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B-C 허브 이제는 SSD까지 넣고 하나만 들고 다니세요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구매링크 : s.click.aliexp...
ACASIS 10 in 1 USB C 허브 소개 합니다. 이 제품 하나에 4K HDMI , 랜포트, 카드리더기, USB단자 USB-C , 헤드셋단자, SSD , 100W 충전까지 하나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사용하면서 발열이 어느정도 생기는지 안정성은 문제가 없는지도 확인을 해 봤습니다. 고성능 SSD 사용시 SSD발열로 인해서 온도가 좀 높게 올라가긴 하지만, 실제 사용시 다운되거나 하는 증상은 없었습니다. 다만 SSD 장착시 써멀테이프를 반드시 붙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발열제어가 안되더군요. 실제 충전을 해 보면서 어느정도로 충전되는지 실제 성능은 어느정도 되는지 확인을 해 봤습니다.
※ 이 채널은 직접 촬영한 영상을 올립니다. 영상을 노력해서 꾸준히 올리는 크리에이터를 도와주시기 위해서 추천과 구독 많이 부탁드립니다. 추천과 구독은 비용이 전혀 나가지 않습니다.
============================================
리뷰 의뢰 문의 : cdmaniipch@gmail.com
============================================
블로그 : cdmanii.com
1:1 씨디맨에게 질문하기 : cdmanii.com/gu...
씨디맨 소개 : cdmanii.com/notice
네이버 TV캐스트 : tv.naver.com/c...
촬영장비 : Sony A7M4 , Sony FDR-AX100 , INSTA360 One X2 , Mavic Pro, 고프로9, 오즈모액션, Sony ZV-1
편집도구 : 파워디렉터 18 , 프리미어프로
=========================================
10만구독자 축하드립니다. 린필드 시절 블로그 글 보면서 첫 조립컴을 혼자 조립해봤었는데 시간이 많이 흘렀네요. 언제나 양질의 정보전달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이 방문해주세요. ^^
씨디맨님 영상 요즘 틱톡 추천에두 그렇고 유튜브 추천에도 자주 보이네요!
오랫동안 열심히 활동해주셔서 유튜브랑 틱톡에서 도와주려나 보네요 ㅎㅎ
항상 신기한 영상들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독같은 허브가 필요해서 정말 여러군데 찾아봤는데요. 베댓에 70도라는 말에 다른제품들을 좀 찾아보다가 orico가좋다는 말에 그것도 좀 찾아보고 몇일간정말 많이 찾아봤어요.
제가필요한 스펙은
Ssd있으면 좋고
Hdmi 4k 60hz
Usb A 2개이상(3.1)
랜포트
Pd 이정도인데
알리에서 이제품 14만원정도.
국내정식수입출시한것은 15만정도.
공홈에서 페이팔로 하면 지금 스프링세일해서 90달러에요.
결론은 바로하나질럿습니다.
여러 외국 유투버들의 사용기도 살펴보니
70도는 실사용에선나오기힘든 온도같고
대체로 50도정도 하는것같아요.
물론 40마넌주고 썬볼독 사는게 좋지만
가격을 고려햇을때 이제품이 상당히 괜찮은것같아요.
시디맨님이기억이 계속 나서 댓을 남깁니다
와우! 십만 독자네요.... ㅊㅋㅊㅋ
감사합니다. ^^
괜찮은 제품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th9845 넵! 감사합니다!!
발열이 장난 아니예요 렌선 연결하고 화면 출력하면 분명히 뻑날꺼예요! 서멀패드 붙여도 소용없을 듯
열이 난다는건 그만큼 열전달이 된다는 의미이기도 해요. 그리고 최대 부하시 온도예요 실사용 오래해본뒤 찍은거라 문제는 없는것 같아요
PD케이블로 전원공급 해야 사용되는 허브인줄 알았더니 PC연결로만으로도 구동이 되나보네요. 여러모로 사용하기 편리한 허브인 것 같아요 :)
네 야외에서는 전원 연결 없어도 바로 사용가능한게 장점인것같아요
그것 역시도 pc에서 지원을 해야...
