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12Cr이상인데 18이상 첨가하는 것은 STS의 피막을 더 강하게 하려는 일이라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그러면 Mn18은 오스테나이트를 유지하기 위해서인가요? SUS 304 316처럼 애초에 17Cr 8Ni을 쓰는 것은 왜 안되는 것일까요? Fe 기지에 함유된 망간의 성질이 다른 원소(Ni 등)랑 어떤 부분이 다른 지 궁금합니다.
망간은 약10%이상 합금되면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만들게됩니다. 니켈은 약30%이상이 되어야 오스테나이트를 만들므로 니켈보다 망간이 더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형성원소입니다. 망간을 사용하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강은 그리 많지않고 이것을 고망간강이라고 부릅니다. 용도는 주로 단조나 압연을 해서 내마모성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니켈과 망간의 차이는 저도 잘 모르지만 아마도 동일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만들지만 약간의 차이는 있는거 같네요.
선생님, 12Cr이상인데 18이상 첨가하는 것은 STS의 피막을 더 강하게 하려는 일이라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그러면 Mn18은 오스테나이트를 유지하기 위해서인가요?
SUS 304 316처럼 애초에 17Cr 8Ni을 쓰는 것은 왜 안되는 것일까요?
Fe 기지에 함유된 망간의 성질이 다른 원소(Ni 등)랑 어떤 부분이 다른 지 궁금합니다.
망간은 약10%이상 합금되면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만들게됩니다. 니켈은 약30%이상이 되어야 오스테나이트를 만들므로 니켈보다 망간이 더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형성원소입니다.
망간을 사용하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강은 그리 많지않고 이것을 고망간강이라고 부릅니다. 용도는 주로 단조나 압연을 해서 내마모성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니켈과 망간의 차이는 저도 잘 모르지만 아마도 동일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만들지만 약간의 차이는 있는거 같네요.
@@박정현-금속재료기술 그렇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