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학과가 육군3사관(3사)출신을 무시한다고?? 육군3사관학교 VS 학군,학사,군사학과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육군3사관학교와 학군단, 학사장교, 군장학생 이 선택지에 놓인 여러분
    모두 다 합격 해버린 상황 어디를 갈까 고민중인 자에게....
    반박하고 싶으신 내용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3사를 붙었는데 말도 못하고, 기 죽어 있거나 3사 간다고
    말 못하는 미래 후배들아, 기죽지마라, 니들이 기죽을 만한
    육군 3사관학교 아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783

  • @lukenockyoung1309
    @lukenockyoung1309 Год назад +1

    군사학과를 졸업해서 대위로 전역했지만.. 군사학과를 출신을 보기는 어렵습니다. 결국 꼬리표는 군사학을 전공했든 아니든 학군 00기 또는 학사 00기로 임관하는 트랙이며 혹은 2년 군사학과 생활을 하다가 3사관 학교를 가는 경우가 출신으로 보지요.. 한국 군의 제일 문제는 이런 출신을 너무나 많이 만들어놔서 서로 자기들끼리 물어뜯게 만드는 문화인듯 합니다. 결국 육사를 제외하면 모두 잡사관으로 변질되는 이런 현실이 참 안타깝습니다. 모 해군 대령님이 예편하면서 영국군의 예를 들었던 것이 생각나네요. 영국군 장교는 사관학교에서 양성하지 않고 학사장교 같은 시스템으로 통합이 되어서 장교 양성교육은 대학을 졸업한 자들이 들어가서 모두가 똑같은 소위로 임관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부분에 있어 아직도 봉건적 신분제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 군 현실이 참 안타깝습니다.

  • @jinnykim3011
    @jinnykim3011 2 года назад

    일반출신의 비애. . . . 보직에서 밀립니다. . . . . 그렇다면 일반출신은 진급이 안될까요? 됩니다. 소령까지는 막고푸는 애들 되고 중령이상은 인성 좋은 애들이 됩니다.

  • @글쓰는농부
    @글쓰는농부 Год назад

    군대의 모든것 잘보고 있습니다 군대 유튜브 채널중 최고인듯..ㅋㅋ

  • @김영진-y8w
    @김영진-y8w Год назад

    군사학과 제발 가지 마라... 솔까말 군사학과 있는 학교들 보면 한숨 나오는 대학들이 대다수고... 좀더 공부해서 지방대라도 국공립 거점대학 가서 거기서 학군이나 학사를 가라... 솔까 군대도 학벌 겁나 따진다... 평생 군생활 하고 싶으면 육사가 베스트고, 차선이 3사... 학군/학사라면 학벌이라도 그래도 좀 좋아야지.. 어디 붙어 있는지도 모르는 3류 지방 4년제의 "군사학" 전공이면.... 그리고 군에서 중간에 나왔을 때도 생각해야할 거 아니냐... 군사학 학위 들고 취업하려면.... 그 정도 견적도 못 내면 솔까말 장교도 하지 말아야할 지적 수준이라고 밖에는..

  • @가자-w1o
    @가자-w1o 5 лет назад +3

    대학은 2년마다 구조개혁평가를 받음.. 중도 자퇴율 %로 감점을 받아요.. 쉽게 군사학과 다니는 학생이 3사관학교 들어가면 이중학적이 불가하기때문에 본인 대학을 자퇴해야하죠.. 즉 학교 입장에선 감점을 받으니깐.. 구조개혁 평가에서 불리하죠..
    본인도 군생활하고 대학에서 교직원 생활중이지만.. 3사관학교 후배들이 오면 안타깝습니다. 못도와주니말이죠;;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그렇군요.... 안타깝습니다

  • @gieon-park
    @gieon-park 2 года назад

    윤본에서 관리하는 협약군사학과와 대학에서 자체 운영하는 일반 군사학과는 성적도 다르고 운영방식도 다릅니다. 협약군사학과는 군장학생으로 졸업 후 6개월 훈련을 받고 임관을 해서 7년 간 의무복 의무를 하는데, 목표가 직업군인인 경우가 많아서 거의 장기를 신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설명을 할 때 이 부분을 좀 정확히 해줬으면 합니다. 협약군사학과는 내신도 좋아야 하지만 생활기록부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고3 때 갑자기 군사학과가 가고 싶다고 원서를 내서는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학군은 장기되면 군인의 길을 가고 안되면 스펙으로 쓰고 현역사병을 대신해 군복무를 한다면 협약군사학과는 목적이 장기입니다. 그리고 요즘에는 장기를 심사를 할 때 성별을 빼고 이름부터 모든 것을 가려서 합니다. 장기가 되고 안되고는 본인의 의지와 능력이고 사회성과 리더쉽이 윗사람들에게 얼마나 투명하게 잘 보이느냐 입니다. 정말 자기 관리가 중요한 겁니다. 그러니 어디가 어떻다 이런 것으로 미래의 군인이 꿈인 청년들에게 잘못된 오류를 범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내용 중에 육사랑 같은 훈련을 받기 때문에 인정 받을 자격이 있다고 하셨는데 동일한 인정이라면 욕심입니다. 육사와는 성적과 뇌구조가 다릅니다. 이건 인정해야죠. 솔직히 3사관보다 협약군사학과가 객관적인 성적이 더 높지 않나요? 이건 불변이죠. 기본 머리는 못 따라갑니다 만 이렇게 디스를 해도 군사학과가 입닫하는 것은 육사와 3사관의 역사가 길다보니 군인맥에서 군사학과는 넘어설 수 없는 범주죠. 물론 학군도 넘사벽이구요. 제가 학군단 1기 출신으로 최초로 4성을 다신 고 박세환 장군을 모신적이 있는데, 학군은 벌써 93년도에 4성장군을 배출했죠. 군사학과는 대전대에서 2003년도에 최초로 민간학교에 학,군제휴협약이 되어서 그 역사가 짧으니 선배들이 많이 부족한게 단점일 수 있겠죠. 저는 경북 영천시에 있는 3사관학교(충성대)가 제 고향이라서 3사관학교를 가까이서 지켜보면서 많은 애착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직업군인을 원한다면 육사가 제일 좋으나 개인적인 능력상 못 간다면 3사관, 학군, 협약군사학과 어디를 가셔도 무방합니다. 본인의 학업능력, 직무능력,체력능력, 인격, 절제력, 리더쉽 등 역량이 장기를 결정하고 진정한 직업군인이 될 수 있습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2 года назад

      무풍지대님 저랑 토론 하실 수 있나요?

  • @astralremind3938
    @astralremind3938 3 года назад

    맞는 말씀입니다
    3사도 예전에 비해 육사 못지않게 상당한 능력 배양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군사학과에 3사 홍보 하러가는건
    상도덕이 아니죠..

    • @Captain_kim
      @Captain_kim  3 года назад +1

      상도덕...혹시 학생들이 돈벌이로 보이시는건 아니죠???

    • @astralremind3938
      @astralremind3938 3 года назад

      @@Captain_kim 학생들을 돈벌이로 생각하는 학교 학과는 진작에 망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찾아가게 놔두는 것이지
      삼사에서 굳이 다른 학교로 찾아가서 홍보를 하는 건 옳지 않다는 것입니다.
      삼사도 삼사만의 교육 과정이 있고, 자존심이 있고
      군사학과도 그만의 교육과정이 있고, 자존심이 있는데
      삼사가 홍보하러 다니는 것을 보면서 삼사 욕하는 사람들을 제가 스쳐가면서 많이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삼사의 열정은 그 자체로 인정받는 거라 생각합니다. 굳이 홍보하지 않아도 알아서 학생들이 삼사를 지원하지 않을까요?

    • @astralremind3938
      @astralremind3938 3 года назад

      @@Captain_kim 몇몇 학과들은 교수님들이 초과수당 받는것도 아니면서 밤 10시까지 학과에 남아서 학생들 지도하고 도와준다는데 군사학과 전부를 싸잡아서 욕하는 건 연쇄적인 비난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3 года назад

      @@astralremind3938 그걸 비난했나요? 왜 개인의 자유를 막죠? 본인은 하고 싶은걸 누군가 막는게 정당하다고 보시나요?
      홍보이야기는 그럼 육사 공사 해사는 홍보 안하나요? 군모집홍보는 안하나요??
      학생이 상도덕이 왜나오죠? 장사하나요??
      열심히하시는건 제 알빠 아니고 누군가 자유를 침해하거나 왜곡교육 하는건 잘못된게 맞죠?

    • @astralremind3938
      @astralremind3938 3 года назад

      @@Captain_kim 당연히 삼사에 지원하는것을 막는 것은 정당화 될 수 없습니다.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은 명백한 위헌입니다. 왜곡된 교육을 하는 것 역시 잘못된 교과과정입니다. 해당 교수는 당연히 직무를 정지시켜야지요.

  • @sebos9997
    @sebos9997 4 года назад +1

    개인적으로 궁금한데요 장교들 솔직히 군대에서 병.부사관 보다 개꿀 빠는데 어디서 자부심을 느끼는거에요??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ㅎㅎ 모르면 그렇게 보이죵 ㅎ

    • @sebos9997
      @sebos9997 4 года назад

      @@Captain_kim 장교도 병.부사관 모르는건 매한가지 아닌가요? 자꾸 시비조로 글 쓰는것 같아 죄송합니다.

    • @1-YYY-1
      @1-YYY-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sebos9997인생에서 관리자를 한번도 안해본 말단 인생은 그렇게 생각할만함. 중간 하급관리자가 얼마나 많은 고뇌와 고통이있는지 영원히 모르겠지

  • @꼬물로봇
    @꼬물로봇 3 года назад +2

    육군중사출신.(7년근무)
    지금도 밀리터리 관심이 아주 많은 입장에서 한마디한다면.
    군사학과 출신을 어케 현 3사출신에 비교를 하는건지 알다가도 모르겟넹.
    예전에 힘든 시기에 3사출신이 고졸에 아주 단기(36주) 훈련받고 임관하던 시기에는 솔직히 질이 많이 떨어졌는데.
    지금은 비교 불가능.
    지금의 3사는 육사못지 않은 정예 장교임.