헉 허브 온도 70도라니
여기서 쿨링쪽으로 좀더 신경써서 작은 쿨러라도 달려나오면 쾌적하게 쓰겠네요
내꺼 일주일째 사용중인데 직장 최고온도 50도 넘지않게 알루미늄으로 되어있고 방열도 굿
좋은제품 잘 봤습니다 혹시 아이패드에도 연결 가능한가요? USBC로 오디오3.5에 허브, 외장모니터, 외장공간까지 되면 정말 괜찮을꺼 같네요~
@@th9845 다른 댓글로 줘터지니까 졸렬하게 다른데 보라니 ㅋㅋㅋㅋㅋ
기존 휴대용 허브는 케이블이 짧아서 놋북 거치대랑 같이쓸경우 허브가 데롱데롱매달리게 되는데 저건 케이블 분리도 되고 디자인도 칼디짓처럼 이쁘고 ssd까지 넣으니까 완전 좋은듯요 ㅋㅋ
비싼게 좀 문제지만 좀 깔끔하고 성능 괜찮고 휴대성 좋은 모델 보는 분에게는 딱 좋은 제품인것 같아요. 그나저나 오랜만에 댓글달아주셨는데 너무 감사해요
벨킨허브 52도여서 반품시켜버렸는데... 70도면 .. 심하다 생각되네요.. 리뷰잘봤습니다 발열잡은 제품 나오면 구매하고싶네요
설명에 나오긴 하지만 SSD가 워낙 발열이 높은 제품이라 열이 좀 있습니다. 다만 그정도 발열은 큰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 팬이 없는 상태에서 패시브 쿨링만으로 열을 줄이기 위해서 재질자체를 방열에 유리한 재질을 쓰거든요. 벨킨 허브도 저도 여러가지 가지고 있으나 열이 느껴진다는건 그만큼 방열을 하고 있다는 의미 입니다. 큰 문제가 되지 않아요.
@@cdmanii 설명 감사해요 ! 애플 정품 허브사서 해보니.. 같은조건에서 벨킨허브와는 온도차가 많이 나더라구요.. hdmi 오디오카드 연결한 usb A 그리고 pd충전 세개 다 꼽아도 42도 여서 벨킨은 방출했어요
벨킨은 pd 충전 안꼽아도 hdmi와 usb A 로 52도 넘어갔었던지라..
@@cdmanii 그래도 낸드 사용할일이 생기면 리뷰해주신것 고를거같아요 ㅎㅎ
@@levguitar2666 아무래도 허브는 실제 사용 부하에 따라 온도가 좀 다를 수 있긴 해요. 제가 소개한 제품도 부하를 안걸면 온도가 높진 않거든요. 아 참고로 벨킨도 품질은 우수한 편입니다. 애플에서도 몇몇 제품 경우 벨킨에 의뢰해서 만들거든요. 그정도로 제조하고 품질검증이 엄격하다고 하더라구요. 제가 벨킨에서 제품 뜯은 영상도 올려둔게 있긴 한데 다른 제조사에서는 하지 않은정도로 안전기술을 많이 넣고 굳이 안해도 되는 부분까지 엄청 꼼꼼하게 만들긴 하더라구요. 발열을 어느 부분을 체크하셨는지는 모르겠으나 만약 단자 부분 발열 센서 보신거면 그부분은 전원관련해서 (노트북의 충전상태) 엄청 온도가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라 정확하진 않습니다. 물론 제품의 표면온도를 보고 문제라고 말하는것도 사실은 맞진 않구요. 열이 난다는건 그만큼 열이 전달이 된다는 의미이기도 하고 그런 이유로 크게 문제라고 보진 않거든요. 굳이 다른 리뷰어들은 잘 하지 않는 열화상카메라까지 들고 보여드린 부분이 오히려 오해를 낳아서 쟁점이 되고 하는것을 보면 사실과 빗나가는 포인트가 되기도 해서 이부분이 좀 걱정스럽더라구요. 여튼 나중에 기회되시면 벨킨도 나름 괜찮은 제품이라 써보시면 좋을듯 싶어요.
지려슴다
저용량 구형 느브메는 서서히 도퇴될 시점이니 외장으로 쓰는것도 효율적이지.
