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터블 외장 SSD 추천? 궁금해서 직접 테스트해봤습니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16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172

    10Gbps 속도에 인기 제품들로 테스트 해봤습니당.
    마지막에 삼성 T9도 넣어놨어요.
    00:01 ​​​​ 외장 SSD 3종 테스트!
    00:41 SK하이닉스 Beetle X31
    03:45 삼성전자 T7 Shield
    06:07 WD Black D30
    09:56 총정리
    10:19 번외: 삼성 T9

    • @prom5631
      @prom5631 Год назад +1

      일반인 사용시 더티테스트처럼 과부화 될 일은 없을 것 같은데 과부화 되는 시점이 몇분정도인지도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무루-f7p
      @무루-f7p Год назад

      샌디스크도 비교해주셨으면 더 좋았을텐데 그부분이 조금 아쉬웠지만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2

      ​@@무루-f7p 샌디스크는 불량 이슈가 있어서 제외했습니다!
      - arstechnica.com/gadgets/2023/05/sandisk-extreme-ssds-keep-abruptly-failing-firmware-fix-for-only-some-promised/
      - news.hada.io/topic?id=11846
      공식 답변으로는 문제가 없다곤 하지만
      유저들 사이에선 특정 환경에서 설계 미스로 인해 기판이 타는 증상이 있다네요.

    • @불가-f2o
      @불가-f2o Год назад +1

      형 나 개뻘짓 아이디어 떠오름,
      알리에서 듣보잡 싼마이 파워, SSD, 램, 보드로
      순수 ㄹㅇ '알리발 에디션' 만드는거임 싼마이라 가격 부담도 덜함
      CPU 5600이나 12400F 급으로 하면 될듯
      ssd 삼스븡인지 삿븡인지 870EVO 짭보다가 생각남

    • @이철욱-f4s
      @이철욱-f4s Год назад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 남김니다. 알리에 보면 삼성이랑 비슷한디자인에 990PRO, 1080PRO 4T 가 4만원에 나오던데 이거 뭔가요?

  • @KittyChacha
    @KittyChacha Год назад +64

    T7쉴드는 주기적으로 할인도 팍팍 때려서 그거까지 생각하면 진짜 깔데없이 좋아요...
    1테라 샀다가 맘에 들어서 4테라도 샀어요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10

      할인가 8~9만원하니 이 가격이면 뭐 아주 굳

    • @KittyChacha
      @KittyChacha Год назад

      @@lipsthicky7529 저는 알구몬이라는 사이트 보고 있어요

    • @iamthr4ithnk
      @iamthr4ithnk 3 месяца назад +5

      t7실드 구매하려고하는데, 유독 할인하는 기간이 있을까요? 곧 있을 블프를 기다려봐야될까요? 평소에 다나와에서 검색해서 사는편인데 다나와 상으로는 가격편차가 크지않은듯한데 혹시 다른 플랫폼에서는 크게 할인때리는곳이있는건지...도움말씀 부탁드립니다!

    • @KittyChacha
      @KittyChacha 3 месяца назад

      @@iamthr4ithnk 알구몬에서 T7 Shield 이렇게 검색해보시면 그간의 할인 내역 보면 국내 오픈마켓 할인도 있고 아마존 할인도 있고요 저같은 경우에는 4T 모델은 아마존에서 직구로 샀고요(관세도 고려하세요)
      근데 SSD 전체적으로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예전(작년)의 엄청 싼 가격은 기대하기는 어려워요

  • @scoria00
    @scoria00 Год назад +19

    디램리스 관련해서 댓글들에서 얘기하는 HMB는 PCIe(NVMe) 직접 연결할때만 가능하지 USB로 연결하는 외장SSD는 불가능합니다. 디램리스인데 성능 좋게 나온건 측정을 순차쓰기만 하셔서 그런거고, 디램리스 외장SSD에 test size 크게 잡아서 random write 테스트하면 금방 솔직해져요.

  • @또이또잇
    @또이또잇 Год назад +9

    마침 고민하다가 t7 shield 골랐는데 확신을 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BGRIMJI
    @BGRIMJI Год назад +3

    08:54 초음파 커터 하나 삽시다 ㅋㅋㅋ 저는 원더커터S 몇 년 전에 사서 필요할 때마다 잘 쓰고 있습니다! 뻘짓님 좋아하실듯 ㅋㅋ

  • @NOVA-j3i
    @NOVA-j3i Год назад +9

    WD D30 사려다 말았는데 사람들이 삼성 T7실드 추천하는 이유가 확실히 있네요.

