투기들을 섬멸할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성공하면 유인 전투기는 무인전투기들이 있는국가냐 없는국가냐로 승패가 갈리게 됩니다. 함재기의 체공시간이 늘어나도 사람의 체력과 지구력자체가 늘어난게 아닙니다. 하지만 무인전투기는 사람이 애초에 탑승하지 않고 그거 운용하는 기지에서 원격조종하면 되기에 체력관리면에서도 상대가 안됩니다. 사람은 4시간 체공가능하다는거면 4시간만 원활하게 운용가능하고 그럽니다. 그런데 원격조종이면 체력이 떨어지는속도는 현저히 줄고 작전지속은 더 늘어납니다. 체공시간이 막 3일로 막 늘어나도 드론하나로 교대해서 운용이 가능합니다. 전투기는 조종사가 피곤해지고 졸리기 시작하면 원활한 조종자체가 안됩니다. 교대한다해도 작전지역을 벗어나서 착륙을 해야 가능한거고요. 무인 전투기는 옆사람과 바톤터치만 하면 그만입니다. 그야말로 지치지도 않고 성능의 100%를 낼수 있는 전장의 신 그자체가 된겁니다.

  • @fedhori4407
    @fedhori440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영상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영상을 보며 한편으로는 그런 생각도 들었습니다.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지 100년이 지났고, 핵무기가 사용된지 80년이 되어가고, 베트남 전쟁이 끝난지 50년이 되어갑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전쟁의 참혹함을 지금까지 그 어떤 시대(직접 경험해보지 못한 입장에서)보다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그렇기에 조금은 낙관적으로 조금은 더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라고 기대해봅니다. 비록 여전히 종교와 영토, 이념을 둘러싼 전쟁은 발발하고 있지만, 전세계가 불바다가 되고 한 세대가 파괴되는 일이 반복되지는 않기를 말이죠.

  • @rowa999
    @rowa99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우 대단하네요 !!!

  • @oldmoon3777
    @oldmoon3777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우 만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 @송성룡-f6r
    @송성룡-f6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만드셨습니다.

  • @서지호-v3y
    @서지호-v3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함의 전성기가 인류의 역사 전체로 본다면 짧은 것도 맞지만 항공모함을 위해 형성된 것처럼 가볍게 지나가는 게 아쉽네요.
    영상의 길이를 본다면 어쩔 수 없겠지만 항공모함 또한 초기 사용처를 본다면 육상 전투를 지원하기 위함이라기 보다는 전함을 효율적으로 정찰하고 공격하기 위한 태생일텐데..

  • @Bigchamp-k
    @Bigchamp-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바로 구독 박습니다

  • @ABCA-u1r
    @ABCA-u1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해군에 대해 내용이 적은게 아쉽네요 1차세계대전에도 드레드노트라고 대형 배가 나올만큼 발전하였는데

  • @ekm9904
    @ekm990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익한 영상 잘 보았습니다!! 다만 제가 알고있는것과 조금 다른 것이 있어서 한번 끄적여 봅니다!
    전열보병의 시대에도 중기병은 있었습니다! 프랑스의 퀴레시어, 영국의 스콧츠그레이 연대 등이 중기병으로 분류되었는데요, 과거의 중기병처럼 전신갑옷을 입은게 아니라 가장 큰 말을 타고 흉갑이나 투구만 쓰고 주로 적 진형 붕괴, 경기병 방어 등에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20세기 1차대전 시기에는 이미 내연기관이 사용할수 있을 만큼 기술적으로 성숙된 상태였습니다. 모델 T가 1900년대 초에 개발되서 2천만대 이상 뿌려졌을 정도니까요!
    마지막으로 2차세계대전 당시에도 말을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습니다! 독일군, 영국군, 소련군, 일본군 등등 수많은 국가에서 짐 운반 용으로 많이들 썼고, 심지어 기계화보병처럼 운용되기도 했습니다(소련군, 폴란드군, 독일군). 기병이 전쟁터에서 퇴출된 것은 미국이 무친 생산량으로 동맹군에 트럭, 차량, 지프등을 뿌리면서라고 저는 보고 있습니다!

