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의 원인은 무엇일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내가 생각하는 중력과 팽창
    이번 편은 앞으로 풀어갈 큰 틀의 이야기에 대한 티져 영상에 가까운 영상이라 가볍게 만든 영상입니다. 여기서 빠진 부분이나 다른 것들은 차차 풀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첫번째 에피소드는 큰 틀에서 "인력과 척력" 에 좀 더 집중한 영상이니 그 부분 이해 바랍니다.
    이 영상이 누군가에겐 가치가 없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누군가에겐 생각을 넓힐 수 있는 시간이 된다면 전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영상을 보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영상
    • [술술과학] 역사를 알면 특수상대성이론은...

Комментарии • 507

  • @꼰미남-z3r
    @꼰미남-z3r Год назад +48

    1번 구독자입니다~ 잘볼게요

    • @Trans_insight
      @Trans_insight  Год назад +8

      고맙습니다.

    • @렉시엘
      @렉시엘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Trans_insight왜 영상이 더 안나오나요? 정말 궁금해서 그래요ㅠㅠ

    • @Trans_insight
      @Trans_insight  4 месяца назад +2

      ​@@렉시엘더 완벽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배경복사와 필라맨트 구조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찾아야하며 또한 적색편이에 대한 다른 시각도 설명을 해야하기 때문에 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을 격고 있습니다. 기다리게 해서 죄송합니다. 핵심 증거들이 모이면 다음편 만들께요. 그게 지금 잘 안되고 있네요.

    • @배규현-g3w
      @배규현-g3w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저도 궁금합니다

  • @정해원-f7f
    @정해원-f7f Год назад +9

    내면적으로 이정도의 상상과 그 상상의 정리를 어느정도 마치신분이라면 내부로 에너지를 엄청쏫아서 외부적인부분이 소홀할수도 있고 힘에 부치실수도 있지만 수학적인 정의를 포함하여 논문올려 보심이 좋을것 같습니다
    혼자가 어려우시다면 천체물리학쪽 교수님들께 영상과 함께 도움을 청하시면 충분히 흥미를 가질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이정도 정성으로 본인의 생각을 영상으로 전달하시고자 한다면
    분명 하실수 있다고 믿어의심치 않습니다.
    논문 자체는 온세상이 공유할수있는 주장이며
    이주장을 근거로 더많은부분이 검증되며
    확인되는 노력이 벌어질겁니다
    그것자체가 인류의 발전으로 이어질것이고요
    개인적으로는 주장하신 내용들이 후대에 기록될 엄청난 발견의
    한 과정속을 보고있고, 피드백하고 있다고 생각되어 지릴것 같습니다.
    당신의 생각을 응원합니다 !

  • @ahcrasa2884
    @ahcrasa2884 Год назад +21

    진심으로 매우 흥미롭게 봤습니다.
    모두가 흔히들 중력이라고 부르는, 우리가 지구 중심부로 끊임없이 가속하는 이유가 뭘까에 대해 예전부터 호기심이 많았던 1인인데요.
    본 영상의 설명이 비록 사실이 아닐지라도 관점과 발상의 전환, 그리고 새로운 영감을 얻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starrrrrrrrrrrrrrrrrrrrrrrrr
    @starrrrrrrrrrrrrrrrrrrrrrrrr Год назад +15

    중력은 시공간의 팽창으로 인한 우리의 착각(?)이 맞는거 같애요. 대단한 직관력이네요.

    • @JalJaranda
      @JalJaranda Год назад +8

      마치 버스에 타고 가만히 있는데 옆차가 움직일때 내 차가 움직인다고 착각하는

    • @kihojoa
      @kihojo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것만으론 설명이 안되는 지점이 있습니다.

  • @김재벽-y3i
    @김재벽-y3i Год назад +3

    멋집니다
    쉬운 설명 모델을 제안드립니다.
    영상에 나오는 트렘펄린처럼 평원면이 늘어나는 공간확장 이미지는 4차원 초구체 모델과 맞지 않습니다 . 2차원 평원면의 중심을 질량체가 깔때기 모양으로 중심을 향해 중첩되게 접어서 공간을 말아먹는 형태입니다.
    마치 우산면이 접히듯이 말입니다.
    지음지우를 만난 기분입니다.
    대단하십니다.

  • @멘소레담
    @멘소레담 Год назад +3

    그렇죠. 과학이 종교와 다른 이유는 항상 원인을 탐구하는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생명은 왜 존재하는가?
    신이 만들었기 때문 = 유기물에서 진화하였기 때문
    (유기물에서 진화해야만 하는 필연적인 이유를 말하지 못하므로 둘 다 믿음의 영역)
    사과는 왜 떨어지는가?
    신이 그렇게 창조했기 때문 = 질량이 있으면 끌어 당기기 떄문 (마찬가지 믿음의 영역)
    과학도 가장 원론적인 이야기로 들어가면 '믿음의 영역'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항상 아쉬웠었거든요.
    불변의 '대전재'를 깔아 놓고 이것에 대한 설명이 없었으니...
    참신한 생각 잘 듣고 갑니다.

  • @Buddhainaroom
    @Buddhainaroom Год назад +2

    잘지내시나요? 오매불망 다음 영상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벌써 23년도 거의다 지나가고있습니다. 트랜스인사이트님께 즐거운 한해였기를 바라고 앞으로도 늘 행복과 행운이 가득하기를 바랍니다!

  • @온케이-w5g
    @온케이-w5g Год назад +3

    영상 대박입니다. 설명하는 걸 그대로 모델링한걸 알고는 그 표현력에 감탄을 했습니다.