  • @cadeth9586
    @cadeth9586 5 лет назад +2

    01년 임관한 충성대 생도과정 임관자입니다. 말씀 잘하시네요 구독하고 댓글 적어 드리고 갑니다. 화이팅.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충성! 감사합니다 선배님 자주오세요!

    • @cadeth9586
      @cadeth9586 5 лет назад +1

      @@Captain_kim 전역후 열심히 사시네요. 저도 이 영상 보고 다시 힘내겠습니다. 화이팅~~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James H 충성! 선배님 화이팅입니다!!!!

  • @오렌지나무-u2s
    @오렌지나무-u2s 3 года назад

    팔이 안으로 굽으니 서로 끌어주고 밀어주는게 있는거죠! 군대도 한국인데 학연 지연 혈연
    무시못하죠 특히 학연

  • @jongwoopark7882
    @jongwoopark7882 4 года назад +41

    흠...출신을 떠나 .. 다 사람 나름이더라고요. 저희 부대는 육사,삼사,학군 장교 출신 다 있었지만... 삼사 출신 중에서라도 더 출중하신분들 많드라고요...

  • @두목형
    @두목형 4 года назад +1

    아마도 군사학과 교수님들도 전역후에 사회인으로서
    교수와 훈육을 담당함에 국방부소속이였던 분들이
    대학소속 직원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대학 발전에 기여 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겠죠?
    군사학과 인원들이 3사로 편입학 한다면 대학입장에서
    1학년에 입학했던 인원이 졸업률과 취업률에 영향을 줄수가 없기 때문이죠
    또한 군사학과 학과장 및 임직원으로 선발시 대학측에
    인원이 감축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바로 취업(장교시험 합격)을 약속하죠 그래야 학과장이든 교수든 최초선발되는데 또는 계약연장에 이득이 생기니깐요
    이분들도 사회인으로서 사회생활 하셔야죠
    고로 동일대학에 있는 학군단 또는 동일대학을 졸업 후에 취업율로 잡을 수있는 군장학생 학사에 지원하게
    합니다
    그래서 싫어 할 수밖에 없죠 학군단도 3사 홍보활동하러 오면 달가워 하지 않잖아요?
    그래도 그런 행동들을 잘 못 됐다고 말을 할 순 없겠죠
    3사출신이고 학군단 훈육관을 해본 경험으로
    말씀드리지만 이유는 위에 적힌 내용과 같고
    나름 말 못할 이유들이 있기 때문에 그러시는 거지만
    하나 장담하는건 군사학과 인원들 교육시키고 장교시험 준비시키고 장교로서 마인드 심어주시는 부분만큼은 최고입니다 그 분들또한 군생활 20~30년 하신 군생활 선배님이시니깐요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김성훈 선배님들 교수님들 입장은 충분하지만, 이건 한 출신을 탄압하고, 차별대우 하는것 또한 제자들이 배울까 두려운 것입니다. 그것은 알지만 진정으로 후배를위한다면 떠나겠다고 하는 제자를 축복해 주어야 진정한 스승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 @Youn-f3v
    @Youn-f3v 4 года назад +6

    공감합니다. 자기 출신을 사랑하는것은 당연하고 좋은것이지만, 타출신을 비방하는것은 하지말아야할 행동입니다. 출신만 다를뿐 다 같은 장교단이며, 출신별 장단점이 있지 우열은 없습니다. ㅡ 학군45기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선배님. 충성!

  • @바로오늘-y3b
    @바로오늘-y3b 3 года назад

    현실적조언이네요. 전역하지 않는다면 무조건3사가 유리.

  • @ho_woo
    @ho_woo 5 лет назад +29

    3사출신이라고 이유없이 무시하는 사람들을 많이 봤는데 너무 안타깝습니다.. 이게 뭐라고 참

    • @꼬물로봇
      @꼬물로봇 3 года назад +1

      그게 예전에 고졸출신 모집해서 36주 교육시키고 소위 임관시켜서 그래요.
      학력도 딸리고 실력도 딸리고 ...
      지금은 안그래요.
      정식 생도과정.

    • @Ddecaj
      @Ddecaj 3 года назад

      공부 못하는 ㅂㄹㅈ들어가니까 당연한거 아님? ㅋㅋ 지네들이 공부 못하고 육사도 못가니 지잡은 나와야겠고 나오고 보니 할건 없어 군대는 가야겠는데 그냥 궁대에서 말뚝 박을까? 하는 애들도 그냥 들어가는데 제발 노력을 좀 해서 인정을 받으세요 ㅈ도 없으면서 왜 무시하냐고 ㅈㄹ하지 말고 노력은 안하고 인정은 받고 싶고ㅋㅋ ㄹㅇ 날강도랑 다를게 뭐임?

    • @귀여운윤모
      @귀여운윤모 3 года назад

      @@Ddecaj 그냥 똑같은 군인인데 왜 차별하는거에요..

    • @Ddecaj
      @Ddecaj 3 года назад +1

      @@귀여운윤모 차별받기 싫으면 육사 가세요

    • @귀여운윤모
      @귀여운윤모 3 года назад

      @@Ddecaj 님은 어디 나왔길레 말이 싸가지가 없네요ㅎ

  • @ypcpyf
    @ypcpy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올해 고3 여학생인데 내년에 청주대 군사학과 가려고 하는데 3시관학교로 편입 가능한거죠? 안 된다는 글을 본 적이 있어서요..

  • @beterang93
    @beterang93 4 года назад +1

    저 병장때 신임 쏘가리와서 얘기는 한번도 못해봤지만
    군사학과에서 3사 편입했다더라구요.
    오자마자 애들 군기잡으려고 하는거 딱 보였던앤데
    루트가 흔하지는 않은경우군요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2

      李 Lee峻求 Joon-gu 많이들 그렇게도 옵니당

    • @beterang93
      @beterang93 4 года назад +2

      @@Captain_kim 제가 3사에 대해 조금 부정적으로 말한것 같네요 죄송합니다.
      근데 대학교에서 3사 자퇴한 형이 있는데 자취방 가면 항상 각잡혀 있고 정말 깨끗했어요.
      아마 생도생활 습관이 그대로 유지되어 그런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유하다가도 추진력과 포용력은 정말 최고였네요.
      3사 존경합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2

      李 Lee峻求 Joon-gu 아니에요 ㅎ 그렇게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은녀석
    @좋은녀석 3 года назад

    중위때 전방 실습나온 3사 생도를 데리고 있었는데 ..틈만 나면 흡연하러감.. 말이 생도지.. 이건 뭐
    다 그런건 아니겠죠..

    • @Captain_kim
      @Captain_kim  3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퇴교시켯어야죠 ...ㅋㅋ 제동기도 그때 한명 퇴교당했습니다. ㅋㅋㅋ

  • @taehoo9864
    @taehoo9864 5 лет назад +18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육군3사관학교 꼭 합격해서 선배님같은 군인이 되겠습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2

      Taehoo Romero 전 하수입니다. 지금도 야전에서 고생하는 제 동문들이 진정한 고수죠,
      할 수 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taehoo9864
      @taehoo9864 5 лет назад +2

      열심히 잘해서 높은곳까지 올라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kbk102
      @kbk102 5 лет назад

      병으로 시작해서 장교 시험 보세요...두르두르 경험해 보세요...병장 제대후 소위로 또 들어 왔어요...처음부터 장교하면 실패하기 마련...일반 병부터 해보세요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저항하는 자S 무슨...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진짜 ㅋㅋㅋㅋㅋㅋㅋ

  • @고그바
    @고그바 5 лет назад +5

    자기하기 나름이라고 봅니다! 학사 군장학생으로 임관했고 3사교 합격도 했고 지금도 선후배, 동기들까지 숫자를 따지자면 수십명인데 출신이 중요한게 아니고 본인이 열심히 하느냐에 따라서 다른거 같아요. 다만 3사는 기훈부터 임관까지 무한고통이 따르기 때문에, 그리고 진정 직업군인을 희망하고 가는만큼 학군학사보다는 군인정신에서 더 인정해주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고그바 모든것이 자기하기 나름, 제가 만난 학사 학군 선배들 모두 훌륭했습니다.
      사람이 문제지 출신은 전혀....
      우리 모든 장교들이 묵묵히 잘해주고 있습니다.
      이런 편가르기를 하는 일이 더이상 없길..

  • @멀중가중
    @멀중가중 4 месяца назад

    욱사는 하나회 3시관은 두회해 인가?

  • @doubletrouble3241
    @doubletrouble3241 5 лет назад +12

    군사학과 교수들이 자기 학과 보호를 위한 것도 있겠지만 그들이 대부분 육사출신이니 3사를 견제하는 마음도 있을 것이다.

    • @박재우-o4s
      @박재우-o4s 4 года назад +2

      굳이 육사출신이 3사를 견제를 할까요?