  • @promgrey
    @promgrey Год назад +5

    오 안그래도 공구 필요했는데 그라인더 리뷰
    잘 보았읍니다

  • @collinahn
    @collinahn Год назад +42

    D램의 용도는 회사마다 다르고 대외비라 쉽게 접근할수 없는 정보는 맞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읽기 및 쓰기 시 버퍼 역할을 하여 속도 향상에 기여한다고 알려진것과 다르게
    용량이 매우 작기떄문에 읽기/쓰기 버퍼로 사용되는 경우 유의미한 속도 향상을 낼 정도의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매핑 테이블만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디램리스 SSD의 경우 개발 초기에 생산된 극히 일부의 SSD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운영체제 위에서 동작하고 있는 HMB를 채택하고 있어서 이 매핑 테이블이 시스템의 메인메모리에 저장됩니다.
    매핑테이블이 SSD의 DRAM에 있냐 호스트의 DRAM에 있냐 차이이기 때문에 사실상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램리스에 대한 편견은 아래 이유들에서 발생하는 듯 합니다
    -매핑테이블이 SRAM에 올라가있던 초기 양산 디램리스SSD들의 속도 문제
    -디램리스 SSD 생산 회사들의 원가절감으로 인한 전체적인 성능 저하
    SN550처럼 디램리스더라도 동급의 디램있는 SSD보다 속도 잘나오는 제품이 있습니다.

    • @mikaelj46762
      @mikaelj46762 Год назад +5

      맞습니다 일정 용량 이후 속도 떨어지는건 캐싱의 문제고 디램은 일반적으로 캐싱 용도로 사용되지 않죠. 디램 없이 잘 만들었으면서 저렴한 ssd를 선택하는 게 좋은 전략일 수가 있습니다.

    • @sprppr
      @sprppr Год назад +2

      근데 결국 HBM도 PCIe 인터페이스로 시스템 메모리를 끌어오는거라서 사타 ssd나 이런 usb로 연결하는 외장ssd는 사용 불가능한 기술인것 아닌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t7 속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건 인상적이긴 하네요

    • @WEFiowjgij
      @WEFiowjgij Год назад +1

      HBM 아니고 HMB

    • @WEFiowjgij
      @WEFiowjgij Год назад +1

      @@sprpprwd껀 뭔가 문제가 있어보이는.. 펌웨어 픽스로 해결해야하는 수준입니다. 아무리 디램리스지만 생짜 sram만 갖고 매핑 돌려도 저거 보단 잘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t7의 성능 안정성은 발열제어와 낸드테크의 기여가 큽니다.

  • @sho_ony
    @sho_ony Год назад +11

    D30 2TB 하나 가지고 있는데, 캐싱구간 지나면 저거 딱 두배 속도 나옵니다. (대충 200MB/s 언더) 첨엔 이게 맞나 싶어 여러번 돌려봤지만 마찬가지더라고요. 결국 T7 쉴드 사고 마음의 안정을 찾았네요.

  • @forenza87
    @forenza87 Год назад +1

    오예 영상 업로드!! 선추천 후감상 하겠습니다.🎉

  • @kinochris1
    @kinochris1 Год назад +14

    외장 포터블 SSD는 T5부터 해서 삼성이 아직은 최강입니다.
    비틀이 처음나왔을때 2230으로 만들어진거 보고 발열문제있겠다 싶었는데 역시나네요.
    삼성은 케이스 자체가 방열판이라면 나머지 두가지 제품은 방열판이 안에 있다지만 결국은 열이 밖으로 나갈방법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실분들은 굳이 T7쉴드가 아닌 T7사용하셔도 됩니다. T5에 비해 더 얇아지고 살짝 길어졌지만 더 작아졌더군요.
    문제는 역시 삼성은 가격이 비싸다정도..

    • @kinochris1
      @kinochris1 Год назад +6

      @@전리키 삼성이 더 작습니다. 일단 삼성제품은 케이스자체가 메탈성분에 그 자체가 방열판이 되고 X31처럼 인클루져 방식이 아닙니다. 2230이 열에 약한건 어쩔수 없지만 컨틀롤러부터 낸드까지 방열에 신경써넣고 겉케이스를 플라스틱으로 감싸버리는건 디자인만 생각한 최악의 수입니다.

  • @bioeast617
    @bioeast61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T5 사용해봤는데요. 데스크탑에 직접 읽고 쓰는 중간에 멈추는 현상 특히 아에 완전 반응이 없을때도 있어서 그후 부터 삼성 T시리즈 ssd 외장하드는 절대 사용안하고 있습니다.

  • @flessl8870
    @flessl8870 Год назад +47

    T5 여러개 쓰다가 T7도 쉴드도 하나 사서 쓰고 있는데 이거 참 신기한 제품입니다.
    저도 분명히 D램리스가 더티테스트에 영향을 준다고 알고 있었고 실제로도 그랬는데
    속도 안 떨어지는 게 참 신기합니다. 실제로 보면 모양도 예쁘고 실리콘 케이스 덕분에 애지중지 안 써도 되고 참 좋아요.
    외장 구하는 사람들 있으면 꼭 추천하는 편입니다.

    • @wideworld6080
      @wideworld6080 Год назад +2

      저는 카메라 저장용 장치로 쓸려고 2T 짜리 7개정도 구매 했는대 아주 만족 합니다

    • @Djejejwhw
      @Djejejwhw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진짜 ㅋㅋㅋ삼성 어나더레벨이네 이건 인정 핸드폰은 아이폰!