업글하면서 버리는 관종도 의외로 많은데
USB-3보다는 속도는 빠르니
씨디맨님 김TH 댓글 일부러 고정해서 박제 해주셨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삭하고 빤스런 못하게 캡쳐해서 따로 올려주세요 ㅋㅋ
일단 올인원이라는거에 대단
오우 좋아 보이네요ㅎㅎ내구성만 괜찮으면 구매의사 있어요ㅎㅎ
맥북쓰시는 분들께 좋은 제품 같네용 ㅎㅎ
늘 좋은 영상을 제작해 주셔서 정말 감사드려요
맥에 외장 nvme 쓰시는 분들께 드리는 팁. 보통 맥 거치대로 많이 쓰는 스뎅으로 된 것 중에 바닥판 면적이 넓은 것들 있는데 여기에 외장케이스 올려두면 진짜 거짓말 같이 온도가 기껏해야 30도? 이쯤만 느껴집니다. 이거 방열효과가 장난 아님 이거 발견하고 유레카 세번 외침 근데 물론 닿는 면적이 서로 착 붙어야겠죠? 이 제품 처럼 중간에 고무? 처럼 돌출되어 있으면 그닥..
저도 아이맥에 꽂는 nvme 외장하드를 아이맥 받침대위에 올려둬요. ㅋㅋㅋ 사람 생각이 다 비슷하구나...
제품
알리 들어가서 구매 해야하나요ㅡ?
구매 링크 글릭하면 바로 알리 화면 열리던데
첫 화면에 뜨는 제품이 맞나 요?
아님 알리에서 해당 모델 글자 쓰면 되나요?
알려 주심 감사합니다.
알리 사이트가 원래 약간 버그가 있어서 링크를 정상적으로 클릭했음에도 그냥 메인페이지가 뜰때가 있습니다. 저만 그런줄 알았는데 원래 그렇더라구요. 이때는 페이지 닫으시고 다시 링크 클릭하시면 됩니다. (두번째도 안뜰때가 있는데 다시 닫고 열면 열리더라구요)
Ssd는 요새 usb도 용랑커졌는데...굳이저렇게..
Msd는 usb 젠더를쓰면되지않을까
결론은 그냥 전원연결되는 usb 2.0~3.0 포트 2~3개있고 랜포트있는제품쓰면 제일간편할듯
근대 곰곰히 생각해보니 인클로저 쓰면 돌릴때는 빡시게 열이 올라오고 안쓰면 내려가는대 저거는 상시 70도 유지라면 으음... 고민되네요 하지만또 하나로 해결할수 있다는 장점이 하지만 70도라 으음......진짜 고민되네요 ㅎㅎ
맥북에어 벨킨 7in1 고민중인데 이 허브랑 비교해서어떨까요? 허브만 1주일째 찾아보는데 쉽지않네요ㅠㅠ
허브는 사용 용도에 맞게 구매해야 후회가 없습니다. SSD까지 장착을 해서 하나의 제품으로 해결을 하려면 이 제품도 괜찮구요. 만약 그것까지는 필요하지 않다면 좀 더 저렴한 제품을 구매하셔도 상관 없을 것 같아요.
요즘 중국 악세사리 트렌드가 nvme ssd를 허브에 장착해서 사용하는거 같습니다.
가격도 대략 400rmb~800rmb 사이에 맞주는거 같구요 ㅎㅎ
가격단위가 좀 생소해서 그런데 한화로 대략? 얼마일까요? 여튼 요즘은 점점 합쳐서 나오고 작게 나오니까 좀 좋은 아이템 찾는 분들에게는 괜찮은 것 같아요
@@cdmanii rmb가 중국 위안이에요 대략 8만원~16만원이에요
저라면 외장쓸거같습니다. 70도 유지라면 저거 기판 냉납으로 다 들뜰거같은데 한 6개월봅니다.
그런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이 허브 연결선usb a타입줄로도 연결해서 쓸수있나요?
우와~ 신기하다. usb단자가 몇가지를 인식하는거야?
무시할 사람은 무시하세요
혹시 sata nvme ssd 둘다 호환 되는 건가요? 저기에 호환이랑 쿨링만 들어가면 완벽할것같네요!
듀얼 프로토콜 지원으로 둘다 지원 합니다. 별도로 쿨링하거나 하진 않아도 설치만 올바르게 하면 다운되거나 하진 않더라구요. 어차피 컴퓨터 안에 설치하는 NVMe SSD도 발열은 좀 있는터라 그정도 같은 수준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cdmanii 듀얼되는 군요 ! 써멀패드는 ssd 위에 붙이면 되나요??
@@리모리-h4l 1:54 질문주신것도 그렇고 모두 영상에 나오는 내용이라 영상 한번 봐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영상 짧아도 만드는시간은 엄청 오래걸리거든요. 이것도 테스트까지 해서 3일정도 꼬박 걸려서 찍은거라서요.
