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학 12강] 시간의 기원: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1)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이랑-b8u
    @이랑-b8u Год назад +1

    교수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아주 쉽고 명료하게 설명해주셔서
    이해하기가 수월해요. 감사합니다~

  • @태양처럼-b9p
    @태양처럼-b9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관적 시간 : 20대 사람에게 시간은 20킬로, 50대는 50킬로로, 70대는 시간이 70킬로로 느껴진다고 하니, 확실히 주관적 시간이 더 중요하네요.

  • @남샘-h4g
    @남샘-h4g Год назад

    칸트를 배우면서 늘 고민하던 시간에 대해서 생각하기에 너무 좋은 강의였습니다. 내적시간은 객관적시간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늘 고민 되었지만 너무 어려운 주제였던 것 같습니다. 벌을 받으면서 5분과 즐겁게 놀면서 5분은 객관적으로는 같지만 우리가 받아들이는 주간적시간은 "같다"라고 애기하기 애매합니다. 여기에는 내적시간의 의식(절대적시간)의 관여로 인한 걸까요? 객관적시간과 주관적시간이 서로 다르다고 하지만 주관적 시간이 객관적시간을 쫓아가지 않으면(닮으려 하는 듯) 인간사이에 관계성이 만들어 질까요? 약속시간을 예로 들면 2시에 만나자라는 시간은 너와 나의 약속에 의해서 시간이 정해집니다. 여기서 객관적시간과 주관적시간의 관계를 절대적 시간인 의식이 통합하는건지? 정말 이 통합이라는 말이 싫지만 (흄도 기뻐하는 나, 슬퍼하는 나, 즐거워하는 나,화난 나 등등 이런 나는 알지만 이를 하나로 통합된 나는 모르겠다고 말하지 않았나요?) 통합하려는 나의 모습을 보면 여기에서 왜곡이 오는 것 같은데 이를 명확하게 말하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이런 인간의 통합성을 뭐라고 해야 하는지 어디서 찾아야 할지 정말 고민 됩니다. 하지만 이런 고민과 호기심이 철학의 매력인 것 같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교수님의 강의는 늘 자유로운 사고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시는 것 같습니다. 건강조심하시고 늘 좋은 생각 여행을 할 수 있는 강의 부탁드려요. 화팅!

  • @yuuou7542
    @yuuou7542 Год назад

    너무 감사합니다

  • @01D100
    @01D100 Год назад

    교수님, 귀중한 강의 올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질문드리고 싶은 게 있습니다. 1,2, 3강은 이 채널에서 보이지 않는데 어디서 시청할 수 있는지요. 또 이번 강의는 몇 강이 완강인지도 궁금합니다. 다시 한 번 귀중한 강의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se-gweonan5722
      @se-gweonan5722  Год назад

      이 현상학 강의는 모두 28편의 영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나머지 영상이 필요하신 분은 ansegweon@gmail.com으로 연락 주시면 전편의 동영상 링크를 보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