  • @이성민1391
    @이성민1391 Год назад +6

    t7쉴드가 되면서 발열관리가 좋아진거 같아요 그냥t7쓰다가x31로 넘어 왔는데 일반적인 파일복사정도로는 고만고만 합니다
    x31의 장점이라면 ssd교체가 된다는거 정도가 되겠네요

  • @user-ru2gp8ez2q
    @user-ru2gp8ez2q Год назад +5

    고민을 해결해주는 좋은 리뷰네요

  • @Den-hh1mk
    @Den-hh1mk Год назад +11

    T9 나왔을 때 찾아봤는데 T7에서 USB 컨트롤러만 바뀐 제품이라 그냥 T7 쓰는 게 낫겠더군요.

  • @제닉네임은끊기지않습
    @제닉네임은끊기지않습 Год назад +66

    저도 할인기간때 영상에 나와있는 3가지 SSD중 뭘 살지 고민 많이 했는데 T7 구매한걸 다행이라고 생각되네요. 이 영상이 조금만 더 일찍 나왔으면 고민없이 바로 샀을텐데 말이죠 ㅋㅋ
    처음에는 싸고, 디자인 좋고, 게이밍 이라고 WD D30 살려고 했는데 진짜 샀으면 큰일날뻔 했네요.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8

      WD D30은 안됩니다...ㅋㅋㅋㅋㅋ

  • @manseo_
    @manseo_ Год назад +7

    삼성꺼는 디램리스인데 끝까지 속도가 잘나오네요 이것이 기술력?ㄷㄷ

  • @정희원-n9e
    @정희원-n9e Год назад +8

    결론은 t7 쉴드가 젤 좋네요 근데 저거 지마켓에서 세일할때 8.6만원에 샀는데 다나와 상시가는 많이 올랐네요 ㄷㄷ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3

      요게 특가할 때는 엄청 떨어지는데 상시가가 좀 비싸긴 하더라구요

  • @박혁거세-o8y
    @박혁거세-o8y 4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이건 추천을 누를 수 밖에 없다! 감사합니다. 큰 도움 되었습니다.

  • @Dark-Nebula
    @Dark-Nebula Год назад +2

    9:02 날이 완전히 멈출때 까지 손을 가져다 대지 마세요

  • @loveisalllll
    @loveisalllll Год назад +31

    BMPCC같이 외장 SSD를 바로 꽂아서 12bit raw 녹화가 가능한 카메라도 있어서 수요는 계속 있을 것 같네요
    구성이 번잡스러워져서 그렇지 가격대비 용량+속도는 SD, CF랑 비교할 수 없으니까요
    가장 좋은건 그냥 카메라에 m.2 슬롯을 달아주면 좋을탠데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7

      요즘 웬만한 상급기들은 외장 SSD 녹화 다 지원하긴 하더라구요

    • @dhs1391
      @dhs1391 Год назад +3

      m.2 발열 감당이 될까요?

    • @WEFiowjgij
      @WEFiowjgij Год назад

      카메라에 m.2 슬롯이 왜 필요하죠? m.2 대역을 다 사용하려면 8K 영상 수백개 정도를 동시에 찍어야 gen3 수준 대역을 채울 수 있고, 그 두배 정도 돼야 gen4 대역 겨우 채워 쓸 수 있어요. 카메라 워크로드에는 말도 안돼는 오버스펙입니다.

    • @WEFiowjgij
      @WEFiowjgij Год назад

      윗분도 말씀하셨지만 그 워크로드 감당하려면 ssd도 그렇고 카메라 자체의 발열대책도 산으로 갑니다.

    • @최강재-y9c
      @최강재-y9c Год назад

      카메라 m.2는 태어나서 처음 듣는 얘기네요 ㅋㅋㅋㅋ 근데 내가 아는 그 카메라가 아니라 정말 전문적으로 몇 키로짜리 그 카메라를 얘기하시는거라면 이론적으로는 안 될건 없어보이는데 현실적으로 될런지..

  • @joohyokim
    @joohyokim Год назад +2

    이거보고 비틀샀습니다...일단 저는 휴대성때문에 비틀이 제일 눈에들어왔네요,,,속도는 그리신경안쓰는편이라....아이패드쿨링판도있으니 거기에 놓고 쿨링해야겠애요...

  • @goodgood5497
    @goodgood5497 Год назад

    차량 블박(센트리)모드용으로 알아보고 있었는데 구매하는데 참고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hachi8350
    @hachi8350 Год назад +16

    저는 그냥 970 Evo Plus 2TB에 ASUS TUF 외장 SSD 케이스 끼워서 쓰는데 밀스펙+방수방진도 지원하고 발열 해소도 잘 돼서 좋더라고요. 성능도 준수해서 만족하며 쓰고 있습니다. 가격도 그냥 1TB 외장 SSD보다 5만원정도 더 비싸게 맞춘거라 가성비도 괜찮더라고요.

    • @이동진-c9w
      @이동진-c9w Год назад +1

      케이스로 방수방진 지원이라니.. 이 글(독수리아님) 보고 검색하러 갑니다

    • @sndrc9
      @sndrc9 Год назад

      +간지남 ㅋㅋㅋ

    • @kenterky
      @kenterky Год назад +1

      1TB 외장 SSD 보다 5만원 정도 더 비싸게 맞추셨다고요..? 구성하신 SSD만해도 20만원인데..?

