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젖당 오페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7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30

  • @angnyamnyam
    @angnyamnyam 3 месяца назад

    정말 설명을 잘해주십니다 ☺☺

  • @심복희-h2g
    @심복희-h2g 5 лет назад +1

    좋은 강의 감사합니당

    • @seoks
      @seoks  5 лет назад

      도움이 되어서 좋네요~

  • @sunghohong663
    @sunghohong663 8 лет назад +1

    정리 고맙습니다! 잘 봤어요

    • @seoks
      @seoks  8 лет назад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현-e8c8x
    @현-e8c8x 3 года назад

    이해가 정말 잘되네요!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멩이돌-x6e
    @멩이돌-x6e 5 лет назад +1

    선생님...대학교에서 환경생물공학 강의를 듣다가 헷갈려서 유튜브로 와서 검색했는데 너무 반가운 이름이 계셔서 놀랐어요!!! 선생님 전근 가시기 전에 아주 잠깐 수업 들었던 강여고 학생입니다 ㅎㅎ 감사합니당

    • @seoks
      @seoks  5 лет назад

      와우~~ 어찌 인연이~~ ㅎㅎ 제자 애들이 또 들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수업을 더 열심히 해봐야겠네~ ㅎㅎ 반가워~

    • @No._1-p6e
      @No._1-p6e 4 года назад

      저는 생명공학과 졸업생인데 유연찮게 들어왔다가 댓글보고 ㅋㅋㅋㅋ 저도 강여고 출신입니다 2010년에요..... 제가 아는 강여고 맞겠죠 ㅋㅋ

  • @김현경-t9p
    @김현경-t9p 5 лет назад

    mRNA가 갑자기 왜 나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

    • @seoks
      @seoks  5 лет назад

      관심 가지고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정확히 어떤 부분의 mRNA가 나오는 부분이 이해가 안될까요? 말씀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안에서 답변 드릴께요~ ^^

    • @김현경-t9p
      @김현경-t9p 5 лет назад

      카리스석스의 생물이야기 조절 유전자 밑에 mRNA가 나온다고 화살표 되어있는 부분이요!

    • @seoks
      @seoks  5 лет назад +1

      @@김현경-t9p 조절 유전자가 어떤 역할을 하려면 조절 단백질이 만들어져야 합니다. 조절 기능을 하는 단백질이라는 물질이 실질적인 기능을 하는 것이죠. 유전자는 이 물질을 만들기 위한 설계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단백질을 만드는 곳은 리보솜이라는 세포소기관이고 이 리보솜이라는 공장은 DNA로 쓰여진 설계도를 읽어내지 못합니다. DNA의 복사본인 RNA로 쓰여진 설계도만 읽어서 제품으로 만드는 곳이죠. 그래서 DNA의 정보를 RNA로 바꾸고 그 RNA 정보가 리보솜에 가면 기능을 하는 단백질로 바뀌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림에서 mRNA가 표시된 것입니다. 더 자세한 설명이 궁금하다면 형질발현을 검색해서 들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 @김현경-t9p
      @김현경-t9p 5 лет назад

      카리스석스의 생물이야기 넵 감사합니다~~

  • @unisyaa2826
    @unisyaa2826 5 лет назад +1

    와 명강의

    • @seoks
      @seoks  5 лет назад

      좋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 @나은랩
    @나은랩 4 года назад +1

    구조유전자들이 발현되면 엿당을 다 포도당으로 바꿔서 첫 번째 상황으로 만드는 것인가요? 그렇게 조절된다면 세 가지 효소말고 다른 효소들의 발현도 함께 조절해야 의미있을 것 같은데... 오페론 뒤에 다른 서열이 더 있는 것인가요?

    • @seoks
      @seoks  4 года назад

      요즘 정신 없이 바쁘게 보내는 관계로 답글이 많이 늦었네요. 일단 앞에 보이는 것부터 시간 되는 대로 답을 드릴께요. 락오페론의 경우에 젖당 분해를 시작하는 것에서 에너지 획득이 시작됩니다. 그러니 외부에서 젖당을 세포 내부로 끌어들리이고 젖당을 분해하는 과정의 조절이 하나의 세트로 묶여 있습니다. 그 이외에 젖당이 분해된 이후 나오는 포도당을 가지고 양을 조절하거나 하는 것들은 다른 방식으로 조절이 됩니다. 생각보다 환경 변화에 대처하는 것이 단순하게 작용되지는 않고 순간 순간 조절점 들이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락 오페론은 매우 작은 하나의 조절 스위치를 보여 주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걸 가르치는 이유는 이 조절 스위치에 대한 그 어떤 뷰도 없던 시기에 물질들을 가지고 유전자의 발현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에 대한 모델을 제시한 점이 큰 것이죠. 이 뷰가 공개된 이후에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여하는 다양한 물질들을 찾고자 노력한 것이고요~ 그래서 중요하게 다루는 것입니다. 물론 진핵은 이런 오페론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도 않아요. 하지만 이 아이디어를 학생들에게 배우게 하는 것이 유전자 발현 조절 메카니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지요~ 궁금한 것에 비해 쓸데 없는 소리가 많았네요. 이해 안되면 다시 글 남겨 주세요~ ㅎㅎ