    • @doubletrouble3241
      @doubletrouble3241 4 года назад +10

      @@박재우-o4s 요즘은 어떤지 몰라도 예전에는 육사가 3사 많이 견제하였다. 3사를 만든 이유는 1968년 121사태때 청와대 습격하러 내려온 전원장교로 이루어진 북괴군 124 특수부대에 대응하기 위한 강한 장교 양성이 목적이었다. 그래서 훈련의 강도가 엄청 강했고 훈련중 죽거나 다치는 등 도태율도 높았다. 하지만 이런 훈련덕분에 일선부대에서 3사출신 장교의 평판은 꽤 좋았고 또 육사에 비해 5-6배 가량 많은 임관 인원 등으로 인하여, 1980년에는 영관장교의 36%, 대위 82%, 중소위 33%를 차지할 정도로 그 위상이 올라갔다. 이런 추세로 가면 장차 육군 지휘관의 대다수가 3사출신이 될 것이라는 위기감을 느낀 그 당시 육사출신 육군 수뇌부에 의해 3사는 전문대생 위주의 단기 교육으로 전환되었고 교육 기간도 거의 절반으로 단축되고 기수는 단절되는 등 여러 우여곡절을 거친 끝에 다시 부활되어 지금의 3사관학교에 이르렀다고 한다.
      참고로 육사는 지난 1970년대로 부터 1990년대까지 300여명 전후로 임관을 시켜왔고 1997년 부터 현재까지 14년간 210~230 명 선으로 임관 인원을 줄이면서 까지 육사출신 장교들의 고위장교 진출율을 높이려고 안간 힘을 써왔다. (일각에선 육사가 미국의 웨스트포인트 꼴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심정 피력하고 있으니, 웨스트 포인트 출신의 미장성 점유율은 30% 선 밖에 안되지만, 우리나라 육군은 장군 진급의 70 ~ 80% 가 육사이며 역대 국방장관, 참모총장의 90%이상도 육사출신이 역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육사와 육사출신들은 육군내에서의 육사출신 고위장교 진출율을 높이려는 밥그릇 싸움을 위해 3사를 견제했었고 앞으로도 또 이런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

    • @안송원
      @안송원 4 года назад +1

      학과 인원 보호가 가장 크겠죠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2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사항
    오픈 카카오톡링크 open.kakao.com/o/geV133Nb
    메일주소 : com_on_man@naver.com
    언제든 24시간 열려있으니
    군관련, 진로 등 모든 상담이 가능합니다. 언제든 연락주세요~ ~
    군관련, 진로 등 모든 상담이 가능합니다. 언제든 연락주세요~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인트라넷 공고아닙니다. 중위선발 아닙니다. 대위이고 대위급 참모하고 가는겁니다. 중위안갑니다. 수영 지겹도록 합니다. 요원갈려면 정보병과 가야합니다. 몇년간 최전방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정보병과는 국제관계와 제2외국어가 많습니다. 정보병과는 상향평준화되어있습니다. hid는 부사관이 하는겁니다. 장교는 정보사 팀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내성적인 성격을 사관학교에서 많이 바꿔줍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한남1 네 정보사 특수요원 팀장은 정보병과만 하고, 정보요원은 타병과에서 필요시에 데려다 씁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한남1 정보병과 가야되고 대위부터입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한남1 정보병과는 상향평준화입니다 공부 잘하셔야 됩니다!

    • @한남1
      @한남1 5 лет назад

      @@Captain_kim 아 ㅠㅠ

  • @긍정-p8k
    @긍정-p8k 5 лет назад +216

    군사학과 교수들이 삼사를 욕하는 이유는 삼사가 좋고 나쁘고를 떠나서 그냥 군사학과 학생들이 삼사로 가면 학교를 자퇴해야하기 때문에 과 인원 즐어드는걸 막으려고 하는 말이에요. 심지어 학군단입단하는것도 안좋게 말하는 교수들도 있어요. 진짜 제자의 군생활보다는 학과 사람체우기 용으로 바라보는 이기적인 마음이죠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39

      긍정 맞습니다 그점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이득룡-z3k
      @이득룡-z3k 4 года назад +3

      교련선생질하지 마라 ㆍ언젠가는 저것들도 없어집니다

    • @심규홍-y3d
      @심규홍-y3d 4 года назад

      와...

    • @TV-wn4lc
      @TV-wn4lc 4 года назад +2

      군사학과1기출신이지만틀린말은아님

    • @깡총거미
      @깡총거미 4 года назад

      @@TV-wn4lc
      원광대?우리 두식이가 키워서 그런데로 괜찮을텐데

  • @리코디언수쌤
    @리코디언수쌤 4 года назад

    전 사병출신이지만 보직에 사관학교 우선권 주는게 틀렸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4년간 철저한 위계질서 사회에서 지냈고, 군사훈련도 동하계 그만큼 받았고 이미 군대 문화에 제일 익숙한 집단이기에 그게 맞다고 봐요~ 물론 3사, ROTC, 군사학과도 놀다가 군대오는거 절대 아니지만 육해공 사관학교만큼은 아니니까요.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당연히 ㅋㅋ내가 지휘관이어도 일단 시켜보기 전엔 검증된 통제시간이 다르니까요

  • @이정민-t3x8l
    @이정민-t3x8l 4 года назад +1

    저희 대학교에도 군사학과가 있었고 친한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해당 학과 교수님들 중에는 육사도 있으시지만 삼사 교수님들도 계셨습니다. 구독자가 2만이 넘으시는 훌륭한 분이 신 것 같은데 따지고 보면 카더라 내가 들은걸로는 이거더라 가서 보니 막는 것도 있더라 라는 식의 발언은 조금 듣기 불편합니다. 해당 영상을 보시는 분들이 생각하기에는 군사학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만 가지게 될 것 같습니다. 모든 장교를 육성하는 조직이 긍정적이 부분만 가질 수 없는거고 부정적이 부분이 있을 수 밖에 없는데 너무 부정적인 부분만 보여지는 거 같고 삼사만 긍정적인 부분을 강조하시는 것 같아요... 지극히 제 생각일 수도 있지만... 지금도 전방에 후방 고생하는 모든 출신 군인 분들 고생 많으시고 항상 응원합니다.

  • @04captain5
    @04captain5 5 лет назад +4

    ^^육사60기.3사39기 동기들과 재밌게 지냈죠. 지금은 모르지만 저희때는 고군반 이전까지는 학사는 후배처럼 지내는 문화가 있었습니다. 호칭도 선후배였고 아무래도 중위진급시기가 다르다보니... 지금생각해보면 어린시절의 치기가 아닐까..ㅎㅎㅎ 또 학사끼리도 전후반기가 달라서 서로 구분했던 기억이 나네요. 동기생으로서의 느낌은 3사동기는 군인으로서의 강인함이 캐릭터였던 것 같아요. 육사동기들보다 더 군인같은 ^^ 잘 보고 갑니다. 저도 전역해서 사기업에 잘 다니고 있습니다^^ 장기하는 동기들은 중령진급 들어간다고 하네요~ 간만에 그때 그시절 자대배치동기들이 그립네요. 60기,39기 동기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04 Captain 충성! 선배님 감사합니다. 건승하십시요!

  • @nicholas_lee_army
    @nicholas_lee_army 5 лет назад +6

    인정할수 밖에 없는 내용이다.. 학사출신으로 여러가지 느끼는 바가 크다.
    각출신마다.각자 꿈이있어서 그 출신에 지원을 한 것이고 그에 맞는.보직을.받고 경험 또한 다르니깐.
    출신 별로 복무기간 양성과정의 시간은 다르지만 육사 3사 학군 학사 간부사관 그 누구하나 욕할 사람없다. 각자 원하는 오만촉광 빛나는 다이아몬드를 어깨에 달기위해서 양성과정을 충실히 보낸 사람들이니깐.

  • @dannykimis
    @dannykimis 4 года назад

    도대체 육사가 있는데 왜 삼사를 만든거지
    이해를 못하겠다
    나쁘다는게 아니고 왜 나눈거지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2

      박정희가 3사를 만든이유를 보시면됩니다.

    • @dannykimis
      @dannykimis 4 года назад

      캡틴 김상호 구독했구요 멋진 유튜버가 되기 바래요

  • @user-fl8xr3mx6o
    @user-fl8xr3mx6o 5 лет назад

    병장때 3사 1등? 국방일보에 나온 소대장 육사한명 둘이 왔는데 육사는 정말 열심히하고 모범적인데 3사1등 이라는 놈은오자마자 말년병장 앞에서 뒤집어져 처자질않나 짬밥도 안되는 어린놈이 가관이더군. 삼사출신중에 정상을 못봐서 3사는 인정못함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손경준 그 사람 이름뭐임 아주 뚝배기를 날리겠름

    • @user-fl8xr3mx6o
      @user-fl8xr3mx6o 5 лет назад

      1999년인가 2000년인가 그때 국방일보 삼사1등 이라고 나왔음

  • @DSKIM-z4g
    @DSKIM-z4g 4 года назад +2

    상호야.. 초군반 여단3반 같은방 동기 대성이다 ㅎㅎ 유튜브 구독 했다 화이팅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1

      대박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성 선생님 된거여야? 어찌지내 ㅋㅋ 반가웡

    • @DSKIM-z4g
      @DSKIM-z4g 4 года назад +2

      캡틴 김상호 고등학교 교사 하고있어 ㅎ 반갑다 ㅎ 유튜브 흥해라 !!!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1

      김대성 역시 되었구나 고생이 많다 온라인 수업잘하고 자주 놀러와 ㅋㅋ

  • @Queen_of_the_sky_B747
    @Queen_of_the_sky_B747 5 лет назад +3

    군사학과 재학생입니다.
    저 포함한 동기들 3사 무시안합니다.
    저는 같은 예비장교로서 상생 해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군사학과 학생들까지 욕하진 말아주세요 ㅠㅠ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아하 고맙습니다. 학생들이 문제가 아니구요...교수님들이요 ㅠㅠ

    • @Queen_of_the_sky_B747
      @Queen_of_the_sky_B747 5 лет назад +2

      @@Captain_kim 솔직히 저희 학생들은 안그러지만 교수님들은 영상처럼 말씀하세요 ㅠㅠ 선배들중에 3사 몰래 지원하시는 분이 있는 것두 맞구요 지원했다가 걸리면 C학점만 주시기 때문에 각오하고 지원합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뇌절온칭다오 그럼 제말이 맞네요 ㅠㅠㅠㅠㅠ 휴 ㅜㅜ

  • @kkooddoo7364
    @kkooddoo7364 5 лет назад +6

    3사출신 장교들 fm도 많고 사역도 많고 진짜 열심이져 병사입장에선 죽을맛 이지만 진짜군인상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ㅎㅎ열심히 하는사람도 있고 아닌사람도 있고 ㅎ 그래도 장교들이 잘하면서 부하도 다스리길 바랍니다 ㅎ