    • @Wallace9
      @Wallace9 Год назад

      @@kenterky970에보 특가로 10만원 초반에 자주 풀립니다.

    • @DryWine-p7q
      @DryWine-p7q Год назад +1

      @@kenterky2tb 10만원 초반이 요즘 국룰이었어요

  • @ponge77
    @ponge77 Год назад +1

    웬디는 전통적으로 외장하드가 손쉽게 열기 빡센 편이예요.
    양쪽 케이스가 고리처럼 맞물리게 디자인되있어서 잘 안열리고 힘으로 열다 플라스틱 고리부분이 망가지는 경우가 흔하죠.

  • @sanghwan_kim
    @sanghwan_kim Год назад +2

    T7 뭔가 든든하죠 ㅎㅎ 좋은 인클로저도 소개시켜주세용~

  • @sinsungzo
    @sinsungzo Год назад +6

    음.. 왜 디램이 차이가 없다고 전문가가 말하셨는지 잘 이해가 안되네요 리뷰하다보면 디램 제품이 대부분 저렇게 더티테스트에서 속도 박살나던데 (테크파워업 SSD 리뷰도 대부분 그렇게 나옴) 여튼 재미있게 봤씀돠!!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라인더까지 이용한 노력 잘봤어요 (짐작을 하자면 컨트롤러나 낸드 품질도 같이 떨어져서 그런게 아닌가 싶은데 요즘 디램 대부분 매핑 기능이긴한데.. HBM 쓰는애들보다는 그래도 디램있는 애들이 대체적으로 케싱 끝날때 잘버티더라구요)

    • @WEFiowjgij
      @WEFiowjgij Год назад

      포터블같이 쿨링capa가 제한적인 환경에서는 디램 유무보다는 전체적인 발열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져서 그렇게 말씀하신듯 합니다. 예를들어 x31은 아마 p31같은 기존 제품을 수정하고 usb브릿지를 붙인거 같은데 이러면 t7같이 포터블을 목적으로 아예 pcb단계에서 온보드 패키징 형태로 설계한 제품보다 발열에서 불리합니다. 그래서 x31은 추가로 뭘 붙인거로 보이네요. t7도 x31도 아마 원래 컨트롤러 max성능에서 어느정도 컷다운 했을겁니다.
      포터블ssd는 1st챌린지가 발열입니다.

    • @sjpark-nw7sr
      @sjpark-nw7sr Год назад +1

      전에 잇섭 영상 댓글로 Beetle X31 설계/개발자가 직접 작성한 글이 있어요. X31이 손안에 쥘 수 있는 사이즈라 동작중일때 어린아이가 모르고 만져서 약한 화상이라도 입는 상황을 막겠다는 의지로 쓰로틀링 온도를 일부러 타이트하게 설정한거라고..
      아마도 USB나 외장하드, 외장SSD의 경우 장시간 연결해 놓고 사용하다 갑자기 분리할때 생각보다 뜨거운 경험을 하잖아요. 때문에 표면 온도를 48'C 이하로 설정해놔서 그 이상 온도가 높아지면 강제로 쓰로틀링에 걸리게 설계한 것 같네요

  • @Johnassu
    @Johnassu Год назад +3

    잘 봤습니다. 영상 레코딩 용으로 고려중인데 고용량 코덱 녹화 속도인 초당 200MB/s 정도로 고정해두고 컨트롤러에서 전력소모를 얼마나 많이 먹는지가 궁금하더군요.
    듣자하니 컨트롤러도 CPU처럼 ARM 코어를 쓰고 TSMC나 삼성 반도체 공정으로 만들어진다고 하던데... 최신 공정에 최신 아키텍쳐를 쓴 컨트롤러일수록 전력소모가 얼마나 낮아질지 궁금해 집니다...
    영상보니 WD는 컨트롤러에 돈을 상당히 아끼는것 같네요. 삼성은 디램리스인데도 속도가 잘 나오는거 보니 컨트롤러가 낸드 쓰기 병목을 최소화하는 똑똑한 녀석인가 봅니다.

  • @Shineyongs.
    @Shineyongs. Год назад +2

    마지막 WD 외장 SSD 분해를 위해 글라인더로 갈아 버리다니!!!

  • @설류-i6q
    @설류-i6q Год назад

    오,,, 역시 뻘짓님 그라인더로 직접 잘라서 리뷰해주시기까지!!!
    외장 SSD사려면 어떤거 사야되나 고민 많았었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정말 감사합니다!!!😊

  • @Ryeong..
    @Ryeong.. Год назад +8

    이런 SSD 인클로저를 포함해서 시중의 SD카드 리더기, SSD인클로저 비교 리뷰도 재밌을거 같아요.

  • @marksmithcollins
    @marksmithcollins Год назад +2

    8:28 저거 7200RPM HDD 모델인 GameDrive D10도 저기에서 크기만 키운 형태인데
    적출할 때 렌치고정과 플라스틱 이빨을 같이쓰고 있어서 까다롭긴 하더라구요

  • @낭맹글
    @낭맹글 Год назад +1

    T7 산게 정말 다행이네요. 추천 꾸욱~!