우와 너무 좋은 제품 이내요
제품리뷰하면 가격은 기본적으로 알려줘야하는거 아닌가요 해외배송17만원
10IN1허브5만원+NVME인클로져3만원 따로사는게
성능적으로10배이득*가격적으로 2배이득
이거 장점이라고는 통합제품이라는것뿐
그외 모두단점... NVME성능저하와 미친발열
헉 70도?? 케이스? 완충실리콘? 제거하고도 온도는 얼마나 나오나요?
최대 부하시 온도가 90도 가까이 되는 하이닉스 P41을 장착한 상태의 허브 최대 부하시 온도 입니다. 실제로 사용시에는 계속 이런 온도 유지하는것은 아니긴 합니다. 그런 이유로 온도 때문에 걱정하고 하는 것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온도가 높다는건 그만큼 외부 알루미늄 케이스로 그만큼 방열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M.2 NVMe SSD 인클로져 경우에 대부분 써멀테이프는 사용을 합니다. 사용하지 않고 온도를 논하는것은 마라톤 하는 분에게 집신 신고 뛰면 어떻게 되요 이런거 물어보는거나 같은거라서요. 큰 의미가 없습니다. 무조건 붙여야 합니다.
@@cdmanii 아...아뇨 저는 제품이 검은색 실리콘 케이스가 있는 상태로 테스트와 온도측정하셔서 저 검은거 제거하고의 온도는 얼마나 다를까? 하고 궁금해 남겼던 거에요.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
@@FrostwoodForest 아 케이스 말하시는거군요. 케이스 벗기면 열이 조금 줄어들것같긴 한데 크게 차이나진 않을것같아요. 그보다 금속케이스라 노트북 긁을 수 도 있어서 실리콘 케이스 씌우는것좋을것같긴해요.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해당 링크를 한번 밨는데 이거 애플계열만 예제가 보이고 ibm호환 노트북은 안되는 것 같은데 맞나요
USB-C 허브이므로 윈도우 노트북 등에서도 됩니다.
어차피 읽기 쓰기 속도가 저렇다면
4.0 p41 말고 발열 성능 좋아서 노트북에 많이 사용하는 3.0 p31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발열도 떨어지고 읽기쓰기 속도는 비슷하게 나오면 차라리 저렴한 그쪽으로 가는것도 좋을꺼 같아요
P31에 ASUS ROG ARION 쓰는 중인데 좋습니다. 속도도 잘 나와요
@@wonwoodo6085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속도 자체가 영상에서처럼 4.0이 저정도 속도가 나오는데
3.0이면 저 속도보다 떨어지게 나오나요? 아니면 비슷한 수치정도로 나오나요?
@@jungsukheo677 pcie 3.0 속도도 모두 뽑아내지 못하는 상황이라 뭘 끼우던지 차이 없을듯. 싸고 발열적은걸로 끼우심됩니다.
P31 까지 필요있나요?
어차피 10G 이하가 맥스라면, 당근에 널린 evo860 이나 evo950 같은거 써도 아무상관 없겠는데요.
물론 발열은 좀더 심하겠지만...
오리코 SSD 케이스(max 10G) 에 960을 넣으나 860을 넣으나 똑같더만요. 그거랑 같겠죠 뭐.
usb허브를 사용하는 이유가 대부분은 포트가 부족하거나 pc의 뒤쪽에 꽂기 불편해서인데 포트수가 너무 적은듯
제가 저짓거리 안할라고 맥북에서 윈도우 노트북으로 넘어갔습니다... 뭐 이제품도 결국 발열때문에 장소에 따라 문제가 될거 같네요. 영상 미술쪽 아니시면 걍 속편하게 윈도우 노트북 쓰세요...
가장 성능이 좋은 SSD에 (열이 좀 많음) 부하까지 최대로 걸어서 테스트 한 결과이구요. 그런 이유로 걱정은 안하셔도 될듯해요. 그리고 플렛폼은 상관없이 동작하므로 굳이 윈도우북이라고 필요없고 그런게 아니라서요. 윈도우북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요.
가장 적당한 ssd는 어떤제품이 좋나요???
가능하면 저렴하고 용량 큰 제품을 쓰는게 아무래도 이득이겠죠. 다만 용량별로 가격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로 사용하실 용량이 어느정도인지 파악하셔서 결정하시는게 좋을듯해요. 지금 가격 봐선 1TB 정도가 적당한데요. 제 경우에는 2TB 정도는 되어야 넉넉하긴 하더라구요.