  • @user-CPT_RA
    @user-CPT_RA 5 лет назад +21

    3사가 애매하긴 하지요
    사관학교라지만 장기도 아니고 의무복무가 6년이라 빨리 나오지도 못하는 점에선 제도 자체를 봤을땐 좀 떨어지긴함

    • @둘기대왕
      @둘기대왕 5 лет назад +6

      중장기라서 그렇긴하죠.. 단기라 하기도 그렇고 장기라 하기도 그렇죠

    • @모름지기-m4m
      @모름지기-m4m 4 года назад +5

      학교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졸업생 전원 장기자원으로 만들려고 군 인사법 개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doldol3841
      @doldol3841 4 года назад

      @@모름지기-m4m 이 사실은 또 처음 알게 되었네요

    • @woqhrsd123
      @woqhrsd123 3 года назад

      5년이상 복무하는 자원은 중기복무 자원으로 분류합니다다
      생도시절 포함해서 군생활 7년 이상이면 무시할 수 없죠

  • @중대장아재
    @중대장아재 5 лет назад +3

    학사장교 후보생때 3사생도들의 멋진 모습을 보고 우린 왜이렇게 찌질하냐..생각했었는데..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2

      장교출신 아재의군대&사회이야기 학사장교 선배들 임관해서 떠날때 부럽다...했습니다 ㅎ

  • @song761078
    @song761078 5 лет назад

    학군, 학사 경쟁률이 낮은 이유는 병복무기간이 짧아져서 입니다. 저의 아버지때는 병으로 가면 36개월에 과자값정도 받았습니다. 제가 군에 갈때는 26개월, 지금은 18개월이죠. 제가 갈 때만 해도 월 4만원에 26개월할래?월 120만원에 28개월하고 취직 가산점 받을래? 이랬습니다. 그래서 학군 선택을 많이 했죠. 제가 알기로 학군 복무기간은 50년동안 28개월 그대로 인데 병복무기간은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제 아버지 때는 복무기간도 짧으면서 목돈을 모을 수 있어서 인기가 있었던 듯 합니다. 제가 갈때도 메리트가 있었지만 지금은 고민하게 되네요. 병복무 18개월이라서...

    • @song761078
      @song761078 5 лет назад

      학군 24개월로 4개월 줄이면 좀 나아지려나...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그러면 더 안됩니다...지금도 스펙으로만 생각하고 엉망인 친구들이 많아서 ㅠㅠ처우개선과 자긍심이 더 먼저입니다 ㅠ

  • @최초이-g6b
    @최초이-g6b 3 года назад +1

    거짓말은 나쁨니다 모두 자랑스런 우리나라 육군입니다

  • @user-cg1cy1fn3q
    @user-cg1cy1fn3q 4 года назад +2

    김상호 대위님 안녕하십니까 54-55기 지망생이었다가 군 복무 마치고 지금은 일반 대학교 편입해서 상경계열 공부중인 학생입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우연히 소위 임관이라는 진로를 접하고 3사관학교라는 진로를 꿈꿨습니다. 그때 우연히 친하게 지냈던 형님께서 임관 후에 육사가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겪게 되는 어려움을 말씀과 함께 아직 제가 고2이니 고등학교 재학 동안의 시간도 많고 육사 나이 제한을 보면 3수까지는 시간이 허락되니 입시가 힘들더라도 3수를 해서라도 일단은 육사를 목표로 하라는 조언을 들었습니다.
    그때의 저는 현실성을 추구한다는 말로 합리화를 하고 감췄지만 사실은 육사보다 낮은 3사의 진입장벽을 보고 일찍이 육사를 가기 위한 고생을 피하고 3사를 가고싶어하면서도 3사를 얕잡아봤던 것 같습니다. 이런 마음가짐으로 준비하니 당연히 3사관학교에도 붙지 못했습니다.
    요즘 효자손님 채널을 통해서 각 출신 전역 장교님들의 컨텐츠가 올라오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유익한 컨텐츠가 정말 많지만 군, 특히 장교 출신 진행자 분들께서 군에 관련된 소재로 이야기를 풀어가시는 걸 보면 저의 안일했던 과거가 떠오르고 거기에서 나오는 부끄러움때문에 좋은 영상임에도 클릭하기가 주저스러울 때가 많았습니다.
    제가 선배님이라고 불러드릴 수도 있었던 김상호 대위님, 앞으로 제가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살아가면 좋을까요? 감히 조언을 청하고 싶습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메일주세요, 언제든 연락해도 됩니다. com_on_man@naver.com

  • @이건희-e2i1x
    @이건희-e2i1x 5 лет назад +2

    3학년 군사학기땐 자는것도 훈련이라고 배웠는데 그땐 이해못했지만 임관하고보니 이해가 됐던 기억이 있습니다

    • @yb5817
      @yb5817 5 лет назад

      잠을 자는게 훈련이라는게 그 딱딱 맞게 자고 일어나는걸 익히는 건가요??

    • @이건희-e2i1x
      @이건희-e2i1x 5 лет назад

      @@yb5817 단순히 잘자는거와 자는와중에 상황이 벌어지더라도 잘 해결해낼 수 있도록 자는와중에도 긴장감을 유지해야한다고 배웠습니다

  • @박식물의_야생야사
    @박식물의_야생야사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군사학과 출신으로 임관했었던 사람입니다. 교수님들 중에 3사관학교 비하하시는 분 없었다고는 말 못하겠습니다.
    막상 임관해서 3사 동기들, 선후배님들 만나보니 왜 비하를 하셨던 것인지 이해는 가지 않았었던....ㅎㅎ;
    출신이 문제가 아니라 사람을 보고 판단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육사/3사 출신이라고 해서 100% 좋은 분만 계셨던 것은 아니었고,
    그 외 마이너한(?) 출신이라고 해서 100% 안좋은 분만 계셨던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요.

  • @죠아리아
    @죠아리아 4 года назад +8

    공군조종장교출신입니다, 연합훈련때 함께한 장교들 기억이 많아요. 3사 훌륭한분들많이계십니다. 당시선배님들께 많이배웠네요.

  • @golfher1987
    @golfher1987 3 года назад +1

    특전사 부사관출신입니다. 대학중 부사관학과,군사학과 왜? 있는지 이해불가 하네요 ㅋㅋ (육사출신,예비역장교출신) 일자리 창출 진짜 잘한듯합니다. 대한민국 군인 여러분 화이팅 입니다.

  • @millyway9733
    @millyway9733 5 лет назад +4

    출신별 차별이 아니라 능력에 의한 차별이라는 게 맞는말인거 같습니다. 마치 서울대를 뽑는게 아니라 뽑고나니 서울대 더라 처럼요. 육사출신이야 고등학교때부터 어느정도 공부를 잘 한 자원이니 일처리를 잘 할 가능성이 높고 확실이 일처리 빠릿빠릿하게 합니다. 3사던 학사던 학군이던 일처리 잘하고 하면 장기 안되고 진급 안될 이유가 없습니다. 본인의 경쟁력을 키우면 되요.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몸쪽직구 백번 지당하고 맞는 말씀입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자주 애용해주세용

    • @millyway9733
      @millyway9733 5 лет назад +1

      @@Captain_kim 네. 제 할아버지도 3사출신 사단장까시 하시고 예편하셔서 3사에 더 애정이 갑니다. 군생활 열심히 하셔서 원하시는바 이루시길 바랍니다.

  • @SMC773
    @SMC773 5 лет назад

    입대전까지 출신에대한 그런생각없었다. 3사들도 나름이겠지만 내가 경험한 3사들은ㅡ 포대장 지휘관 다 3사였는데 성격도 지랄맞고 머리도 딸린다 ㅋㅋ 자격지심, 이상한 부심만 있더라(나는 장교다 그것도 3사출신! 자기 마음에 안들면 자기 무시한다고 생각함, 나에게 머리를 조아려라 등등)아 그리고 둘다 전문대 출신이더라 학교에대한 차별인식 그런거없었는데 진짜 전문대 3사는 아니구나 그런생각을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그런 생각을 가지게 해서 안타깝군요
      훌륭하신분도 많으니 너무 안좋게 보지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ㅎ

    • @SMC773
      @SMC773 5 лет назад +1

      @@Captain_kim 그럼요. 제 obc때 정말 훌륭한 3사 동기들도 많았습니다:) 다만 야전에서의 경험이 아쉬울 뿐입니다.

  • @하늘문-x8l
    @하늘문-x8l 12 дней назад

    장교는 출신을. 따지기보다. 개인의 능력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데 이 콘텐츠는 장교들을 출신별로 편가르기하는 아주 잘못된 짓이란걸 진정 김상호는 모르는 것인가 ? 간첩들은 군을 분열 분열 시킨다
    아니라면서~~ 미련하다면서 왜~~
    추하다면서~~ 당신 왜 이런영상을 만드느냐 ?

  • @좌파정비사업
    @좌파정비사업 5 лет назад +4

    우리막내 딸도 56기에요 항상 좋은말씀 저해주세요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2

      김창욱 우와....진짜 최고!!!! 엄청난 따님을 두셧네요.... 와...
      정말 애지중지 키워낸 따님 우리 군에 보내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분명 자신의 역할을 잘해내리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 @좌파정비사업
      @좌파정비사업 5 лет назад +3

      고마워요 님도 항상무슨일을 하든 건강먼저 챙기세요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덕분에 잘 될 것 같습니다!

  • @김원근-f3q
    @김원근-f3q 5 лет назад +28

    장교로서 자긍심을 가지고 생활하시는 모습 보기 좋습니다. 저는 학군출신 이었지만 멋진 3사 출신 장교분들 많이 봐서 내용이 공감이 됩니다.항상 건승하시고 건강하게 군생활 하세요! ^^

  • @은빛작살
    @은빛작살 5 лет назад +7

    학군 출신으로 소위때부터 특전사 근무하고 중위 전역했습니다. 3사 동기들과 같이 전입갔는데 개념있고 잘 지낸 기억이 있습니다. 저희 장인께선 3사 1기시구요.ㅎ 학군 후보생때 3사 영천에서 여름 한 달 입영훈련 받았는데, 교장도 멀고 후덜덜했네요^^ 그게 벌써 이십년도 더 된 추억이네요. 캡틴 파이팅!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또 오십시요!