  • @이름을입력하세요-c1y
    @이름을입력하세요-c1y Год назад +41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만약 주장하신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 할지라도 과학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내용을 깔끔하게 정리해서 올려주신 것은 굉장히 용기있고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통찰력 있는 주장을 해도 수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으면 터무니없는 소리로 취급받았던 일이 우리 역사에 많았으니까요..)
    그나저나 자기 의견을 이렇게까지 차곡차곡 정리해서 영상까지 만드시는게. 쉽지 않은 일이라는 걸 알아서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ㅠㅠ

    • @정진석-u4q
      @정진석-u4q Год назад +1

      제 페북에 나름으로 소개글을 써서 올렸어요. 제가 잘 이해는 못했고 따라서 맞지 않게 소개한 것일 수 있어서 여기에 제가 이해한 부분을 어느정도 나눌 수 있겠다 싶어서 올려봅니다.
      기본 지식이 너무 없지만 그저 내 안의 또하나의 직관과 언어의 뭉뚱거리는 힘에 의존해서 써본 글
      중력과 우주팽창을 하나의 힘, 하나의 현상으로 설명한다. 사차원 사물의 위상적 특성(?잘 이해는 안가지만...)을 통한 상대론적이고 수학적(차원에 관한 것은 기하학인가?)인 설명으로 암흑에너지가 우주 팽창을 시킨다는 현대 천문학의 정설을 뒤집는다. 암흑 에너지를 중력에의한 상대론적 위치에너지로 대체(?)한다.
      안과 밖이 서로 뒤집히는 위상적 특성, 질량이 큰 물체가 가지는 상대론적으로 팽창하는 힘, 위치 에너지가 물체가 큰 질량에 사로잡힌 상대적으로 작은 물체가 중심을 향해 떨어지는 물리적 현상을 유발한다는...
      우주의 팽창이 곧 중력이 되고 시공간의 곡률이 되는...
      양자의 영역까지 확장하여 이 아이디어를 설명하는데, 과학적 지식이나 상상력이 부족하여 제대로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아이디어 수준, 그리고 세상을 기이하게 여기는 내 마음 속의 어렴풋한 또 하나의 직관으로 동의도 되고 매력도 느끼게 되는 이야기였다.
      이 이야기를 들으며 왜 우주론이나 물리학에서 이와같은 "정설"을 만날 수 없었는지가 오히려 궁금해지는 느낌...
      너무 이론적이라서 그런가... 싶기도 하고...
      최근에 블랙홀(무거운 질량)이 우주팽창의 원인인 암흑 에너지와 관련 있어보인다는 연구논문 소식을 접할 수 있었는데, 지금 소개하는 생각이 블랙홀 이라는 거대 질량의 우주현상에서 더 특징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도 해봤다.
      실제로 이 동영상에서 블랙홀을 사차원 물체의 위상적 특징의 대표자로 소개하기도 한다.
      양자적 특성(중첩), 양자 도약과 같은 물리 현상에까지도 확장된 이 생각은 수학적, 이론적 추론에 대한 물리적 지표와의 연결에도 튼튼한 다리들을 가지면서 수많은 연구를 이끌 수도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드는데, 왜 "이런 틀의 정설"을 만날 수 없었을까... 라는 의문이 들었던 것.
      백번 들어 익숙해지기~

  • @kaiserji
    @kaiserji Год назад +4

    790번째 구독자 입니다.
    더 내놓으세요. 영상. 당장.

    • @Trans_insight
      @Trans_insight  Год назад

      아 맞다. 어서오세요. 환영합니다. 🤚🤚

    • @kaiserji
      @kaiserji Год назад +1

      @@Trans_insight 엄훠나..이 영상도 너무나 훌륭하심돠~ 그냥 생각들 정리되는대로 마구마구 올려주쎄용~~ 좋아요와 함께 잘 받아먹겠슴미당

  • @cotana3823
    @cotana3823 Год назад +3

    제 생각이랑 똑 같은 생각을 하시는 분을 만나다니. 시공간의 팽창이 중력을 만든다는 생각을 늘 하고 있었는데 이럴수가..

  • @machine0083
    @machine008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마치 천동설을 보는 듯한, 알지도 못하는 개념을 덕지덕지 넣어놓은 주류 이론에 비해 더 심플한 설명입니다.
    증명에 있어 여러 실험이 필요하겠지만.
    오컴의 면도날이 필요하겠군요.
    응원합니다.

  • @ericsson7518
    @ericsson7518 Год назад +6

    개인적으로 대박이라고 생각합니다. 계속 좋은 내용 부탁합니다 ^^

  • @아미티빌
    @아미티빌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평소에 중력에 대해서 많이 생각하는 편인데 뭔가 제대로 설명할순없지만 우주가 팽창하는 관성에 의해서 중력이 생기는게 아닐까 생각하고 있었는데 영상주인과 생각이 유사한거같네요.. 어떤 이유에 의해서 공간이 질량을 미는듯한 상대적 작용 말이죠
    우주가 수축할땐 블랙홀도 소멸하겠네요

  • @Buddhainaroom
    @Buddhainaroom Год назад +7

    미쳤다 ㄷㄷㄷ 이게 사실인지 아닌지는 저로서는 알 방법이 없지만( 근데 왠지 사실같음) 이러한 발상이 얼마나 대단한건지는 알 수 있습니다. 정말 멋지십니다!

  • @이촌동영어
    @이촌동영어 Год назад +4

    그동안 내가 궁금해했던것에 설명을 해주니 감탄할뿐~

  • @yeramfafa
    @yeramfafa Год назад +1

    정말 좋은 상상력 입니다, 테서렉트처럼 우리 우주 시공간 곡률이 펴지면 다시 접혀지는 그 순환고리의 입방체 형태가 이 우주에 보이지 않게 작용하는 것 일 수도 있죠, 그 차원 안에서는 가장 큰 것이나 아주 작은 것 사이의 구별이 의미 없는 칼라비 야우 공간이 존재하고 그 공간을 거처 우리 우주는 펼쳐지거나 접혀짐을 무한반복 하고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 @휴잭맨베어울프
    @휴잭맨베어울프 Год назад +21

    과학은 맞고 틀림을 떠나 제시하고 검증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작성자님을 응원합니다.