  • @user-hogisim
    @user-hogisim Год назад

    이번에도 진정한 뻘짓 잘 봤습니다. 그라인더까지 동원하다니. 다음 번에는 Crucial X9, 10 시리즈, Sandisk Extreme, Pro 시리즈, WD My Passport도 시도해 보시면 재미있을 듯 합니다.

  • @cbeomc
    @cbeomc Год назад +2

    와... 정말 많은 도움이되었습니다.
    그럼 본체가 메인보드에 c타입 포트가 하나있는게 10Gbps 더라구요....
    집에있는 읽기 쓰기 속도가 4800인 2280 ssd 하나를 케이스 사서 쓰려고했는데 컴퓨터에 연결하면 어차피
    속도가 1000 안으로밖에 안나오는건가요?? ㅠㅠㅠㅠ 좋은걸 살필요가없는거네요..?

  • @ing-mon
    @ing-mon Год назад +22

    디램리스인데도 안떨어지는거 첨보는거같은데 신기하네요
    확실히 메모리쪽은 믿고쓰는 삼성이군요

  • @SuspiciousFolder
    @SuspiciousFolder Год назад +8

    SSD리뷰에 그라인더는 혁신적이군요!

  • @gogo11pro
    @gogo11pro Год назад +1

    좋은 정보네요..역시 삼성

  • @yoonopt
    @yoonopt Год назад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preserde
    @preserd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024.03 시점으로 ssd 가격이 올라가버리면서 매력은 떨어졌지만, 작년 말쯤 한참 ssd대란 있을때는 2tb 2280 하나 사서 적당한 인클로저에 넣으면 정말 고성능 초저가 디램있으 외장하드가 되는 거였죠. 크기 문제는 있는데 영상의 wd만한 사이즈 생각하면... 얇고 긴것도 나쁘진 않을거 같아요.

  • @IREN4E
    @IREN4E Год назад

    외장 ssd 사고 싶지만 아직 하드 보다는 흠...
    3:31 예전 삼성 노트북에 부팅전용 8기가 짜리 pSSD라고 있는데 그거 비슷하군요
    5:29 콘트롤러에 DRAM 넣었을지도...?

  • @안민우-e4x
    @안민우-e4x Год назад

    8:25 이 형은 제품 사(?)기를 당해도, 황당한 상황을 맞아도 그냥 웃어버리는 게 너무 웃겨ㅋㅋㅋㅋㅋㅋㅋ

  • @startbeekeepingfromzero
    @startbeekeepingfromzero Год назад +11

    형아. 갑자기 저 동봉 된 c타입 선 전송 속도가 궁금한데, 이거 포함해서 다이소에서 구할 수 있는 선들이랑, 각종 물품에 들어가는 번들 선들이 단순히 c to c인지, pd급 전송 속도인지, 썬더볼트 급인지 알아보는 영상도 만들어주면 엄청 재밌고 유용하게 볼 것 같음. "해줘"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16

      아마 딱 규격에 맞춰서 해놓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 ㅋㅋㅋ
      다이소 터는 컨텐츠 요즘 많이들 하던데 함 해볼까...

    • @kimkimtube0000
      @kimkimtube0000 Год назад

      다이소 거 함 가보입시더

  • @whitecoffee0310
    @whitecoffee031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T7 4테라 1년째 쓰고 있는데... 아직까진 단점을 크게 발견 못했고 여전히 믿고 잘 쓰고 있습니다~
    500GB 이상 대용량 옮길땐 열이 조금 있어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속도 저하) 미니 선풍기 바람 불어주고 있어요~
    영상 잘 보고 갑니다~~^^ T7 선택하길 참 잘한거 같애요 ㅎㅎ

  • @qwe005017
    @qwe005017 Год назад +1

    t7살지 x31살지 고민하다 t7샀는데 잘되었네요

  • @minmin-MIN
    @minmin-MIN Год назад +1

    ㅋㅋㅋ 외장하드 반갈죽 대똥꼬쑈!! ㅋㅋㅋㅋ
    이런거 하는 도레미친 유튜버 형밖에 없을듯 ㅋㅋ

  • @라피-d6o
    @라피-d6o Год назад +1

    궁금한게 있습니다 삼성t7쉴드 디램리스인데 읽기쓰기 왜 잘나오는거에요? 삼성t7도 디램리스인데 t7은 읽기쓰기 속도가 많이 떨어지더라고요

  • @주연테크컴퓨터철산점
    @주연테크컴퓨터철산점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러쟎아도 삼성 sk 둘중에 1테라 어느거를 살까 고민했는데 고민 해결되어 감사합니다 분해까지 해서 내부를 보니 더 좋았습니다 감 사 감사 합니다 잘 봤어요

  • @Art_orias
    @Art_orias Год назад +1

    이런 완제품? 외장 ssd를 쓰는 것과 m.2 ssd를 끼워서 사용 가능한 ssd 케이스에 따로 구매한 ssd를 장착해 사용하는 것에 차이가 있나요? 최근 rog strix arion을 주문하게 되어서 차이가 어떨지 궁금하네요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1

      검증된 제품이라면 큰 차이는 없긴합니당.
      M.2 SSD를 끼우는 외장 인클로저의 경우 오래 사용하면 인식이 안되거나 인식하는데 오래걸리거나 하는 현상이 있긴 하더군용.

