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EBS 수능특강 수록 작품 릴레이 열한 번째 작품! 눈물입니다🍋 아들을 잃은 '나'의 눈물, 그리고 깨달음. #수능특강 #눈물 #김현승 밥 먹을 때 들어도 체하지 않아요🍚 이동할 때 들으면 시간 절약 꿀🚌 커피 마시면서 들어도 좋아요☕️ 자기 전에 들어도 기억에 쏙🧸
[이 작품은] 시인이 사랑하는 어린 아들을 먼저 죽음의 세계로 보낸 비극적인 상황에서 쓴 것으로, 자신이 겪은 슬픔을 기독교적 신앙으로 극복, 승화시키고 있다.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종교적, 명상적, 상징적 * 제재 : 눈물(아들의 죽음) * 주제 : 슬픔의 종교적 승화를 통한 순결한 삶의 추구 * 특징 ① 경어체를 사용한 경건한 분위기를 형성함. ② 대립적 이미지로 ‘눈물’의 시적 의미를 부각시킴. ③ 기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여 대상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 * 출처 : “김현승 시초”(1957) 눈물(김현승)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시인이 사랑하는 어린 아들을 먼저 죽음의 세계로 보낸 비극적인 상황 속에서, 그 아픔과 슬픔을 종교적 믿음으로 견디면서 쓴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시인은 아들을 잃은 슬픔을 통해, 우리 인간은 기쁨보다는 슬픔 속에서 성숙한다는 인간의 삶에 내재된 역설을 깨닫는다. 모두 6연으로 이루어진 이 시는 '눈물'에 대해 경어체로 말하고 있다. 1연에서는 '눈물'이 죽음으로 인한 슬픔이 아닌, 부활을 준비하는 새로운 생명의 씨앗임을 말하고, 2연에서는 온전하고 순수한 것으로서의 '눈물', 3~4연에서는 절대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의 '눈물'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처럼 1~4연이 '눈물' 자체의 개별적 의미에 대해 말하고 있다면, 5~6연은 '눈물'의 궁극적 의미를 '열매'라는 객관적 상관물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 겉으로 드러난 '웃음'이 화려하지만 쉽게 지고 마는 '꽃'의 현상적 아름다움처럼 유한한 가치를 지닌 것이라면, '눈물'은 씨앗을 그 안에 간직함으로써 영원한 생명을 지닌 '열매'처럼 순수하고 진실한 내면적 가치를 지닌 영원한 것, 즉 신의 섭리와 은총인 것이다. 아무리 아름답다 하더라도 영원할 수는 없는 것이 인간적 삶의 한계이다. 이 한계에 부딪혀 절대적 존재 앞에서 흘리는 눈물은 인간의 영혼을 맑게 씻어 주며, 진정한 삶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깨닫게 한다고 시인은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은] 시인이 사랑하는 어린 아들을 먼저 죽음의 세계로 보낸 비극적인 상황에서 쓴 것으로, 자신이 겪은 슬픔을 기독교적 신앙으로 극복, 승화시키고 있다.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종교적, 명상적, 상징적
* 제재 : 눈물(아들의 죽음)
* 주제 : 슬픔의 종교적 승화를 통한 순결한 삶의 추구
* 특징
① 경어체를 사용한 경건한 분위기를 형성함.
② 대립적 이미지로 ‘눈물’의 시적 의미를 부각시킴.
③ 기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여 대상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
* 출처 : “김현승 시초”(1957)
눈물(김현승)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시인이 사랑하는 어린 아들을 먼저 죽음의 세계로 보낸 비극적인 상황 속에서, 그 아픔과 슬픔을 종교적 믿음으로 견디면서 쓴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시인은 아들을 잃은 슬픔을 통해, 우리 인간은 기쁨보다는 슬픔 속에서 성숙한다는 인간의 삶에 내재된 역설을 깨닫는다.
모두 6연으로 이루어진 이 시는 '눈물'에 대해 경어체로 말하고 있다. 1연에서는 '눈물'이 죽음으로 인한 슬픔이 아닌, 부활을 준비하는 새로운 생명의 씨앗임을 말하고, 2연에서는 온전하고 순수한 것으로서의 '눈물', 3~4연에서는 절대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의 '눈물'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처럼 1~4연이 '눈물' 자체의 개별적 의미에 대해 말하고 있다면, 5~6연은 '눈물'의 궁극적 의미를 '열매'라는 객관적 상관물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 겉으로 드러난 '웃음'이 화려하지만 쉽게 지고 마는 '꽃'의 현상적 아름다움처럼 유한한 가치를 지닌 것이라면, '눈물'은 씨앗을 그 안에 간직함으로써 영원한 생명을 지닌 '열매'처럼 순수하고 진실한 내면적 가치를 지닌 영원한 것, 즉 신의 섭리와 은총인 것이다.