  • @SangminLee-w4r
    @SangminLee-w4r Год назад +3

    입자들의 에너지가 감소하여도 공간은 팽창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나여
    이전: 2cm 물체 - 10cm 공간
    이후: 1cm 물체 - 10cm 공간
    주변 에너지 비율은 일정하여 변화가 관측되지 않으나 공간은 상대적으로 팽창하는 것으로 보임
    팽창하는 시공간 vs 소멸하는 점공간에너지 이 둘은 같은 문장이 아닐까요
    세상이 팽창하는지 나만 축소하는지

  • @리아코리아
    @리아코리아 Год назад +10

    와우!! 시공간의 팽창 때문에 느껴지는 힘인데............ 박수를 드립니다. 친하게 지내고 싶어요~

    • @Trans_insight
      @Trans_insight  Год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굿모닝 입니다. 만나서 반가워요. ^^

    • @리아코리아
      @리아코리아 Год назад +2

      @@Trans_insight 반가워요 😀

  • @신동일-j1f
    @신동일-j1f Год назад +4

    대단히 특이하고 또 설득력있는 말씀입니다.

  • @hjlee2234
    @hjlee2234 Год назад +5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를 생각하면서 시공간이 큰 틀에서는 질량에 관계 없이 자체적으로 요동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막연한 생각이 들곤 했습니다. 그 요동에 의해 음과 양처럼 중력과 반중력이 생기는 것이 아닐까 하고요.
    광대한 라니아케아의 필라멘트를 상상하고 있을 때는 시공간이 계곡처럼 흐르는 모양을 상상하기도 하고, 거품 구조을 보면서는 보이드 중심에서 시공간의 팽창을 상상해 보기도 합니다. 필라멘트 바깥에선 우리는 중력을 어떻게 느끼게 될까요?
    일반인의 허접한 상상이지만 영상을 보면서 궁금증의 실마리에 좀 더 다가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4차원으로 상상의 나래를 펼칠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 @nawukimuran
    @nawukimuran Год назад +4

    저는 중력과 빛이 우리차원의 것이 아니지만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생각하거든요.
    우리가 아는 3차원 공간에서 빛의 속도가 누구에게나 일정하게 관측된다는 것이
    그런 생각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 @온케이-w5g
    @온케이-w5g Год назад +1

    질량이 있는 물질은 팽창하지 않고 시공간만이 팽창한다는 말이죠? 그 팽창의 역방향으로 관성력이 생기는데 그것이 중력가속도이다. 그리고 그 방향은 모든방향이고 떨어지는 빗방울처럼 무작위 방향이다. 이렇게 이해하면 됩니까?

  • @물음표두개
    @물음표두개 Год назад +7

    와 대칭성 상대성 모두 만족하네요. 중력을 3차원공간의 왜곡으로 설명하는 영상을 보며 항상 그래서 왜 왜곡된 공간으로 떨어지는지 의문이었는데, 팽창의 상대적인 형태가 중력이라 이해하고 팽창은 4차원 상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이라면 상당부분 이해되네요

  • @정진석-u4q
    @정진석-u4q Год назад +5

    어제 이런 정의를 해봤어요.
    "시간은 질량에 의한 공간의 운동이다"
    시공간이란 개념이 공간에 교차된 시간, 3차원 공간에 시간이란 하나의 차원을 더한 개념이라기보다(혹은 ~이 아니라) 하나의 개념이라는 데 이르는 경험(내겐 그것이 하나의 정의라기 보단 하나의 경험 같았어요. 작은 깨우침같은...)을 님의 설명을 통해 하게 되었어요.
    내가 느낀 시공간 개념을 정의해보고싶은 생각이 들어 얼핏 든 생각을 함 나눠봤어요.

  • @김건형-n8l
    @김건형-n8l Год назад +3

    감사드립니다. 정말 멋진 생각입니다. 멍해지네요.

  • @유유-v4s2n
    @유유-v4s2n Год назад +3

    저도 같은 생각으로 오랜 시간 고민했습니다. 다만 저는 전공자가 아니라 지식이 불완전하기때문에 감안해주세요 ㅎㅎ
    중력 렌즈의 원인은 빛은 질량이 없기 때문에 늘어나는 공간속에서 좌표가 고정되기때문에 팽창되는 공간에 의해 밀려남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며, 블랙홀은 팽창하는 속도가 한계 속도를 넘어가 빛이 지나가는 속도 보다 빠르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질량이 존재하는 물질은 늘어나는 공간에 관성이 작용하며, 빛과는 다르게 관성의 작용으로 중력이 생기는게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또한, 저는 공간의 팽창이 자전하고 공전하며 움직이는 지구가 공간을 끊임없이 잡아 당기고, 그 공간을 빛이 지나감으로서 채워지는(관측되어) 늘어난 공간이 유지가 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 @iijen-rq4zy
    @iijen-rq4zy Год назад +9

    누군가 불편하단거에 집중하시지 말고 자유로운 생각을 눈치하나 보지말고 자유롭게 공유해 주셨으면 합니다. 자유로운 상상과 가정에서 시작한 아이디어를 잘 정리하시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는 노력또한 굉장히 흥미가 끌리네요. 이렇게 영상을 만들기까지 마치 보이지않는 암흑속에서 무언가를 만지고 확인하려는 듯이 상상하는 과정과 생각하는 과정을 수도없이 거치셨을텐데, 이러한 일반인들에겐 불가능할정도로 어려운 행위를 하실 수 있다는것에 자부심을 가지셨으면 합니다.
    당연히 구독했고 다음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 @seungminchoi6599
    @seungminchoi6599 Год назад +16

    좋은 상상력을 지니셨네요. 매우 흥미로운 발상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 좋은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 @ups1921
    @ups1921 Год назад +17

    들으면서 정말 논리적으로 이해가 되는 예들이 모두 유기적으로 맞아지며, 머리속에서 이해되는 충격에 정말 감탄 했습니다... 살면서 다시 이런 느낌을 받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 @jj2j2002
    @jj2j2002 Год назад +3

    저도 비슷하게 생각중이였는데.. 중력에 관한 설명이 너무 신선하네요.
    구독 좋아요 클릭하겠습니다. 정말 대박입니다.

