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역학 1.6 전단 응력 (shear stress) 개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7

  • @kiwi8177
    @kiwi817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05이중전단 그림에서 핀이 없는대신 두 물체가 붙어있는 상황에서도 이중전단으로 보면 되는건가요?

    • @SM_SooyoungKim
      @SM_SooyoungKi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단을 받는 물체를 중심으로 보시면 됩니다. 해당 상황에서 전단을 받고 있는 물체는 '볼트'입니다. 그림을 보시면 볼트에 힘을 가하고 있는 부재는 오른쪽, 왼쪽 두 가지가 있습니다.
      오른쪽 부재가 볼트에 오른쪽으로 힘을 주고
      왼쪽 부재가 왼쪽으로 힘을 줍니다.
      그 힘들 사이에 전단면이 2개 존재해서 이중전단이 됩니다.

    • @kiwi8177
      @kiwi817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SM_SooyoungKim 핀이 없는대신 접착제로 위 아래 면을 붙여둔 상황에서도 이중전단으로 판단하면 되는걸까요?

    • @SM_SooyoungKim
      @SM_SooyoungKi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질문입니다. 그 경우에도 전단면이 두 개라 이중전단으로 볼수 있겠네요.

    • @kiwi8177
      @kiwi817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SM_SooyoungKim 답변 감사합니다!

  • @kiwi8177
    @kiwi817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응력 공식에서 sigma=P/A로 알고있습니다 이 때, A의 넓이를 전단응력은 도형의 넓이이고 평균 압축응력은 도형의 둘레*높이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 @SM_SooyoungKim
      @SM_SooyoungKi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단 응력이든 압축 응력이든 응력을 구할 때 면적 A는 "응력이 작용하는 면적"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8:50 에서 오른쪽 상황에서의 전단응력 면적 A를 구한다고 하면,
      m-n면이 전단응력이 작용하는 면이 되고 해당 면은 볼트의 원형 단면적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