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긍의 고려도경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4

  • @김상기-p1e
    @김상기-p1e 3 месяца назад

    수다인지 방송인지
    사랑방 인지ᆢᆢ

  • @프레시아
    @프레시아 5 лет назад +2

    늘 방송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지가 올라온 줄도 모르고 일곱시에 착석했다가 공지 방금 봤어요 담에는 생방을 꼭 들어갈겁니당 ^^

  • @장대음봉불나방
    @장대음봉불나방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책보고님 미만 잡요

  • @JoonghounKim
    @JoonghounKim 5 лет назад

    매번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파치노이
    @파치노이 5 лет назад +6

    개인사정으로 못하실줄알았는데 ㅠㅠㅠ 감사합니다 고려도경 궁금했던 내용입니다

  • @xingkey
    @xingkey 4 года назад +1

    고려도경이 그림까지 남아있었다면 정말 끝판왕급 문화재중 하나였을 것입니다.
    그림이 있는 것은 길게볼때 전부 복원했을듯.

  • @kivansong9829
    @kivansong9829 5 лет назад +1

    저는 주로 라디오처럼 듣는데 음질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 @SukWon_Jang
    @SukWon_Jang 5 лет назад +1

    박사님, 지난번부터 느꼈습니다만, 뿔테가 진짜 잘 어울리시는 것 같아요.

  • @햇살초롱
    @햇살초롱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객관적인 역사 서술이 있을수가 있나?공자의 춘추는 객관적이나?
    암만봐도
    잡설수준이네요
    원문해석과 배경사항을 알고싶었는데..,

  • @파치노이
    @파치노이 5 лет назад +12

    캐슬어택 인기가없다니 슬프네요 열심히 보겟습니다 ㅠ

  • @오뎃사의계단
    @오뎃사의계단 5 лет назад +1

    바다를 본 사람은 호수를 바다라고 하지 않는다는 광고카피가 있듯, 1차 사료를 두루 섭렵하신 분들이라 그런지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1인 미디어가 발달하면서 1차 사료에 근거를 두지 않는 2차 3차 4차 자료(?)가 만들어지곤하고 그것이 바다인양, 1차 사료를 근거로 한양 주장되고 회자되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바다를 본 사람들이, 1차 사료에 근거한 논의들이 잘못하면 '사문난적'으로 몰릴 수도 있는 현실이기에 인문채널 휴의 강의들이 더욱 돗보입니다.

    • @bamas26
      @bamas26 4 месяца назад

      무슨 뜻인가요?
      서긍이 바다를 건넌것이 아니라는 뜻인가요?

  • @그리스인조르바-n4s
    @그리스인조르바-n4s 4 года назад

    이것 보다 더 유익한 강의는 없는 듯

  • @vivivi3865
    @vivivi3865 3 года назад

    그림.. 언젠가 발견될 가능성 있을까요? 온전한 고려의 모습을 죽기 전엔 볼 수 없을지

  • @검막리
    @검막리 4 года назад +1

    그림이 남아있다면 정말 좋았을텐데 안타깝네요 ㅠㅠ

  • @트리이카리아
    @트리이카리아 5 лет назад +1

    오늘도 재밌었어요!!!^^

  • @쁘O
    @쁘O 4 года назад

    예시의 달인, 분석의 달인. 임박사님

  • @oitrwq
    @oitrwq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공부좀 하셔야될거같은데요?

  • @gotrade21
    @gotrade2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말 놀아 하네.. 참 강의 수준하고는... 그대들은 원문을 해석하고 이런 강의를 하는 것인가? 어디서 어설프게 번역한 것 주워서 읽고 진실인 마냥 떠들지 마라.

  • @sklee7071
    @sklee7071 3 года назад

    고려가요를 보면 고려가 성에 개방적인 나라였을 알수 있죠. 조선의 유학자들이 적어둔 것인데 그 중에 수위가 좀 낮은 것 위주로 기록하지 읺있을 까요?

  • @베르깅게
    @베르깅게 5 лет назад +6

    고려도경에서 기술하고 있는 고려에 대한 내용에 집중했으면하는 아쉬움이 있네요....고려도경이 객관적이네 아니네 이런 내용으로 채우기엔 시간이 아깝네요.

  • @별나무-c8e
    @별나무-c8e 5 лет назад +3

    옛날 셈법은 만은 그냥 많다 십만은 겁나게 많다지요 ㅎ

  • @연성빈-u8p
    @연성빈-u8p 5 лет назад +1

    교수님 핼스에서 런닝머신 타고 40분중20분은12으로 뛰시고 20분은7로 걸으시면 일주일정도면 3키로정도 빠집니다(물론 저녁굴으시고 하시면 더 좋습니다)

    • @인문채널휴
      @인문채널휴  5 лет назад +4

      연성빈 ㅋㅋ 12로 못 뜀 고교시절이라면 가능했겠지만 ㅎㅎ 감사합니다

    • @파치노이
      @파치노이 5 лет назад +2

      하루 10시간 공부하면 서울대 갑니다 수준이네 그냥 꾸준히 걷기하실 시간만 있으면 살빠지겟죠 시간이 없으셔서 못하시겟지

    • @연성빈-u8p
      @연성빈-u8p 5 лет назад +1

      @@파치노이 생각해보니 그런거 같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쁍삡
      @쁍삡 5 лет назад +1

      교양방송과 퀄리티를 위해서 뱃살관리를 포기하시는 살신성인...교수님 당신은 대체...