  • @itsskim1123
    @itsskim1123 Год назад +4

    이제서야 감이 좀 잡히는 것 같네요. 항상 먼가 빈 듯한 느낌이 있었거든요. 너무 훌륭한 영상 감사합니다 👍

  • @shozone21
    @shozone21 Год назад +1

    갑자기 중력의 원인에 대해 깨달은 것 같아서,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있을까 찾아보다가 이 비디오를 보았습니다. 많이 비슷한 생각을 먼저 하신것 같아서 글을 올립니다. 저는 일반인으로 호기심이 많아 여러 영상을 즐기는 편입니다. 아직 지식도 부족하고, 제생각이 착각일 수도 있지만, 기회가 된다면 저도 영상을 제작하여 공유하고 싶네요. 잘 봤습니다.

  • @alpakasynergy
    @alpakasynergy Год назад +3

    중력에 대해서 혼자 깊게 소설 쓰는게 제 취미인데, 저랑 비슷한 채널이 있네요
    저는 중력이라는게, 질량을 가진 물체가 그 주변의 단위시간/공간을 삭제하는 자연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는 두 물체가 서로를 당기는게 아니라 단위시간/공간이 작아지는 것이지요.
    이렇게 삭제되는 단위시간/공간은 고차원에서 potential 의 형태가 되어 전 우주에 고루 퍼지고
    이것은 우주자체가 전방위로 팽창하는 상황이 됩니다.
    당연히 뇌피셜이고 근거는 없습니다.

  • @snowcho1331
    @snowcho1331 Год назад +11

    영상 1개만으로도 바로 구독을 누르게 만드는 힘이야 말로 최고의 중력을 내피셜님은 갖고 있다고 봅니다. 응원합니다.

  • @black-y4215
    @black-y4215 Год назад +1

    저도 이점에 대해 생각을 해봤습니다 쉽게 비유를 해보자면 풍선을 부풀리는 방법은 2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풍선입구에 공기를 불어 부풀리는 것과 입구를 묶고 음압챔버에 넣어 음압을 가하는 방법으로 비유가 가능하죠 풍선이 부푸는것이 중력의 모습이라면 그것이 음압에 의해 부풀어졌는지 내부에 공기를 넣어 부풀어 졌는지 풍선의 입장에서는 이해 하기 힘들죠 중력이라는 것도 우주의 팽창으로 만들어진 공간이 부풀어 올라 중량이 있는 곳으로 밀려가는 현상 이것이 중력이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 @t.s8310
    @t.s831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흠...다 본 후 우주 자체가 화이트 홀이 아닐까 그래서 팽창이 멈추지 않는거 아닐까 생각 했어요. 블랙홀이 다 없어진다면, 중력도 사라질까? 혼자 상상의 나래를 한 5가지는 하게만드는 좋은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

  • @딩동댕-p9f
    @딩동댕-p9f Год назад +1

    예전에 중력이란 게 우리가 인식할 수 없는 차원의 방향으로 가속하는 힘이 아닐까?란 생각을 한 적이 있는데 (예를들어, 버스가 가속하면 버스 끝에 있는 사람이 느끼는 것과 같은 힘인데, 단지 움직이는 방향이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3차원 공간이 아닌 다른 방향이라 그 움직임을 인식할 수 없으며, 우리는 3차원 공간에 갇혀 있는 존재라 마치 버스 끝에 걸린 것 같이 중력을 느끼는 것), 이 것과 비슷한 개념인가요? 중력이 다른 힘에 비해 약한 이유가 다차원에 분산작용하는 힘이기 때문일란 이야기에서 착안한 생각이었는데요. 본 영상은 우주에 흥미가 있는 그냥 일반인 입장에서 새로운 개념을 듣다보니 어렵긴 하네요. 이 게 주류과학은 아니겠지만 아주 흥미롭습니다.

  • @qkqorkoqrqkwkodqjwfqi
    @qkqorkoqrqkwkodqjwfqi Год назад +4

    그렇다면 자연계 4개의 고유한 힘 중력 전자기력 강력 약력 은 독립된 힘들이 아니라 고차원의 어떠한 알수없는 1개의 힘이 3차원이란 곳에서는 저렇게 나뉘어져서 우리들에게 보여지는 것이라 볼 수 있겠네요. 통일장이론과도 유사해보입니다.

  • @mubae-choi
    @mubae-choi Год назад +18

    요즘 본 과학채널의 정보를 바탕으로 설명하시는 느낌으로 생각을 해 봤는데 재미 좋네요
    이거 만드시는데 시간 꽤 걸릴듯 한데 다음 이야기도 기대됩니다

  • @서비얌-c5l
    @서비얌-c5l Год назад +5

    와 최근 우주에대한 영상을 많이 봣는데.새로운 시각으로 보은거같아서 굉장히 흥미롭습니다 수학적으로 아직 나오진 않앗더라도 이러한 개념으로 접근한다는 자체가 대단하시네요 구독 바로 박습니다

  • @dugo7119
    @dugo7119 Год назад +4

    중력의 원인 흥미있는주제이긴한데. 알듯모를듯.
    2번보고 버스하나 건졌슴.
    재밌게보여서 생각날때 계속봐서 무슨소리인지 알아낼꺼임.
    도대체 뭘드시면 저게 직관으로 오는 수준이 될수있는건지.. 진짜 대단하심(댓글러들 포함... 저게 바로 무슨소리인지 이해가 되는 수준자체도 대단한거 같은)

    • @Trans_insight
      @Trans_insight  Год назад +2

      이 대댓글을 보실지는 모르겠지만 글 남겨봅니다. 쉽게 말해서 시공간이 휘어지는 현상이 단순히 휘어져있는게 아니고 중력장내에서는 시공간이 물 처럼 흐르듯 팽창하며 움직이고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한마디로 그릇의 형태로 정적이게 휘어져만있는게 아니라 초구체의 형태로 시공간이 움직이고 있다는거죠. 그 결과물이 중력이고 중력랜즈효과는 바로 그것을 눈으로 보여주는 현상일거란 이야기 이구요.
      그리고 추가로 양자 얽힘이란 현상이 단순히 사람들에게 순간이동이나 하라고 있는 자연현상은 아닐테니 그것의 기전은 우주적 균형을 위해 있는 자연현상 중하나라고 생각했고 그것이 왜 있을까? 그리고 그게 뭘하기 위해 있는것일까? 라는 의문이 생겼고 그 질문에 대한 결론을 영상 말미에 언급한 수축된 시공간 에너지는 메비우스의 띠 처럼 무질서하게 얽혀있다고 표현한 것이었습니다.