  • @jlee6958
    @jlee6958 4 года назад +4

    들은 얘기 중에 군사학과 학생이 부사관도 병사도 아닌 공익으로 빠져서 교수님한테 맞았다는 얘기도...ㅋㅋㅋㅋㅋ

    • @yougosu
      @yougosu 4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케 갔누

  • @RobotVisionn
    @RobotVisionn 2 года назад

    지거국정도 수준의 학교를 다니고 있는데, 이럴땐 3사를 가는 게 좋을까요. rotc하는 게 좋을까요? 좋은학교도 안 좋은학교도 아니어서.. 애매하네요. 그리고 병장 만기전역 한 상태입니다.

  • @룰루랄라-r2m
    @룰루랄라-r2m 5 лет назад +25

    삼사분들 잘하긴 하죠 저는 군생활하면서 삼사동기를 자대에서 1명, 파견 1명 만났는데 모두 잘하셨습니다. 역시 사관학교 출신이라 좀 다르구나라는 느낌이 있습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5

      전 학사 학군동기들의
      사고의 유연함이 좋았습니다. 각자의 장단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 @별리-z3j
    @별리-z3j 5 лет назад +3

    같은해에 임관하는 장교들에 군번 부여 방식만 봐도 눈에 보이지 않는 차별이던대...
    육사가 제일 빠르고 군 장학생이 제일 느리죠
    장교들 군번만 봐도 어디 출신이고 졸업(?)할대 몇등으로 졸업했는지 알수 있다던대
    출신별 성적순으로 군번이 정해진다던대 짬밥 먹고 사는동안은 평생 꼬리표로 따라다닐듯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별리 출신별 등급반 나뉘고 등수는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출신을 육군만 가립니다. 해공군은 모든 문서에 출신을 구분합니다.
      오해 안하시길바랍니다.

  • @대부옹-n1v
    @대부옹-n1v 5 лет назад +2

    전 두번째 소대장이 삼사출신이었어요. 진짜 어딜가나 사람 나름인거 같아요.두번째 소대장은 정말 간부로써 별로였어요.
    캡틴님처럼 솔선수범했으면 소대원들이 불만을 가져도 따랐겠죠.하지만 본인이 에이엠으로 하는데 소대원들한테는 에프엠 강요. 소대원들이 조금이라도 잘못하면 군장돌리고 ㅋㅋ그때당시 내로남불이라는 말이 없어서 망정이지 정말이지 내로남불이 정말 심한 사람이었어요. 반면 옆중대 중대장은 삼사출신이었지만 같은 남자가 봐도 참군인 스타일에 멋있는 사람이었죠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대부옹 미친사람이네요... 전 소대원 군장돌릴때 저도 단독군장으로 갈아입고 시작부터 끝까지 현장에 같이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저의 지휘에 대해서도 반성하기도 하구요,
      제가ㅜ제일 싫어하는 스타일이 내로남불입니다.
      장교가 하지 않은걸 병사에게 강요하단요... 최악극혐입니다.

  • @yoon7242
    @yoon7242 5 лет назад +3

    지휘추천이 진급에는 중요하죠 지금시대는 많이 공평해졌지만. 술먹다가도 진급하는시대도있었고. 예전 2사들 엄청손해봤습니다. 3사는 그래도 많은 선배들이 나름자리잡으며 선방하고있죠. 원래 3사는 북괴때려잡을 장교육성을위해 만들었다해도 과언이 아니죠..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네 맞습니다 과거에는 음주운전해도 ㅎㅎ... 국방부장관도 했으니뭐 ㅎㅎ

  • @fksospspqps
    @fksospspqps 5 лет назад +3

    군장학생(군사학과)+학군단 현재 제 위치가 이건데 장기 생각하고 들어가서 공부도 열심히 하고 배우는 것도 열심히 배우고 관련 서적도 찾아보고 체력도 열심히 기르고 있는데 계속해서 머릿속에 불안함이 듭니다 열심히 하면 모두 장기 할 수 있다고 많이들 말씀하시는데 영상이나 여기 있는 댓글들을 많이 보면 제가 할 수 있을까 엄청난 고민과 불안감이 듭니다. 열심히 하면 꼭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져야 하는데 그게 힘들 때가 있네요 그래도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항상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열심히 어떻게? 가 중요하죠,
      결국 그 어떻게는 진심입니다. 진심으로 뭐든지하는

    • @fksospspqps
      @fksospspqps 5 лет назад +1

      캡틴 김상호 '진심을 가지고' 모든 일을 마주하고 매번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어요 너무 감사합니다

    • @BabyGirlll52
      @BabyGirlll52 Месяц назад

      저도 현재 같은상황입니다. 군사학과 군장에 학군인데 학군 기훈 일주일 남겨놓고 탈단했습니다. 주변에서 모두가 말렸음에도 3사 선택을 하게 되었습니다. 너무 많은 말을 들어서 제 선택에 대한 불안감이 큽니다. 혹시 4년전 댓글이라 보실진 모르겠지만 , 현재는 3사 선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후회 ,,안하시는지 여쭙고싶습니다.

  • @TV-yt3df
    @TV-yt3df 4 года назад +10

    전 중사제대했는데 3사나온 소대장님 융통성도좋고 군생활 잘하셨어요
    곳 중령 바라보시는데.. 출신떠나서 열심히하는분들 진급 되는건 사실인가봅니다 ㅎㅎ 3사 화이팅

  • @gesitapo
    @gesitapo 5 лет назад +6

    일반 대학 군사학과 교수들이 3사 출신 무시하는 이유는 간단하죠.... 한 학년 학생 40명인데, 10명이 3사로 편입하면,
    등록금 300만원 * 4학기 * 10명 = 1억 2천만원 손해인거죠.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그게 무시의 이유가 될 순없으니..

    • @gesitapo
      @gesitapo 5 лет назад +2

      학생들이 이탈하면, 군사학과 교수 및 학교에 큰 손해죠. 그러니 그걸 막아야겠고, 그러자니 3사 가면 이러저러한 불이익이 있고, 3사를 무시하는 발언을 할 수밖에요...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BeZamah새순의집 80년대랑 지금이랑 40년차이입니다 선생님...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공시 그니까 다신의 이익을 위해 아무 잘못 없는 3사를 비하 하고 깐다 ? 그쵸?

    • @gesitapo
      @gesitapo 5 лет назад +2

      몇몇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방 대학 교수들은 강의 없는 날은 서울로 학교 홍보하러 다닌다고 그래요. 이게 이미 10년전 얘기인데요. 그래서 취업 잘 되는 학과를 개설하려다 보니, 비교적 쉽게, 공부많이 안해도 공무원 될 수 있는게 군인... 그래서 군사학과, 부사관학과 등을 개설하죠.
      그래서 어렵사리 학생들을 유치했는데, 그래서 안정적인 수입원을 마련했는데, 이 학생들이 2년간 무료교육에 월급까지 주는 3사에 가버리면... 교수/학교에 엄청난 손해가 되고, 이런게 누적되면, 학과도 폐지해야 하는 상황까지 전락하게 됩니다.
      그러니 어떻게 해서든 이탈을 막아야 한다...
      이런 논리더라고요.

  • @이동원-r3h
    @이동원-r3h 5 лет назад +4

    내용 처음부터 끝까지 잘 보았습니다. 꼬투리 잡을게 없네요. 현실적인 내용 감사드립니다. 장교로 임관하면 대한민국 육군 장교단입니다. 출신 타령하는 시간에 교범 한번 더 읽고, 부하 면담 하는게 성공의 지름길입니다.

    • @이동원-r3h
      @이동원-r3h 5 лет назад +2

      양재근 선수와 격투기 시합하는거 시청했습니다. 캡팀 김님은 히러로 입니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투혼하는 자세를 보고 감동했습니다. 인생의 머 뒤안길에서 오늘은 보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그저 하루 하루에 충실하게 사는거지요.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맞습니다. 화이팅입니다!!!!

  • @sonderklasse6087
    @sonderklasse6087 5 лет назад +4

    조금 미련하고 일반화의 오류를 범해보자면 군사학과, 부사관과...진심 잘하는사람을 못봤습니다. 대대에 간부가 000명이라 그만큼 초급간부들도 많이 왔습니다. 저는 S2,3여서 간부교육 통제하고 자체점검 같은것들을 수시로 했는데 앞서 언급한 그 출신들이 항상..놀랍게도 거의 과학수준으로 무개념, 부적응자들이라 상급부대에서 검열 나올때마다 강제로 휴가보내거나 점검전날 당직근무를 세우거나 장거리선탑보내서 검열관 눈에 안띄게 했습니다ㅜㅜ 출신보다 사람을 봐야하는데, 저도 결국 미련한놈이었는지 색안경을 조금 끼게되었네요.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Klasse Sonder 전문대 부사관과에 대한 문제는 어느정도 있지만, 그건 사람의 문제도 크다고 봅니다, 전 잘하는 친구도 많이 봤으니까요, 4년제 군사학과 후배들을 야전에서 본적은 없어서 제가 판단하긴 어렵지만,
      댓글 달아주신 분의 부대는 그랫군요...
      전 진짜 현역이면 안될듯합니다. 가만히 안둘것 같아서요...

  • @이상우-r2k
    @이상우-r2k 5 лет назад +4

    김상호 소령님 에너지가 넘치시네요
    장군의 기운이 보입니다.
    3사32기 이종우 중위 쌍둥이형 올림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안녕하세요!!! 현재 3사 32이이시면 중위가 아니고 중령 아니실까요??ㅎ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저는 대위 전역하였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이상우-r2k
      @이상우-r2k 5 лет назад +2

      이종우중위는 3사 32기로 1996년 철원수마때 부대원을 잠재운채 홀로 철책 점검하다 순직해 중위로 추서되었고, 보국훈장광복장 역시 추서 되었습니다.
      김상호 대위님 늘 건강하세요^^
      저는 이종우 중위의 쌍둥이형으로 영원한 3사 가족입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아 그런 선배님가족을 몰라뵈어 죄송합니다. 제 후배가 3사 출신 영웅선배님들을 조사중입니다.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하고 반갑습니다.