하트싱크가 있는 nvme도 장착이될까요?
높이는 약 12mm인뎅
방열판이 따로 붙은건 당연 안됩니다. 꼭 장착하려면 커버를 빼고 장착해야할텐데요. 그럼 좀 그렇죠. 이동하다가 빠질수도 있고 하니까요.
이거 다음주에 국내에 정발한대요
오웃 그렇군요.
무선 마우스같은경우 usb쪽에 꽂는 쪼그만칩 있잖아요? 그거 하나로 마우스랑 키보드 다 연결할수도 있나요?
로지텍에 유니파잉 경우 로지텍 키보드 마우스가 그것을 지원하면 하나의 리시버에 모두 연결해서 다수의 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는 키보드 마우스 콤보 제품 경우 하나의 리시버로 연결되도록 되어있어서 하나로 연결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cdmanii 감사합니다
노트북이 썬더볼트를 지원해야....
USB-C 포트 달린 노트북에서 쓸 수 있나요? (PD충전 지원 안하는 노트북인데 PD 충전기에 연결해서 전원 공급 받을수 있나요?)
아쉽지만 노트북에서 PD충전 안되면 허브 연결해도 충전은 안됩니다
4K 60Hz 지원하는 것은 좋네요
SSD는 어차피 속도 제한도 있고, 상대적으로 발열이 적은 M.2 SATA SSD를 꽂아 쓰는 것도 좋겠네요
네 맞습니다. 보통 30Hz로 제한하기 마련인데 고성능 칩이 들어가서 그런지 생각보다 성능은 좋더라구요. 물론 가격도 좀 비싼편이긴 하지만, SSD는 성능 약간 떨어져도 뭐 생각보다 빠르니까요. 근데 30Hz는 좀 많이 끊기니까 60Hz라 나름 괜찮은 것 같습니다.
호기심에 레노버 제품 하나 구입해봤는데..
에어컨 미가동 시 49 50 왔다갔다합니다.
에어컨 가동 상태에서 44 45 왔다 갔다 하구요.
덩치가 있어서 그런지.. 방열이되기는 하는데 이 제품이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모델명이 어떤건가요? 링크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dmanii 헉! 저한테도 막 쪼는거 아닌가요? 조금 겁나네요... ㅎㅎㅎ 레노버 제품 검색해보면 몇가지모델 나와요.. 정확한 모델명은 집 가서 봐야하고.. 인터넷 검색하면 있어요... 저도 검색하니 몇가지 있길래 거기서 괜찮은거 하나 지른거에요.. 암튼 좋은 제품 구매하게되어 좋네요.. 이쁘고, 고급스러운 좋은 제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뭘시작 제가 막 쪼고 그런건 없었는데요. 고정댓글에 있는 분에게는 저도 궁금해서 물어봤던 것이구요. 혹시 어떤 제품인지 모델명을 알수있을까요?
@@cdmanii 네 저분이 왜 저러는지 조금은 이해가 가요.. 그래도 만인을 상대하시는 분이.. 쓴소리도 달게 받아들이는 배포를 키워보세요.. 잇썹처럼요..
제가산 제품은 LKC1314입니다
아주 만족합니다!
@@뭘시작 이 제품은 저도 봤던거네요. 근데 이건 SSD가 M키를 지원안하는 제품이예요. 즉 제가 올린 제품처럼 고성능 SSD를 지원하지 않는 모델이예요. NVMe SSD를 장착하고 100W 입력을 하는데도 저 온도가 안나온다고 해서 댓글에서 토론이 있었던거라서요. 이 제품은 이것에 해당하지 않아요. 이정도 낮은스펙 제품이면 온도가 높게 안나오는게 맞죠. 그리고 배포를 키우라니요. 제가 뭐라고 따지고 싸우고 한게 아닌것은 댓글 보시면 아실텐데요. 김아무개님이 저에게 잘 모른다고 뭐라고 하시고 제품은 알아서 찾아보라고만 하고, 찾아도 안나와서 물어보니 뭐라고 또하시고 해서 저도 난감했던거거든요. 근데 뭘시작님까지 이렇게 말하니 난감하네요.
뭐 하나만 들고 다니게 발전되어 왔지요.
플로피디스크 8인치 한 장이면 다 되던 시대도 있었고,
5.25인치 한 장, 3.5인치 한장, 그래픽기능과 CPU통합한 APU, 용량별 USB디스크 하나에 운영체제가 다 담고 ...