  • @gaze1004
    @gaze1004 Год назад +4

    설명하신 중력의 원인이 불교의 윤회(흐름) 그리고 프랙탈 구조와도 참 닮았다는 게 제 뇌피셜 입니다. ^^

    • @김잭스-h5y
      @김잭스-h5y Год назад +2

      불교의 윤회하고는 좀 차이가 있는것으로 아는데

    • @gaze1004
      @gaze1004 Год назад +2

      @@김잭스-h5y 네, 글이 조금 구체적이지 못해 오해하실 수도 있겠습니다. 제가 이해하고 있는 불교의 윤회는 무명과 갈애가 원인입니다. 특히 힌두교나 자이나교에서 주장하는 윤회와는 절대 같지 않습니다. 그런 옳거나 그릇된 갈애(집착)들에 기인한 흐름이나 현상들을 중력 또는 암흑에너지라 불러도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그런 굴레에서 잘 벗어나는 게 열반이겠네요.

  • @슈굿
    @슈굿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저도 비슷한 생각을 하고있는데 중력에 대한 새로운 관점에 박수를 보냅니다.

  • @inboshim
    @inboshim Год назад +2

    저도 이러한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데 이점에 대해서 정리를 해서 후에
    한 번 올려볼게요^^

  • @나으리-j6h
    @나으리-j6h Год назад +3

    머리가 펑하고 틔이는 느낌을 받았네요. 최근 연구에서 우주 전역에 펼쳐진 암흑에너지 밀도가 거의 균등하다는 결과도 있었죠. 이 역시 이 영상 논리의 반증으로 사용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정말 농담이 아니고, 관련 내용 정리하여 논문 좀 써놓으시는건 어떠실지요.

  • @Bitcoin_DCA
    @Bitcoin_DCA Год назад +1

    몇달전에 보고 다시 왔습니다 ㅎ 옛날부터 암흑에너지는 없을거같다는 생각을 갖고있었는데 이렇게 이해가 되게 해버리시네요 나중에 성지순례로 유명해질거 같은데 그날이 기대됩니다.

  • @팅eL
    @팅eL Год назад +2

    우주가 커지는 방방이 같은데요? 중력의 원인이 시공간의 팽창이라면 시공간 팽창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잘보고 갑니다.

  • @초승달-l9u
    @초승달-l9u Год назад +2

    와 대박 이론적으로 파고들어 연구해볼 가치가 충분한 가설이네요!!!

  • @요놈-y6s
    @요놈-y6s Год назад +1

    저의 평소생각과 굉장히 비슷하네요 ㅎㄷㄷ 저는 현실을 시간축까지 4차원이라고 생각하기때문에 5차원적 팽창이 일어나서 중력이 발생하는 거라 생각하고 있습니다....어느방향으로 가더라도 빛의 속도로 갈 경우 시간의 진행이 정지가 된다는 것은 시간축의 방향은 모든방향이고 중심이 없기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아 그리고 한가지 더 근거를 추가하자면 관성력을 만드는 관성질량과 중력을 만드는 중력질량이 같은 이유를 어느 과학자도 설명을 못하고 단순히 우연으로만 생각하는데 중력이 관성에 의한 현상이라고 생각하면 아주 단순하게 설명이되죠....결국 질량은 관성력을 만드는 관성질량만 존재하는 것이죠

  • @dmagodpdy
    @dmagodpdy Год назад +1

    다음 영상 언제올라오나요 ㅠㅠ 그리고 나중에 상위 차원에 대한 영상도 보고싶습니다 잘보고갑니다

  • @최원철-w8h
    @최원철-w8h Год назад +3

    제가 잘 이해한건지 몰,겠지만 대단한 영상이네요. 어렴풋이 내용을 요약하자면 우주팽창 가속도가 곧 중력의 실체라는 의미 맞나요? 관련되어 천체물리학계에서도 많이 연구되고 있나요?

  • @Claymore-chobo
    @Claymore-chobo Год назад +5

    중력에 대해 밝혀낸다면 아마 노벨상을 받을듯😂 아무도 중력에대해 모름😢 근데 사실 중력은 어쩌면 공간이 아니라 원심력에 의해 생겨난 부차적인 현상이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도 듬. 중력은 생각보다 약하거든요.
    중력의 비밀을 밝혀낸다면 앞으로 과학기술은 크게 도약할거 같아서 저도 궁금하고 꼭 밝혀주었으면 합니다😂

  • @yingcracker7513
    @yingcracker7513 Год назад +4

    대단한 영상 입니다. 아주 흥미롭군요.. 바로 구독 했네요

  • @뿅아리-b1c
    @뿅아리-b1c Год назад +1

    인간이 상상할수 없는것들이 세상에 존재한다.
    미국 우주비행사가 꼬마아이에게 말했던 대사로 인해
    저는 살아가면서 볼수없는 것들에대해 상상을 자주합니다.
    상상력을 통해 진화한 호모사피엔스가
    상상할수 없는 것들이 있다는것이 제겐 충격이었죠.
    4차원 초구체 표현법이 아주 인상 깊네요
    마치 3대종교에서 주장하는 물아일체 처럼 말이죠
    중력원리 입증이 된다면
    인간의 사고력이 어떤 패러다임을 따라갈까요?
    상상만해도 가슴이 뜁니다
    올리신 영상은 마약이 따로없네요
    합법적 마약 더 부탁드립니다
    형님의 견해 아주 재밌게 잘 보고갑니다
    건강하세요

  • @leepluvia9167
    @leepluvia9167 Год назад +4

    우리는 회전관성과 직선관성은 알고 있습니다.
    다양한 주파수의 궤도관성이 존재한다면 궤도의 곡률이 0이면 직선관성입니다.
    궤도관성은 존재할까요?
    진지하게 연구를 지지합니다.