  • @bamas26
    @bamas26 4 месяца назад

    서긍의 고려도경은 리얼하게 설명하면 듣기 어렵습니다
    좋게 설명하는 것이지요
    서긍이 설명하는 개경은 중국에는 없는 모양입니다ㅏ.
    무슨 베이징이네 어쩌네 하는데
    중국에는 서긍이 묘사한 개경처럼
    해자가 없는 성벽에 방어시설도 하나도 없는 그런 성이 없습니다.
    사는 모양새도
    하폐가 없고 시장이 없고
    사람들이 비루하게 산다라고 묘사하는데..
    유사 역사학자들이 말하는 대 제죽 고려는 없는 것이지요.
    중국과 달리 우리는 유물이 없고
    일본에 비해서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기는 거의 전쟁터였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늘 다시 보수할만큼 풍족하지 못했습니다.
    일본이 엄청난 세금을 걷어가고
    그 세금을 백성들을 위해 사용한것과 너무 비교되지요.
    우리땅에 존재한 나라들은 배움이 너무 부족한 나라입니다.
    칼들고 지 이름정도 쓰는 일본 무장만도 못한것이죠.
    그럴꺼면 왜 책을 읽는지..

  • @연성빈-u8p
    @연성빈-u8p 5 лет назад +4

    교수님 왠만하면 숫자에 관한건 물어보지 않겠습니다

  • @sjaemin777
    @sjaemin777 5 лет назад

    스트리밍으로 못봐서 아쉽네요 ㅠ

  • @까고보니진주나옴
    @까고보니진주나옴 4 года назад

    불교를 믿어 고기가 먹을수 없을 수준인데 몇만근의 고기가 썩어나? 아니 먹지못할정도로 고기를 다듬을 수 있는 수준이 없다보니 그정도로 썩어나나?

  • @햇살초롱
    @햇살초롱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여기 수준 완전바닦이네
    조선시대 화공들 사신들 꼭 따라가 기록했는데,.,저질같네...초상화그리고 돈받았다고

  • @낭만치킨
    @낭만치킨 5 лет назад

    조선이 고려보다 침략피해가 적은 이유가 중국과 사대관계때문 아닐까요? 그 외 침략들은 중국과 붙기전의 전투느낌이네요~

    • @햇살초롱
      @햇살초롱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려도 송과는 전쟁하지 않았습니다
      거란과 원이 주적이었죠
      특이한게 금과는 큰 전쟁이 없습니다
      금은 송의 황제를 포로로 잡았는데..,
      고려랑은 큰전쟁이 없죠

  • @hyj7862
    @hyj7862 5 лет назад

    그러고 보면 개인의 이름을 자유롭게 부르는 것에 대한 금기? 거부감? 같은 것 때문에 이름 이외에 다른 호칭을 가지는 행동양식이 세계 여기저기서 보이는데 그 이유가 뭘까 궁금하네요.

  • @하하하하하하-s8q
    @하하하하하하-s8q 5 лет назад +6

    방송중에 여러번 나온 역사기록을 어떻게 바라 볼 것인가 라던가,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질문을 위한 책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 키스 젠킨스 지음"
    "역사란 무엇인가를 넘어서 - 김기봉 지음"
    대부분 비전공자 분들이 역사에 호기심, 관심, 흥미로 책을 읽고, 영상을 보고, 강연을 듣다보면은 자연스럽게 의문이 생길 겁니다. 위 영상에도 나왔듯이,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데 이걸 믿어도 되나? 교수님 말씀처럼 그렇다고 패자의 기록은 전부 믿을만 한 것인가?
    또한 시대에 따라서 어떤 역사적 사건을 민란이라고 했다가, 운동이 되고, 또 얼마 후에는 혁명이 되고.. 이런건 왜 그런거지? 등등의 의문 말입니다.
    소위 말하는 역사이론에 대해서 책을 몇권 읽으신다면 그런 의문점이 꽤나 해소되라라고 생각되서 여기 대부분 역사를 좋아하고 흥미있어 하시는 분들인거 같아서 위의 두 책을 소개합니다.
    굳이 저 2권을 추천드린 이유는 ,역사이론 역시 지은이의 관점이 투여되기에 절대로 한두권만 봐서는 안 되겠지만, 정말정말 재미없고, 지루하고, 글도 현학적인 책들이라서 여러권 읽기에 참으로 불편하실 텐데 그나마 읽기 편하고 편향되거나 결론을 내려 하지 않고, 치우치지 않았다고 생각되서 추천드립니다.

  • @hl9246
    @hl9246 5 лет назад

    임용한교수님 라이브는 어느시간때하시나요

  • @강신보-c6y
    @강신보-c6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휴~이사람들 뭘 보고 뭘 말하는거야 ...
    수준하고는...

  • @욱스-s8o
    @욱스-s8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말장난 하는거 같아서 실망입니다. 유튜브 보면 당신들보다 합리적으로 고대사 연구하는사람들 넘쳐 납니다... 뭐??? 후대에 건물 잔해를 가져가??? 소설쓰나~

  • @김재현-z6r2e
    @김재현-z6r2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기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