아무리 아름답다 하더라도 영원할 수는 없는 것이 인간적 삶의 한계이다. 이 한계에 부딪혀 절대적 존재 앞에서 흘리는 눈물은 인간의 영혼을 맑게 씻어 주며, 진정한 삶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깨닫게 한다고 시인은 말하고 있는 것이다.
연계작품중에 가장 난해한 작품이었는데 영상으로 다뤄주셔서 감사해요~! 들어도 어려운 작품인건 여전하네요ㅠㅠ
수현님!! 감사해요:) 아마도 학생분들은 이해하기가 더 어려웠을 것 같습니다😭 신, 진리, 죽음.. 이런 것들이 모두 추상적인 개념이니까요ㅠㅠ
영상길이도 적절하구 !! 설명 이해가 정말잘되용 좋은영상 감사함다~!!👍💖
로페님! 반가워요💕
목소리가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
오늘도 너무 좋아요 레몬님 최고짱 유튜버 🥰🍋💛
썬밍님 ㅋㅋㅋ😉 감사합니다✨
22분이나 영상길이가 되어서 첨엔 놀랐지만 이후 부분은 질답시간이었군요!
네네! 라이브 챗 보시면 질의응답 채팅도 같이 보실 수 있어요!:) 🕺🏻✨
문학공부하러 왔다가 마음에 큰 울림을 얻고 갑니다.. 레몬님 유익하고 귀중한 영상 늘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계란 계란님 감사합니다🙇♀️ 더욱 좋은 영상 만들도록 노력할게요💕
시 해석 찾다가 우연히 들렀는데 목소리가 너무좋으세요 해석도 너무좋코ㅎㅎ
나미 짜웅님 감사해요:)
항상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고있어요!
차가운 피자님>.< 감사합니다!!
갓갓 레몬님.. 너무 좋아요
개학연기에 저의 단비가 되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송이님! 감사합니다😊 4월 초에 개학이죠? 그때까지 열심히 함께 달려보아요💕
설명너무좋아요
오늘도 출석 댓이요!!
역시 스토리텔링은 제가 봤던 강의 중에 레몬님이 짱이신것같아요ㅠㅠ
지민님!! 고맙습니다😭💛
셤공부 중인데 목소리 좋으시네요
SMK쾅님 감사합니다:)
시험범위 인데 진짜 어렵긴하네요;;
ㅇㅈ
배꼽을 위한 연가봉황수 도 올려주세용
곧 올라간답니다:)!
지금작품설명하실때 표현법에서 이해가안가는게요
문제1번에역설적인식이라는걸보면 어떻게봐야하나요?
이해 안 가는 부분이 어느 부분인가요?
문제 1번에 역설적 인식이라는 말이 이해가 안 간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 아예 역설적 인식이라는 말이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눈물과 웃음의 가치가 뒤바뀌어, 삶의 즐거움보다 삶의 깨달음을 더욱 높이 여기는 시적 화자의 인식이 드러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눈물보다 웃음이 좋다는 고정관념이 있기 때문에, 위 시에서 보이는 인식은 역설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눈물이 옥토에 떨어지는데 왜 씨앗이 되는거죠 ?
옥토는 비옥한 땅을 의미해요:) 그래서 저는 씨앗이라고 생각했어요!
열매는 웃음아닌가요???
왜 그렇게 생각하셨나요, 체리님??
그 밑에 연에 나의 웃음을 만드신 후에 라고 나와서 열매를 맺게하신 당신은 뒤에 웃음을 만드신 후에 이게 동일하다고 느껴져서요 ㅠㅠ 오늘 시험치는 과목인데 헷갈려서 ㅠㅠ
10분의 문학 그래서 꽃이 시들고 열매를 맺게했는데 그 열매는 웃음이고 그래서 그 웃음,열매보다 눈물이 더 가치있다 아닌가요? 제가 잘못이해한건가싶어서요ㅠㅠ
체리님! 저는 웃음 후에 오는 열매가 바로 눈물이라고 생각했어요! 좀 심플하죠? 열매를 맺으려면 꽃이 떨어져야 하니, 꽃을 웃음이라고 생각하면, 열매는 눈물이라고 할 수 있겠죠!
레몬님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오늘도 파이팅 하세요^*^
형래님 정말정말 고맙습니다🙏