  • @kiloakim18
    @kiloakim18 Год назад +2

    시공간 팽창되는 곳으로 떨어지는 것이 중력효과로 나타난다는 말씀으로 이해되는데 맞는지 모르겠네요. 아무튼 영상과 설명 멋지네요 화이팅. 구독합니다

  • @Buddhainaroom
    @Buddhainaroom Год назад +2

    궁금한게 있는데요. 그럼 시공간 팽창의 원인을 질량이라고 생각하시는 건가요?
    지금 정설은 시공간 팽창의 원인을 암흑에너지로 보고 있잖아요. 근데 그게 아니라 질량이 시공간을 팽창시킨다고 생각하시는 거예요?
    그리고 이영옥교수도 암흑에너지가 없다고 주장하는데 그래서 팽창설 자체도 지지하지 않잖아요. 근데 내피셜님은 우주 팽창설 자체는 지지하시는겁니까?

    • @Trans_insight
      @Trans_insight  Год назад +1

      그걸 설명하려면 댓글로는 부족하구요. 정확한 비유는 아니지만 대충 비유하자면 저 논리대로라면 작은 분수대에서 물을 어떻게 순환 시키는지 생각해보면 대충 그거랑 비슷할 겁니다. 그리고 물론 아직 더 자세한 조사가 필요한 부분이긴 하지만 저는 적색편이와 배경복사가 지금 주류학계에서 설명하는거랑 전혀 다른것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 팽창 부분은 이영욱 박사 님의 주장을 지지하고 있어요. 원래 초고때는 이 영상에 원래 적색편이와 암흑물질론의 이상한 점들도 있었는데 그렇게 되면 첫영상부터 너무 급진적이고 공격적인 부분이 될것 같아서 그냥 지금처럼 최대한 톤다운해서 더 짧게 만든 겁니다. 솔직히 전 빅뱅도 안믿습니다.

    • @Buddhainaroom
      @Buddhainaroom Год назад +1

      @@Trans_insight 기대가됩니다. 앞으로도 끝내주는 인사이트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tototoday7609
    @tototoday7609 Год назад +8

    감사합니다. ! 뭔가 클라인병이 생각나기도 하고..
    상대성이론 공부할때도 이건 4차원을 알아야 이해가 되겠다고 항상 생각해서 공간관련책, 4차원 그림책을 여러권 사서 보다가 안읽은지 몇년 되었는데..다시 읽어야겠어요.

  • @someoneLime
    @someoneLime Год назад +2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중력이 사실 시공간의 팽창이고 이를 아인슈타인의 등가원리를 이용해 중력으로 느낄 수도 있다는 주장... 현실과는 다르지만 와우! 좋은 주장입니다 이런 생각을 한 것 조차 놀랍습니다..!

  • @OxXxc
    @OxXxc Год назад +2

    전 비전문가라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우주의 팽창하는 힘이 중력과 같다고 생각했는데 좀더 전문적으로 들으니 좋네요 계속 연구해주세요

  • @최원철-w8h
    @최원철-w8h Год назад +3

    2편 언제나와요ㅜㅜ 현기증나요 암흑물질 빨리 업로드 부탁드려요

    • @Trans_insight
      @Trans_insight  Год назад +3

      죄송해요. 더 조밀한 구성 생각하느라고 대본 완성이 늦어지고 있네요.. 첫영상 보다 더 치밀하게 만들고 싶어서 말이죠. 시간 좀 주세요.흐흑. ㅠㅠ

    • @최원철-w8h
      @최원철-w8h Год назад +2

      매일 내피셜 검색해서 영상떴나보고 있었는데 채널명이 바뀌어있어 당황했네용

    • @Trans_insight
      @Trans_insight  Год назад +2

      저는 이분의 말씀을 좀 더 지지하고 있으니 우선 이분의 영상 추천 드립니다. 일단 이거보고 갈증을 조금이라도 해소하시길 바랍니다.
      ruclips.net/video/jeuQWvxNEFQ/видео.html
      ruclips.net/video/BE1i20DzaAc/видео.html

  • @homegirl_cook
    @homegirl_cook Год назад +2

    우주의 4차원적 시공간 팽창과 중력간의 관계를 이렇게 연관짓는 관점이 흥미롭습니다. 이를 확장해서 다른 힘도 같은 관점으로 연관시킬수 있지 않을까요?

  • @yhj6292
    @yhj6292 Год назад +2

    정말로 흥미로운 주제라서 댓글과 대댓글까지 정독했습니다
    엄청나게 공격적이고 급진적인 이론이네요 그러나 논리적으로 상당히 설득력이 있어보여서 부디 증명을 해내시길 정말로 바랍니다.

  • @다크블루-c3b
    @다크블루-c3b Год назад +2

    우와 제 생각과 너무 똑 같아서 소름
    구독 꾹 누르고 갑니다
    화이팅

  • @gonsguitar
    @gonsguitar Год назад +1

    너무 훌륭하십니다~!!
    아인슈타인이 이 영상을 봤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드네요!
    다음 영상도 기다립니다❤

  • @e3l-y7d
    @e3l-y7d Год назад +2

    어느 설명보다 중력에 대한 이해가 잘 되는듯 합니다.

  • @HUMANLIFE-up2kv
    @HUMANLIFE-up2kv Год назад +5

    노벨상급 내용인데요! 최소한 아인슈타인이 닐스보어의 양자역학에 대해 한 것처럼 강하게 반발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Nein_somn
    @Nein_somn Год назад +3

    상당히 흥미롭네요.
    암흑물질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우주 필라멘트 구조가 생기려면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이 이론으로는 그 부분을 해결 할 수 있을까요? 혹은 은하 외곽 부분의 속도가 계산보다 빠른 현상은 설명할 수 있을까요?
    물론 저도 확신은 없지만 암흑물질은 예전 에테르와 별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하는 편이긴 합니다. 질량만 있고 빛이나 뭐 다른 어떤 것과도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게 납득이 안 가더군요.
    예전에 블랙홀이 늘어나는 만큼 우주가 팽창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그것과 연관지어 생각해보면 질량이 우주 팽창과도 연관이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다음 편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cs259700
    @cs259700 Год назад +1

    저는 개인적으로 시공간의 흐름과 인간의 의식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의식이 고차원적 영역에서 팽창의 에너지원일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 @tototoday7609
    @tototoday7609 Год назад +2

    원심력, 구심력 같기두...?
    중력보다는 우주의 팽창을 기본으로 하는 관점에서 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우주밖에서 우주를 바라보는 느낌으로...