  • @김뽀기-u9j
    @김뽀기-u9j Год назад +1

    트랜센드나 샌디스크 제품도 어떤지 궁금해지네요.

  • @발리왕
    @발리왕 Год назад +1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e81 2테라쓰다가 요번에 뉴스에 데이터 손실문제 떠서 바꿔야하나 하다 t7 실드 핫딜로 4tb 25.9에 구매했는데 구매하길 잘했네요 지금도 너무 잘쓰고있습니다.

  • @liliiliililililil
    @liliiliililililil Год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뻘짓님 정말 평소에 궁금했던게 있어서 질문드려요. 저런 완제품 외장 ssd와 PC에서 사용하는 m.2 ssd에 인클로져를 사용한 조합 중 어느것이 가격이나 속도 범용성에 최적화 된 지 알 수 있을까요? 영상으로 한번 다뤄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5

      전 완제품을 더 추천드립니다.
      M.2 인클로저는 컨트롤러와 SSD의 조합을 은근히 타요.

  • @seimi_ark
    @seimi_ar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단자파손까지 고려한다면 하이닉스 제품이 가장 맘에 드네요

  • @sunyoungkim1312
    @sunyoungkim1312 Год назад

    외장 뿐만 아니라 내장 NVMe의 온도 센서(crystal disk info에서 보여주는 정보)와 실측 온도(온도계)가 같은지 측정하면 어떨까요? 실제로 사용하다보면 몇몇 NVMe는 만져보면 분명히 뜨거운데 crystal disk info에서는 낮게 나오는 것 같은 느낌이 있더라구요.

  • @우와우-z3i
    @우와우-z3i Год назад

    굿굿 좋은정보였음

  • @botaze7200
    @botaze7200 Год назад +1

    X31에 있던 ssd를 D30에 넣어서 한번 성능 테스트 해보는건 어떤가요?

  • @푸른하늘의향연
    @푸른하늘의향연 Год назад +1

    뻘짓님, 이영상을보고 SK하이닉스꺼 말고 외장SSD. T7실드를 하나 구매하고싶어졋습니다.
    저는 4TB 용량이 필요한대 용량이 커도 더티테스트 속도저하는 영상처럼 나올까요?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1

      4TB짜리는 모르겠는데, 2TB까지는 영상과 동일합니다.
      아마 4TB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아요.

  • @ino_cat
    @ino_cat Год назад

    5:45 여기 비어보이는 공간에 밀씀하신 512 두개 더 납땜해서 붙이면 2테라 되나요?ㅋㅋ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컨트롤러에 매핑해줘야 제대로 작동하겠지만
      기본적으론 맞습니다!

    • @ino_cat
      @ino_cat Год назад

      @@BullsLab 허미 답변감사합니다😀

  • @cecilyi4802
    @cecilyi4802 Год назад

    이번 지스타때 뵈서 무척 반가웠습니다 ㅎㅎ 키크고 모게임사 스텝으로 참여했다가 뵜엏구요 쿠폰드린 사람입니다 항상좋은컨텐츠 감사드리며 더 좋은컨텐츠 부탁드릴께요 감사합니다 ㅎㅎ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1

      아! 알아봐주셔서 감사했습니다 ㅎㅎ
      저야말로 반가웠습니다~

  • @레몬레몬-b8x
    @레몬레몬-b8x Год назад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실제로 x31 사용중인데
    발열문제로 사용중 시간지나면 속도가 확 떨어집니다
    혹시 어떻게 쿨링하셨는지 알수있을까요?
    저는 옆에서 선풍기 틀고했는데도
    발열해결을 못했어요 ㅜㅜ
    디자인 이뻐서 샀는데
    실질적으로 사용할때 성능이 아쉽더라구요
    잠깐 잠깐 쓴다면 문제없겠지만
    대용량 복사시 확실히 느려집니다ㅜㅜ

  • @센스일급
    @센스일급 Год назад

    형 항상 잘 보고 있어~
    형 근데 점점 얼굴 더 커져 ㅎ 벌크업 중인거 아니죠 ? ㅎ

  • @멋진빈
    @멋진빈 Год назад +2

    낸드 최고 기술력이 삼성이라 ssd 믿고 샀는데 디자인도 예쁘고 작고 편리해서 마음에 들었음. 근데 저장해 놓았던 폴더가 통채로 날라감. 포맷도 해봤는데 한번씩 폴더가 감쪽같이 없어져서 중요한 파일은 외장하드에 저장안함. 내가 산것만 그런건지 원래 가끔 그런건지 몰라도 실망했음. 다음에 살때는 삼성꺼 못살거 같음.