결국 또 가다보면 한 개가 두 개가 필요하고, 두 개가 네 개가 될 때 즈음에 또 통합해서 하나로 처리하게 만들고 .. 그 때마다 만만찮게 돈을 써야 되고 ....
이제 안 봐도 뻔해요. ㅎㅎㅎㅎㅎㅎㅎ
클라우드 되면 저장기가 필요 없는 줄 착각하면 큰 일 치를 것입니다. 클라우드는 남의 집에 자기 자료 맡겨 놓는 식입니다. 당장은 최신 기술 사용자가 되었다 좋은 것이 많겠지만 ..
자기 자료가 만인에 의한 만인의 자료로 변해버릴 수가 있습니다. 자료의 주인인 자기 의지와는 무관하게 ...
집에서는 저렇게 쓰고 있는데 밖에서는 저런거 가지고 다니는거 짐인데 어디서 쓰냐?
그러게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님 뇌 도 짐인데 어디서 쓰나요
외부 아탭터 없어도 오래 잘 작동되는지요? 열정도야 쿨링팬 하나 달아주면 되는데 말이죠.
SSD때문에 열이 높았던거라 (테스트에 사용된 SSD가 워낙 고사양이라) sata타입 ssd 넣거나 하면 열은 높지 않을듯해요. 오래 써도 특별히 문제는 없더라구요 저도 계속 켜놨거든요
혹시 c타입 포트에 c타입 이어폰 연결되나요????
네 당연 됩니다
노트북pc 썬더볼트 나 usb c type 버전 차이로 pd 유전원 으로는 작동 되는데 무전원으로는 인식이 않되네요
혹시 저 같은경우 있으신분운 c type input 단자에 pd 로 전원 연결 하시면 작동되실겁냐다.
4k 출력시 프레임은 어떻게 되나요?
60Hz
조금 아쉽네요
외장하드 들고 다니기엔 불편해서
폰에 쓰던 1테라 외장메모리 쓰는데
이건 가성비가 너무 떨어지고...
흐미ㅜㅜ
와 저는 외장메모리는 가격이 엄두가 안나서
오리코 케이스에 evo860 박아서 가지고 다녔습니다 ㅜㅡ
요즘은 T7 가지고 다니는데, 휴대하기도 좋고 발열이 굉장히 미미해서 뭔가 심신에 안정이 옵니다 ㅎ
만원대면 사겟는데 환율도 x나게 올라서 10만원 훌쩍 넘네
결론 안산다 ㅋㅋ
이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윈도에서는 잘 연결이 되는데, 맥에서 연결이 불안정 합니다. 자주 끊겨요
제가 맥에서 쓰는데 문제가 없긴 한데요. 혹시 끊길 때 뽑은것처럼 장치가 다 끊어져서 다시 연결이 안되나요? 아니면 끊기는 증상이 구체적으로 어떤식으로 끊어지나요 ? 잠깐 끊어졌다가 다시 연결되는건지 등등요
Type C 로 연결해서 모니터랑 연결해서 충전과 출력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영상에 모니터도 확장하고 충전하는 내용이 나오긴 하는데요. 좀 다른 방식을 질문하시는걸까요? 다른 방식이라면 좀 더 구체적으로 질문을 해주세요.
@@cdmanii 저의 질문이 많이 부족했군요. 저의 지금 환경이 모니터는 USB C PD 충전 및 모니터 출력이 되는 모니터이고 여기에 맥북프로를 클램쉘 모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PD 와 PC 2개의 포트가 보이던데 저와 같이 클램쉘 모드로 사용할려고 한다면 모니터와 노트북 사이에 이 허브를 연결해서 케이블1은 맥북프로와 허브를 연결하고, 케이블 2는 허브와 모니터를 연결하면 충전과 출력이 동시에 지원이 되는지가 궁금했습니다.