  • @jingun75
    @jingun75 Год назад +16

    중력의 정체에 대해 저도 어렴풋하게 느끼고 있던 점이었는데 정말 영상으로 잘 정리해주셨네요. 잘 봤습니다. 저도 제 뇌피셜을 더 확장시켜보면 결국 유(有)와 무(無)도 같은 것일 수 있겠다는 생각까지 들고 말았네요. 내 눈앞에 놓여있는 사과는 지금 한자리에 가만히 고정되어 있어 보이지만, 고차원 존재의 시점으로는 지금 이 순간(? 고차원 존재에게는 지금 이 순간이겠지만 우리에게는 수천억년의 시간이겠죠) 도 그 사과 한알이 우주만큼 커졌다가 다시 한점으로 작아져 소멸되었다가 또 다시 우주만큼 커졌다가 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커졌다가 작아졌다가 한다는 것은 그저 3차원에 살고 있는 우리의 시점으로 본 것일 뿐이겠지만요. 고차원의 존재에게는 커졌다가 작아졌다 한다는 3차원 생물들의 인식 자체가 저차원이라고 생각할 것 같습니다.)

    • @nafarmer1
      @nafarmer1 Год назад +2

      당신의 생각을 응원합니다 유와무에 대한 깊은 생각은 당신의 의식을 더 높은 차원으로 나아가게 할겁니다 .저도 같은 노력중이고요.

  • @apple010
    @apple010 Год назад +2

    오 좋은 아이디어 💡 질량은 공간을 만든다!

  • @jaeheekim6661
    @jaeheekim6661 Год назад +3

    이햐하긴 어렵지만
    새로운 사고방식을 갖게하는 영상이네요^^

  • @펄사
    @펄사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미립자 질량은 에너지이며 실재이기때문에 파동으로 존재하겠지요 이런파동이 중첩이 무한대로 이루어지면 초구체의 형태로 곡률을 이루며지면서 무한팽창과 무한당김이 중첩상태로 순환하는 원리일까요? 주신 영감으로받아 소설좀 적었보았니다😅

    • @Trans_insight
      @Trans_insight  4 месяца назад +1

      @@펄사 안녕하세요. 음..우선 중요한 핵심은 우리는 아직 중력의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며 그것의 정체를 정확히 모른다는 면에서 그것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암흑물질이나 암흑에너지 따위의 가상 입자와 가상 에너지를 추가 상정하여 그 공간에 대한 무지를 설명하려 시도 하고 있다는 사실 입니다.
      전 과학계의 이 현상이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고 하는 행태에서 나온 이원론적 사고체계라고 생각하며 이러한 이원론적 사고체계에서 우주를 설명하려 시도 했던 사건이 수성의 세차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했던 가상의 행성 벌컨(현 암흑물질과 비슷)과 빛의 매질이라고 믿었던 에테르 (현 암흑에너지와 비슷)를 도입하는 등 그 때와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 서구적 기독교적 이원론적 우주론은 진실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서 이와 같은 우주론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시청 감사 합니다.

  • @쉬바쉬바-s2h
    @쉬바쉬바-s2h Год назад +3

    이 영상을 보니, 중력또한 아직 발견되지 않은 중력입자가 있어서 4차원 이상의 흐름으로 중력입자가 -와 +로 분리되어 흐르는 것을 우리가 중력으로 느끼는것이 아닌가 추측하게 되네요

  • @정진석-u4q
    @정진석-u4q Год назад +7

    제가 왜 이런 정설을 만날 수 없었을까? 라는 질문을 이전 댓글에서 던졌는데, 많은 분들이 이 생각의 가치를 평가하시는 폼을 보고 이것이 새로운 것이란 사실, 기존 과학을 뒤집는 내용이란 것을 확인받네요. 저는 누군가는 이런 틀로서 이미 이론적 차원에서 기존 과학계 안에 큰 그룹을 형성했으리라 생각했어요.
    또 누군가는 이 틀이 수많은 후속 연구를 불러올 커다란 장이라는 말을 했는데, 저도 크게 공감해요. 저도 이 생각과 관련된 수많은 연구가 있으리라는 느낌을 받았는데...
    아니면 이미 많이 있거나...
    하여간 저도 큰 응원 보냅니다.
    이 아이디어의 혁명성에!!!

  • @BONOBONOSARANG
    @BONOBONOSARANG Год назад +1

    굉장히 흥미로운 주제였습니다. 관점을 바꿨을 뿐인데 상당히 재밌는 결과가 만들어 지네요.
    근데 질량이 클수록 공간이 더 빨리 팽창한다면, 지구위에 사람이 서 있을수 있나요?? 공간의 팽창에 따라 전부 자유낙하 상태가 되는데 지구가 당겨주지 않는다면 인간이 지구에 서있는건 설명이 안될것같아요. 질량 중심점 으로 갈수록 더 빨리 팽창할테니까요.

  • @healtube9786
    @healtube9786 Год назад +4

    245번째 구독자입니다. 나한테 이런 채널이 뜬다는 것은 나도 참 다양한 것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산다는 것 같네요

  • @finishafrica
    @finishafrica Год назад +3

    그리고 이렇게 생각하면 정말 모든게 설명이 됩니다.

  • @m.sj.2830
    @m.sj.2830 Год назад +2

    요청이 하나 있는데요... 일반인이 보기에는 새로운 용어도 많이 나오고 여러 개념이 많은거 같은데 주제를 10개이상 쪼개서 좀더 쉽게 설명해주시면 안될까요? 초구체나 중간에 몇몇 예를 든 애니메이션들 한개씩만 잡아도 하나의 스토리가 될것 같아요...

