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재료114-발전기 회전자 리테이닝링 응력부식균열 방지대책 SCC 기능사/산업기사/기능장/기술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3

  • @디그다-q9w
    @디그다-q9w Год назад

    선생님, 12Cr이상인데 18이상 첨가하는 것은 STS의 피막을 더 강하게 하려는 일이라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그러면 Mn18은 오스테나이트를 유지하기 위해서인가요?
    SUS 304 316처럼 애초에 17Cr 8Ni을 쓰는 것은 왜 안되는 것일까요?
    Fe 기지에 함유된 망간의 성질이 다른 원소(Ni 등)랑 어떤 부분이 다른 지 궁금합니다.

    • @박정현-금속재료기술
      @박정현-금속재료기술  Год назад +1

      망간은 약10%이상 합금되면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만들게됩니다. 니켈은 약30%이상이 되어야 오스테나이트를 만들므로 니켈보다 망간이 더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형성원소입니다.
      망간을 사용하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강은 그리 많지않고 이것을 고망간강이라고 부릅니다. 용도는 주로 단조나 압연을 해서 내마모성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니켈과 망간의 차이는 저도 잘 모르지만 아마도 동일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만들지만 약간의 차이는 있는거 같네요.

    • @디그다-q9w
      @디그다-q9w Год назад

      @@박정현-금속재료기술 그렇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