  • @ysk1766
    @ysk1766 5 лет назад +1

    방송하는거 하면 잘 할거라고 초군반때도 이야기했었는데 말한대로 하네ㅋㅋ 화이팅해!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김상윤 무으야!!!!사유니!!!!!!!

    • @ysk1766
      @ysk1766 5 лет назад +1

      인스타 보구 왔지!ㅋㅋㅋㅋ 자주 보러올게ㅋㅋ룸메ㅋㅋㅋ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김상윤 ㅋㅋㅋㅋ대박 알겠응 ㅋ

  • @bungbung1245
    @bungbung1245 5 лет назад +1

    현실 : 다른출신인데 잘하고 예의있고 성실하고 열심히하면 내새끼, 같은출신인데 답없고 놀고 개념없으면 개새끼

  • @changjoonkim8825
    @changjoonkim8825 5 лет назад

    사실 초급 위관 장교들은 3사 출신들..일반 사병들이나 동료 장교들 사이에서 많이 무시 당하는건 사실 입니다...육사나 학군(ROTC) 장교들 보다 부하사병 교육 능력이나 제반 능력에서 다른 출신 들보다 떨어지는건 맞지만 소수의 3사 출신들은 정말 육사나 학군에 비해서도 절대 쳐자진 않는거 같아요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글세요.. 무시당하는건 사실이다...라...? 처음듣는 사실입니다.

  • @박학용-q9h
    @박학용-q9h 3 года назад +1

    저는 학사21기 군장학생으로
    군 복무을 하였습니다
    출신 구별 하지말고
    나라을 지키는 훌륭한
    장교가 되길 바랍니다
    전역하면 다 필요 없어요

  • @성동재-i6f
    @성동재-i6f 5 лет назад +103

    군사과 학생은 아니지만 이유없이 3사관학교를 폄하하는 군사학과 교수라 불리기 저급한 사람들은 교육자로서 품행이 저질이라 생각합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선배님!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4

      제 영상이 거짓이고, 허위라는게 되면 저는 기쁜마음으로 사과방송올리겠습니다. 관심 감사합니다!

    • @mister5776
      @mister5776 5 лет назад +2

      이거는 편입생으로 조심히 발언 하면 어디나 같아요 학교에 학생수가 곧 등급이고 학교의 위상이거든요 어디학교 군사학교가 학교에서 밀어주기도 하거든요 즉 학교 예산을 많이 받고 발언력이 강해질려면 그래요 저도 편입할때 지도교수님께 자퇴서건으로 이야기 드리면 많이 싫어하죠 심지어 같이 학과 다른대학을 가면 정말 싫어하세요 이건 학교 시스템상 문제가 가장 크죠 그래서 아예 학부를 마치고 석사를 다른대학교에 지원하는 분들도 계세요 그학교에서 더 바우고 싶어서요 아마 군사학과에서 3사를 싫어하는 이유가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하면 이거라고 생각됩니다

    • @apogeeduet3460
      @apogeeduet3460 4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ㅋ 내가있던 학군단에 군사학교수는 예비역 대위 소령밖에 안되는 개 병신들이었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실제로 교내 행정처리는 교수직함은 개뿔 대학교직원이면서 후보생들이 교수님교수님 해주니까 지들이 진짜교순줄알아 병신들 ㅋㅋㅋ

  • @쎄멘트
    @쎄멘트 4 года назад +2

    우리아들이 요번에 58기생입니다 3사 많은 정보감사합니다

  • @wooni7164
    @wooni7164 4 года назад +48

    저는 3사 17기로 임관하여 33년 군생활을 마치고, 현재 미국 매릴랜드주 county government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제 평생 처음으로 댓글을 달아봅니다. 미국도 아이비 리그나 웨스트 포인트를 졸업하면 우수한 학생으로 인정을 받습니다. 그 졸업생들은 직장이나 군에서 그 능력을 결과로 인정을 받아야 합니다. 물론 명문대학 출신이라는 후광효과는 있겠지요. 그렇다면 본인이 아이비 리그나 웨스트 포인트 출신이 아니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더 많은 노력과 자기개발을 해야 하겠지요.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증명하듯이 우리는 지구촌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대한민국도 좁은데, 장교 출신가지고 도톨이 키재기 할 때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조직은 다양성이 존재해야 합니다. 그래야 더욱 단단한 콘크리트 조직이 되기 때문이지요. 학술분야는 우수한데 전술적 식견이 부족한 장교가 있는 반면, 체력은 탁월한데 학술적으로 부족한 장교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군에서는 적재적소에 적합한 인재를 등용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이제 대한민국도 선진국 반열에 올라섰습니다. 군 인사 시스템도 선진국처럼 바뀌어가고 있고, 더욱 투명해질 것입니다. 지금 여러분들이 할 일은 여러분의 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세계는 너무나 넓습니다. 선배장교의 넋두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6

      충성 하나같이 좋은 말씀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배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 @wooni7164
      @wooni7164 4 года назад +6

      @@Captain_kim 감사합니다 후배님. You have a heart full of passion!!

    • @깡총거미
      @깡총거미 4 года назад +2

      33년했으면 대령까진 했겠네 운좋으면 별하나 정도는 달았겠고

    • @덕후덕후-q5u
      @덕후덕후-q5u 4 года назад +2

      저는 17기 박O도님과 같이 근무했습니다
      소위ㅡ중위때

  • @jaeholee4530
    @jaeholee4530 4 года назад +3

    벌써 16년 전이지만 대학교 2학년 겨울방학 학군단 입영훈련 중 삼사가 붙어서 입영훈련 마지막까지 고민하다가 퇴소를 하고 삼사간 친구가 있었네요.
    동기가 빠지는게 아쉬울 순 있지만 저희 동기 모두들 그 친구 미래를 응원해줬습니다.
    개인의 선택일 뿐 출신의 구분은 없다고 생각이 되네요. 군대가면 다 같은 군인이고 전우인데요.
    육사가 유리하다는 것도 상대적으로 일찍이 군인을 준비하고 들어가기도 힘들어서 확률적으로 우수한 인재일 확률이 높은 것일 뿐

  • @곰아빠-x2h
    @곰아빠-x2h 4 года назад +2

    안좋게 말하는 이유가 있죠. 학교측에서는 비용을들여 학생뽑아놨는데 데리고 가버리니 밥줄이 빠지는거죠. 전문대는 취직의 연장이기에 장려하지만 4년제는 밥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거죠. 육사.3사가 힘들고 인정받는건 내무생활입니다. 통제, 억압, 감옥이죠. 이겨냈다는 겁니다.

  • @야옹-x9g7p
    @야옹-x9g7p 5 лет назад +5

    군사학과 합격해서 내년에 군사학과 입학하는 고3 여학생입니다.
    몇 달 전에 면접 보러 갔을 때 같이 지원한 친구가 저에게 말해주기를 면접 볼 때 자기 조의 어떤 친구가 교수님께 질문하는 시간에 3사관학교 편입에 대해서 여쭤봤다고 합니다.
    교수님께서 그럴거면 전문대 가지 왜 4년제 왔냐고 화를 내셨다고 하더군요
    저는 이게 소수의 경우인 줄 알았는데 굉장히 빈번한 경우인가 봅니다 씁쓸하네요 ㅠ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참내.... 참 그렇죠? ㅎㅎ 사실 3사오는 여생도들 스펙은 어마어마한데요...전문대라뇨...그리고 전문대면 어떻습니까? 거기선 스펙 못쌓고 장교 꿈도 못꾸나요? ㅎㅎ 참 웃기죠? ㅎㅎ

  • @LEE-l7s
    @LEE-l7s 5 лет назад +1

    제가군사학과다니는도중에특전사에합격되서들어갔거든요....그래서군사학과졸업과동시에소위로임관하고나서특전사바로못들어가죠 상호님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특전사 바로 가능합니다..ㅎ 지원해서 갈 수 있어요

  • @youngbeompark8760
    @youngbeompark8760 5 лет назад +53

    저는 군대생활할때 소대장, 대대장님이 3사출신이셨는데 임무수행하실때는 무섭게 갈구고 잡으시지만 평소에는 따뜻하게 대해주셨던 기억이 나네요~^^
    그 군사학과교수들 학생들이 3사편입하는게 보기싫으면 강의준비 많이 하셔야겠네요~^^ 괜히 멀쩡한 3사 까지 마시고요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8

      그래도 좋은기억으로 3사가 있으시다니 다행입니다. 자신의 밥그릇을 뺏기는 시스템을 고쳐야지 괜한 3사를 건드리는게 자존심상해서 만들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JJJ-hj1gt
    @JJJ-hj1gt 4 года назад +18

    저희 삼촌은 62년생, 3사 졸 대위 예편 하시고 군무원 복무하여 현 육본 이사관까지 진급 하셨습니다. 현역때 동기분들을 지금도 만나 교류하시더라구요.

    • @김으뇽-i3i
      @김으뇽-i3i 3 года назад

      @성이름 2급인데도 서기관이랑 동급으로 치나요..? 차이가 많이 나네요

    • @H준-d8u
      @H준-d8u 2 года назад

      군무원이나 공무원이나 급수 똑같아요. 군무원이사관이면 공무원서기관이다? 잘못알고계시네요. 걍 똑같아요. 공무원쪽에서 군무원무시하려고 까내려서 그렇게 생각할지는 모르겠지만 서류상이나 법적으로 그런거없어요. 1급이면 똑같이 1급, 9급이면 똑같이 9급입니다

    • @JJJ-hj1gt
      @JJJ-hj1gt 2 года назад

      @성이름 그냥 모르면 묵념하시는게...ㅎㅎ

  • @richardwinters8481
    @richardwinters8481 5 лет назад +7

    국가를 지키는데 출신이 어디인들 뭐가 문젭니까? 젊음 청춘을 국가에 바치는데 누가 더 잘났고 못났고 따지는건 전근대적생각이라 봅니다 다 똑같은 마음으로 나라 지키려 입대한 귀중한 젊음들 인데 말이지요..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네 맞습니다. 너무나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저희 3사에서도 절대 타 출신을 비방하거나, 오히려 저희는 타출신과 비교하여 부족한것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보완할려고 노력합니다.
      그 것이 윈윈이라고 생각합니다.
      야전에서도 학군동기들과 정말 윈-윈했습니다.
      학사 선후배들과도 항상 교감하고 잘할려고 노력했고,
      저 참모때 제 뒷바라지 해준 학사 선배 본부중대장이 정말 괜찮은 군인이었습니다.
      출신은 전혀!!! 그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관심과 사랑 그리고 댓글 감사합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귀중한 젊음이라는 말씀에 감탄하고 갑니다!