    • @나은랩
      @나은랩 4 года назад

      @@seoks 필요에 따라 젖당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하는 게 오페론이라는 하나의 세트인거네요... 오페론 끝까지 오면(세번째 효소) 전사가 종결되는 건가요?

  • @lindalee8568
    @lindalee8568 6 лет назад +1

    정리너ㅓㅓ무감사합니다!!ㅎ

    • @seoks
      @seoks  6 лет назад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최재훈-g2k
    @최재훈-g2k 3 года назад

    대장균이 젖당을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분해하고서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쓰는것인가요?? 갈락토스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수있나요?

  • @dorsia-i3w
    @dorsia-i3w 8 лет назад +3

    젖당은 포도당 갈락토오스로 분해되는거아닌가여

    • @seoks
      @seoks  8 лет назад

      맞아요~ 어떤 부분 때문에 그러신가요?

    • @dorsia-i3w
      @dorsia-i3w 8 лет назад

      Hang seok Choi 5분30초 설명이요

    • @seoks
      @seoks  8 лет назад

      앗.. 포도당 갈락토스가 맞아요.. 제가 칠판을 잘못 썼네요~ 감사합니다!! 포포는 엿당 입니다.. ^^ 다음에 업그레이드 버전 찍을때는 참고할께요~

    • @ddtt3555
      @ddtt3555 3 года назад

      히히 저도 이상하다 싶은데 피드백이 되어있었군요 석쌤 저 공무원시험 13일 남았는데 요파트 이해가 안되서 들어와써용 저 합격할 수 있다고 해주세요!!

  • @S2o1
    @S2o1 6 лет назад

    조절단백질에는 유전자 활성화 단백질과 억제 단백질이 있는데, 조절유전자는 조절단백질 중 억제단백질만 만드는 건가요?? 그럼 유전자활성화단백질은 어떤유전자가 만드는건가요??

    • @seoks
      @seoks  6 лет назад

      조절 유전자는 억제 단백질과 활성 단백질을 만들면 다 조절 유전자라고 합니다. 즉 조절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통칭해서 그렇게 부르게 됩니다. 각각의 유전자 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이 되게 됩니다. 어떤 경우에는 억제 단백질로.. 어떤 경우에는 활성화 단백질로.. 어떤 경우에는 둘 다 만들기도 하고.. 그렇기 때문에 모든 경우를 통칭해서 설명하긴 어렵습니다. 그래서 대표적으로 젖당 오페론과 트립토판 오페론을 배우게 되는 것입니다. 젖당 오페론의 경우 조절 유전자는 억제 물질을 생산하게 되고 억제 물질은 작동유전자와의 결합력이 큽니다. 그래서 억제 물질 만으로 억제가 가능하게 됩니다. 그러나 트립토판 오페론의 경우 조절 유전자에서 만들어지는 억제 물질은 활성이 낮아 결합하지 못하고 있다가 트립토판이 억제 물질과 결합해야지만 활성화 되어 작동 유전자에 결합하게 됩니다. 이 부분은 원핵생물의 경우에 해당되게 되고 이 유전자의 조절에는 활성화 단백질이 관여하진 않습니다. 그러나 진핵생물의 경우 다양한 인핸서와 사일렌서가 관여하는 작용들이 많습니다. 정리하면 유전자의 활성은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서 하나로 딱 떨어지게 정리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조절에 관여하면 다 조절 유전자라고 통칭하긴 하므로 유전자 활성화 단백질도 조절 유전자가 만든다고 해도 되겠죠?
      세부적인 수준으로 들어가면 하나하나의 용어로 나누어서 세부적으로 정리합니다. 질문하신 분이 어느 정도의 깊이를 원하는지. 그리고 지금 어떤 수준에서 질문하시는지가 명확하지 않아 뚜렷하게 말씀드리지 못하는점 죄송합니다. ^^ 더 세부적인 것들이 궁금하면 연락주세요~

    • @나은랩
      @나은랩 4 года назад

      @@seoks 트립토판 오페론 강의도 해주세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