  • @mte3
    @mte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독박고갑니다

  • @누누가누
    @누누가누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 만드셧다..

  • @도토리군-l6y
    @도토리군-l6y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내가 학교수업을 이렇게 들었다면 ㅠㅠ

  • @Uboot-c6z
    @Uboot-c6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른 종들과 생존 경쟁을 하던 시절에서 같은 종과 우위를 다지기 위해 경쟁하는 역사로 오며 그 방식도 달라졌군요

  • @루피-l8s
    @루피-l8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재밌당 히히힣

  • @user-we3ix7lj7c
    @user-we3ix7lj7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힘이 있어야 전쟁을 피할 수 있음
    평화를 위해 힘을 포기 한다는 것은 평화를 저버리겠다는 것이고 이것은 외교의 관점에서도 적용되는 것으로 전쟁에서의 진형이 외교에서의 진영으로 치환되며, 만약 어떤 국가가 '우리 시대의 평화'를 선언한다면 그 것은 곧 그 진영의 '약한 고리'가 되겠다는 선언으로 간주할 수 있음
    다시 말해 힘의 균형으로 유지되었던 평화의 질서를 포기함을 의미함
    특히 지정학적 요건에 의해 부여되는 국제 관계 속에서의 위치를 알아야 할 것이고
    '어떤 국가'가 중립을 말 할 수 있는 발언권은 그 나라의 국민이나 정치가가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며, 지정학으로 그 국가의 운명이 좌우됨이 현실이고 역사였음을, 그리고 그에 따른 판단이 곧 실리이자 명분임을 인식해야 함

  • @hmsprinceofwales1548
    @hmsprinceofwales15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리고 생각보다 대포는 작열탄이 나오기 전에는 성벽을 무너트리는게 거이 불가능 했습니다 콘스탄티노플도 사실 바다쪽으로 들어온 공격에 의해 함락 되었다고 봄니다

  • @PLUTONIUM1228
    @PLUTONIUM122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칼(장검)보다 활이 먼저 개발됬습니다 이미 남아프리카 시부두 동굴에서 7만년전 활, 화살촉 화살이 발견됬고 인류는 인지혁명을 겪은 이후 모두들 솜씨좋은 궁수였습니다 아마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니소바인들도 현생인류의 화살비 맛을 분명히 봣겟죠

  • @loadbang1
    @loadbang1 4 месяца назад

    영상을 보고있는 이 시간에도 사이버 전쟁은 어디선가 벌어지고있겠죠.
    여론을 이용하거나, 세대를 분열시키고, 다른 매체들을 이용한 흔들기등등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이 시대에 사는게
    불안하네요. 총과 칼도 위험하지만 사람의 마음을 어떻게 세뇌시키는가에 따라서 정보가 더 위험할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 @nocountryforgoblin6812
    @nocountryforgoblin681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근대 파트가 좀 부실한데 굳이 넣어야했을까싶네요. 차라리 뒷부분을 더 자세히 듣는게 나았을듯. 사실 전술도 기술발전과 정치체제의 역사를 함께 다루지 않으면 반쪽짜리 설명이라

  • @Radan_Berserk
    @Radan_Berser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제는 드론이 지상전의 신이 되었습니다

  • @user-eq9ol5zs6c
    @user-eq9ol5zs6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썸네일 예술이네요..

  • @강승규-o5q
    @강승규-o5q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초기의 총이 화약수급이나 여러가지 문제로 활보다 불편해도 빠르게 활을 대체한건 탄을 장전하고 방아쇠를 당기는법만 알면 어린아이라도 사용할수있는 범용성에 있다는거임 보통 초창기 RPG게임에서 궁수들이 힘이 아니라 민첩을 올리기에 궁수는 힘이 필요없다고 생각하지만 궁수는 사실 누구보다도 힘이 중요해서 육성이 개빡센 병과였는데 총이 개발됨으로서 그런 문제가 사라지니 활이 무기로서 총에 밀릴수밖에 없는것 위력이 문제가 아니라 범용성의 문제였던거임 사람은 나뭇가지에도 죽을수있음

  • @어나더플레이어
    @어나더플레이어 3 месяца назад +2

    팩트는 썸넬에서 왼쪽이 가장 쎄다는거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