  • @youngkyun66
    @youngkyun66 4 года назад +1

    학사41기인데... 이런 얘기 첨 들어보네요. 같이 근무했던 3사 친구들 다 군인다웠는데.. 야전교범에 충실하고.. 캡틴 김상호님 말처럼 16:44에 정답이 있네요.

  • @kwonalexander3595
    @kwonalexander3595 2 года назад

    아무리 삼사가 2년짜리 편입전용 사관학교여도 어떻게 군사학과따위가 무시할 근본이 되나 ㅋㅋㅋㅋㅋ 육사 다음이 3사, 학군단 이 순서 아닌가

  • @이상도-o6e
    @이상도-o6e 4 года назад

    훌륭한 군인은 출신으로 정해지는게 아니라 스스로 만들어가는 겁니다
    각 출신별 장단점이 있기에 서로 존중하고 인정해줄 때 우리 군의 미래가 밝아지고 대한민국의 안보가 있습니다
    출신간 불협화음 즉 내부의 적이 결국 나라를 망하게 한다는 것을 우리 모두 잊지맙시다

  • @김민준-b6f
    @김민준-b6f 2 года назад

    혹시 학군단 ROTC가 합격했는데 3사로 편입 가능한가요??

  • @manoutofyou4384
    @manoutofyou4384 5 лет назад

    육사>삼사>학군단,군사학임 이게 팩트임. 아버지 해군사관학교 출신인데 '그래도 육군은 육사,삼사가 움직인다' 이러심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뭐 다그렇지는 않지만, 육군은 다같이 이끌어 가는 것이지요, 출신은 그냥 임관하는 과정일 뿐입니다.

    • @manoutofyou4384
      @manoutofyou4384 5 лет назад +1

      @@Captain_kim ㄴㄴ 아버지가 말씀하신건 출신이라 득을 본다는게 아니라 마인드의 차이가 있다는거에요. 아빠가 항상 말하는게 총탄이 빗발치는 순간 부대원 이끌고 돌격할 수 있는 용기와 깡은 생도생활의 유무에서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게 내무실 활동에서도 차이를 만드니 진급 차이가 있는거죠. '삼사라 진급 잘한다 육사라 진급잘한다' 이게 아니라 '생도 생활 한 장교들이 능력이 좋다' 란 거죠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기도 아하...네 아버지의 말씀에 저도 동감합니다.
      그 습관이라는것이 가장 무서운겁니다.
      내무생활의 습관이 끝까지 가니까요 ㅎ 좋은말씀과 댓글 감사합니다!

    • @manoutofyou4384
      @manoutofyou4384 5 лет назад +2

      @@크라마리치-k6m 해사 육사 동기교류 있는건 모르시나봐요? ㅋ 하긴 생도도 아닌거 같은데 알겠나?ㅋ

  • @ililililililllililil8833
    @ililililililllililil8833 5 лет назад +2

    정말 공감됩니다 굳이 그렇게 파벌가르고 싸워야될까 싶어요 구독누르고갑니다ㅎㅎ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Isco 22 야전에서는 실제 아무도 그렇지 않습니다. 근데 전역한 몇몇 휴...아무튼 그렇습니다 ㅠ

  • @user-uz4ki5kp5x
    @user-uz4ki5kp5x Год назад

    군사학과는 솔직히 왜가는지 이해가 안감
    거기보단 당연히 3사지

  • @songwonan3121
    @songwonan3121 4 года назад

    이유는 딱 하나에요, 군사학과 설치된 대학이 지방 사립대가 많습니다. 지방 사립대는 학생수 줄어들면 교수 욕 엄청 먹고 이따위로 할거면 사표쓰라고 학교에서 압박을 합니다.

  • @kaay_TV
    @kaay_TV 5 лет назад +3

    크 무사히 귀국해서 영상 잘보고 복귀신고 드립니다 선배님😁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필리핀으로 통신사 활동 다녀왓습니까 ㅋㅋㅋ

    • @kaay_TV
      @kaay_TV 5 лет назад

      @@Captain_kim 오랜만에 친구들좀 보고, 휴양다녀왔슴다 ㅋㅋ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수고햇소 ㅋㅋ이제ㅡ일하세요 ㅋㅋ

    • @kaay_TV
      @kaay_TV 5 лет назад

      @@Captain_kim 👨‍🍳

  • @허니허니김상허니
    @허니허니김상허니 5 лет назад +16

    영상 잘봤습니다. 3사 출신 동기들 중에 정말 훌륭한 친구들이 많아요. 어떤 집단이건 3%는 또라입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6

      허니허니 김상허니 10%....라고 보는데...3%극 똘....ㅋㅋㅋㅋ 장교들 대부분 잘하죠!!! 댓글 감사합니다!!

    • @bahnghyuckkim3179
      @bahnghyuckkim3179 5 лет назад +1

      10% 정도껏 똘, 3% 완전 똘.
      난 6년4개월 동안 출신별 3% 고루 만나봄.ㅎㅎ 그리고 그 3%들은 진짜 출신구분 없이 하나같이 똘들이었음. 3%똘끼리 모아 출신 하나 더 만들어도 될만큼.ㅎㅎㅎ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2

      Bahnghyuck Kim 상상 그이상의 배틀 각부대 병신배틀...ㅋㅋㅋㅋㅋ 저도 나중에 컨텐츠 제작할겁니다 그애 댓글로 대결해보시죠 ㅎ

    • @bahnghyuckkim3179
      @bahnghyuckkim3179 5 лет назад +2

      ㅎㅎㅎ기대됩니다.ㅎㅎㅎ 그나저나 아직도 3사 비하하는 사람들이 있다는게 참 안타깝네요. 저는 학군42기인데 현역때 제 동기뻘 되는 39기들도 다들 훌륭했고 후배들도 다 괜찮았는데 말이죠. 이상한 사람들이야 어느 출신이건 있게 마련인데 그것을 출신 전체로 말하는것 자체가 어처구니 없는 짓이죠.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2

      Bahnghyuck Kim 충성! 선배님 맞습니다... 정말 ㅠㅠㅠ 군인들은 안그러는데 ㅋㅋ 안해본사람이 더 무섭습니다 ㅎㅎ

  • @halimlee4569
    @halimlee4569 3 года назад

    저 소대장 선임 육사 그냥FM
    육사 멋있어요
    학군 선배님.. 취업준비한다고
    일 나한테 다 넘김 ㅎㅎ
    저는 학사39기(3사관 교육) 간접체험
    멋 있었음 후보생들 준비되어있는 듯
    날 괴롭힌 정보장교 같은 학사 선배 패고 싶었음
    저 직속 상관 중대장님 3사관 항상 절 믿고
    따라주심 인간적 성품 (12년 나이차)
    작전 참모장교 소령 3사관 우리 연대에서
    가장 훌륭하신분 술드셔도 가장 먼저 출근
    항상 일 하는 모습만 보임
    연대장님 육사 (장군 심사로 바쁘심)
    대대장님 육사 (머리아픔 다른 대대 작업도
    자신이 한다함 🐕 피곤 😫)
    군대썰
    소위 단체로 목욕탕 왔는데
    사단장님하고 참모들이 같이 들어오심(부대차렷 자세 ㅋ) 후덜덜... ㅎ
    각 사람들의 특징 인성의 문제가 있지만
    저 복무시절은 3사관출신 장교들이 더 솔선수범 했음

  • @정일품-c4i
    @정일품-c4i 3 года назад +2

    우연찮게 영상을 봤습니다
    전 rotc33기 예비역 중위로 전역했는데 , 옛날 생각도 나고
    좋은 영상인것 같습니다
    조국을 사랑하는 마음과 사명감만 투철하다면 출신, 뭐 이런거 중요하지도, 신경 쓸필요도 없으니 장교를 준비하는 후배님들이 보신다면 본인의 상황에 맞게 잘 준비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kkj6455
    @kkj6455 3 года назад

    군사학과 보다는 개인전공을 살리면서 군생활하는 게 좋다고 봐요...

  • @인생-e9u
    @인생-e9u 4 года назад +1

    학사장교란게 4년제대학교에 군사학과 이친구들이졸업하고 임관하는게 학사장교입니까?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2

      그것도 있고 4년제를 졸업하고 시험을보고 갑니다

    • @인생-e9u
      @인생-e9u 4 года назад +2

      @@Captain_kim 아... 대학교에 군사학과 나온친구들은 그냥 졸업만하면 임관을 해주는건가요 아니면 졸업하고 어떤다른 시험을 합격해야 임관을 하는것인가요?
      하나더 군사학과 학사장교는 다른 그냥 일반 기계공학이나 취업이잘되는 과 학사장교보다 제대후에.. 군사학과라는 전공으로 사회에서 취직하기가 다른 좋은과 학사장교보다 힘들거같은데... 어떻게생각하시나요?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2

      네 리스크가 있습니다. 그러나 군을 생각하는 친구라면 거기서 또 하나의 인맥이 있어서 이점은 있습니다. 군사학과라고 진급이 잘되는건 없습니다. 군사학과도 협약과 비협약이 있는데 협약은 장학금과 자동임관 비협약은 나중에 시험을 쳐야합니다.

