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호리액터 접지방식은 1선이 지락되어도 계속 송전이 가능하도록 지락전류를 억제하는 방식입니다. 억제를 하는 원리는 변압기의 중성점을 리액터로 연결하여 송전선로의 대지 정전용량과 병렬공진 시키는 것입니다. 즉 소호리액터 방식에서 변압기의 중성점을 리액터로 접지하는 이유는 병렬공진이 이유가 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송전방식은 3상3선식이며 그 결선방식은 Y결선입니다. Y결선의 이유는 중성점을 접지 하기 위함입니다.
댓글을 보지 못했습니다. 미안합니다. 먼저 과보상이라는 의미는 합조도를 0보다 크게 하라는 의미입니다. 즉 다음 조건(wL1/3wC)단선등으로 C값이 작아져서 wL=1/3wC가 된다면 직렬공진이 발생하고, 중성점 잔류전압등으로 인해(중성점 잔류전압은 늘상 존재합니다) 큰 전류가 리액터로 흐르게 됩니다. 이럴 경우 리액터가 소손되기 때문에 어떠한 경우에도 부족보상하면 안된다는 얘기입니다. 글로 설명하기 쉽지 않은 내용입니다만, 이해가 되셨기를 바랍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이제는 없어진 기술인데 왜 시험에 나올까요. 그리고 기술사님 말씀처럼 몇년도 이후로 없어진 기술이다 이유는 무엇이다 이런 부연설명이 있으면 좋을텐데 싶으네요.
강의력이 정말 좋으십니다!
여러분들의 관심으로 더욱 좋은 강의가 되도록 노력중입니다. 공부하시다가 같이 토론하고싶은 내용이 있으면 언제든 메일주세요.
기술사님 3상 4선식이면 1선 완전지락에 대한 소호리액터 용량은 3wcE^2이 아닌 4wcE^2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벡터적으로 표현해서 구해 봤는데 4wcE^2나오네요
기사문제보면 기사 문제풀이 책들의 풀이를 보면 3상 4선식 소호리액터 용량도 3wcE^2으로 3상3선식과 동일하게 용량을 구하더라고요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은 1선이 지락되어도 계속 송전이 가능하도록 지락전류를 억제하는 방식입니다. 억제를 하는 원리는 변압기의 중성점을 리액터로 연결하여 송전선로의 대지 정전용량과 병렬공진 시키는 것입니다. 즉 소호리액터 방식에서 변압기의 중성점을 리액터로 접지하는 이유는 병렬공진이 이유가 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송전방식은 3상3선식이며 그 결선방식은 Y결선입니다. Y결선의 이유는 중성점을 접지 하기 위함입니다.
@@pe_csk 기술사님 친절한 답변감사드립니다~ 어떤 기사 문제를 봤는데 3상 4선식 소호리액터 용량을 구하는 식이 4wcE^2이 아닌 3wcE^2으로 풀어서 뭔가 이상해서 궁금해서 여쭤본거였습니다
(식에서 E는 상규대지전압 c는 정전용량
w는 2파이 곱하기 주파수)
1선 단선 시 불평형전류로 인한 건전상의 대지정전용량과 리액터의 직렬회로에서 직렬공진이 일어나 과보상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불평형전류가 왜 정전용량과 리액터 직렬회로로 귀로하는식으로 흐르는지 잘 이해가 되지않습니다.. 구글링한자료라 제가 잘못이해한건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을 보지 못했습니다. 미안합니다.
먼저 과보상이라는 의미는 합조도를 0보다 크게 하라는 의미입니다. 즉 다음 조건(wL1/3wC)단선등으로 C값이 작아져서 wL=1/3wC가 된다면 직렬공진이 발생하고, 중성점 잔류전압등으로 인해(중성점 잔류전압은 늘상 존재합니다) 큰 전류가 리액터로 흐르게 됩니다. 이럴 경우 리액터가 소손되기 때문에 어떠한 경우에도 부족보상하면 안된다는 얘기입니다.
글로 설명하기 쉽지 않은 내용입니다만, 이해가 되셨기를 바랍니다
@@pe_csk 단선의 경우 C값이 작아지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회로도를 몇 번이고 그려봤지만 계산이 안 나옵니다...
@@yukihyde1 단순하게 선로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전체 선로의 정전용량의 크기가 줄어든다는 이야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