  • @뚜니떠니-t7d
    @뚜니떠니-t7d Год назад +7

    신선해요 ~ 새로운 관점이 재밌어요^^
    물론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도 있지만 응원합니다 ㅋ

  • @jrehgb3451
    @jrehgb3451 Год назад +2

    자막에 음과양 에테르에 대해서도 나오는데 차차 설명해주시면 좋겠네요

  • @seolhs
    @seolhs Год назад +26

    와~~~~ 믿기지 않으실지도 모르지만 님이 하신 말씀 제 생각하고 완전 똑같아요 ㄷㄷ
    저도 이거 욕 먹을 까봐 어디 가서 말은 못하고 소설 속에 외계인이 중력에 대해 서술하는 설정으로만 써먹었는데 님이 이렇게 명쾌하게 정리해서 영상 올린 거 보니 소름이 돋네요 진짜 ㅎㅎㅎ
    언젠가는 분명 이게 주류 학설이 될 날이 올 겁니다. 앞으로도 멋진 영상 많이 기대하겠습니다. 👍👍👍

    • @JB-rc9gj
      @JB-rc9gj Год назад +3

      그소설이뭐죠 ?? 찾아 읽어 볼게용

  • @병록이-j6g
    @병록이-j6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소름 돋네 이런생각을 하시다니 잘보고갑니다.!!!

  • @yyy-e6i
    @yyy-e6i Год назад +26

    논문 쓰셨나요? 응원합니다

  • @1Q81725
    @1Q81725 Год назад +2

    중력차원에 반중력자들이 있어서 혖 차원의 소자들을 끓어당기도록 되어 있나보죠

  • @guilmont3718
    @guilmont3718 Год назад +2

    중력은 팽창의 반작용 이란뜻 이지요 ? 그렇다면 수학적으로 표현이 가능할듯 한대요 ?

  • @우주-y4g
    @우주-y4g Год назад +1

    와 대박이다. 물리학 전공자인가요? 어떻게 이런걸 생각하셨나요?

  • @mingyuoh9384
    @mingyuoh9384 Год назад +1

    우주에서는 중력을 받지 않아 제자리에 둥둥 떠있는데 이건 우주팽창과 관련해서 어떻게 연관지을 수 있나요?
    결국 행성의 질량에 따른 중력을 받고 있지 않나 싶은데, 제가 이해를 완벽히 못한거면 다시 봐볼게요.

  • @duddjehrgo
    @duddjehrgo Год назад +34

    53번째 구독자입니다. 좋은 발상 및 탄탄한 논리에 박수를 보냅니다. 저도 전자의 스핀의 중첩과 결정에 관측이 아니라 시간이 관여한다는 발상을 시작으로 여러 이론적 연결을 합리적이고 유기적으로 다듬고 또 스스로 다시 비판하는 과정을 반복 중이라, 자신의 생각을 '이렇게 완결된 영상'으로 만들기까지 얼마나 많은 퇴고가 이뤄졌을지 짐작이 되네요.ㅎㅎ 올려주시는 영상들 꼼꼼하게 보고, 혹시 빈틈이나 반례가 떠오르면 공유하겠습니다. 👍

  • @김지강-h6d
    @김지강-h6d Год назад +2

    중력이 공간을 팽창시키면 시간도 팽창시킬 수 있겠네요. 전부 상대적이지만~~~

  • @m.sj.2830
    @m.sj.2830 Год назад +3

    와우~... 중력과 우주팽창을 4차원 관점에서 본다라... 획기적인 시선 변화네요... 그렇죠... 2차원 생명체가 있다면 높이라는걸 인식못하고 종이의 끝을 이으면 왜 한쪽으로만 갔는데 처음으로 돌아왔는지 이해 못할거에요...

  • @jinshiksung
    @jinshiksung Год назад +2

    무게가 같은되 같은 속도로 떨어지는거 보면 팽창 한다는게 개념적으로 쉬움 위치 에너지 같은되 그것도 현상임 단순희 그 하나의 힘에 다 들러 붙어 있다면 계산이 단순할수 있지만 궤와 장의 함수를 도출할수 있을까요 산술적으로 가능할듯 아무말 대잔치 같지만 도식 하나로 계산이 가능하다면 의미는 있을듯 예로 궤를 스트롱 포스와 위크 포스를 도입할수 있고 일렉트로 마그네틱 처럼 다른 방향이라고 생각하면 쉬울지도

  • @jhkim8262
    @jhkim8262 Год назад +3

    821번 구독자입니다. 국내에 비슷한 논문이 있는데.. 혹시 관련있는 분이신지.. 우리나라에서도 노벨 물리학상 받는 분이 나오면 좋겠네요.

  • @busa11jo11
    @busa11jo11 Год назад +3

    넒어짐과 좁아짐이
    음과 양이 같을수 있다.
    잘 알아 들었습니다.

  • @김잭스-h5y
    @김잭스-h5y Год назад +1

    또 궁금한게 있는데
    결국엔 시공간이 가속하면서 팽창하고 그 가속을 우리는 관성으로 받는다 뭐 이런 얘기잖아요?
    우리는 지구의 중심부로 관성에 의한 힘을 받죠. 그렇다면 지구의 중심부에서 일종의 구의 형태를 가지고 시공간이 팽창해야 하는데 지구는 어떻게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거죠?
    또, 쌍성같이 서로에게 묶여 공전하는 상황의 경우 서로가 상대방의 방향으로 시공간이 가속하게 되는데 이러면 서로 가속하는 방향이 반대라서 상쇄되지 않나요?
    그리고 정보는 빛의 속도보다 빨리 전달될 수 없는데 블랙홀의 어디가 시간이 빨라지고 느려지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무게는 각각의 위치에 따른 시공간의 위치변화량이라고 하셨는데 높이 100m에서 떨어지는 의자랑 10m에서 떨어지는 의자의 무게가 다르다는 것인가요?

  • @yssrfgjoshua4513
    @yssrfgjoshua4513 Год назад +3

    우주는 물질과 에너지 중력으로 구성되었는데 그럼 시간은 무엇인가요?

    • @hera4557
      @hera4557 Год назад

      시간과 공간은 속도에따라 변하는 물질이고 하나의 차원입니다

  • @ShePingPing
    @ShePingPing Год назад +1

    우와.. 그러니까 중력이란 것이 시공간의 팽창에 저장하는 관성으로 이해하면 되나요? 제대로 이해한 건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