  • @아냐의스즈메단속
    @아냐의스즈메단속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상보고 T7쉴드 질렀습니다. 도움 많이 됐어요. 더티 테스트 프로그램은 어디서 받아야 할까요?

    • @BullsLab
      @BullsLa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래온 더티 테스트 검색하시면 됩니다

  • @james4107
    @james4107 Год назад

    모 유튜버가 예전에 추천해서 금풍뎅이 쓰는데 안좋은물건 속아서 잘못산건가요 ㅠㅠ 속이 쓰리네요...

  • @4D-HUMAN
    @4D-HUMAN 4 месяца назад

    DRAM 유무가 더티 테스트에 크게 관련이 없는 이유
    예전에는 SLC 캐싱을 사용했지만, HMB가 NVMe 1.2부터 도입되어서 시스템 메모리를 버퍼로 사용함.
    고성능 모델에는 HMB가 지원되는걸 볼수가 있으며,
    낸드플래시 메모리가 빠른 모델은 SLC 캐싱으로 빠른 공간을 사용하다보니 예전보다는 빨라짐.
    컨트롤러 성능도 좋아져야 하고, 낸드플래시도 빨라져야 하는데, 거기에다 시스템 RAM도 사용해 버리니 DRAM에 너무 연연할 필요가 없음.
    단, SATA 방식의 4TB급 8TB급은 고용량 DRAM이 달려 있는데 D램 구간에서 속도는 SATA의 대역폭을 몇배 넘는 속도가 나옴.

  • @OMG_electronics
    @OMG_electronics Год назад +1

    그라인더 얼마인가요 ㅋㅋㅋㅋ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SSD보다 그라인더가 더 비쌌습니다?

    • @garamhwi_
      @garamhwi_ Год назад

      캬 오목교도 챙겨보는 뻘짓

  • @haksoon5
    @haksoon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핸드폰 분해도구세트 알리에서 만원도 안하는데....세트사시죠....

  • @민진-r1e
    @민진-r1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T7. Shield. 1TB. 2TB. 4TB. 성능비교한번 해주시면 어떨까요 . 저는 2TB. 국산정발로 바가지로 비싸게 샀어요 중요자료 넣는거라. 병행수입품사도 차이없는지도 한번 비교안되나요?진짜같은건지 나쁜건지 구분이 안가네요 병행수입이 20%정도 싸서요. 사도되는건지 걸러야하는건지

  • @user-6gfgyhgf
    @user-6gfgyhgf Год назад +1

    마이크론도 넣어줬으면 좋았을텐데 평가가 너무 안좋아서 빼셨나요?

    • @갈색여우-f2m
      @갈색여우-f2m Год назад +1

      마이크론은 거론할 여지가 없죠 캐싱구간 지나면 속도 50~60 나옵니다 요즘 hdd도 꾸준히 220은 나오는데..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2

      마이크론은 쓸만한 제품 없습니다ㅠ

  • @Myulma312
    @Myulma312 Год назад +1

    분명 얼마전까지 t7 쉴드 1테라가 8만 후반, 9만 초반이었는데 국내 매물 문제인지 정가밖에 안보이네요

  • @skyyeon
    @skyyeon Год назад

    트랜센드 ESD310은 어떠한가요? 엄청작단데 속도도 궁금해요! 국내리뷰가 없어요ㅜㅜ

  • @HEAVEN.ANGEL1004
    @HEAVEN.ANGEL1004 Год назад

    오.. 재미있는 실험이고 이런 건 조회수가 높을 것 같네요.

  • @꿈의나라-p8v
    @꿈의나라-p8v Год назад +1

    Wd black이래서 sn730 750x 이런거 넣어줄줄 알았는데 블루라인 550이라니...

  • @minchan5516
    @minchan5516 4 месяца назад

    T9 고민했는데 바로 t7으로 선회!!! 감사합니다

  • @Tirelake
    @Tirelake Год назад +1

    같은 DRAMless인데 삼성꺼는 속도저하 없고 MD는 있고 신기하네요.

  • @winter_starlight
    @winter_starlight Год назад

    하닉 X31에 들어간 BC711... 저거 제 노트북에도 달려있는건데 노트북에 들어가는 제품은 M.2 2280 규격이라 SSD 전체의 3/4 정도가 텅 비어있더라구요 ㅋㅋㅋㅋㅋ

  • @dhl9656
    @dhl9656 Год назад +1

    삼성 T 시리즈 아이패드랑 같이 사용 가능한가요?

  • @kimpkp5094
    @kimpkp5094 Год назад

    파일 여러개를 동시에 읽기나 쓰기 헀을때 d램 유무에 따라 속도 차이가 달라집니다.

  • @or711004
    @or71100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형 sharge 케이스에 WD SN740 넣어서 쓰려구 알리 주문했는데.. 그냥 T7사는게 좋은걸까??

  • @Heemang-ryeong
    @Heemang-ryeong Год назад

    3:45 나중에 내가 또 참고할것

  • @adamrub
    @adamrub Год назад

    잘봤습니다....
    감기 인가요?? 목소리가 갔는데용...