@@ermdjoo 제가 말하는게 맞는지 봐주세요. 기존에 맥북에 USB-C 포트를 이용해서 USB-C 모니터를 연결해서 쓰고 계신 상태이죠? 모니터는 별도의 전원 연결 없이 USB-C로 노트북 전원으로 켤 수 있는 타입인가요? 또는 반대로 노트북이 별도의 전원을 넣는 타입이고 USB-C를 통해서 PD 충전이 가능한 모델이라 노트북 USB-C 단자에 연결해서 모니터가 맥북을 충전(전원연결) 한 상태로 사용가능한 상태인가요? 둘 중 하나일듯 한데요. 그 상태에서 이 USB-C 허브를 연결할만한 방법은 없을듯 해요. 선 하나로 연결을 하려면 대역폭이 더 넓은 썬더볼트3/4 독으로 가야 하나의 선으로 연결을 하고 지금 쓰시는 환경을 대체가 가능할 것 같구요. 이 영상의 허브는 모니터를 허브로 연결을 대체를 할 수 가 없어서 결국 모니터는 USB-C로 연결을 맥북에 하고 별도로 USB-C 허브를 맥북에 포트 1개에 더 연결을 해야하므로 결국 선을 2개를 연결해야합니다. 모니터를 물론 USB-C가 아니라 HDMI로 연결을 대체한다면 선 하나를 뽑을 수 는 있죠.
@@cdmanii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대로 저는 독형태로 가야하겠네요.
그런데 가격을 보고 바로 ......
안녕하세요 저도 몇개월전 맥북을 장만하면서 이제품도 함께 구매하여 잘 쓰고 있지만 당시 해당제품에 대한 리뷰가 많지 않아 되는데로 사용중입니다 다만 궁금한게 있어 댓글을 남겨요 현재 맥북에 추가모니터 연결하여 크램쉘모드로 사용중인데 모니터는 주연테크 4k가성비모니터에 c타입단자로 연결해놓은 상태입니다 이유는 아카시스 hdmi로 연결을 하게 되면 제가 원하는 해상도 2560x1440 안나오고 기본해상도인 1920x1080이거나 3840x2160 (고해상도) 뭔가 극단적으로 출력이되어 해당 판매사에게도 문의를 해보았지만 이해를 못하는 눈치였고 그래서 hdmi케이블로 모니터-맥북 연결을 하게 되면 1440으로 출력되는것으로 보아 모니터와 맥북엔 문제는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저도 씨디맨님 처럼 썬더볼트3 케이블 하나로만 연결하고 싶어 구매한건데 그게 되지 않아 포기하고 각각 모니터용 c타입케이블과 외장디스크용 아카시스 썬더볼트 케이블 두개를 맥북에 연결하여 사용중이네요 혹시 씨디맨님이 보여주신 영상에 나오는 모니터의 해상도는 어떻게 되나요? ㅠㅠ 아님 저와 같은 문제 겪어보신 경우가 있으신가요? ㅠㅜ hdmi 케이블이 문젠가 싶어 케이블도 바꿔보고도 해봤는데 동일해서 포기하게 되다 씨디맨님 영상보고 혹시나해서 댓글 남겨보아요
제가 같은 과정을 해 봤는데요. 여러가지 해상도 지정이 가능합니다. 제가 영상을 만들었으니 참고해서 확인 해주세요. photos.app.goo.gl/ofoLtgwU9UPuVQVy7
@@cdmanii 답변 너무나 감사합니다 다시 시도해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ㅠ
이제 중국거 아니면 행세도 못하고
국산은 눈 씼고 찾아도 없고
중공이 아무리 미워도 물욕에는 눈녹듯 사라지는구나
애플공식 ssd 되는 허브 만들어 줬으면 좋겠네,
맥값도 올랐는데, 싸구려 중국제 제품 주렁주렁할려니 별로 안내키네
16만원이면 좋군요.....
가성비가 영... 아쉽네요
다양한 성능은 좋은데, 가격대가 너무 비싸네요..
환율이 올라서 그런지 대부분 가격이 다 올라버렸더라구요. 특히 알루미늄 등을 쓰는 제품들은 가격이 ㅠㅠ
안녕하세요. 제가 찾던 제품이에요 ㅠㅜ 감사. 질문이 있어요. 판매링크 들어갔더니 좀더 업글제품(?)처럼 보이는 ORICO-USB C 허브 (외부 M.2 NVMe SSD 인클로저 포함)이란 제품도 있는데요.
이건 어떨까요? 온도가 50도 초반까지 올라간다고 되어있는데, 알리구라 때문에 신뢰가 안가서 ^^; 괜찮을지... 이번에 맥북사니까 이런 제품은 필수로 사야겠더라구요.
Acasis도 오리코도 둘다 유명한곳이긴합니다. 온도가 높은건 방열이 그만큼 된다는 의미기도 하고 대부분 패시브 쿨링이 가능하게 나오는거라 걱정은 안해도 됩니다. 다만 오리코 허브는 썬더볼트독에 해당되구요 팬이 있어서 쿨링에는 유리해보입니다. 다만 팬은 수명이 있는터라 고장나면 소리가 커질수도 있고해서 이 부분은 본인이 판단을 해야할듯합니다.