  • @방효선-m1y
    @방효선-m1y 5 лет назад +16

    70년대 중반 ROTC 로 전방보병 소대장 출신입니다.
    후배님의 합리적이고 논리정연한
    의견에 100%동감합니다.
    참고로 저는 3사 14기.15기 생도들이 실습소대장할때 담당소대장 이었읍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4

      방효선 충성! 대선배님이 오셔서 칭찬해주시니 너무나 감사합니다! 앞으로 더욱 잘해보겠습니다!

    • @초록빛럽송
      @초록빛럽송 5 лет назад +3

      ^^

  • @song761078
    @song761078 5 лет назад +1

    좋은 말씀 많이 해주시네요. 삼사를 까는 것은 30년전을 이야기 하는 듯 합니다. 저의 아버지도 제가 20년전에 직업군인의 꿈을 꾸고 학군장교가 되었을 때 비슷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 이유는 전문대 1,2학년 과정으로 시작했을 때로 생각이 굳어 있어서 입니다. 그 당시에는 육사 다음으로 학군, 학사가 장기, 진급이 잘 되던시기고 나중에 3,4학년과정으로 바뀐 뒤로는 육사 다음으로 삼사가 진급이 잘 됩니다. 20년전 제가 군 생활을 할 때도 그랬습니다. 육사, 삼사는 사관생도라고 하고 학군, 학사, 간부사관은 사관후보생이라고 합니다. 생도와 후보생은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교육내용의 차이 등등... 현실적인 차이는 4년 2년동안 내무생활에 생활습관??? 학군은 비슷하긴하지만 자유롭죠. 그리고 생도는 매월 돈을 주고 후보생은 없습니다. 임관시 호봉도 다릅니다. 생도는 공수낙하 즉, 낙하산을 타고 후보생은 지상훈련만 합니다. 그외에도 많은 차이가 있겠죠. 삼사 나쁜 선택이 아닙니다. 저도 주변에 많이 추천하고 있습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song761078 정성스러운 댓글 너무나 감사합니다!

  • @홍길동-k2j
    @홍길동-k2j 5 лет назад +88

    사실 육사가 정예 장기장교 육성. 3사가 중장기장교. 학사는 단기장교 육성을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그 만큼 출신에 따라 군 내외부에서 보는 시선이 다를 수 밖에 없죠

    • @__hyun79
      @__hyun79 4 года назад

      홍길동 단기장교 육성은 학군, 학사는 대위 자원!

  • @peterkwon4306
    @peterkwon4306 3 года назад +5

    우연히 유투브를 보다가 이 영상을 봅니다. 차근차근하면서 실무적인 사례들을 잘 풀어서 방송하는 후배님이 멋지네요. 건승하세요.

  • @다시시작-m4w
    @다시시작-m4w 4 года назад +6

    생도과정이 생긴 90년대 중반~~ 서울에서 동대구역까지 새벽기차타고 영천까지 비둘기타고 체력심사 받으러 간 추억이 생각나네요~~
    많이 높아진 삼사의 위상에 박수를 보냅니다^^

  • @rupmasef9496
    @rupmasef9496 5 лет назад +1

    제목과 리플을 보면 이 컨텐츠가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지 캡틴님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어요
    각 출신별로 타 출신을 비하하는 에피소드는 많을 것 같아요
    어느 조직이던지 자질이 부족하신 분은 어디가나 있길 마련이니깐요. 그런데 그 일부 내용으로 컨텐츠를 만드셔서 내용이
    제목이 3사관학교가 차별당하고 있다는 느낌, 마치 82년생 김지영 처럼
    대부분 군사학과 학생들이 3사관 학교을 무시한다는 느낌이 들어요
    개념없는 일부인원의 에피소드가 전체를 대변하는 느낌이 들어서요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소중한의견 감사합니다.
      여기서 개념없는 일부 인원이란 몇몇 3사관학교 편입을 억지로 막는 몇몇 소수의 인원에 대한 이야기 이기도 합니다.
      군사학과 친구들은 대부분 그렇게 생각도 안하겠지만요,
      그런데 실제로 차별받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것을 지금 제가 알아보고 조치하려 합니다.

  • @user-rb4rp7sj1c
    @user-rb4rp7sj1c 5 лет назад +8

    현재 군사학과에 다니는 군장학생(학사) 학생입니다만 저는 오히려 갈 수 있다면 육사 다음으로 3사가 최고라 생각하며 그 다음으로 학군 → 학사 순이라 생각합니다. 실제로도 군사학과 내부에서 3사 못가게 하는 경향이 있는게 팩트고 몰래 간 학생을 역적취급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왜 굳이 편파를 만드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요즘은 많이 줄어들었으나 자기가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로 정하는건데 왜 편을 가르는지는 이해가 안됩니다. 저는 갈 수 있다면 사관학교를 가는게 좋다고 봅니다

    • @o_o4856
      @o_o4856 4 года назад

      실례지만 몇가지 여쭤도 되겠습니까?

    • @user-rb4rp7sj1c
      @user-rb4rp7sj1c 4 года назад

      @@o_o4856 네

    • @o_o4856
      @o_o4856 4 года назад

      @@user-rb4rp7sj1c 혹시 군사학과 어디 학교 다니시는지 학사과정이 순차적으로 안되시면 3사로 편입할 생각이 있으신지요 저는 직업군인을 꿈꾸고 있는 고3입니다 선배님의 조언도 듣고 싶습니다

    • @user-rb4rp7sj1c
      @user-rb4rp7sj1c 4 года назад

      @@o_o4856 학교는 개인 신분상 밝히기 어려우나 일단 4년제 군사학과에 재학 중인정도만 밝힐 수 있겠네요..죄송합니다.
      저는 현재 4학년으로 17년도에 군장학생에 선발되어 장학금을 받으며 학교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아직 고3학생이기에 선택의 폭이 넓다는걸 말씀드리고 싶네요.

    • @user-rb4rp7sj1c
      @user-rb4rp7sj1c 4 года назад

      @@o_o4856 저는 이미 군장학생에 선발되어 이대로 군사학과를 졸업하고 학사장교 신분으로 군생활을 시작하게 됩니다.
      약 3년간 군장학생 신분으로 생활을 하며 느낀점은 능력이 있고 내가 제대로 군생활을 하고 싶으시다면 사관학교로 가시는게 맞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육사 • 3사(장기 자원)
      군장학생(중장기 자원 / 중대장)
      ROTC • 학사예비(단기 자원 / 소대장)
      보통 군에서는 이런식으로 인식을 하고 있습니다.
      내가 대학생활을 하고 군대에 가고 싶다. 이러면 군장학생이나 학군, 학사예비를 지원하는게 맞구요 ㅎ

  • @LeKniA_H
    @LeKniA_H 4 года назад +2

    새벽같이 일어나서 0830에 교장 도착해야하는 ㅈ같은 효사로 언덕, 진짜 존재는 했는지 모르는 영천역 독수리 5형제 등등
    말하고자 하면 쉼없이 튀어나오는 2년의 기억;;;

    • @Captain_kim
      @Captain_kim  4 года назад +4

      ㅋㅋㅋㅋㅋ46기다!!!!!!!! ㅋㅋㅋ 내가 라이브때 풀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박 ㅋㅋㅋㅋㅋㅋ

  • @HSK-z7y
    @HSK-z7y 5 лет назад +7

    학군 48기입니다~~ 야전에서 만난 3사 동기들과 아직도 만나서 물심양면으로 도움주고받고 있습니다. 출신 별 인식과 차별이 하루빨리 없어져야 할텐데요. 차별의 눈으로 보는 장교들이 병사들을 제대로 차별없이 지휘할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아 물론 저는 지금 큰 기업체에 다니고 있습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1

      충성! 1년선배님이시군요, 멋지십니다. 찾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 @브로큰시티
    @브로큰시티 3 года назад +1

    소령, 중령 진급율이 제일 좋은 답일듯 합니다. 물론 육사 제외

  • @캡틴주대위
    @캡틴주대위 5 лет назад +1

    해군학사장교 예비역◇◇◇입니다
    육군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해군에서는 이제 출신 이야기 옛말입니다
    옛날 할아버지할머니 이야기죠
    지휘관과 군사행정가로서의 능력은 임관하면서 스스로 역량을 쌓는거죠
    출신별로 줄세우고 이야기 한다는건 시대를 한참 뒤쳐진 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김대위님도 은연중에는 삼사가 학사 학군보다 낫다
    육사한테는 안된다 이런 말씀을 하시는거 같네요
    사관학교에서 야전을 배우나요?
    사관학교에서 갈굼과 인내를 배우지
    본인 말씀대로 군사역량을 배우는게 아닙니다
    출신이 중요 한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 본인의 의지와 역량이죠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캡틴주대위 안녕하세요! 주대위님!! 육군도 야전에선 절대 차별이 없습니다. 저는 저희가 학군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지않습니다. 전혀요, 사관학교는 언급 하셨듯이 습관을 기르는 곳입니다. 그 습관에서 나오는 것이 무서운 것이고, 사람들의 시선이 다른것도 현실이라는 점 말씀드린겁니다. 제가 계속언급하지만
      제가 제일 존경하는 대대장님은 학군이시고 제가 제일사랑했던 동기들도 학군 제일 아까는과장님은 육사, 친하게지내는 중대장님은 학사 전혀 출신은 저어어언혀ㅜ문제가 없는데,
      일부 몰지각한 교수들이 3사에 편입을 못하게 하려고 유언비어와 불이익을 주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자 입니다. 저는 정말 출신에 대해 편견이 없습니다.

    • @캡틴주대위
      @캡틴주대위 5 лет назад +2

      @@Captain_kim 멋지게 사시네요
      군생활때는 고단했는데
      지금 생각해도 장교하길 잘 했다 생각합니다
      김대위님도 그렇게 생각하시죠?
      좋은 컨텐츠 기대합니다^^

    • @Captain_kim
      @Captain_kim  5 лет назад

      캡틴주대위 넵 ㅎ 제 인생에 수많은 도전과 수많은 고비를 겪게해주고 그걸 이겨내게 해준 곳이 군대이고 장교이니까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