  • @카로닌
    @카로닌 Год назад

    인트로에 그라인더만 봐도 가슴이 웅장해지는 영상

  • @개미와그물
    @개미와그물 Год назад

    제 기억으로는 낸드 플래시들이 전자가 들어가있냐 안들어가 있냐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건 hdd같은 물리적인 하드와 달리 반영구적이지가 않고 몇년동안 사용하지 않거나 하면 데이터가 지워진다고 알고있는데 이건 해결되었나요?? 데이터보관이 정말 중요한 기능중 하나라 생각하는데 그 보관기간이 한정적이라면 ssd를 사는게 많이 꺼려질것 같습니다... 요즘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 @jaggogji
      @jaggogji Год назад

      HDD는 반영구적인가요?

    • @kim100soo
      @kim100soo Год назад +1

      장기보관은 아직 까지도 HDD가 유리합니다
      이런 외장 SSD 사용하는것은 데이터 이동이 잦은 분들에게 유리합니다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그 연구 결과에서 말하기로는 2년이라곤 하는데,
      2년에 한번도 컴퓨터에 장착하지 않을거면
      외장 SSD 의미가 크게 없긴하죠.

  • @폴쉐911-v6b
    @폴쉐911-v6b Год назад

    근데 궁근한데.. 외장하드랑 다르개 ssd는 시간이 지나면 데이터가 날아갈 확률이 더 크지않나요?...
    이론상 그렇다고 본거수같은데..

  • @Tirelake
    @Tirelake Год назад

    웬디 제품은 엄청 커서 내부에 빵빵한 히트싱크 방열판 들어있을 줄 알았는데 아니네요. ㅋㅋ 과대포장

  • @이철욱-f4s
    @이철욱-f4s Год назад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 남김니다. 알리에 보면 삼성이랑 비슷한디자인에 990PRO, 1080PRO 4T 가 4만원에 나오던데 이거 뭔가요?

  • @ABC-lg6ph
    @ABC-lg6p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t7 2t에서 4t쓰고 있는데 아주 만족입니다

  • @oldman_kim
    @oldman_kim Год назад

    마지막제품의경우 아마 본딩처리되지않았나싶기도하네요. 구조상으론 저렇게안열릴거같진않은데

  • @DaddyBrownbr
    @DaddyBrownbr Год назад

    9:33 WD는 열설계가 개판이로군요. 발열부가 내부 금속체에 연동된건 좋은데, 그게 케이스 표면까지 열적으로 연결이 되어야 방열이 되는데, 케이스는 부도체인 플래스틱으로 싸여있으니 열이 퍼지긴 하되 배출되는것이 매우 불량하네요. 왜 그렇게 멍청하게 설계 했을까요?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아마 패밀리 디자인 때문이 아닐까 싶긴한데 아쉽긴 하죠 ㅎㅎ

    • @metacats2017
      @metacats2017 Год назад

      IT기업들이 기계공학을 등한시하는 경향이 많이 보입니다....개발자가 열전달을 배운건가 하는 의문이....

  • @대마왕-p7u
    @대마왕-p7u Год назад

    WD 3테라짜리 5년전에 샀고 1년에 한번 핸드폰 사진 백업 하는데 오늘 사망 하셨네요..
    실사용횟수 10회도 안됐고 항상 안전하게 제거로 애지중지 썼는데 고장이라니...
    새로 사려고 검색하다가 이거봤는데 삼성꺼 사야겠네요..

  • @jennachoe6002
    @jennachoe6002 Год назад

    혹시 SSD는 충전을 하고 쓰는건가요?
    아니면 충전안해도 사용할수 있는건가요?

    • @bada9894
      @bada989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충전해서 쓰는 방식이 아닙니다.

  • @MKL2328
    @MKL2328 Год назад +3

    괜히 삼성이 아니네여

  • @AHMAD-fx5su
    @AHMAD-fx5su Год назад

    Ssd 사려햇는데 영상올라왓네 ㅎㅎ

  • @frontpaw
    @frontpaw Год назад

    비틀 저거 외부 케이스까지 열전도 되게 하면 좀 성능 개선이 있을가요?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발열 때문에 스로틀링이 생기니 좀 더 나을 것 같긴한데
      굳이라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ㅋㅋㅋ

  • @protectkorea1004
    @protectkorea1004 Год назад

    선생님 할인은 만약 하게되면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삼성제품이 탐나는데 ...

  • @도햄-n5c
    @도햄-n5c Год назад

    샌디스크꺼는 별로인가요?

  • @qqueqque-ptrn
    @qqueqque-ptrn Год назад +1

    t7이랑 t7실드랑 스펙은 똑같나용?

    • @BullsLab
      @BullsLab  Год назад +2

      똑같은데 그냥 T7은 방열 처리가 아쉬워서 지속 쓰기시(더티테스트)
      속도 하락이 발생합니다. T7 실드가 방열 처리까지 추가해서 나온거에요.

    • @qqueqque-ptrn
      @qqueqque-ptrn Год назад

      @@BullsLab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오태호-m9d
    @오태호-m9d Год назад

    혹시 게임용으로 이용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 @비케이
    @비케이 Год назад +1

    WD 저거 외장하드 케이스 축소판이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