@@cdmanii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씨디맨님은 sd카드(마이크로)리더기 쓰시나요? SD카드리더기가 자주 쓰는건지 궁슴합니다. 검색해보니 카드리더기 없는대신 속도가 썬더볼트인 제품이 있어서 고민이에요. ㅠㅠ
@@철길이빨 사용 용도에 맞춰서 인터페이스를 보시는게 좋겠죠. 제 경우에는 A7M4 카메라를 쓰는데요. 덕분에 UHS-II 이상을 지원하는 카드리더기가 반드시 필요하더라구요. 캠코더로 찍어도 카메라로 찍어도 어차피 카드리더기는 필요하거든요. 썬더볼트독 중에 인터페이스가 많아지면 당연 전원을 많이 사용하게 되고 휴대용과는 거리가 멀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인터페이스를 제한해서 갯수를 줄여도 썬더볼트독은 대부분 속도가 빨라야해서 그러면 인터페이스가 필요한게 없어서 애매해지고 크기만 클 수도 있죠. 그래서 쓰실려는 용도를 정하셔야 해요. 휴대용으로할지, 고정된 장소에서 쓸지, 그리고 인터페이스는 뭐뭐 필요한지 어떤 용도로 쓸지 그것을 정하시고 제품을 결정하셔야 후회가 없을듯 싶습니다.
가격이 헤자구만 뭔 추천 ?
각개로 사서 본드로 붙이는거 훨씬 더 싸겠구만
100W 가까운 멀티포트에 거기에 SSD 케이스를 합한 제품이네요.
굳이 두 제품을 합쳐서 발열도 따따블로 쳐먹는 불안정한걸 15만원씩 주고 사느니..
최근 가격들이 좋아져서 썬더볼트(100W 충전만) 멀티포트 3만원대에 나와있고
오리코 듀얼SSD케이스 10G 짜리 3만원대니까...절반 가격이면 떡을치고
몇만원 더보태면 삼성T7을 사던가 하는게
발열이나 내구도나 안정성, 거기에 가성비... 또는 개별 사용시의 휴대성 등등
까지 훨씬 나아 보이지 말입니다.
한마디로 위 제품은 빛좋은 개살구 같습니다. 메리트가 없어요.
멀티포트 필요하면 웬만하면 벨킨 정도 사구요. SSD 케이스가 필요하면 오리코 정도 사야지요.
SSD 없이 보조가 필요하면 삼성 T7 사면 되는거고죠.
괜히 수많은 사람들이 찾고 인정 하는게 아니에요.
멀티포트도 100W 충전으로 발열이 꽤 있는 제품인데, 거기다가 SSD 까지 장착 한다구요?
뭐? 70도요? ㅎㄷㄷ
이런 제품이 늘어나고 있고, 도킹이니 덱이니 제품들도 성능은 좋아지고 크기는 작아지고 그러고 있는것 같다만...
위의 제품은 아직 시기상조 같아요.
고성능 SSD에 장시간 켜놓고 부하를 많이 줬을 때 온도입니다. 실제 평소 사용시에는 그정도 온도까지는 아니구요. 그리고 안정성테스트는 지속적으로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써 봤지만 문제되진 않더군요. 원래 NVMe SSD 자체는 패시브 쿨링 상태에서는 열이 좀 있습니다. 각각 따로 들고다녀도 되겠으나 영상에 소개하듯 번거로운 것을 하나로 해결할 수 있고 휴대도 가능한 모델이므로 그런 분들에게 적합한 모델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태블렛이랑도 연결되나요?
레노버 제품 뭐?
어설프게 알고 떠드는 인간이 있네요 ㅋㅋㅋ
그럼 그제품 정보라도 좀 올려서 비교라도 돼게 해주시던가 떡밥만 잔뜩 뿌리고 튀시네
16만8천원...
m.2 ssd 뚜껑은 금속이었으면 참 좋았을텐데
금속 뚜껑에 써멀패드 붙인건데?
영상은 유익하고 댓글은 잼있네요 ㅋㅋㅋ
전형적인 내로남불 안하무인 분탕질충 한마리 ㅋㅋ
다 떠나서 우선 디자인이 개 구리네
오.... 구리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